KR950008146Y1 - 풍압을 이용한 곡물이송장치의 곡물토출용 노즐 - Google Patents

풍압을 이용한 곡물이송장치의 곡물토출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146Y1
KR950008146Y1 KR92008266U KR920008266U KR950008146Y1 KR 950008146 Y1 KR950008146 Y1 KR 950008146Y1 KR 92008266 U KR92008266 U KR 92008266U KR 920008266 U KR920008266 U KR 920008266U KR 950008146 Y1 KR950008146 Y1 KR 950008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nozzle
guide plate
suction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8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5149U (ko
Inventor
정성준
Original Assignee
정성준 · 조성옥
주식회사 농 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준 · 조성옥, 주식회사 농 공 filed Critical 정성준 · 조성옥
Priority to KR92008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146Y1/ko
Publication of KR9300251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51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1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6Arrangements in forage silos
    • A01F25/18Loading or distribu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풍압을 이용한 곡물이송장치의 곡물토출용 노즐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곡물이송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그 중의 일부는 절개되어 있다.
제2도는 기류의 흐름을 포함하여 나타낸 노즐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송풍기 3 : 흡입호퍼
4 : 댐퍼 5 : 노즐
51 : 입구 52 : 토출구
53 : 투입구 54 : 유도판
55 : 안내판 6 : 사일로
본 고안은 풍력을 이용하여 곡물을 이송하는 장치의 곡물토출용 노즐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송풍기가 바람을 불어낼 때 이면 방향에서 빨려드는 공기의 힘을 빌어 흡입호퍼내로 곡물을 도입하고 이 곡물을 검불과 분리하여 일정량씩 투하시켜 이송하는 곡물이송장치에 있어서 선곡후 낙하되는 곡물을 휘날리거나 곡물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전량 효율좋고 빠르게 이송할 수 있게 한 노즐에 관한 것이다.
사일로에 곡물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곡물을 인출할 때, 혹은 곡물을 정량씩 계량하여 포장대에 담을 때 등에 두루 이용하는 곡물이송장치는 대부분 이송 스크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송 스크류를 곡물의 이송수단으로 이용한 종래의 곡물이송장치는 이송속도가 느려서 능률이 낮고, 또, 이송스크류의 날개와 실린더의 내면간에 틈이 마련인바, 이 틈새에 이송중인 곡물이 일부가 끼어들어 손상되는 경우가 흔히 있어 비합리적이었으며 곡물과의 곡물 마찰 때문에 이송 스크류의 날개가 조기 마모되므로 때때로 이송 스크류를 정비, 보수하거나 교체해야 하며, 또한 곡물속에 함께 섞여 있는 검불은 수거할 만한 능력은 아예 갖추고 있지 않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선곡한 곡물을 정량씩 투하하여 강력한 풍압으로 신속하게 그리고 곡물을 훼손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곡물이송장치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본 고안은 공기를 전방으로 불어대는 힘에 이끌려 빨려 들어오는 흡입기류의 힘을 빌어 흡입호퍼내로 곡물을 강제 도입하는 송풍기와 도입한 곡물을 1차로 선곡하는 흡입호퍼, 정량 투하용 댐퍼로 이뤄지는 곡물이송장치에 있어서 선곡후 유입되는 곡물을 흩날리지 않고 신속하게 토출하는 노즐을 상기 댐퍼의 아래쪽에서 송풍기의 송풍로와 사일로간에 설치한 것이다.
상기 송풍기의 흡입구는 흡입관을 통하여 흡입호퍼의 상면 출구와 연결되어 있고 흡입호퍼의 도입구는 곡물저장고 혹은 곡물을 담가두는 용기측에 도입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송풍기를 가동하면 그 흡입구로 빨려들어가는 공기의 힘에 도입관속의 곡물은 흡입호퍼내로 강제 유입되고, 여기서 가벼운 검불 따위는 휘돌다가 흡입관을 통해 별도의 수거통로로 빠져나간다. 이렇게 하여 1차로 선곡된 곡물은 흡입호퍼의 아래쪽에 위치한 댐퍼로 자연낙하 한다. 댐퍼는 저속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익차형태로 이뤄지며, 흡입호퍼에서 낙하되는 곡물을 날개와 날개간의 1원주피치에 해당하는 용적 만큼씩 노즐로 투하한다.
