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158B1 -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 Google Patents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158B1
KR950007158B1 KR1019930016635A KR930016635A KR950007158B1 KR 950007158 B1 KR950007158 B1 KR 950007158B1 KR 1019930016635 A KR1019930016635 A KR 1019930016635A KR 930016635 A KR930016635 A KR 930016635A KR 950007158 B1 KR950007158 B1 KR 950007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rame
cradle
baby carriage
connec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866A (ko
Inventor
카바그네로 제네
Original Assignee
제네, 에스.에이.
제네 산타마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S9201882A external-priority patent/ES2069458B1/es
Priority claimed from ES9300488A external-priority patent/ES2070072B1/es
Application filed by 제네, 에스.에이., 제네 산타마리아 filed Critical 제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940006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제1도는 개방위치에 있는 프레임 조립체의 사사도.
제2도는 프레임을 횡방향으로 절첩가능하게 하는 십자힌지아암 및 타이로드의 개략적 평면도.
제3 및 4도는 각각 핸들바아의 중간부분을 형성하는 두 개의 부재의 힌지 및 고정장치의 평면도 및 단면도.
제5도는 절첩된 프레임의 평면도.
제6도는 시이트 및/또는 크레인들 캐리어 커플링을 고정하는 편심고정핀의 사시도.
제7 및 8도는 각각 고정 및 해정위치에 있는 고정장치 및 고정부재의 위치의 개략적 정면도.
제9도는 유모차의 프레임에 결합된 크레인들 시이트의 사시도.
제10도는 절첩위치에 있는 상기 조립체, 크레이들 시이트 및 프레임의 평면도.
제11도는 크레이들 시이트의 측면도.
제12도는 크레이들 시이트 부분의 평면도.
제13도는 크레이들 시키트의 저면도.
제14도는 유모차의 신장위치에 있는 핸들바아의 중간부분의 정면도.
제15도는 핸들바아의 안전장치의 구조의 상세 단면도.
제16도는 상술한 안전장치의 배면도.
제17도는 전면기부에 설치되는 고정핀을 갖는 핸들바아의 분기부분의 구조의 동축 회전관계의 상세 측면도.
제18도는 전면기부에 설치되는 고정핀의 상세 평면도.
제19도는 전면기부에 설치되는 고정핀의 해정과 핸들바아의 절첩의 개시를 보여주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바아 2,3 : L자형 부분
8,9 : 전면기부 10,11 : 브래킷
13,14 : 수직부재 15,16 : 아암단부
17 : 중심 18,19 : 타이로드
20,21,22,23 : 단부힌지 27,28 : 배면기부
본 발명의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Cradle Seat)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안내플랜지에 의하여 전면거부에 설치되는 역 U자형 핸들바아 슬라이드로 구성되는 유모차 프레임에 관한 발명특허 ES P 9002663호의 소유자이며, 이 경우 대응하는 배면기부가 프레임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십자부재에 의하여 함께 연결되는 전면기부의 상측 단부에 횡방향 U자형 부재의 단부가 힌지에 의하여 연결되고, 그의 수직단면의 하측 단부에서 상기 U자형 부재는 배면기부의 중간대역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배면기부는 상기 U자형 부재의 단면의 상측 대역의 배면에서 시이트 및/또는 크레이들형 캐리어를 지지하기 위한 스트링거가 힌지연결되어 있다.
전면기부의 상측 단부에 고정부재가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물론 횡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즉 측부를 함께 이동시켜 그 부피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페인 특허에 기술된 유모차의 프레임을 개선함은 물론, 유모차에 다른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고정부재가 전면기부에서 떨러지거나 또는 불완전하게 위치되는 경우에도 우발적으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신규 프레임의 특징은 프레임의 상술한 절첩공정이 가능하도록 모든 횡방향 부재를 힌지 연결시킨 점이다.
따라서, U자형 횡방향 부재를 횡방향 부분에서 제거하여 U자형 부분의 나머지 수직부분의 하측 단부를 핸들바아 부분의 하측 단부에 연결시키는 두 개의 십자힌지아암으로 대체시켜 타이로드에 의하여 상기 아암의 배면부분을 상술한 수직부재의 중간부분에 힌지연결시켰다.
