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878B1 -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878B1
KR950006878B1 KR1019940022654A KR19940022654A KR950006878B1 KR 950006878 B1 KR950006878 B1 KR 950006878B1 KR 1019940022654 A KR1019940022654 A KR 1019940022654A KR 19940022654 A KR19940022654 A KR 19940022654A KR 950006878 B1 KR950006878 B1 KR 950006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ylinder
cylinder identification
reference position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다루 후쿠이
도시오 이와다
유다카 오하시
마시유키 이케우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9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using means for generating position or synchronisation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8Controlling each cylinder individu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
제1도는 이 발명에 의한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동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의 기준위치신호발생기와 회전각도 신호발생기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제1실시예에 의한 회전신호 발생기의 신호파형도.
제4도는 제1실시예에 기통식별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5도는 제2실시예에 회전신호발생기의 신호파형도.
제6도는 제3실시예에 의한 회전신호발생기의 신호파형도.
제7도는 제3실시예의 기통식별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8도는 제4실시예에 의한 회전신호발생기의 신호파형도.
제9도는 제4실시예의 기통식별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10도는 제5실시예에 의한 회전신호발생기의 신호파형도.
제11도는 제6실시예에 의한 회전신호발생기의 신호파형도.
제12도는 제6실시예의 기통식별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13도는 종래의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에 대한 회전신호발생기의 구성도.
제14도는 동 회전신호발생기의 회로도.
제15도는 동 회전신호발생기의 신호파형도.
제16도는 종래 및 이 발명에 의한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내연기관 12 : 기준위치신호발생기
15 : 기통식별신호발생기
그리고 도면중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한다.
이 발명은 다기통 내연기관의 기통을 식별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의 점화시기나 연료분사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기관의 회전에 동기한 신호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기는 통상 기관의 캠축에 부착되고 간접적으로 크랭크축의 회전을 검출한다. 제13도 및 제14도는 이와 같은 회전신호발생기를 표시한 것으로 이는 6기 통용의 회전신호발생기를 표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1은 캠축으로 크랭크축회전에 대하여 1/2의 회전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2는 캠축(1)에 부착된 회전원판이며, 후술하는 각도 신호용의 창(3a) 및 기준신호용의 창(3b)이 형성되어 있다. 4a, 4b 및 5a, 5b는 이들 창(3a) (3b)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된 발광다이오드 및 포토다이오드로 이들 발광 다이오드(4a) (4b)와 포토다이오드(5a)(5b)는 회전원판(2)을 통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 6a,6b는 각각 포토다이오드(5a) (5b)의 출력단에 접속된 증폭회로, 7a,7b는 증폭회로(6a)(6b)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개방콜렉터의 출력트랜지스터이며, 이들 캠축(1)∼출력트랜지스터(7a)(7b)에 의하여 회전신호 발생기(8)가 구성되어 있다.
제15도는 이와 같은 회전신호발생기(8)에서 출력되는 신호표시도로, a도는 회전원판(2)의 창(3a)측에서 출력되는 각도신호(POS신호), b도는 창(3b)측에서 출력되는 기준신호(REF신호)이다.
즉 각도신호는 회전축(1)이 1°회전할때마다 반전을 반복하는 신호로 크랭크의 회전각도 계측하는데 사용되고 또 기준신호는 각 기통별 소정 클랭크 각도로 반전하는 신호이며 크랭크각도의 기준신호로서 사용되는 동시에 크랭크축 2회전(720°CA)에서 신호의 펄스폭이 6기통에 대응하여 6종류의 상이한 각도폭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펄스폭을 각도신호를 사용하여 계측함으로써 각 개별 기통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또 회전신호발생기(8)의 출력신호는 제16도와 같이 인터페이스회로(9)를 경유하여 마이크로컴퓨터(10)에 입력되고, 기관의 점화시기나 연료분사등의 제어연산에 사용된다.
