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831Y1 - 산업용 강구 자동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강구 자동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831Y1
KR950007831Y1 KR92022285U KR920022285U KR950007831Y1 KR 950007831 Y1 KR950007831 Y1 KR 950007831Y1 KR 92022285 U KR92022285 U KR 92022285U KR 920022285 U KR920022285 U KR 920022285U KR 950007831 Y1 KR950007831 Y1 KR 950007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steel ball
selection
shaft
steel b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2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031U (ko
Inventor
안정권
Original Assignee
안정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권 filed Critical 안정권
Priority to KR92022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831Y1/ko
Publication of KR9400120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0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8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07B1/24Revolving drums with fixed or moving interior agi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산업용 강구 자동선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A-A선 절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파절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파절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강구(ball) 1 : 선별기
2 : 분쇄기 3, 4 : 지지프레임
5 : 샤프트 6 : 베어링하우징
7 : 체인기어 8 : 기어드모터
9 : 체인 10 : 림(rim)
11 : 선별봉 11' : 개구
12 : 제1선별부 13 : 제6선별부
14 : 격판 14' : 컨베이어
15 : 바스켓 16 : 호퍼
17 : 셔터 18 : 선별공
19 : 선별드럼 20 : 플랜지
21 : 결합공 22 : 보울트
22 : 너트
본 고안은 산업용 강구를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단시간에 다량의 대소강구를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력 및 작업시간의 절감효과를 득하고져 하는 것이다.
통상 클링커(clinker), 석회석, 석탄등 산업용 원자재를 미세하게 분쇄하는 분쇄기에는 다수의 격판으로 구분되는 회전드럼내에 각기 다른 치수의 두수개의 강구(ball)와 원자재를 투입하여 드럼을 회동시킴으로서 강구 상간에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하여 원자재가 분쇄하도록 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는 특히 클링커, 석회석, 석탄 등을 분쇄할시에 큰효과를 발휘하는데, 문제는 강구가 마모가 극심하여 6개월 내지 1년에 한번씩 격판으로 구분되는 드럼내의 강구를 상호 선별교환작업을 행하여야 하는 것이다. 상기 교환작업은 강구의 마모에 기인한 것도 있지만 드럼내의 격판이 파손되어 각기 다른 치수의 강구가 섞여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분쇄률이 극히 저조하게 떨어지는 사례가 빈번히 있어 다수개의 각기 다른 강구를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은 절실한 것이었다. 종래에는 물론, 상기의 강구 선별작업은 인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고, 그로인한 작업시간 및 인력의 손실은 다대한 것이었는바, 본 고안은 상기 강구선별작업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코져 한다. 이하의 부수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구성, 작용, 효과 등을 상세히 기술키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설별기(1)의 전체정면도로서, 본 고안의 선별기(1)는 통상의 분쇄기(2) 배출구 하측에 설치된다. 좌우의 지지프레임(3, 4)상에는 샤프트(5)가 후방으로 약간의 경사를 갖고 베어링하우징(6)에 의하여 회동가능케 축설된다.
상기 샤프트(5)일측에는 체인기어(7)가 축고정되어 하측의 기어드모터(8)와 체인(9)으로 연결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샤프트(5)상에는 적경의 간격을 갖고서 환봉등으로 구성되는 림(rim;10)이 장착된다. 물론 상기의 림(10)의 갯수는 선별코져 하는 치수에 따라 적정갯수가 가감될 수 있다. 도면상에서는 림(10)이 7개정도 장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림(10)상간에는 환봉등으로 구성되는 선별봉(11)을 용접 등의 수단으로 원통형으로 고정케 되는데, 여기서 선별봉(11)의 용접시 주의 할 것을 샤프트(5)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갖도록 스크류식으로 고정한다는 점이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강구(a)의 선별작업시 정체를 방지하여 이동을 원활히 하는 역할을 수행케된다. 각 선별봉(11)상간의 간격은 제1선별부(12)에서 제6선별부(13)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도록 구성함으로서 치수가 작은 강구(a)부터 순차적으로 선별봉(11)상간의 개구(11')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 선별되게끔 한다.
물론, 선별기(1)의 하측에는 치수별로 선별된 강구(a)가 상호 섞이지 않도로 격판(14)등으로 구분되는 수거용 바스켓(15)등이 설치된다. 상기의 바스켓(15)내부에는 선별된 강구(a)를 이송할 수 있는 컨베이어(14')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쇄기(2)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강구(a)를 선별기(1)로 안내함과 동시에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호퍼(16)가 분쇄기(2)의 배출구 하측에서 선별기(1)의 제1선별부(12)상간에 설치된다. 호퍼(16)의 상단에는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는 셔터(17)가 분쇄기(2)의 배출구 또는 호퍼(16)상단에 고정설치되어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파절 정면도로서, 상기 제1실시예와는 달리 선별봉(11)대용으로 선별공(18)이 적정의 간격으로 천공된 선별드럼(19)을 장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4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상기 제1, 2실시예를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경우로서, 제1선별부이하 제6선별부까지 각선별부를 상호 별개로 구성하여 샤프트(5)상에 임의 종립사용이 가능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는 각각의 림(10)양단에 플렌지(20)를 형성하여 결합공(21)을 형성한 후 보울트(22)와 너트(23)로서 상호 샤프트(5)상에 끼움 장착한 후 조립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선별과정을 살펴보자.
