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018Y1 - 설비 냉각용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설비 냉각용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018Y1
KR950008018Y1 KR2019930019599U KR930019599U KR950008018Y1 KR 950008018 Y1 KR950008018 Y1 KR 950008018Y1 KR 2019930019599 U KR2019930019599 U KR 2019930019599U KR 930019599 U KR930019599 U KR 930019599U KR 950008018 Y1 KR950008018 Y1 KR 950008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heat exchanger
cooling pipe
pipe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9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502U (ko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filed Critical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9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018Y1/ko
Publication of KR9500095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5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0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the heat-exchange conduits forming part of, or being attached to, the tank containing the body of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28F1/04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polygonal, e.g. rectang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4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5/00Heat exchanger elem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special features or resulting from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F28F2255/14Heat exchanger elem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special features or resulting from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mol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설비 냉각용 열교환기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설비냉각용 열교환기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열교환기 냉각파이프 요부발췌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냉각파이프의 요부발췌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냉각파이프의 요부발췌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냉각파이프의 요부발췌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냉각파이프의 요부발췌 단면도.
제7도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려는 설비냉각용 열교환기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수탱크 2 : 쿨링타워
3 : 냉각용 설비 4, 7 : 냉각파이프
5 : 스트레이너 6 : 순환펌프
8 : 열교환기 소형 저수탱크 9 : 열교환기 순환펌프
10 : 열교환기 필터
본 고안은 냉각수를 필요로 하는 설비냉각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설비내의 냉각파이프와, 외부의 냉각파이프를 접촉하는 상태로 폐회로를 만들어 설비내의 깨끗한 냉각수와 외부냉각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설비의 냉각파이프내 냉각수가 항상 깨끗한 상태로 순환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냉각수를 필요로 하는 설비냉각용 열교환은 제7도에서와 같이 저수탱크(101), 쿨링타워(102), 냉각용설비(103)를 구성하여 순환파이프(104)의 입구측을 저수탱크(101) 일측에 고정한 상태로 스트레이너(105)와, 순환펌프(106)를 연결하여, 쿨링타워(102)를 권회한 상태로 통과시키고 상기 쿨링타워(102)를 순회한 순환 파이프(104)는 1차, 2차, 휠터(10)(10')와 연결한 상태로 냉각용설비(103)를 순회하여 순환파이프(104) 토출구측을 저수탱크(101) 타측에 고정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설비냉각용 열교환은 냉각용설비(103)를 냉각시키기 위해 순환펌프(106)를 작동시키면 저수탱크(101)의 냉각수는 순환펌프(106)의 작동에 의해 스트레이너(105)에서 이물질을 걸러 쿨링타워(10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을 방출한 다음 1차 휠터(10)와, 2차 휠터(10')를 거쳐 이물질이 제거된 차가운 냉각수가, 냉각용설비(103)내로 순환하여 냉각용설비(103)의 열을 빼앗은 다음 전기한 순환공정으로 계속하여 연속순환되어 냉각용설비를 냉각하는 것이다.
이때 저수탱크(101)의 물이 부족하면 지하수 또는 상수도의 물을 보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냉각수 순환에서는 저수탱크 또는 순환파이프에 스케일등이 발생하여 설비내부 및 순환파이프를 부식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1차, 2차 휠터등을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교환하여야 하는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등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냉각용 설비내에 흐르는 냉각수와, 외부에서 흐르는 냉각수를 접촉되는 상태로 열교환하여 냉각용 설비내의 흐르는 냉각수를 항상 개끗한 상태로 순환토록 하므로서 휠터가 불필요하며,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아니라 휠터의 설치시에도 1회 설치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토록 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저수탱크(1), 쿨링타워(2), 냉각용설비(3)로 구성하여, 냉각파이프(4)의 입구측을 저수탱크(1) 일측에 고정한 상태로 스트레이너(5)와 순환펌프(6)를 연결한 후, 토출구측을 저수탱크(1) 타측에 고정시켜 냉각수가 순환토록 한다.
그리고 냉각파이프(7)는 냉각용 설비(3) 내부를 통과하는 상태로 코일형으로 권회하여 입구측은 열교환기 소형 저수탱크(8)에 열교환기 순환펌프(9)와, 열교환기필터(10)와 연결된 상태로 연결하고, 토출구측은 상기 냉각파이프(7)와 접촉된 상태로 권회하여 열교환기 소형 저수탱크(8)와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그리고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냉각파이프의 요부발췌 단면도로서 쿨링타워(2)와 냉각용설비(3)를 통과하여 냉각파이프(4)(7)의 단면을 삼각형관으로 형성하여 냉각파이프(4)(7)간의 접촉면을 넓게 한 것이다.
그리고 제4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냉각파이프의 요부발췌 단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냉각파이프(4)(7)의 단면을 사각형관으로 형성하여 냉각파이프(4)(7)간의 접촉면을 넓게 한 것이다.
그리고 제5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냉각파이프의 요부발췌 단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냉각파이프(4)를 원형으로 하여 접촉되게 하되, 냉각파이프(4)(7)를 알루미늄 등으로 몰밍하여 열교환효율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제6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냉각파이프의 요부발췌 단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냉각용설비(3)를 순환하는 냉각파이프 외면을 포삽하는 상태로 외부냉각수를 순환하는 냉각파이프(4)를 설치하여 냉각효율을 높이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각설비(3)를 냉각함에 있어서, 외부의 순환펌프(6)(9)를 작동시키면, 저수탱크(1)의 냉각수와, 열교환기 소형저수탱크(8)의 증류수 또는 부동액등이 냉각파이프(4)(7)를 화살표 방향으로 순환되는 것이다.