종래의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각도신호 및 기준신호는 캠축의 회전에 기준하여 검출하는 회전신호발생기(8)에서 출력되고 있다. 그렇지만은 캠축은 크랭크축으로부터 벨트등에 의하여 구동되므로 기관의 운전상태에 따라서는 캠축과 크랭크축간에 위상차가 생기며, 그 결과 회전신호발생기(8)에서 출력되는 기준신호가 실제의 클랭크각도에서 벗어나므로 이와같은 신호를 사용하여 기관과 운전을 제어한 경우 점화시기등에 차이가 발생하고 소기의 성능을 얻지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크랭크각도에 대한 차이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호발생기를 크랭크축에 부착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4사이를엔진에서는 흡입에서 배기에 이르는 행정에서 크랭크축이 2회전하므로 크랭크축에서 얻는 정보만으로는 각 개별기통을 판별하는것이 불가능하며 별도로 기통판별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랭크각도에 대한 차이가 없는 정확한 기통식별이 가능한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의 발명에 의한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는, 크랭크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소정의 기준위치와 다른 기준위치에서는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위치신호발생수단과, 크랭크축의 회전에 대하여 1/2비율로 회전하는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기통식별신호를 발생하는 기통식별신호 발생수단과, 기통식별신호 발생하는 신호상태를 인식함으로써 기통을 식별하는 제1의 기통식별수단과, 기통식별신호 발생수단의 이상시는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를 생성하는 기통군을 식별하는 제2의 기통식별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제2의 발명은 제1의 발명에 있어서, 기통식별신호가 각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발생구간내에 설정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소정의 기통에 대응하는 신호폭이 동일하고 또 이외의 기통에 대응하는 신호폭이 각각 다르게 설정되며, 또 기통식별수단은 기통식별 신호의 폭을 계측하여서 기통식별을 하도록 한 것이다.
제3의 발명은 제2의 발명에 있어서 기통식별신호는 각각의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발생구간내에 설정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기통에 대응하는 신호폭이 대략 영이고, 그 이외의 기통을 대응하는 신호폭이 각각 다르게 설정되며, 또 기통식별수단은 기통식별신호의 폭을 계측하여 기통을 식별하도록 한 것이다
제4의 발명은 제1의 발명에서 기통식별신호가 그 기통식별신호의 발생구간내에 크랭크 각 기준위치신호가 발생하도록 설정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기통 이외의 기통에 대응하는 신호폭이 다르고, 또 기통식별수단은 기통식별신호의 폭을 계측하여서 기통을 식별하도록 한 것이다.
제5의 발명은 제1의 발명에서 기통식별 신호가 각각의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발생구간내에 설정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소정의 기통에 대응하는 신호수가 동일하고 그 이외는 기통에 대응하는 신호수가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또 기통식별수단은 기통식별신호의 신호발생수를 계측하여서 기통식별하도록 한 것이다.
제6의 발명은 제5의 발명에서 기통식별신호가 각각의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발생구간내에 설정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소정의 기통에 대응하는 신호수가 영이고, 그이외의 기통에 대응하는 신호수가 각각 다르게 설정되며 또는 기통식별수단은 신호발생수를 계측하여서 기통식별을 하도록 한 것이다.
제7의 발명은 제1의 발명에서 기통식별신호가 그 기통식별신호 발생구간내에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가 발생하도록 설정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기통이외 기통에 대응하는 신호수가 각각 다르고, 또 기통식별수단은 기통식별신호의 신호발생수를 계측하여서 기통을 식별하도록 한 것이다.
제1발명에서는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로 각 기통의 기준위치를 검출하고 이 기준위치가 어느 기통인가를 제1의 기통식별수단으로 식별하므로 식별한 각 기통마다 기준위치와 실제의 크랭크각 사이에 차이가 없다. 또 기통식별신호 발생수단의 이상시에 제2의 기통식별수단에 의하여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를 사용하여 제1, 제2의 기통군을 동시에 기통식별한다.
제2발명에서는 각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발생구간내에 출력되는 기통식별신호는 예를 들면 이 발생구간의 하나걸른 구간마다 다른 신호폭으로 하며 그 이외는 동일하게 하고 이들의 기통식별신호에서 각각의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기통식별을 행한다.