기어드모터(8)를 ON시켜 선별기(1)가 회동되게 한 후 분쇄기(2)하측의 셔터(17)를 개방하면 강구(a)는 분쇄기(2)의 배출구와 호프(16)를 통하여 선별기(1)의 제1선별기(12)로 투입되어 선별봉(11)상간의 개구(11')또는 선별드럼(19)을 사용할 경우 선별공(18)으로 제1선별부(12)부터 점차적으로 치수가 큰 강구(a)가 자중으로 하방낙하하여 격판(14)으로 구분된 바스켓(15)상의 컨베이어(14')에 낙하하여 차기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선별봉(11)으로 구성되는 제1실시예의 선별기(1)같은 경우는 선별봉(11)이 샤프트(5)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스크류형으로 용접고정되어 강구(a)의 선별이송시의 정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제3실시와 같은 분해조립식으로 각 선별부를 구성할 경우 선별코져 하는 강구에 맞는 선별부를 순차적으로 조립작업할 경우 작업시간은 더욱더 줄일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분해조립식으로 구성할 경우 각선별부의 마모로 인한 교체시에도 보다 원활한 교체작업을 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나 교체작업시간의 절감이라는 잇점이 주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산업용 강구선별 작업을 인력작업에서 탈피하여 기계적으로 자동선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력 및 선별작업시간 등을 현격히 절감할 수 있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다대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의 부수되는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본 고안에서 보호받고져 하는 기술의 보호범위를 기재할 것이지만, 실시예에서 예시되지 아니한 유사한 변경실시 태양 역시 본 고안이 개시한 기술적 구성의 핵심을 일탈치 않는 한 본 고안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클랭커, 석회석, 석탄 등을 분쇄하는 산업용 분쇄기(2)상에 투입되어 분쇄작업을 실행하는 강구(a)를 치수별로 선별하는 선별기(1)를 구성함에 있어서; 좌우의 지지프레임(3,4)상간에는 기어드모터(8)에 의해 구동하는 샤프트(5)를 후향경사지게 축설하며; 상기 샤프트(5)상에는 수개의 림(10)을 적정간격으로 축삽고정하여 각각의 림(10)상간에는 선별봉(11)을 샤프트(5)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스크류형으로 개구(11')를 갖도록 고정하며; 상기 수개의 림(10)으로 구분되는 각각의 선별부상의 선별봉(11)상간의 개구(11')는 순차적으로 넓게 구성하여 강구(a)가 후단으로 이동을 하면서 순차적으로 선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각각의 선별부 하부에는 격판(14)으로 구분되고 컨베이어(14')가 장착된 바스켓(15)이 설치되고, 상기 분쇄기(2)의 배출구에는 셔터(17)가 설치되고 셔터(17)의 하측에는 강구(a)를 안내이송할 수 있는 호퍼(1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강구 자동선별장치.
KR92022285U 1992-11-11 1992-11-11 산업용 강구 자동선별장치 KR950007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2285U KR950007831Y1 (ko) 1992-11-11 1992-11-11 산업용 강구 자동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2285U KR950007831Y1 (ko) 1992-11-11 1992-11-11 산업용 강구 자동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031U KR940012031U (ko) 1994-06-15
KR950007831Y1 true KR950007831Y1 (ko) 1995-09-22

Family

ID=19343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2285U KR950007831Y1 (ko) 1992-11-11 1992-11-11 산업용 강구 자동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8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031U (ko) 1994-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213055A (zh) 垃圾分选线及其实施方法
CN114887704A (zh) 一种钢筋混凝土建筑垃圾分拣装置及分拣方法
DE3704300A1 (de) Hammerbrecher zum brechen harter und weicher materialien
KR950007831Y1 (ko) 산업용 강구 자동선별장치
US49018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wood chips
AU590549B2 (en) Breaking bulk material into certain size & screening
GB2267235A (en) Screening apparatus
WO2000071257A1 (en) Reducer and separator for preparing gypsum board and other products for recycling
CN209646942U (zh) 一种固体物料离心筛分装置
GB2239824A (en) Screening machine for rock
CN112892699A (zh) 一种用于建筑工程的垃圾破碎装置
EP1040872B1 (de) Rohrmühle
US3667691A (en) Method for crushing metal turnings
KR102211194B1 (ko) 건설 폐기물 내 이물질 제거 장치
JP3596754B2 (ja) 3軸ロールクラッシャとその運転方法
JP4172074B2 (ja) 造粒装置
CN220804426U (zh) 一种建筑垃圾用分离式筛分机
CN215542776U (zh) 氧化铝衬板筛分装置
CN220590657U (zh) 一种党参分级机
EP4059623B1 (en) Combination screening apparatus
CN219765605U (zh) 一种建筑渣土破碎筛分装置
US20230256471A1 (en) Screening Apparatus
US11865582B2 (en) Combination screening apparatus
CN113617633A (zh) 一种将混焦筛选成中焦、焦粒和焦丁的装置及其实现方法
DE202004007482U1 (de) Zerlegeein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