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967B1 - 자기수축(自己收縮)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 Google Patents

자기수축(自己收縮)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967B1
KR950007967B1 KR1019930001885A KR930001885A KR950007967B1 KR 950007967 B1 KR950007967 B1 KR 950007967B1 KR 1019930001885 A KR1019930001885 A KR 1019930001885A KR 930001885 A KR930001885 A KR 930001885A KR 950007967 B1 KR950007967 B1 KR 950007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hrinkable
polymer
self
shrinkabl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633A (ko
Inventor
최종철
최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주식회사
박원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주식회사, 박원근 filed Critical 엘지전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967B1/ko
Publication of KR940020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수축(自己收縮)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제1도는 종래의 열수축성 슬리브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열수축성 슬리브의 사용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열 수축성 슬리브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열수축성 슬리브 60 : 전도성 고분자
62 : 전극 64 : 전원
본 발명은 판재형상의 열수축성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수축성 슬리브의 내부에 위치한 도전성고분자의 발열에 의하여 열수축성 슬리브를 수축되게 하여 케이블을 밀봉시키게 하는 자기수축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수축성 슬리브는 변형시킨 상태에서 가열하면 복귀하여 절연 및 밀봉을 수행하는바, 이는 통신케이블, 동력케이블과 같은 각종 케이블의 접속부위에 이물질 혹은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주위의 환경으로 부터의 보호를 위해 그 접속부위를 밀봉 및 절연을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수축성 슬리브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다. 이 열수축성 슬리브(10)의 구조를 보면, 고내열성 고분자 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물형상의 보강재(12)의 양쪽에는 가교되어 열수축이 가능한 시트재(14)가 형성되고 그 와곽의 양면에 보호용 시트재(16)를 형성하고 케이블(18)를 감싸는 내측면에 용융 접착제(20)가 도포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열수축성 슬리브(10)를 케이블(18)로에 접속시킬때, 제2도에서와 같이 열수축성 슬리브(10)의 양단부를 C형 채널(22)로 결속시킨 다음 토치램프(24)에 의하여 열수축성 슬리브(10)에 열을 가하게 된다. 이때 열수축성 슬리브(10)에 가해지는 토치램프(24)의 온도는 600℃ 이상으로, 이 열이 열수축성 슬리브(10)의 외면에 위치한 보호용 시트재로 부터 용융 접착제(20)가 도포되어 있는 내부면에 이르기까지 전달되어 열수축성 슬리브(10)가 수축될때까지 가열을 하여야하므로 토치램프(24)의 사용에 따른 국부적인 가열이나 토치램프(24)의 노즐, 즉 불꽃분출부위와 열수축성 슬리브(10)의 외면이 접촉됨에 따라 열수축성 슬리브(10)가 찢어지게 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타버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같은 원인은 케이블의 접속작업이 비교적 작업환경이 어려운 곳에서 이루어지므로 더욱 발생소지가 크다. 왜냐하면 케이블선로가 지하에 매입되어 있어 케이블접속작업을 지하맨홀에서 실시하여야 하므로 부탄이나 프로판가스를 이용하는 토치램프(24) 등의 사용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어 열수축성 슬리브(10)의 가열시공이 매우 어렵고, 더욱이 작업자의 숙련도가 요구되는 등의 많음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열수축성 슬리브의 내부에 도전성 고분자를 형성시켜 외부로 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도전성 고분자를 발열시킴에 따라 열수축성 슬리브가 수축되어 케이블의 접속 및 밀봉이 이루어지게 하여 종래와 같이 토치램프 등과 같은 외부가열수단을 전혀 배제시킴으로써, 외부가열에 따른 위험성이 없어지고 작업자의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는 등의 보다 간편한 케이블의 접속작업을 할 수 있는 자기수축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열수축성 슬리브의 내부에 가교되어 열수축이 가능한 시트재와 고내열성 고분자 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물형상의 보강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도전성 고분자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시키고 이 도전성 고분자의 단부에 전극을 형성하여 전원을 인가하여 줌으로써 도전성 고분자가 발열하여 열수축성 슬리브에 균일한 열을 가하여 열수축성 슬리브가 자기수축되게 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판재형상인 열수축성 슬리브의 단면을 보인사시도이다. 열수축성 슬리브(50)의 내부에 가교되어 열수축이 가능한 시트재(52)가 형성되고 이 시트재(52)의 사이에 고내열성 고분자 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물형상의 보강재(54)가 형성되며 외측으로 보호용 시트재(56)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용융접착제(58)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52)와 보강재(54)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도전성 고분자(60)를 형성하되, 그 도전성 고분자(60)의 단부에 전극(62)을 형성하여 전원(64)의 연결시켜 도전성 고분자(60)가 발열되어 열수축성 슬리브(50)가 자기수축되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시트재(52)와 보강재(64)의 사이에 형성되는 도전성 고분자(60)는 일정간격을 갖게 배열되며, 도전성 고분자(60)의 종류, 형상, 배열간격을 조절하여 발열시에 적정한 온도로의 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열수축성 슬리브(50)에 균일한 열을 가하게 되어 열수축에 의한 밀봉 또는 절연작업을 안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항발열체인 도전성 고분자(60)는 특정고분자에 도전성 카본 블랙을 충전시키거나, 공액(conjugated) 이중결합을 가진 고분자 또는 전하이동복합체(charge transfer complex)를 형성한 도전성 고분자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카본블랙으로 충전시킨 특정고분자의 상온저항은 5~100,000Ω.cm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으며, 그 카본블랙의 충전량은 저항의 범위를 감안할때 12~75 무게퍼센트로 하는 것이 좋으며, 또한 상기 특정고분자는 결정성을 갖고 있는 폴리올레핀이나 불소수지인 것이 좋다.
상기 공액 이중결합을 가진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 및 그 유도체 폴리페닐렌 및 유도체 폴리헤테로싸이클(polyheterocycle) 및 그 유도체인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전하이동복합체를 형성한 고분자는 서로 다른 고분자 상(phase)들이 섞여 있는 상태로, 적어도 한 상이 전도성 고분자인 것이다.
한편 도전성 고분자(60)는 일정형상을 갖는 밴드, 띠, 필름타입으로 하여 이를 압출이나 사출로 가공이 가능하며, 일정단면을 갖는 선재가공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열수축성 슬리브(50)는 그 내부에 형성된 도전성 고분자(60)가 전극(62)가 연결되어 밀봉 또는 절연작업시에 전원(64)을 연결시켜주면 열이 발생하여 열수축성 슬리브(50)가 자기수축을 하게 되는 것이며, 수축되는 상태는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도전성 고분자(50)가 열수축성 슬리브 전체에 균일한 열을 가함으로 안정되게 밀봉 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은 전원 연결작업만으로 가능하므로, 초보자라 하더라도 간편하게 시공을 할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종래와 비교하면 지하맨홀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가스를 이용한 토치의 사용이 전혀 배제됨으로 시공시에 안전작업을 할 수 있다.