또한, 핸들바아의 중간부분 및 전면기부를 함께 연결하는 십자부재는 힌지부분으로 분할되어 있고, 핸들바아의 중간부분은 핸들바아의 대응하는 부분을 삽입하여 부분적으로 동축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함께 연결되는 두개의 L자형 부재로 구성되는 반면에, 다른 부분은 핸들바아부분에 평행한 중앙 횡방향 봉에 의하여 함께 힌지연결되어 있고, 그의 힌지는 펴진 위치에서 힌지를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있다. 전면기부 사이의 십자부재를 구성하는 힌지부분은 그의 산장위치로 탄성적으로 추진되는 것이 유리하다.
다른 특징은 원형 제어장치를 부분적으로 회전시키므로서 고정부재의 직선변위를 결정하는 편심위치 설정핀의 존재인 바, 이것은 이 목적을 위하여 프레임에 제공되는 스트링거에 시이트 또는 크레이들 캐리어의 연결을 확실하게 하며 배면에서 상술한 수직부재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다른 모델의 크레이들 시이트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이것은 측부 아암레스트 및 전면난간이 형성되고 백레스트와 푸트레스트가 힌지연결되어 있는 시이트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형태의 크레이들 시이트가 유모차의 다른 모델의 프레임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면 또는 배면을 향하여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은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들 유모차의 대부분의 경우, 특히 프레임이 횡방향으로 절첩되는 유모차의 경우, 시이트는 그 골조가 횡방향으로 단단하기 때문에 유모차를 절첩하기 위하여 제거되여야 하며, 유모차 안에 있는 유아를 미는 사람, 통상적으로 어머니 또는 애기보는 사람은 유모차를 절첩하여야만 하는 경우 번거로운 여러가지 조작을 수행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모차와 함께 절첩되는 크레이들 시이트, 즉 유모차를 절첩하기 위하여 제거할 필요가 없는 시이트를 얻는데 있다.
이는 상술한 문제점을 제거하여 주며 또한 차의 트렁크나 또는 집에서나 유모차를 매우 좁은 공간에서 보관가능하게 하여준다.
이러한 크레이들 시이트의 다른 매우 중요한 특징은 시이트가 유모차의 프레임으로 부터 제거될 때 시이트의 횡방향 절첩장치를 고정하여 우발적인 절첩을 방지하고 유아의 안전을 확실하게 하여 주는 자동고정장치이다.
크레이들 시이트의 횡방향 절첩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이트 자체, 백레스트 및 푸트레스트는 가요성이며, 힌지부재에 의하여 함께 연결되는 측방 지지체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
시이트의 경우 이들 힌지부재는 탄성압력을 받으면 개방위치에서 아암의 고정 및 유모차로부터 시이트의 사용을 확실하게 하여 주는 고정 캘리퍼스를 포함하는 두개의 십자힌지아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이트가 유모차 프레임의 대응축 스트링거에 연결되는 경우, 상술한 자동고정장치의 조작은 시이트 프레임의 종방향 지지체중의 하나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힌지연결된 십자로 힌지연결되고 분할된 봉으로 인하여 배제되는데, 이것은 일측 단부에서는 대응축 아암레스트를 통하여 돌출되고, 프레임 스트링거에 의하여 상기 단부와 접촉되고, 봉의 다른 단부가 상술한 캘리퍼스를 해정하는 방식으로 회전되므로, 프레임이 접철될 때 가해지는 횡방향 절첩압력을 크레이들 시이트가 수령시 십자아암이 절첩되게 한다.
이러한 형태의 유모차를 절첩하여야만 하는 경우, 세개의 고정핀, 즉 핸들바아의 고정핀 및 프레임의 각 측부에 있는 고정핀이 조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아를 보살피는 사람에게 몇가지 곤란한 문제가 나타나게 되는데, 그 이유는 통상적으로 한손은 유아를 껴안는데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한손만이 상기와 같은 조작을 하는 데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모차의 핀 해정조작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핸들바아의 고정핀에 대한 단일조작에 의하여 이 핀은 물론 두개의 측부 고정핀을 해정하는 장치가 고려되었다. 측부 고정핀의 직접 해정제어가 억제될 때, 유모차가 그의 개방위치에서 불안정하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핀의 동일한 해정조작시 수동에 의하여 해정될 수 있는 핸들바아의 힌지에 안정장치를 설치하였다.
이 경우, 핸들바아는 두개의 L자형 부분으로 구성되며, 그의 짧은 아암은 함께 힌지연결되어 핸들바아의 중간부분을 형성하는 반면에, 긴 아암은 핸들바아의 분기부분을 구성하는 바, 특히 상기 분기부분은 서로 동축으로 회전될 수 있는 두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짧은 아암에 연결되는 하나의 부분은 고정핀이 걸리는 돌기를 갖고 있고, 이 고정핀은 유모차의 전면기부에 설치되어 있다.