제3발명에서는 각각의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발생구간내에 출력되는 기통식별신호는 예를들어 이 발생구간의 하나걸른 구간마다 다른 신호폭으로 하며 그 이외는 무신호로 하고 이들의 기통식별신호에서 각각의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기통식별을 한다.
제4발명에서는 기통식별신호는, 예를들면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하나걸른 신호마다 출력되고 이들의 기통식별신호의 신호폭에서 각각의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기통식별을 행한다.
제5발명에서는 각각의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발생구간내에 출력되는 기통식별신호는 예를들면 이 발생구간의 하나걸른 다른 신호발생수로 하고 그 이외는 동일하게 하며, 이들 기통식별신호에서 각 클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기통식별을 행한다.
제6발명에서는 각각의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발생구간내에 출력되는 기통식별신호는 예를들면 이 발생구간의 하나걸른 구간마다 다른 신호발생수로 하고 그 이외는 무신호로 하며 이들의 기통식별신호에서 각각의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기통식별을 행한다.
제7발명에서는 기통식별신호는 예컨데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하나걸른 신호마다 출력되고 이들의 기통식별신호의 신호발생수에서 각각의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기통식별을 행한다.
[실시예]
제1도는 이 발명의 제1∼제6의 실시예에 의한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의 회전신호발생기 표시도이다. 도면중, 11은 내연기관이며, 6기통의 4 사이를 내연기관의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또 12, 13은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관의 크랭크축과 일체의 링기어(14)에 대향하여 설치된 기준위치신호발생기 및 회전각도신호발생기로 각각 전자픽업의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15는 기관은 캠축에 설치된 기통식별기호발생기이며 광식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는 이와 같은 회전신호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파형장형하여 얻는 신호파형도로, 제1실시예를 표시하며, 제3a도는 기준위치신호발생기(12)에서 출력되는 기준위치신호(이하 REF신호로 약칭), 제3b도는 회전각도신호발생기(13)에서 출력되는 크랭크각도신호(이하 POP신호와 약칭), 제3c도는 기통식별신호발생기(15)에서 출력되는 기통식별신호(이하 SGC신호로 약칭)를 나타내고 있다. 즉, 기준위치신호발생기(12)의 대향하는 링기어(14)의 외주면에는 크랭크축 2회전(720℃A)에서 6기통분의 신호가 발생하도록 각 기통의 소정각도위치에 대응하는 2개소의 블록부와, 이들과는 다른 기통식별블록부의 3개소로 된 블록부가 형성되고 또 회전각도신호발생기(13)의 대향하는 링기어(14) 외주면에는 POS신호가 2°CA마다에 출력되도록 블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SGC신호는 각 REF신호의 신호간에서 발생하도록 설정되고 또 신호폭은 하나걸른 구간마다 상이한 3종류의 펄스로 그 이외의 3구간은 동일펄스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SGC신호의 설정위치는 REF 신호의 설정위치보다 소정각도 오프셋시키고 있으므로 기관의 크랭크축-캠축간에 기계적 전달계오차(각도위상오차)가 있어도 각 REF 신호간에 SGC 신호가 검출되도록 각도마진을 확보하고 있다.
다음에 제4도의 플로차트에 의하여 기통식별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회전신호발생기에서 출력된 REF신호, POP신호, SGC신호의 종래와 같이 인터페이스회로를 통하여 마이크로컴퓨터에 입력된다. 마이크로컴퓨터는 이들 신호에 의하여 먼저 REF신호간의 SGC신호의 신호폭을 SGC신호 “H”레벨출력기간에 입력되는 POP신호의 펄스수를 계수하여서 검출한다(스텝 S1). 다음에 스텝 S1에서 구한 REF 신호간의 SGC 신호의 폭을 미리 기억한 기통기준펄스폭과 비교하여 일치한 펄스폭에 상당하는 기통을 이번회 식별기통으로 판정한다(스펩S2). 그리고 이 판정한 이번회 식별기통을 레지스터에 세트한다(스텝 S3).
또, 동일펄스폭의 기통에 대하여는 전번회의 식별기통에서 금회의 식별기통을 판정한다.