Claims (10)

  1. 판재형상의 열수축성 슬리브(50)의 내부에 가교되어 열수축이 가능한 시트재(52)가 형성되고 이 시트재(52)의 사이에 고내열성 고분자 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물형상의 보강재(54)가 형성되며 외측으로 보호용 시트재(56)이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용융접착제(58)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시트재(52)와 보강재(54)의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도전성 고분자(60)를 형성하고, 그 도전성 고분자(60)의 단부에 전극(62)을 연결하고 전원(64)을 연결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수축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저항발열체인 도전성 고분자(60)는 특정고분자에 도전성 카본블랙을 충전시키거나, 공액 이중결합을 가진 고분자 또는 전하이동복합체를 형성한 도전성 고분자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수축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3. 제2항에 있어서, 카본블랙으로 충전시킨 특정고분자의 상온저항은 5~100,000Ω.cm의 범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수축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4. 제3항에 있어서, 카본블랙의 충전량은 저항의 범위를 감안하여 12~75 무게퍼센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수축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5. 제3항에 있어서, 특정고분자는 결정성을 갖고 있는 폴리올레핀이나 불소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수축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6. 제2항에 있어서, 공액 이중결합을 가진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 및 그 유도체 폴리페닐렌 및 유도체 폴리헤테로싸이클 및 그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수축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7. 제2항에 있어서, 전하이동복합체를 형성한 고분자는 서로 다른 고분자 상들이 섞여 있는 상태로, 적어도 한 상이 전도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수축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8. 제1항에 있어서, 도전성 고분자(60)는 일정형상을 갖는 밴드, 띠, 필름타입으로 하여 이를 압출이나 사출로 가공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수축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9. 제8항에 있어서, 도전성 고분자(60)는 일정단면을 갖는 선재로 가공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수축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10. 제1항에 있어서, 시트재(52)와 보강재(54)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 고분자(60)는 일정간격을 배열하되, 고분자의 특성에 따라 그 간격조절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수축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KR1019930001885A 1993-02-11 1993-02-11 자기수축(自己收縮)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KR950007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1885A KR950007967B1 (ko) 1993-02-11 1993-02-11 자기수축(自己收縮)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1885A KR950007967B1 (ko) 1993-02-11 1993-02-11 자기수축(自己收縮)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633A KR940020633A (ko) 1994-09-16
KR950007967B1 true KR950007967B1 (ko) 1995-07-21

Family

ID=1935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885A KR950007967B1 (ko) 1993-02-11 1993-02-11 자기수축(自己收縮)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9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633A (ko) 199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5286A (en) Heat-recoverable sealing article with self-contained heating means and method of sealing a splice therewith
US5302428A (en) Multi-layer wraparound heat shrink sleeve
JPH01295613A (ja) 導管接続部分の保護絶縁用組立体
US4195106A (en) Heat recoverable article
GB1594937A (en) Sealing device and method
EP0245067B1 (en) Heat recoverable article
JPH028596A (ja) クロージャー物品およびその用途
NO142950B (no) Varmekrympbar, sammensatt muffe for anvendelse i hoeyspent-teknikken
FI79426B (fi) Kaapeliliitossuoja
EP0195683A2 (en) Coated recoverable articles
US4990380A (en) Heat recoverable article
US4938820A (en) Joining of sheets
KR960013070B1 (ko) 물품의 접합 방법
US3214571A (en) Heating cable and connectors therefor
KR950007967B1 (ko) 자기수축(自己收縮)이 가능한 열수축성 슬리브
NO862017L (no) Innkapslende elektriske komponenter.
US5451278A (en) Environmental protection
US5137591A (en) Conductive polymeric heater
US4441017A (en) Flexible strip heater
US5560847A (en) Environmental protection of a pipe by means of a conductive polymer sheet
US4950343A (en) Method of cable sealing
US5013894A (en) Conductive polymeric article
US4280015A (en) High-tension line
EP0307197B1 (en) Conductive polymeric heater
US4990379A (en) Heat recoverable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