다른 특징은 신장된 핸들바아의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핸들바아에 설치되는 힌지가 탄성안전장치에 의하여 유지되고 상기 힌지를 해방할 수 있는 수동제어장치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하여, 핸들바아의 중간부분의 두개의 짧은 아암중의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짧은 아암에 연결된 핸들바아의 분기부분의 동축회전이 달성되며, 따라서 전면기부에 설치된 고정핀에 대한 상기 분비부분의 돌기가 해방되므로, 이들 고정핀상에 핸들바아의 분기부분이 활주하여 유모차의 완전한 절첩을 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은 U자형의 핸들바아(1)로 구성되고, 미는 핸들을 형성하는 중간부분은 두개의 L자형 부분(2)(3)으로 구성되며, 그중 짧고 관상인 하나의 부분은 부분 동축회전에 의하여 핸들바아의 대응하는 부분(4)(5)에 삽입되는 반면에, L자형 부분중 다른 부분은 핸들바아의 부분에 평행한 중앙축(6)에 의하여 함께 힌지연결되어 있다.
L자형 부분(2)(3)의 부분 동축회전은 십자로 배열된 슬로트(7)의 사용에 의하여 달성되며, 이는 핸들바아의 부분(4)(5)상의 고정피벗에서 조절된다.
핸들바아(1)는 전면기부(8)(9)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어, 핀(12)에 의하여 수직부재(13)(14)의 상측 단부에 힌지연결된 브래킷(10)(11)에 의하여 운동시 안내되며, 수직부재(13)(14)는 그의 하측부분에서 아암(15)(16)의 단부와 힌지연결되어 있고, 상기 아암(15)(16)의 단부는 중심(17)에서 십자로 힌지연결되어 있으며(제2도), 다른 단부에서 핸들바아의 부분(4)(5)의 하측단부와 힌지연결되어 있다.
상기 아암(15)(16)의 배면부분은 타이로드(18)(19)에 의하여 수직부재(13)(14)의 중간부분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타이로드(18)(19)의 단부힌지(22)(23)는 물론 아암(15)(16)의 단부힌지(20)(21)는 이중으로 되어 있으며,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된 두개의 축에 평행하게 되어 있다.
플랜지(10)(11)의 아래에서 핸들바아의 부분(4)(5)은 전면기부(8)(9)가 활주하는 다른 안내브래킷(24)(25)에 연결되어 있고, 그의 안내플랜지에서 핀(26)에 의하여 배면기부(27)(28)의 상측 단부와 힌지연결되어 있으며, 그의 하측단부에서 핀(29)에 의하여 수직부재(13)(14)의 하측부분과 힌지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재의 상측부분에서 핀(30)에 의하여 측부 스트링거(31)(32)의 배면단부가 힌지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트링거(31)(32)는 그들의 전면단부에서 그들 각각의 모난기둥(33)(34)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힌지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모난기둥(33)(34)은 그들의 하측단부에서 그들 각각의 배면기부(27)(28)의 상측부분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이들 스트링거에는 시이트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게 하는 고정장치(35)(36)가 설치되어 있다.
전면의 고정장치(35)에는 상술한 연결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핀이 설치되어 있으며, 원형 제어손잡이(3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 손잡이(37)는 편심내부돌기(38)의 부분회전(G) 및 조정에 의하여 고정장치(35)의 직선변위(R)를 결정하며, 상기 편심돌기에 작용하는 방사상 분기(40)를 갖는 내부 위치설정장치(39)를 포함하고 있다.(제7 및 8도)
측부부재를 합치는 새시의 횡방향 절첩은 힌지연결된 아암(15)(16), 타이로드(18)(19) 핸들바아의 중간부분의 힌지 및 전면기부(8)(9)를 함께 연결하는 십자부재(41)의 힌지에 의하여 촉진된다.
상기 십자부재는 힌지(44)에 의하여 함께 힌지연결되며 그들의 단부에서 전면기부에 고정된 사각부분(45)(46)에 힌지연결된 두개의 부분(42)(43)으로 구성되어 있고, 나선 스프링(47)이 상기 부분을 그들의 신장위치까지 미는 중앙힌지(44)에 설치되어 있는 바, 이 경우 이들은 서로에 대하여 신장되어 위치되어 있다.