또, SGC신호가 소정기간 레벨변화가 없는 경우, 마이크로컴퓨터는 SGC신호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하고 REF신호로부터 기통식별을 행한다. 즉 REF신호는 기통식별용 펄스의 폭 θ1이 다른 펄스폭 θ2보다 길게 되어 있으므로, 이 기통식별용 펄스를 기준으로 하여 기통을 식별한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와 같이 6기통의 경우 크랭크축 2회전중 1회전씩을 제1의 기통군 A와 제2의 기통군 B로 나누어, θ1을 제1 또는 제4기통, 다음의 θ2를 제2 또는 제5기통, 그 다음의 θ2를 제3 또는 제6기통과 같이 식별한다. 또한 이 경우 θ1θ2가 출력되어도 그 기통이 제1의 기통군 A에 속하는가 제2의 기통군 B에 속하는가는 특정할 수 없으나 이들의 REF신호를 사용하여 점화시기제어를 하는 경우, 제1, 제2의 기통군 A, B의 동시착화를 하여도 기관의 운전에는 특별히 큰 지장이 없으므로 SGC신호계가 고장이라도 기관의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기관의 각 기통 기준각도위치에 대응한 REF 신호가 크랭크축회전에 기준하여서 출력되기 때문에 크랭크축과의 위상차가 없는 고정도의 기관제어용 신호가 얻어진다. 또 기통식별용 신호인 SGC신호의 신호폭은 4종류로 족하므로 신호폭의 식별이 용이하게 되고 따라서 신호폭 정도를 완화할 수가 있다. 더욱이 SGC신호계에 이상이 생겨도 REF신호에 의해 기통식별을 하므로 기통식별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5도는 제2실시예에 의한 회전신호발생기의 출력신호를 파형정형하여 얻은 신호의 파형도이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준위치발생기(12) 및 회전각도신호 발생기(13)가 링기어(14)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기통식별신호발생기(15)가 캠축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 기통식별신호발생기(15)가 홀식센서로 구성되고 또한 SGC신호가 각 REF신호의 하나걸른 구간마다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REF 신호와 POP 신호는 제1실시예와 같으나 SGC 신호가 제5c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REF신호의 하나걸른 구간마다 상이한 3종류의 신호폭으로 발생하며 그 이외는 신호가 발생하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의 기통식별동작은 제4도의 폴로차트에 표시한 동작과 같이 행하고 SGC신호 정상시 SGC 신호의 펄스가 없는 경우는 전번회의 기통식별결과에서 이번회의 기통식별을 행한다. 또 SGC신호 이상시도 제1의 실시예와 같은 기통식별을 한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SGC신호의 신호폭이 3종류이고 기통수가 1/2이기 때문에, 신호폭 정도를, 더욱 완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통식별신호발생기(15)를 광식센서 뿐만 아니라 비교적 정도, 분해능이 낮으나 염가인 홀식센서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6도는 제3실시예에 의한 회전신호발생기의 신호형태를 표시하는 파형도이다. 이 제3실시예에서는 REF신호와 POP신호는 상기 제1,2의 실시예와 같으나 SGC신호의 발생형태가 다르다. 즉 SGC신호는 각 REF신호의 발생시마다 그 레벨에 “H”레벨과 “L”레벨이 번갈아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각 기통에 대응한 REF신호의 하나걸른 기통마다 “H”레벨이 출력되고 또한 그 신호폭이 다른 3종류로 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SGC신호의 시단 및 종단이 크랭크각 기준위치(REF 신호 시단)에서 소정각도 떨어진 위치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크랭크축과 캠축간의 각도위상에 대한 각도마진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기통식별신호발생기(15)는 홀식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제3실시예에 의한 기통식별동작을 제7도의 플로차트에 의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텝 S11에서 REF신호발생시에서의 SGC신호의 신호폭을 SGC 신호 “H”레벨 출력기간에 입력되는 POS 신호의 펄스수를 계수하여 검출한다. 이로서, 스텝 S11에서 구한 SGC 신호의 폭을 미리 기억한 기통기준펄스폭과 비교함으로써 일치한 펄스폭에 상당하는 기통을 이번회의 식별기통으로 판정하고(스텝 S12) 직후의 SGC 신호의 “L”레벨 출력구간에 발생하는 REF신호를 검출한 시점에서 레지스터에 이번회의 식별기통을 세트한다(스텝 S13), 또한 다음의 SGC 신호 “H”레벨출력기간에 발생하는 REF신호를 검출한 시점에서는 상기 레지스터치를 미리 정해진 값만큼 변화시켜서 이번회 식별기통으로 하고 동시에 SGC 신호 “H”레벨기간의 펄스 계측도 동시에 행하며 스텝 S11로 복귀한다. 이상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언제나 각 기통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SGC신호 이상시의 기통식별은 상기 제1,2의 실시예와 같이 행한다.
