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953Y1 - 공조기용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공조기용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953Y1
KR950007953Y1 KR92011758U KR920011758U KR950007953Y1 KR 950007953 Y1 KR950007953 Y1 KR 950007953Y1 KR 92011758 U KR92011758 U KR 92011758U KR 920011758 U KR920011758 U KR 920011758U KR 950007953 Y1 KR950007953 Y1 KR 950007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air conditioner
odor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1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492U (ko
Inventor
김순곤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92011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953Y1/ko
Publication of KR9400004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4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9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조기용 필터장치
제1도는 종래에 사용되어 온 전기식 먼지필터의 개략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를 채용한 공조기의 일부절결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피 장치의 사시도로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제3도의 Ⅳ-Ⅳ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캐비넷 22 : 공기흡입구
24 : 공기토출구 26 : 필터장치
28 : 공기흡입통로 30 : 프레임
32 : 집진공간 34 : 이물질 제거용 필터
36 : 악취제거용 필터 38 : 스페이서
본 고안은 공조기용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공기중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이물질 제거용 필터의 경우 수명을 더욱 연장할 수 있는 조합형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난방용 공조기에 있어서는 공기의 정화를 위한 목적으로 먼지제거필터와 악취제거필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먼지제거필터의 대표적인 예로는 흡입공기중의 먼지를 점성표면에 접촉시켜서 제거하는 점착식 필터와, 전극판에 강력한 전압, 예를들면 12,000V의 전압을 걸어서 정전기를 발생시킨 다음, 흡입공기중에 존재하는 공기를 정전기적인 인력으로 수집하여 제거하는 전기식 필터가 알려져 있다. 한편, 악취제거필터는 통상 활성탄으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악취가스나 박테리아등을 제거하는데에 매우 효과적이다.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소63-133317호(명칭 : 공기청정기)에 개시된 공기청정기는 상기 점착식 필터의 사용에로서, 하나의 필터하우징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진필터와,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 필터를 설치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진필터는 통상의 점착식 필터를 사용한 것으로, 점착식 필터는 먼지등의 이물질이 그의 점성표면에 접촉되어 제거된다. 그러나 이러한 점착식 필터는 제거된 이물질이 게속해서 그 표면에 쌓이게 되므로, 오래 사용하는 경우, 제진필터가 이물질에 막혀 제성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 수시로 제진필터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제진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전기식 필터는,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고압의 전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변압기(12)와, 이 변압기에 접속된 전극단자(14)와, 상기 변압기(1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강력한 전기장을 발생하는 격자상의 전극판(16)으로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전기식 필터는 복잡한 전기회로 및 부품을 필요로 하므로 공조기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며, 안전성이나 내구성의 측면에서도 전기식 필터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스럽지 못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물질 제거용 필터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이 이물질 제거용 필터를 통과하여 공조기 내부에 마련된 집진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물질 제거용 필터를 수시로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필터를 오래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고압전류를 공급받지 않고도 흡입공기중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조기용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공조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 및 악취를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용 필터와 악취제거용 필터가 장착된 공조기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용 필터와 악취제거용 필터 사이의 하부에 집진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이물질 제거용 필터는 정전기 발생능력이 큰 절연성 섬유로 직조함과 동시에 적어도 미립자 덩어리가 통과하는 크기의 그물눈(매쉬 : Mesh)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용 필터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필터장치를 채용한 공조기가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 공조기는 비교적 대용량의 것으로서, 내부에 각종 전기장치 및 열교환장치를 수납하고 있는 캐비넷(20)을 구비한다. 이 캐비넷(20)의 전방하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조기내로 도입하기 위한 공기흡입구(22)가 형성되고, 또한, 전방상부에는 냉각 혹은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공기 토출구(24)가 형성된다. 공기흡입구(22)의 바로 안쪽에는 먼지등의 이물질이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필터장치(26)가 수납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26)가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 필터장치(26)는 공기흡입통로(28)를 규정하는 대략 장방형의 프레임(30)을 가지며, 당해 프레임(30)의 바닥벽에는 여과된 먼지입자 등을 저장하기 위한 집진공간(32)이 마련되어 있다.
공기흡입통로(28)의 상류측에는 정전기 발생능력이 큰 절연성 섬유로 직조된 이물질 제거용 필터(34)가 설치된다.
이물질 제거용 필터(34)를 제조하기 위한 섬유로서는 인조고무, 합성섬유, 테프론, 실리콘 고무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흡입기류와의 접촉시 강력한 정전기(음전하)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이기만 하면 어떠한 종류의 섬유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섬유를 직조할 때에는 제3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평직으로 할 수도 있고, 교직, 능직, 수자직등과 같은 공지의 제작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미립자 덩어리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그물눈(매쉬 : Mesh)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절연성 섬유를 사용해서 제조한 이물질 제거용 직물필터(34)는 그 사이를 통과하는 기류와의 마찰에 의해서 강력한 정전부하를 갖게 되므로 공기중에 존재하는 미립자를 글어당기게 되고, 정전기에 의해 섬유의 표면으로 끌어당겨진 다양한 크기의 미립자들은 서로 뭉쳐져서 대직경의 미립자 덩어리로 변하게 된다. 대직경의 미립자 덩어리는 후술하는 악취제거용 필터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프레임(30)의 하부에 형성된 집진공간(32)으로 떨어져서 쌓인다.
공기흡입통로(28)의 하류측에는, 상술한 이물질 제거용 필터(34)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악취제거용 필터(36)가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물질 제거용 필터(34)와 악취제거용 필터(36)사이에는 일련의 스페이서(38)가 배치되어서 양자의 필터(34)(36)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 준다. 악취제거용 필터(36)는 이물질제거용 필터(34)와 마찬가지로 절연성 섬유를 사용해서 직조할 수 있으나, 다른 종류의 다공성 판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악취제거용 필터(36)의 전방표면에는 탈취제층을 형성시켜서 흡입기류중의 냄새를 제거한다. 또한, 가스의 흡수능력이 우수한 활성탄소나 코코넛 껍질로 악취제거용 필터(36)를 제조하여 냄새의 흡수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필터장치에 의하면, 이물질 제거용 필터가 정정기 발생능력이 큰 절연성 섬유로 직조됨과 동시에 미립자 덩어리가 통과되는 그물눈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거된 미립자 덩어리가 이물질 제거용 필터를 통과하여 집진공간에 저장되는 것이고, 이로인해 이물질 제거용 필터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것이며, 집진기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수명도 오래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잇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지식 필터 대신에 직물필터를 사용하므로 외부의 전력공급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공조기의 원가절감 및 신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2)