핸들바아의 중앙축(6)의 힌지는 중앙축을 신장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설정핀(48)을 갖고 있고, 상기 핀은 핸들바아의 L자형 부분(2)의 단부에서 디스크형 확대부(51)의 요구(50)에 착좌되어 있는 정지도그(49)(제4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스프링(52)에 의하여 상기 요구로부터 돌출되어 핸들바아의 다른 L자형 부분(3)의 단부에서 다른 디스크형 확대부(54)의 외측변부에서 노치(53)에 삽입되며, 정지 도그상에는 상술한 노치를 위치시키는 외부 누름버튼(55)이 설치되어 있어 압착되면 요구(50)의 내부에 정지도그(49)를 착좌시키므로서 두개의 중첩된 확대부(51)(54) 사이에서 이들의 중앙을 통과하는 축(6)의 둘레를 자유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설정 핀 이외에, 프레임은 사용위치에 확실히 고정하기 위하여 각 측부에 위치설정 핀(56)을 또한 갖고 있으며, 예컨대 상기 핀은 전술한 특허 ES P 9002663호의 프레임에 대한 것과 동일한 규격을 갖고 있다.
이 프레임은 적당한 장치에 의하여 하측 부분에 연결되는 트레이가 보완될 수도 있다.
제9 및 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이들 시이트는 절첩식 유모차에 연결되어 있으며, 두개의 측부 종방향 지지부재(61)로 구성되는 가요성 시이트 프레임(60)으로 형성되며, 측부 아암레스트(6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프레임의 하측부분에는 두개의 측부 종방향 지지부재(64)로 구성되는 가요성 백레스트(63)의 프레임이 힌지연결되어 있고, 프레임의 측부 부분에는 백레스트를 상이한 각도에서 고정하기 위한 장치(65)가 있다.
시이트 프레임의 전면부분에 푸트레스트(66)가 힌지연결되어 있고, 측부 아암레스트(62)에 활주형 전면난간(67)이 힌지연결되어 있으며, 외면의 하측 측부부분에는 유모차 프레임의 각각의 측부 스트링거(31)에 맞추어지는 채널 연장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시이트 프레임의 두개의 종방향 지지부재(61)는 두개의 십자힌지아암(69)(70)(제13도)에 의하여 하측 단부에서 함께 연결되어 있고, 그중 하나의 부분은 중간지점(71)을 통하여 힌지연결되어 있다.
상기 두개의 아암의 다른 부분은 크레이들 시이트를 개방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 캘리퍼스(72)에 의하여 함께 연결되어 있다.
캘리퍼스가 아암(69)에 힌지연결되는 지점에는 고정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고정 캘리퍼스의 개방위치를 확실하게 하여 주는 탄성스프링(73)이 설치되어 있다.
자유단부에서 상기 십자힌지아암(69)(70)은 함께 연결되는 수직부분(74)을 형성토록 상향만곡되어 있으며, 측부 아암레스트(62)에 설치된 시이트(75)에서 동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유모차의 프레임에 연결되면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캘리퍼스(72)를 해방하여 프레임의 절첩과 함께 크레이들 시이트의 횡방향 절첩을 가능하게 하여주는 수단이 크레이들 시이트에 설치되어 있다.
언급된 장치는 하향방향으로 향한 일측 단부(77)에서는 브래킷(78)(제12도)에 의하여 시이트 프레임의 종방향 지지부재(61)의 하나에 힌지연결되며 타측단부(79)(제13도)에서는 대응하는 측부 아암레스트(62)의 채널 연장부(68)로부터 돌출되는 만곡봉(76)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레이들 시이트를 유모차의 프레임에 연결하면, 만곡봉(76)의 단부(79)는 프레임의 대응하는 측부 스트링거(31)와 접촉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봉은 브래킷(78)에서 힌지를 통하여 회전되고, 이 회전은 봉의 단부(77)에 작용하여 고정 캘리퍼스의 신장된 아암(80)을 밀어 스프링(73)의 저항을 극복하여 상기 캘리퍼스를 해방시키며, 이에 의하여 크레이들 시이트는 프레임과 함께 십자로 절첩될 수 있다.
크레이들 시이트를 프레임에 대하여 제거하면, 단부(77)가 대응하는 종방향 지지부재(61)에 고정된 스프링(81)의 견인력을 받으므로 고정 캘리퍼스(72)는 다시 고정되고 만곡봉(76)은 그의 비활동 위치에 유지된다.