그리고 제3실시예에서는 SGC 신호의 “H”레벨 신호구간의 펄스폭을 기통식별의 수단으로 사용하였으나, “L”레벨신호구간의 펄스폭 혹은 그 양쪽을 사용하여도 같은 식별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1∼제3의 실시예에서, SGC 신호폭의 검출방법으로서 POS 신호의 펄스수를 계수하여서 검출하였으나 POS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REF신호구간의 주기에 대한 SGC신호폭 주기비율을 계측에 의하여 신호폭에 대응하는 주기를 검출하고 이 주기 비율의 기통을 이번회 식별기통으로 판전하도록 구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제8도는 제4실시예에 의한 회전신호발생기의 신호파형도이다. 이 제4실시예에서는 각 REF신호간에서 발생하는 SGC신호가 하나 걸른 구간마다 상이한 펄스수가 되고 그 이외의 구간에서는 동일펄스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상기 각 실시예에의 다른 점이다. 즉 SGC 신호의 발생 펄스수를 하나걸른 구간마다 2,3,4개로 상이한 개수가 되고 그 이외의 구간에서는 1개로 되어 있다. 또 SGC 신호를 발생하는 기통식별신호 발생기(15)는 전자픽업의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 제4실시예의 기통식별동작을 제9도의 플로차트에 의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텝 S21에서 REF신호간 SGC신호의 펄스수를 계수한다. 다음에 계수치를 스텝 S22에서 미리 기억한 기통기준펄스수와 비교하고 일치한 펄스수에 상당하는 기통을 이번회의 식별기통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스텝 S23에서 판정한 식별기통을 레지스터에 세트한다. 또 동일펄스수의 기통에 대하여는 전번회의 기통식별결과에서 이번회 기통회 도출한다. 또 SGC신호 이상시의 기통식별동작은 상기 각 실시예와 같다.
제10도는 제5실시예에 의한 회전신호발생기의 출력신호를 표시하는 파형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SGC신호가 REF신호간의 하나걸른 구간마다 상이한 펄스수가 되고, 그 이외 구간은 무신호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SGC 신호의 발생펄스수는 하나걸른 구간마다 1,2,3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기통식별신호발생기(15)는 전자픽업의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통식별동작은 제4의 실시예와 같이 REF신호간의 SGC신호의 펄스수를 계수하여서 행하고 또 무신호의구간은 전번회의 기통식별결과에서 이번회의 기통을 도출한다. 그리고 SGC신호 이상시의 기통식별동작은 상기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제5실시예에서는 펄스수의 종류는 기통수의 1/2이므로 펄스수의 식별이 용이하고 신호정도를 더욱 완화할 수 있다.
제11도는 제6실시예에 의한 회전신호발생기의 출력신호를 표시하는 파형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SGC신호가 REF신호의 발생시마다 그 레벨이 “H”레벨과 “L”레벨이 번갈아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SGC신호의 “L”레벨시에 발생하는 REF신호 즉 하나걸른 기통마다 REF신호에 의하여 규정되는 구간마다 SGC신호의 펄스수가 2,3,4개로 상이한 값에 설정되어 있다. 또 각 SGC신호의 최초 펄스폭이 각각 다르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기통식별신호발생기(15)는 상기 제4,5의 실시예와 같이 전자 픽업이 사용되고 있다.