노즐은 송풍기로 부터 도래하는 강한 기류를 제트기류로 변화시켜 더욱 빠른 속도로 빠져나가게 하므로서 위로 부터 떨어지는 곡물을 신속하게 토출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이 노즐 내부에는 입구측에서 토출구로 향하는 강한 바람이 노즐내로 떨어지는 곡물에 대하여 회돌이 바람으로 역작용하지 못하게 막아주는 유도판과, 이 유도판에 부딪힌 뒤에 유도판의 끝이 바라보고 있는 노즐 내면에 다시 반사되어 나오는 기류를 분산시키는 동시에 노즐내로 들어 온 곡물이 원활하게 토출구로 향하도록 도와주는 안내판도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을 풍압식 곡물이송장치에 설치함에 따라 종래 이송 스크류와 같은 기계적 마찰을 일으킬만한 요소가 배제되므로 내구연한이 길고 곡물도 손상되지 않으며, 또한 강력한 풍압으로 보다 빠르게 곡물이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작성한 첨부도면에 따라 더욱 구체적으로 본고안을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본 고안은 모터(1)에 의해 구동하는 송풍기(2)와, 흡입호퍼 (3), 댐퍼(4), 그리고 사일로(6)로 구성되는 풍압식 곡물이송장치에서 송풍로와 댐퍼 (4)의 호퍼(44)가 만나는 지점에 설치된다.
풍압식 곡물이송장치에 대하여 부연하면 송풍기(2)는 케이싱이 밀폐형인 가운데 흡입구(21)와 송풍구(22)를 갖고 있다. 흡입구(21)는 흡입관(71)을 통하여 흡입호퍼(3)의 흡출구(35)측에 연결되고 송풍구(22)는 별도의 송풍관(72)을 거쳐 노즐(5)의 입구측에 연결된다. 그리하여, 송풍기(2)가 기동하여 바람을 일으키면 송풍구(22)로는 강력한 바람을 내보내고 흡입구(21)로는 흡입호퍼(3)내의 공기를 빨아들인다. 양쪽 방향의 유량은 물론 같다. 흡입호퍼(3)로 투입된 곡물은 자기 무게 때문에 상기 흡입력에도 불구하고 아래로 낙하하지만 가벼운 검불 따위는 그 흡입력에 이끌려 망(32)을 뚫고 흡입관(71)속으로 빨려나가고 흡입구(21)에 이르기 전의 중간 과정에서 일단 망(8)에 걸렸다가 도시하지 아니한 배출관의 마개를 열고 수거한다.
다시 제1도로 돌아가서, 흡입호퍼(3)는 외부에서 있던 곡물을 도입하는 도입구(34)와 검불 배출구를 겸한 흡출구(35)를 갖고, 또한 흡출구(35)에 인접한 위치에는 곡물만은 흡출되지 않도록 가설한 망(32)이 설치되어 있으며 망(32)의 아래쪽 내면 둘레에는 쿠션(33)이 부착돼 있어 도입과정에서 곡물이 흡입호퍼(3)의 내면에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입관(74)은 외부의 곡물을 저장고 등으로 통하는 연결 통로이다. 그리고, 도입구(34)의 바로 위에는 유도판(31)이 부착되어 있는데, 이것은 아래를 향해 경사져 있어서 흡입호퍼(3)의 내부 아래쪽으로 곡물을 유도하면서 흩뿌려 까불린다.
댐퍼(4)는 흡입호퍼(3)의 곡물 낙하구(36) 하단과 맞붙어 있으며, 그 익차 (41)의 회전축은 모터(42)의 구동축에 접속되어 모터(42)와 동기한다. 익차(41)의 날개는 그 축을 중심으로 90°원주각, 60°원주각 등으로 배치되고, 날개 끝에는 고무판 (43)이 부착되어 있다. 이 고무판(43)은 댐퍼(4)로 유입된 곡물이 날개와 댐퍼 하우징 내면간의 틈으로 비집고 멋대로 흘러 내리지 못하게 막음과 동시에 송풍기류가 흡입호퍼(3)로 역류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그래야만 1차로 선곡된 곡물을 차질없이 정량씩 투하할 수 있고, 또한 오직 도입구(34)를 통해서만 기류가 유입되게 하여 곡물의 흡입과 노즐을 통한 곡물이송 효율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의 노즐(5)은 입구(51)와 토출구(52) 외에 투입공(53)과 유도판(54) 및 안내판(55)을 갖고 있다. 이들 가운데 입구(51)는 송풍기(2)의 송풍관(72)측에 그리고 토출구(52)는 사일로(6)로 통하는 이송관(75)측에 각각 연결되고 투입공(53)에는 댐퍼(4)의 아래쪽에 늘어진 호퍼(54)의 하단이 접속된다.
