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030B1 - 광학계의 초점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학계의 초점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030B1
KR950007030B1 KR1019910025094A KR910025094A KR950007030B1 KR 950007030 B1 KR950007030 B1 KR 950007030B1 KR 1019910025094 A KR1019910025094 A KR 1019910025094A KR 910025094 A KR910025094 A KR 910025094A KR 950007030 B1 KR950007030 B1 KR 950007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cd
optical system
parallel
aper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5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769A (ko
Inventor
여상옥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5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030B1/ko
Publication of KR930013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G03B13/20Rangefinders coupled with focusing arrangements, e.g. adjustment of rangefinder automatically focusing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학계의 초점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광학계의 초점거리 측정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의 초점거리 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콜리메이트부 20 : 조리개부
30 : 광학계 40 : CCD부
50 : 오실로스코프 60 : 스크린
A : 광축
본 발명은 광학계 초점거리(Focal length)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점거리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광학계의 초점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학계의 초점거리는 렌즈의 중심에서 초점까지의 거리를 말하는데, 얇은 렌즈에서는 굴절이 생기지 않는 곳인 노달포인트(Nodal Point)는 렌지의 중심에 있으나, 두꺼운 렌즈에서는 렌즈의 중심이 분리되어 2개의 노달포인트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두꺼운 렌즈의 2개의 노달포인트중 한개 노달포인트로 입사한 빛은 다른 노달포인트에서 굴절 없이 입사각도와 같은 각도로 나가게되는 원리를 이용하면, 광축에 평행하게 입사하는 빛에 대하여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두꺼운 렌즈를 회전시킬때 상의 위치가 좌 ·우로 변하지 않는 축의 위치를 찾고 그 점을 기준으로 광축상에서 상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서 초점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초점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노달 슬라이드(Nodal Silde)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빛을 평행광선속(光線束)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터(Collimator)(1), 수직축에 대해 앞뒤로 회전시킬 수 있는 노달슬라이드(2)와, 상기 노달슬라이드상에 설치된 두꺼운 측정렌즈(3), 상기 렌즈를 통해 굴절된 빛이 결상되는 스크린(4), 스크린의 상을 보기위한 현미경의 대물렌즈(5)로 구성된다.
상기 콜리메이터(1)의 제1초점에 망선(Reticle)이 설치된 바늘구멍(pinhole)(1b)을 두면 광원(1a)으로부터 빛이 상기 콜리메이터의 제1초점의 바늘구멍을 통과하여 콜리메이터의 렌즈(1c)를 통해 광축(A)에 평행하게 측정렌즈(3)로 입사한다.
상기 측정렌즈(3)의 중심선상에 회전축의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상기 렌즈를 변화시켜 상의 위치가 좌우로 변화하지 않을때의 회전축의 위치를 제2노달포인트(N2) 즉 제2회전점으로 하면, 이점은 렌즈를 공기중에서 측정할때 제2주요점과 일치하므로 초점거리의 측정이 기준으로 한다.
상기 점에서 상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은, 첫째, 회전점을 찾은 후 다시 렌지를 광축상에 맞춰두고 회전점에서 상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둘째, 렌즈가 회전함에 따라 상점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때 정확한 상을 보기위해서는 현미경의 대물렌즈(5)를 이동시켜야 하는데, 상기 이동거리를 Z라하면,
Z=f(sec I-1)
f=초점거리, 1 : 렌즈가 기울어진 각도가 된다.
상기 Z값은 마이크로메터로 측정되므로 초점거리(f)를 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노달슬라이드 장치는 초점거리 측정시 노달포인트를 찾기가 어렵고 측정상의 노하우와 경험이 요구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점거리의 측정이 용이, 간단한 초점거리의 측정방법 및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광축에 대한 평행광선을 방사하는 콜리메이터부와, 상기 콜리메이터부로부터의 평행광선이 통과하는 한편 상기 통과되는 평행광선의 량을 조절가능한 조리개부와, 상기 조리개부를 통과한 평행광선이 굴절되는 광학계와, 상기 광학계에서 굴절되는 빛을 검출하는 CCD와, 상기 CCD에 연결되어 상기 검출되는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수단과, 상기 굴절되는 빛이 결상되는 스크린과을 포함하는 광학계의 초점거리 측정장치 및 콜리메이터로부터의 광축에 대한 평행광선이 통과되는 조리개의 직경을 측정하고자하는 광학계의 맞추어 조절하고, 상기 조리개를 통과한 평행광선이 광학계를 통해 굴절되어 모이는 초점부근의 CCD를 통해 상기 굴절된 빛을 검지하고, 상기 CCD를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CCD에 연결된 오실로 스코프상의 전기신호의 진폭이 가장 큰곳의 위치를 찾고, 상기 광학계에 의해 굴절된 광이 결상되는 스크린상에 맺힌 상의 크기가 상기 조리개의 직경에 일치하도록 스크린을 이동하고, 상기 CCD의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광학계의 초점거리 측정방법을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광학계의 초점거리 측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장치는 광축(A)에 대한 평행한 광선을 방사하는 콜리메이트부(10)와 상기 평행광선이 통과하는 한편 상기 통과되는 평행광선의 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리개부(20)와, 상기 조리개부를 통과한 평행광선이 입사조절되는 측정렌즈부(광학계)(30)와, 상기 측정렌즈부에서 굴절되는 빛을 검지하는 CCD부(40)와, 상기 CCD에 연결되어 상기 검출되는 광을 전기신호로 확인할 수 있는 오실로스코프(50)와, 상기 굴절되는 빛이 결상되는 스크린(60) 및 이들이 탑재되는 트랜스레이트(70) 및 거리측정기(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콜리메이트부(10)는 광원(11)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통과하는 한편 상기 콜리메이터의 제1초 점에 위치하는 망선(13)과, 상기 망선을 통과한 빛이 입사되어 광축(A)에 평행하게 방사되는 렌즈(15)로 구성된다.
상기 조리개부(20)는 상기 콜리메이트부로 부터의 평행광선이 통과하는 한편 상기 통과하는 평행광선의 량을 직경의 변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조리개(21)와, 상기 조리개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나사(23) 및 상기 조리개의 직경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25)로 구성된다.
상기 측정렌즈부(30)는 상기 조리개를 통과한 평행광선이 입사굴절되는 측정렌즈(31)와 상기 측정렌즈를 고정하는 마운트(33)로 구성된다.
상기 CCD(40)는 상기 측정렌즈로부터 굴절된 빛의 초점위치에 전후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빛을 검지한다. 상기 오실로 스코프(50)는 상기 CCD(40)에 연결되어 상기 CCD에서 검지한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트랜스레이트(70)에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탑재되며, 거리측정기(80)는 CCD에서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콜리메이터(10)에 의해 광원(11)으로부터의 빛은 광축(A)에 평행 광선속(光線束)으로 발생된다. 상기 조리개(21)의 직경을 조절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광학계(측정렌즈)의 크기에 맞게 조리개를 통과하는 상기 평행광선속의 량을 가감한다. 상기 조리개(11)를 통과한 평행광은 상기 측정 렌즈(31)에 의해 굴절된 후 스크린(60)을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정렌즈의 초점위치에 설치된 CCD(40) 를 좌우로 움직여 상기 오실로 스코프(50)에 의해 베스트 포컬 포인트(Best Focal Point)를 찾는다. 즉, 광축에 평행하게 입사하는 광선은 이상적인 렌즈인 경우 축상의 한점에 모이나, 실제 렌즈에서는 입사하는 광선의 입사고(入射高)에 따라 구면수차가 발생하여 렌즈를 통과한 후 초점위치가 변한다.
따라서, CCD를 가변초점위치에 설치하고, 이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상기 CCD에 연결된 오실로 스코프상에 나타나는 파형을 관찰하면 상기 CCD의 위치에 따라 오실로스코프상에 나타나는 파형이 변한다. 변화하는 파형중에서 가장 진폭이 크고 날카로운 곳의 위치를 찾으면 이위치가 베스크 포컬포인트가 된다. 한편 상기 스크린상에 맺힌 상의 크기가 상기 조리개의 직경에 일치하도록 스크린을 이동한 후, 상기 CCD의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거리측정기(70)로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Claims (2)