이때 외부의 냉각수는 순환펌프(6)의 작동에 의해 쿨링타워(2)에서 냉각되어진 냉각수가 냉각파이프(4)를 따라 계속적으로 저수탱크(1)의 냉각수를 순환하고 냉각용설비(3)를 통과하는 냉각수는 순환펌프(9)의 작동에 의해 냉각파이프(7)를 따라 계속적으로 열교환기 소형 저수탱크(8)의 증류수 또는 부동액등을 순환하는 것인데, 상기 냉각파이프(4)(7)의 면접촉된 곳에서 냉각용설비(3)에서 빼앗은 열을 쿨링타워(2)에서 냉각된 냉각수가 빼앗아 순환하므로서 열교환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냉각용설비(3)에 배관된 냉각파이프(7)와 쿨링타워(2)에 배관된 냉각파이프(4)는 면접촉을 넓게하여 열교환이 빨리 될 수 있도록 제3도 내지 제6도에 서와 같이, 냉각파이프(4)(7)의 단면모양을 삼각형관, 사각형관, 또는 알루미늄관으로 포삽하거나, 또는 냉각수 파이프(7)를 냉각수 파이프(4)가 포삽하는 상태로 설치하여 냉각용설비(3)내를 순환하는 냉각수와 외부의 쿨링타워(2)를 순환하는 냉각수를 분리순환시켜 냉각파이프(4)(7)의 접촉면에서 열교환을 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저수탱크의 냉각수를 쿨링타워를 통과하여 냉각한 상태로 순환시켜, 열교환기 소형 저수탱크의 냉각수가 냉각용설비를 순환하면서 상기 쿨링타워에 냉각한 냉각수에 의해 열교환하므로서 냉각용 설비를 순환하는 냉각수오염이 전혀 없어 깨끗한 냉각수만 흐르게 되므로 휠터가 불필요하거나, 설령 있다고 하여도 1회 설치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므로서 휠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하므로 발생하는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저수탱크(1)의 냉각수를 순환펌프(6)의 작동에 의해 쿨링타워(2)를 순환하여 냉각용설비(3)를 냉각시키는 설비냉각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쿨링타워(2)를 순환하는 냉각파이프(4)는 순환 스트레이터(5)와 순환펌프(6)를 통과하는 상태로 저수탱크(1)에서 순환토록 구성하고, 냉각용설비(3)를 통과하는 냉각파이프(7)는 열교환기 순환펌프(9)와 열교환기 필터(10)와 연결된 상태로 열교환기 소형 저수탱크(8)에 입구, 토출측을 순환되도록 연결, 구성하되 상기 냉각용 설비(3)를 통과한 냉각파이프(7)는 외부의 냉각파이프(4)와 접촉한 상태로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냉각용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냉각파이프(4)(7)는 그 단면이 면접촉을 넓게 하기 위하여 삼각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냉각용 열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냉각파이프(4)(7)는 그 단면이 면접촉을 넓게 하기 위하여 사각형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냉각용 열교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냉각파이프(4)(7)의 외주연을 면접촉을 넓게 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몰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냉각용 열교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냉각파이프(7) 외면을 포삽하는 상태로 냉각파이프(4)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냉각용 열교환기.
KR2019930019599U 1993-09-25 1993-09-25 설비 냉각용 열교환기 KR950008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599U KR950008018Y1 (ko) 1993-09-25 1993-09-25 설비 냉각용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9599U KR950008018Y1 (ko) 1993-09-25 1993-09-25 설비 냉각용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502U KR950009502U (ko) 1995-04-19
KR950008018Y1 true KR950008018Y1 (ko) 1995-09-27

Family

ID=19364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9599U KR950008018Y1 (ko) 1993-09-25 1993-09-25 설비 냉각용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0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149Y1 (ko) * 2019-05-23 2020-08-18 주식회사 대우인더스트리 진공냉각장치의 열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502U (ko) 199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115B1 (ko) 저압 강하 열 교환기
DE102007021720A1 (de) Verdichtersystem für den Unterwassereinsatz im Offshore-Bereich
KR101535478B1 (ko) 피동잔열제거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950008018Y1 (ko) 설비 냉각용 열교환기
US4646823A (en) Pipe for utility or service systems
US4479365A (en) Water cooled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accessory transfer coil kit
KR101959275B1 (ko) 수열원 히트펌프에 의한 냉난방 통합배관 시스템
CN106953468A (zh) 一种泵站电机空调式冷却系统及其应用方法
JPS61213493A (ja) 凝縮伝熱管
US5099657A (en) Structure of cooling tank for water cooler
JP6294437B1 (ja) 防食皮膜の形成方法
CN220522663U (zh) 一种机油冷却器出水管
CN218723288U (zh) 一种高炉冷媒水降温装置
CN216672358U (zh) Svg循环风水冷装置
CN219346946U (zh) 一种高效智能反循环泥浆冷却系统
CN220323855U (zh) 一种冷却液循环管路结构
CN216653407U (zh) 一种双效外循环蒸发装置
CN215261282U (zh) 一种干湿一体式冷却塔
CN211739995U (zh) 一种封闭式循环冷却水装置
CN216348012U (zh) 一种拥有多种散热介质的散热器
CN211400944U (zh) 一种冷却塔用冷却水循环装置
CN208042807U (zh) 一种防腐涂料生产用复式冷凝器
CN112944944A (zh) 一种封闭式冷却水塔
KR20000007660A (ko) 열교환 유니트
Beaty et al. Designing Data Center Waterside Economizers: Part 3: Heat Rejection Altern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