상기 유도판(54)의 비고정단은 노즐(5)의 내측 바닥면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어서 노즐(5)내의 유로를 좁히므로 그리고 들어오는 바람은 제트기류로 바뀌어 바닥면쪽으로 인도된다. 제1도에서와 같이 유도판(54)이 비고정단이 투입공(53)에 근접해 있으므로 노즐(5) 내로 들어온 강한 바람은 일단 유도판(54)에 부딪혀 투입공(53)과는 반대쪽으로 방향이 바뀐 다음에 노즐(5) 바닥면에 반사되어 노출구(52)로 향하게 된다. 이처럼 강한 제트기류로 변화된 송풍압이 투입공(53)을 비껴가는데다가 유도판(54)의 비고정단과 투입공(53) 사이에서는 유속이 느리기 때문에 투입공(53)으로 들어오는 곡물은 휘날리는 정도가 매우 약하다. 즉, 투입공(53) 부근에서의 송풍압으로 인한 진공와류현상(F2)이 미미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노즐(5)내로 곡물의 유입이 원만히 이뤄지는 것이다. 상기 유도판(54)의 기울기는 수평선에 대하여 30-35°,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3°이다. 기울기가 부족하면 역풍와류현상이 두드러져 효과가 저하되고, 지나치게 기울면 제트기류가 형성되면서 소음이 발생한다.
유도판(54)이 투입공(53)을 보호해주지 못한다면 투입공(53) 부근에서 일어나는 진공와류현상 때문에 호퍼(54)를 타고 원만하게 노즐(5)로 투입되어야 할 곡물이 투입공(53) 부근에서 맴돌아 제대로 투입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호퍼(54)를 타고 기류가 역유입되어 곡물낙하가 비정상적으로 이뤄질 우려가 있다. 이런 점에서 유도판(54)은 대단이 중요한 요소임에 틀림없다. 한편, 안내판(55)은 완만한 구면을 가지며 투입공(53)의 뒷쪽에 설치된다. 이 안내판(55)의 주된 임무는 유도판(54)에 인도되었다가 노즐(5)의 바닥면에 반사되어 나오는 기류를 부드러운 흐름으로 변화시켜서 그 바람결에 투입된 곡물이 그대로 실려 토출구(52)로 빠져 나가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참고로, 마지막 단계에 위치하는 사일로(6)에서 이송관(75)의 말단은 사일로 내부로 들어와 있고, 그 말단은 다시 곧바로 트인 토출구(61)와 망(63)이 처진 송풍구 (62)로 나뉜다. 토출구(61)는 송풍구(62)의 윗쪽에 놓이며, 망(63)은 곡물을 통과하지 못하고 오직 바람만이 지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사일로(6)내에서 토출구(61)로는 곡물에 전단계에서 미처 수거되지 못한 검출이 섞여있다면 이것까지 함께 대각선 방향으로 뿌려진다.
뿌려진 직후에는 토출구(61)와 대각선 위치에 자리잡은 안내판(64)에 부딪혀 비산되는데 곡물은 자기 무게때문에 아래로 떨어져 배출구(65)로 배출되지만 가벼운 검불 따위는 송풍구(62)에서 분출되는 바람결에 휘날려 배풍구(66)로 송출된다.
상기 안내판(64)도 구면을 이루고 있어서 여기에 부딪히는 곡물과 검불을 사방으로 흩뜨린다. 그래서 토출구(61)를 나온 곡물이 무리져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곡물무리속에 섞여 있을 검불 따위의 분리를 촉진시켜 최종단계에서의 선곡효과를 더욱 높여준다.