이어서 상기 제6실시예의 기통식별동작을 제12도의 플로차트에 의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텝 S31에서 SGC 신호 “L”레벨시의 REF신호에 의하여 규정되는 구간의 SGC신호의 펄스수를 계수한다. 이어서 계수한 펄스수를 스텝 S32에서 미리 기억된 기통기준펄스수와 비교하고 일치한 펄스수에 상당하는 기통을 이번회의 식별기통을 판정한다. 그리고 스텝 S33에서 직후의 SGC신호의 “L”레벨출력기간중에 발생하는 REF신호를 검출한 시점에서 이번회의 식별기통을 레지스터에 세트한다.
또한 다음의 SGC신호 “H”레벨 출력기간중 발생하는 REF 신호를 검출한 시점에서는 상기 레지스터 값을 미리 정해진 값만큼 변화시켜서 이번회의 식별기통으로 한다.
또 이때 SGC 신호 펄스수의 계측도 동시에 행하고 스텝 S31로 제어를 복귀한다.
또 SGC신호 이상시의 기통식별동작은 상기 각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상기 제6실시예에서는 각 REF 신호마다 SGC 신호의 신호모드가 번갈아 변화하므로 즉각 기통군의 식별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6실시예에서는 SGC 신호의 “L”레벨 구간중에 발생하는 REF 신호에 의하여 규정되는 구간의 SGC 신호의 펄스수를 계수하여서 기통식별을 하였으나 SGC 신호의 레벨논리를 반전시켜 “H”레벨신호구간중에 발생하는 REF신호에 의하여 규정되는 구간의 펄스수를 계수하는 방법으로도 동일한 식별이 가능하다. 또 3종류의 SGC신호의 신호상승점을 REF신호의 상승점에서 각각 다르게 설정하였으나 이들 SGC 신호의 상승점을 REF 신호위치에 대하여 같게 하여도 된다.
또 상기 각 발명의 제4∼제6실시예에서는 SGC신호의 펄스수를 계수하여서 기통식별을 행하므로 SGC신호의 펄스폭을 사용하여 행하는 것보다도 마이크로컴퓨터의 하드웨어의 부담을 적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6의 실시예에서 SGC신호의 펄스폭(수)를 기준신호폭(수)과 비교하였을때 그 값이 규정의 기준신호폭(수)이외인 경우는 그 기통이전의 규정(정규)의 펄스폭(수) 검출에 대응한 기통에서 이번회(규정외)의 기통을 도출한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SGC신호의 이상시에 기통식별을 행하는 수단으로서, REF신호의 특정기통에 대응한 신호폭을 다른 신호폭과 다르도록 설정하였으나, 특정기통에 대응한 신호수를 다른 신호수와 상이하도록 구성하여도 같은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크랭크축의 회전에 대하여 1/2비율로 회전하는 회전축으로서 캠축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어 점화용 배전기의 회전축등 여러가지 회전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의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에 의하면 크랭크축의 회전에 기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위치신호 발생수단의 출력신호마다, 크랭크축의 1/2비율로 회전하는 축회전에 기준하여서 신호를 발생하는 기통식별신호 발생수단의 신호상태를 인식하는 것으로 기통을 식별하고 기통식별신호 발생수단의 이상시는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를 사용하여 기통을 식별하도록 하였으므로 크랭크각도와 위상차 없는 정확한 기통식별을 할 수 있으며 또한 기통식별장치로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복수의 기통을 갖는 내연기관(11)과, 이 내연기관(11)의 크랭크축의 회전을 검출해서 상기 각 기통의 기준위치에서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REF)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기통중 미리 정해진 특정기통의 기준위치에서는 다른 기통과는 다른 특정기통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θ1)를 발생하는 기준위치신호 발생수단(12)와,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대해 1/2의 비율로 회전하는 회전축의 회전을 검출해서 미리 상기 각기통에 대응해서 정해진 기통식별신호(SGC)를 발생하는 기통식별신호 발생수단(15)과, 상기 크랭크각 각기 기준위치신호(REF)간에는 발생하는 상기 기통식별신호(SGC)를 검출하는 기통식별신호 검출수단(S1)과, 상기 각 기통에 대응해서 미리 정해진 기준신호를 기억한 기억수단(10)과, 상기 기통식별신호 검출수단(S1)에 의해 검출된 기통식별신호(SGC)와 상기 기억수단(10)에 기억한 기준신호를 비교해서 기통을 식별하는 제1의 기통식별수단(S2,3)과, 상기 기통식별수단(15)의 출력레벨이 소정기간 변화하지 않을때 상기 기통식별신호 발생수단(15) 이상이라고 판정하는 이상검출수단과, 상기 이상검출수단이 이상을 검출했을때, 상기 특정기통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θ1)에 따라 특정기통을 식별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기통의 행정순서에 따른 다른 기통을 식별하는 제2의 기통식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통식별신호는 각각의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발생구간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소정의 기통에 대응하는 신호의 폭이 동일하며 또한 그 이외의 기통에 대응하는 신호의 폭이 각각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소정의 기통에 대응하는 신호의 폭이 대략 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기통식별신호는, 미리 정해진 기통이외의 기통에 대응하는 신호의 폭이 각각 