  1. 광축에 대해 평행한 광선을 방사하는 콜리메이터부와, 상기 콜리메이터부로 부터의 평행광선이 통과하는 한편 상기 통과되는 평행광선의 량을 조절가능한 조리개부와, 상기 조리개부를 통과한 평행광선이 굴절되는 광학계와, 상기 광학계에서 조절되는 빛을 검출하는 CCD와, 상기 CCD에 연결되어 상기 검출되는 빛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상기 굴절되는 빛이 결상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광학계의 초점거리 측정장치.
  2. 콜리메이터로부터의 광축에 대한 평행광선이 통과되는 조리개의 직경을 측정하고자하는 광학계에 맞추어 조절하고, 상기 조리개를 통과한 평행광선이 광학계를 통해 굴절되어 모이는 초점부근의 CCD를 통해 상기 굴절된 빛을 검지하고, 상기 CCD를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CCD에 연결된 오실로 스코프상의 전기신호의 진폭이 가장 큰곳의 위치를 찾고, 상기 광학계에 의해 굴절된 광이 결상되는 스크린상에 맺힌 상의 크기가 상기 조리개의 직경에 일치하도록 스크린을 이동하고, 상기 CCD의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광학계의 초점거리 측정방법.
KR1019910025094A 1991-12-30 1991-12-30 광학계의 초점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KR950007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5094A KR950007030B1 (ko) 1991-12-30 1991-12-30 광학계의 초점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5094A KR950007030B1 (ko) 1991-12-30 1991-12-30 광학계의 초점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769A KR930013769A (ko) 1993-07-22
KR950007030B1 true KR950007030B1 (ko) 1995-06-26

Family

ID=19326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5094A KR950007030B1 (ko) 1991-12-30 1991-12-30 광학계의 초점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0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769A (ko) 199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0608A (en) Fiber optic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US3781110A (en) Optical range finding system
US3719421A (en) Optical device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point on a surface
US3601613A (en) Photoelectric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displacement of an object
JP2008541101A (ja) 物体の表面測定装置およびその表面測定方法
WO1986007444A1 (en)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topography of a surface
JPH11211439A (ja) 表面形状計測装置
US3493764A (en)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using a diffusing element
KR970075860A (ko) 물체의 측광 및 측색 특성을 측정하는 장치
US3783270A (en) Focus indicating devices
GB2090497A (en) Checking correspondence of sighting and target lines
US4189218A (en) Apparatus for detecting focal point
JPH0243511A (ja) イメージセンサ対の光学系との位置合わせ方法
US3813169A (en) Device for determining position and focus of an optical member
JPH0694515A (ja) 光発散特性測定装置
KR950007030B1 (ko) 광학계의 초점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US2640392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focal length of lenses
Pargas A Lens Measuring Method Using Photoconductive Cells
US3970842A (en) Automatic focus control device
RU2626969C2 (ru) 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стенд для оптического тестир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оптического тестирования
US3492076A (en) Lens testing apparatus
US3250177A (en) Image evaluation device
EP0157431A1 (en) Procedure to measure the dimensions of a body in movement in a three-dimensional field, and an optoelectronic device to carry out such procedure
JPS6323524B2 (ko)
US536493A (en) District 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