백레스트의 고정장치(65)는 두개의 분기 타이로드(83)에 의하여 상기 장치에 힌지연결되는 공통 중앙제어장치(82)에 의하여 해방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백레스트 프레임의 두개의 종방향 지지부재(64)에서 함께 연결되는 두개의 십자힌지아암(85)(86)의 힌지점에 연결된 지지체(84)에 활주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그중 하나는 중간점(87)을 통하여 힌지연결되어 있다.
푸트레스트는 가요성 판(88)으로 형성되고, 푸트레스트의 상이한 경사위치를 위하여 고정장치(90)가 제공된 두개의 측부 지지부재(89)를 갖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푸트레스트의 측면 및 전면의 중간에 위치된 각도부재(91)가 임의의 동축 회전능력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부재는 타이로드(92)에 의하여 전면부분을 통하여 함께 힌지연결되어 있다.
푸트레스트의 프레임의 축부 지지부재(89)는 하측 단부가 하측 경사면을 갖는 블록(93)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하여 푸트레스트는 이것이 하강위치에 있는 경우 크레이들 시이트의 횡방향 절첩중에 시이트의 십자힌지아암(69)(70)에 의하여 상향으로 밀린다.
전면난간(67)은 측부 아암지지체(62)의 상측 관상부분(95)에 신축자재하게 삽입되는 두개의 측부 아암(94)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부 아암은 시이트를 그대로 또는 크레이들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그 길이에 적합하도록 고정장치(96)에 의하여 상이한 돌출위치에 유지된다.
난간의 전면부분은 세개의 부분, 즉 하나의 중간부분(97) 및 함께 힌지연결되는 긴 두개의 부분(98)(99)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개의 부분(98)(99)은 정지도그 및 스프링(100)의 압력에 의하여 정렬유지되고, 상기 스프링은 크레이들 시이트를 절첩시 전면난간이 시이트의 내부를 향하여 절첩될 때 신장된다.(제10도)
크레이들 시이트의 백레스트에는 힌지헤드(10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헤드는 회전을 달성하여 백레스트의 단부를 그의 절첩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타이로드(102)에 의하여 측부 아암레스트(62)에 측방으로 연결되어 있다.(제11도)
크레이들 시이트는 그의 대응하는 시이트 패드로 마무리되며, 일반적으로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절첩되는 절첩식 프레임에 맞추어질 수 있다.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바아는 중앙축(16)에 의하여 하측 아암을 통하여 함께 힌지연결되며, 핸들바아의 미는 손잡이를 형성하는 핸들바아의 중간부분을 형성하는 두개의 L자형 부분(2)(3)으로 구성되며, L자형 부분의 상측 아암은 핸들바아의 부분(4)(5)을 구성한다.
L자형 부분(2)(3)의 하측 아암은 플라스틱 관상부분으로 구성되고, 그의 엘보우 단부에서 상측 강철부분(4)(5)의 상측 단부가 삽입되어 이들 두개의 L자형 부분을 보강하며 리켓(7′)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제16도)
핸들바아는 그의 분기부분에 의하여 전면기부(8)(9)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며, 그의 부분(4)(5)은 전면기부가 활주하는 안내플랜지(24)에 연결된 단부부분(4′)(제17도)을 구성하는 분할 하측대역을 갖고 있다.
핸들바아의 부분(4)(5)은 단부부분(4′)에 대하여 동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서로간의 연결은 예컨대 부분(4)(5)에 연결된 나사봉(103)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나사봉은 상기 부분(4′)에 연결된 나사소켓(104)에 나삽된다.
상기 핸들바아의 부분(4)(5)은 유모차가 신장위치에 있을 때 고정핀(56)이 걸리는 하측면에 돌기(105)를 갖고 있으며, 고정핀은 전면기부(8)(9)에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핀은 단일 U자형 부분으로 형성되며 핀(107)에 의하여 전면기부의 상측 부분에 힌지연결되는 후크(10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는 핀(107)에 나삽되는 나선스프링(108)에 의하여 밀리는 돌기(105)를 유지시키며, 그의 단부는 각각 전면기부 및 후크(106)를 구성하는 U자형 부분에 지지되어 있다.