상기 구성요소중 모터(1)와 송풍기(2)를 비롯하여 흡입호퍼(3), 댐퍼(4), 노즐(5) 그리고 호스저장고 및 공구박스(9)와 ON, OFF 스위치 조작반(91)은 손잡이 (81)와 바퀴(82)가 달린 케이싱(8)에 수용하고 사일로(6)는 상기 케이싱(8)에 외장하여 이동성을 부여하므로서 장소를 옮겨가며 곡물을 선곡 이송하기가 더욱 편리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곡물 이송장치용 노즐은 송풍기가 외부 공기를 빨아들이는 힘을 이용하여 외부에 저장되어 있던 곡물을 흡입호퍼(3) 내로 도입하여 1차로 선곡하고 이렇게 선곡한 곡물을 댐퍼(4)로 정량씩 투하하여 노즐(5)로 흘러들게 한 다음 제트기류를 이용하되 진공역류현상은 극도로 억제되는 노즐(5)로 공급하여 사일로(6)로 토출하고, 여기서 다시 선곡과정을 거친 뒤에 지대포장기나 수송트럭 등으로 이송하는 것으로서, 강력한 송풍압을 이용한 곡물이송효율의 증대, 그리고 종래의 이송 스크류식에서 나타났던 이송요소의 마모와 이로인한 곡물 훼손, 수시 정비 보수, 유관 부품의 교체 및 이송능률 저조와 같은 단점이 모두 개선되는 효과까지 함께 거둬진다.

Claims (4)

  1. 입구(51)과 토출구(52) 사이에 곡물 투입공(53)이 위치하고, 투입공(53)의 전방에는 제트기류형성용 유도판(54)을 그리고 투입공(53)의 후방에는 안내판(55)을 각각 설치한 풍압식 곡물이송장치의 곡물토출용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유입판(54)이 투입공(53)의 반대쪽으로 구배진 노즐.
  3. 제2항에 있어서, 유도판(54)의 구배가 30-35°인 노즐.
  4. 제1항에 있어서, 안내판(55)이 구면상으로 된 노즐.
KR92008266U 1992-05-14 1992-05-14 풍압을 이용한 곡물이송장치의 곡물토출용 노즐 KR950008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266U KR950008146Y1 (ko) 1992-05-14 1992-05-14 풍압을 이용한 곡물이송장치의 곡물토출용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8266U KR950008146Y1 (ko) 1992-05-14 1992-05-14 풍압을 이용한 곡물이송장치의 곡물토출용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149U KR930025149U (ko) 1993-12-16
KR950008146Y1 true KR950008146Y1 (ko) 1995-10-04

Family

ID=1933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8266U KR950008146Y1 (ko) 1992-05-14 1992-05-14 풍압을 이용한 곡물이송장치의 곡물토출용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1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800B1 (ko) * 2010-09-03 2011-01-14 오성택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800B1 (ko) * 2010-09-03 2011-01-14 오성택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5149U (ko) 199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9895A (en) Vertical roller mills
JP3285076B2 (ja) 穀粒等の色彩選別機における集塵装置
US3920542A (en) Removal of green bolls and heavy materials from seed cotton by air jets
CN107324081A (zh) 一种粉状物料的气力输送装置
CN107539732A (zh) 一种矿石输送用绞龙输送机
US4198799A (en) Apparatus for making exploded cellulosic fiber insulation
KR950008146Y1 (ko) 풍압을 이용한 곡물이송장치의 곡물토출용 노즐
CN100453183C (zh) 粉碎和分级装置
US3735932A (en) System for overcoming transport-particle-flow deficiencies inherent in feed grinding and mixing machines using dust collectors for the grinder
US5573450A (en) Abrasive blasting device
KR950004820B1 (ko) 곡물이송장치
US3959956A (en) Cotton harvesting machine
CN106342491A (zh) 一种联合收割机及其复合清选系统
US4941295A (en) Abrasive elevating apparatus for blast machines and method of using
CN113953982B (zh) 一种塑胶玩具前处理装置及方法
KR200453178Y1 (ko) 곡물선별기
CN214268959U (zh) 一种桂花分选生产线上的物料提升机构
JPH07327545A (ja) 投餌機
CN214289399U (zh) 一种桂花风选用的气流控制装置
US4561805A (en) Forage blower
CN220991175U (zh) 一种气流粉碎机
US6454098B1 (en) Mechanical-pneumatic device to meter, condition, and classify chaffy seed
US2710231A (en) Grain loaders
CN221017420U (zh) 枸杞干果分选装置
CN218662772U (zh) 小型拆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