상이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이 신호의 발생구간중에 크랭크각 기준위치 신호가 발생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기통식별신호는, 각각의 크랭크각 기준위치신호의 발생구간내에 설정되는 동시에, 미리 정해진 소정의 기통에 대응하는 신호의 수가 동일하며, 또한 그 이외의 기통에 대응하는 신호의 수가 각각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기통식별신호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기통에 대응하는 신호의 수가 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기통식별신호는, 미리 정해진 기통이외의 기통에 대응하는 신호의 수가 각각 상이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이 신호의 발생구간중에 크랭크각 기준위치 신호가 발생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
KR1019940022654A 1989-11-29 1992-09-08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 KR950006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11268A JP2503692B2 (ja) 1989-11-29 1989-11-29 内燃機関の気筒識別装置
JP89-311268 1989-11-29
KR1019900019110 1990-11-2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9110 Division 1989-11-29 1990-1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878B1 true KR950006878B1 (ko) 1995-06-23

Family

ID=1801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654A KR950006878B1 (ko) 1989-11-29 1992-09-08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03692B2 (ko)
KR (1) KR9500068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3267A (ja) * 1991-11-12 1993-05-28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気筒判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03692B2 (ja) 1996-06-05
JPH03172561A (ja) 1991-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04404C1 (ru) ДАТЧИКОВ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РАСПОЗНАВАНИЯ ЦИЛИНДРОВ В ДВИГАТЕЛЕ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С n ЦИЛИНДРАМИ И СИСТЕМА ДЛЯ ЕЕ ПРИМЕНЕНИЯ
JP3592328B2 (ja) 多気筒内燃機関における迅速な気筒識別センサ装置
US5117681A (en) Correction of systematic position-sensing error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156125A (en) Engine control apparatus
KR100572132B1 (ko) 홀수개의실린더를구비한4행정내연기관에서의위상각결정방법
US5630396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40089272A1 (en) Crank angle detection apparatus
JPS63502844A (ja) 内燃機関のシリンダの作業行程を検出する方法
US7013719B2 (en) Device for identifying crank angle of engine
JP2634253B2 (ja) 内燃機関用気筒識別装置
US5632246A (e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624352B1 (ko) 위상 검출 장치
US5584274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tim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959996A (en)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813210B2 (ja) 内燃機関用気筒識別装置
US51968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eference rotational angle for each cylinder in multiple-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690315B2 (ja) 内燃機関に対する点火装置および噴射装置
JPH0668252B2 (ja) 内燃機関の気筒識別装置
KR950006878B1 (ko)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
US5115792A (en) Igni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50006877B1 (ko)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
US70585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cylinder position wi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50006876B1 (ko) 내연기관의 기통식별장치
JP2570442B2 (ja) 内燃機関の気筒識別装置
US573663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ombustion condition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