핸들바아의 신장위치(제14도)는 고정핀(48)의 작용이외에 스프링(111)에 의하여 일측 단부에서 압착되며, 타측단부에서 원반형 확대부(51)에 형성된 보울트 아이(112)에 삽입되는 래치(110)(제15도)로 구성되는 안전장치에 의하여 고정되어 핸들바아의 부분(3)의 원반형 확대부(54)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는 바, 이 경우 상기 래치(110)는 상기 부분의 요구(113)에 설치되어 있다.
이 래치는 핸들바아의 부분(3)의 짧은 단부의 배면부분에서 활주하는 반원부분의 외부 제어장치(114)에 연결되어 있다.
화살표(F)(제15도)의 방향으로 안정장치(109)를 회전하면, 확대부(51)가 래치(110)에 대하여 해방되고, 마찬가지로 버튼(55)을 압착시키면 안전핀(48)이 해정된다. 서로에 대하여 핸들바아의 미는 손잡이를 형성하는 L자형 부분(2)(3)의 짧은 아암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그의 각도회전(제6도)에 의하여 상기 짧은 아암에 연결된 핸들바아의 부분(4)(5)의 동축회전이 결정되며, 이에 의하여 전면기부에 설치된 고정핀(56)에 대하여 상기 부분의 돌기(105)가 해방되므로 유모차가 완전히 절첩될 수 있다.
또한, 핸들바아의 힌지를 고정하는 안전장치를 고정핀(48) 자체에 설치하여 누름단추의 비자발적 압착에 대하여 고정핀을 고정시킬 수 있다.

Claims (20)

  1. 안내브래킷(10)(24)(11)(25)에 의하여 배면기부(27)(28)의 상측 단부와 힌지연결되는 전면기부(8)(9)상으로 활주하는 역 U자형 부재의 핸들바아(1)로 구성되며, 십자부재(41)에 의하여 함께 연결되는 상기 전면기부(8)(9)의 상측 단부가 배면기부의 중간부분에서 또한 힌지연결되는 U자형 부분과 힌지연결되고, 상기 U자형 부분에는 배면에서 시이트의 가동지지체를 위한 각각의 측부 스트링거(31)(32)가 힌지연결되는 프레임을 갖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부분의 횡방향 부분은 핸들바아의 부분(4)(5)의 하측 단부에 의하여 U자형 부분의 일부인 수직부재(13)(14)의 하측 부분을 연결하는 두개의 십자힌지아암(15)(16)에 의하여 대체시키고, 상기 아암의 배면부분은 타이로드(18)(19)에 의하여 수잭부재(13)(14)의 중간부분가 힌지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15)(16)은 십자로 힌지연결하고, 타이로드(18)(!9)는 핸들바아(1)의 중간부분의 중앙축과 힌지(6)(44) 및 전면기부(8)(9)를 연결하는 십자부재(41)를 함께 연결하여, 측부 부재를 합치므로서 프레임의 횡방향 절첩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핸들바아의 중간부분은 두개의 L자형 부분(2)(3)으로 구성하고, 하나의 부분은 핸들바아의 대응하는 부분(4)(5)에 부분 축방향 회전에 의하여 삽입되게 하고, 상기 L자형 부분의 다른 부분은 핸들바아의 부분(4)(5)에 대하여 평행한 횡방향 중앙축(6)에 의하여 함께 힌지연결되게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핸들바아(1)의 중앙축(6)의 힌지는 신장된 위치에서 힌지를 고정시키는 위치설정핀(48)을 구비하고, 상기 핀은 그의 활동 반회전 위치를 향하여 스프링(52)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추진되는 정지도그(49)로 구성하되, 그의 피동위치를 향하여 변위시켜 힌지의 자유운동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 누름버튼을 압착시키므로서 수동에 의하여 작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찹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15)(16) 및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된 두개의 축에 평행한 타이로드(18)(19)의 단부 힌지(20)(21)(22)(23)를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면기부(8)(9)를 함께 연결하는 십자부재(41)의 두개의 힌지연결된 부분(42)(43)은 나선스프링(47)에 의하여 그들의 신장위치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추진되게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7. 제1항에 있어서, 크레이들 시이트의 지지를 위한 스트링거(31)(32)의 전면단부에, 상기 스트링거에 시이트의 연결을 확실히 하여주며, 부분회전 및 편심내부돌기(38)에 의하여, 상기 편심내부돌기에 작용하는 방사상 분기(40)를 갖는 내부위치설정장치(39)가 형성된 고정장치(35)의 직선변위를 결정하는 원형 제어손잡이(37)로 구성되는 위치설정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8. 크레이들 시이트는 전면난간(67)이 형성된 측부 아암레스트(62)를 갖는 시이트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상이한 경사위치를 위한 측부 고정장치(65)를 갖는 백레스트 프레임 및 푸트레스트(66)가 힌지연결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에 있어서, 두개의 측부 종방향 지지부재(61)로 구성되는 가요성 시이트 프레임(60) 및 시이트 두개의 측부 부재는 차례로 힌지연결되는 부분중의 하나를 갖는 두개의 십자로 힌지연결된 아암(69)(70)에 의하여 하측 부분에서 중간지점(71)에 함께 연결시키고, 상기 아암의 다른 부분은 크레이들 시이트의 유효한 신장위치에 크레이들 시이트를 고정시키는 고정 캘리퍼스(72)에 의하여 함께 연결시키며, 상기 고정은 탄성스프링(73)에 의하여 확실하게 행하여지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9. 