  1. 공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 및 악취를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용 필터(34)와 악취제거용 필터(36)가 장착된 공조기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용 필터와 악취제거용 필터 사이에 하부에 집진공간(32)을 형성하며, 상기 이물질 제거용 필터(34)는 정전기 발생능력이 큰 절연성 섬유로 직조함과 동시에 적어도 미립자 덩어리가 통과하는 크기의 그믈눈(매쉬 : Mesh)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용 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용 필터(34)와 상기 악취제거용 필터(36)를 사이에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스페이서(38)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용 필터장치.
KR92011758U 1992-06-29 1992-06-29 공조기용 필터장치 KR950007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1758U KR950007953Y1 (ko) 1992-06-29 1992-06-29 공조기용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1758U KR950007953Y1 (ko) 1992-06-29 1992-06-29 공조기용 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492U KR940000492U (ko) 1994-01-03
KR950007953Y1 true KR950007953Y1 (ko) 1995-09-25

Family

ID=1933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1758U KR950007953Y1 (ko) 1992-06-29 1992-06-29 공조기용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9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492U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7054C (en) Electrofilter
US11007537B2 (en) Filter media for active field polarized media air cleaner
EP1596960B1 (en) Air cleanness filter
WO1995033570A1 (en) Electrostatic fibrous filter
WO1995033570A9 (en) Electrostatic fibrous filter
US6171375B1 (en) Vacuum cleaner exhaust filter with ion generation stage
PL233491B1 (pl) Elektrostatyczny filtr powietrza
JP2018513006A (ja) エアクリーナを分極させるための波形濾過媒体
CN100478624C (zh) 一种微尘处理器
JP3336452B2 (ja) 集塵装置
JP2753497B2 (ja) 空気浄化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KR950007953Y1 (ko) 공조기용 필터장치
JPS60161712A (ja) 空気清浄用フイルタ−
CN101099943B (zh) 一种电子微尘处理装置
JP3946325B2 (ja) 空気清浄装置
JPH0788397A (ja) 集塵装置
JPS6159767B2 (ko)
CN214182374U (zh) 一种新型净化室通风除尘设备
KR200318794Y1 (ko) 공기 정화용 필터 조립체
KR20020097444A (ko) 습식 집진 장치
CN216814396U (zh) 一种空调空气净化装置及空调
JP2782988B2 (ja) 空気清浄器
CN213931323U (zh) 空气净化器
CN217737454U (zh) 具备静电吸附能力的滤网和空气净化装置
JPH0633936Y2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