제8항에 있어서, 십자로 힌지연결된 아암(69)(70)은 이들의 자유단부에서 수직부분(74)을 형성하도록 상향만곡시키고, 측부 아암레스트(62)에 대응하는 각각의 시이트(75)에 임의의 동축회전으로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10. 제8항에 있어서, 크레이들 시이트를 유모차의 프레임에 연결하면 십자로 힌지연결된 아암(69)(70)의 고정 캘리퍼스(72)를 해정하여 유모차의 프레임의 절첩과 함께 크레이들 시이트의 횡방향 절첩을 가능하게 하여 주는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시이트 프레임의 종방향 지지부재(61)중의 하나에 브래킷(78)에 의하여 십자로 힌지연결되는 만곡봉(76)으로 구성시키되, 상기 봉은 일측 단부(77)에서 대응하는 측부 아암레스트(62)를 통하여 돌출되게 하여 크레이들 시이트가 유모차의 프레임에 연결되면 유모차의 프레임의 측부 스트링거(31)와 접촉할 때 회전되게 구성시키고, 그의 회전운동은 상기 봉(76)의 타측 단부(79)에서 수용되게 하고, 회전시에는 고정 캘리퍼스(72)의 신장된 아암(80)중의 하나를 밀어 이를 해방시키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12. 제11항에 있어서, 만곡봉(76)은 이것을 그의 비활동 위치에 유지시키는 스프링(81)에 의하여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13. 제8항에 있어서, 백레스트의 경사위치의 측부 고정장치(65)는 타이로드(83)에 의하여 상기 측부 고정장치에 힌지연결되는 공통 중앙제어장치(82)에 의하여 해정되게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14. 제13항에 있어서, 공통 중앙제어장치(82)는 가요성 백레스트(63)의 프레임의 두개의 종방향 지지부재(64)를 함께 연결하는 두개의 십자아암(85)(86)의 힌지점에 고정된 지지체(84)에 활주가능하게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15. 제8항에 있어서, 푸트레스트는 가요성 판(88)으로서 푸트레스트(66)의 상이한 경사위치를 위한 고정장치(90)가 제공된 두개의 측부 지지부재(89)로 구성되는 골조를 가지며, 여기에 타이로드(92)에 의하여 전면에서 함께 힌지연결되는 각각의 각도부재(91)를 임의의 동축회전으로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16. 제15항에 있어서, 푸트레스트(66)의 골조의 측부 지지부재(89)에는 경사진 작동면을 갖는 각각의 하측 블록(93)을 형성시키므로서, 푸트레스트가 하측 위치에 있는 경우 크레이들 시이트를 횡방향으로 절첩식 시이트의 십자로 힌지연결된 아암(69)(70)에 의하여 상향으로 밀리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17. 제8항에 있어서, 난간(67)의 힌지연결된 전면부분(97)(98)(99)은 시이트의 내부를 향하여 절첩되게 구성시키되, 이를 작동위치에 유지시키는 스프링(100)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18. 제2항에 있어서, 핸들바아는 두개의 L자형 부분(2)(3)으로 구성시키되, 그의 짧은 아암은 핸들바아의 중간부분을 형성토록 함께 힌지연결시키는 반면에, 그의 긴 아암은 각각 서로에 대하여 동축으로 회전될 수 있는 두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핸들바아의 부분(4)(5)을 형성토록 하고, 짧은 아암에 연결되는 상기 부분중의 하나는 유모차의 신장위치를 위한 고정핀(56)이 걸리는 돌기(105)를 형성시키고, 상기 고정핀은 유모차의 각각의 전면기부(8)(9)에 설치하여 핸들바아의 대응하는 부분(4)(5)이 활주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19. 제18항에 있어서, 핸들바아의 신장위치에서 핸들바아의 힌지는 상기 힌지를 해결하기 위한 수동작동 제어장치(114)를 갖는 스프링(111)을 구비한 안전장치(109)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20. 제18항에 있어서, L자형 부분(2)(3)의 두개의 짧은 아암 사이의 회전은 상기 짧은 아암에 연결된 핸들바아의 부분(4)(5)의 동축회전에 의하여 달성되도록 함으로서, 전면기부(8)(9)에 설치된 고정핀(56)에 대하여 상기 부분의 돌기(105)가 해방되게 하여 유모차가 완전히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KR1019930016635A 1992-09-21 1993-08-23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KR950007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9201882A ES2069458B1 (es) 1992-09-21 1992-09-21 Asiento-cuna acoplable al chasis plegable de coches-silla infantiles.
ESP9201882 1992-09-21
ES9300488A ES2070072B1 (es) 1993-02-18 1993-02-18 Dispositivo para bloquear y desbloquear la posicion de plegado de coches-silla infantiles.
ESP9300488 1993-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866A KR940006866A (ko) 1994-04-26
KR950007158B1 true KR950007158B1 (ko) 1995-06-30

Family

ID=2615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635A KR950007158B1 (ko) 1992-09-21 1993-08-23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50007158B1 (ko)
AU (2) AU669200B2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93820A5 (ko) * 1974-08-31 1977-12-15 Morellet Guerineau Gmbh Co
IT1087680B (it) * 1977-10-07 1985-06-04 Perego Pines Spa Passeggino per bambini,pieghevole in larghezza ed accorciabile in altezza,caratterizzato da una predella regolabile e pur'essa pieghevole
US4353577A (en) * 1979-05-08 1982-10-12 Pietro Giordani Adjustable-backrest collapsible stroller
IT1124602B (it) * 1979-10-10 1986-05-07 Perego Pines Spa Perfezionamenti ai "passeggini" per bambini,di tipo contraibile in larghezza e trasportabile a braccio a guisa di ombrello,e relativo passeggino perfezionato
ES2026363A6 (es) * 1990-10-22 1992-04-16 Jane Sa Chasis plegable para coches-silla infantiles.
DE69302959T2 (de) * 1992-04-21 1997-01-30 Jane Sa Klappbarer Kinderwagenrahmen und koppelbarer Wiegesi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618593A (en) 1994-03-31
AU4826796A (en) 1996-05-30
AU685353B2 (en) 1998-01-15
AU669200B2 (en) 1996-05-30
KR940006866A (ko) 199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2330A (en) Foldable baby carriage frame and cradle seat couplable to same
US5562548A (en) Convertible child swing
US4892327A (en) Foldable frames for children's pushchairs
JPH01113007A (ja) 乗物用幼児拘束座席
US8469832B2 (en) Sw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infant holding device
CA2028200A1 (en) Multi-function infant car seat including glider assembly
KR20030025196A (ko) 유모차
CN101111422A (zh) 移动运输车,例如用于童车
EP0567422B1 (en) Foldable baby carriage frame and cradle seat couplable to same
TWM565153U (zh) Baby carriage frame and stroller
WO1996014219A1 (en) Child restraint apparatus for a child seat
US20050029855A1 (en) Dynamic seat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vehicle
US20040189076A1 (en) Seating assembly for wheelchairs and strollers
TWI755207B (zh) 兒童安全座椅
US6877805B1 (en) Seating apparatus
US20240108153A1 (en) Infant highchair
JP2002160640A (ja) ベビーカー
KR950007158B1 (ko) 유모차용 절첩식 프레임 및 이것에 연결가능한 크레이들 시이트
JP2671994B2 (ja) 乳母車構造
CZ193493A3 (en) Collapsible frame and a cradle seat attachable thereto for baby carriages
US5261132A (en) Patient chair construction with recliner back tilt control and footrest hinge construction
WO1991000078A1 (en) Folding wheelchair frame
KR19980024868A (ko) 유아용 좌석장치
CN221457755U (zh) 可收合载具、儿童承载装置的载具架体及儿童承载装置
AU641405B2 (en) Folding wheelchair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