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409B1 -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409B1
KR950006409B1 KR1019920701110A KR920701110A KR950006409B1 KR 950006409 B1 KR950006409 B1 KR 950006409B1 KR 1019920701110 A KR1019920701110 A KR 1019920701110A KR 920701110 A KR920701110 A KR 920701110A KR 950006409 B1 KR950006409 B1 KR 950006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ail
frame head
support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1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달레어 레이몬드
달레어 도미니크
Original Assignee
달레어인더스트리리미티드
도미니크달레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달레어인더스트리리미티드, 도미니크달레어 filed Critical 달레어인더스트리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US07/435,029 external-priority patent/US50165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409B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으로써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a도는 본 발명에 의한 2개의 패널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의 정면도.
제1b도는 본 발명에 의한 3개의 패널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의 정면도.
제1c도는 본 발명에 의한 4개의 패널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의 정면도.
제2도는 제1a도에 도시된 2개의 패널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의 I-I선 단면도.
제3도는 헤드를 통한 공기 유입경고를 예시한 각각의 패널의 중심과 프레임 헤드의 부분 종단면도.
제4도는 일부 조립된 제3도의 실시 예시도.
제5도는 제1a도에 도시된 2개의 패널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의 프레임 헤드의 정면도.
제6a도는 제3도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프레임 헤드의 종단면도.
제6b도는 제6a도의 우측에서 본 지지부재의 횡단면도.
제7도는 닫힌상태에서의 환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프레임 헤드의 내면이 절취된 프레임 헤드의 정면도.
제8도는 열린상태에서의 환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제7도에 도시된 프레임 헤드의 정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분야]
본 발명은 밀폐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티오 도아(Patio door), 수평 슬라이딩 창문과 같은 슬라이딩식 밀폐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일체화된 통기장치가 장착된 슬라이딩 밀폐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종래의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는 헤드, 시일(Sill), 그리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평 슬라이딩 패널이 장착되는 2 또는 그 이상의 패널은 지지하기 위한 2개의 수직 지지부재로 구성된다. 그러한 각각의 패널을 섀시를 구비하는데, 상기 섀시는 여러장의 유리를 둘러싸고 지지하기 위하여 한쌍의 수평 레일(rail)과 한쌍의 수직 스타일(stile)을 구비한다. 패널의 상부와 하부 레일은 각각 프레임의 헤드의 시일(sill)에 유도되거나 부착된다. 밀폐 어셈블리의 슬라이딩 패널은 통상 패널을 닫힌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건축물에 관한 규정 또는 수요자의 요구에 의하여, 방에 별도의 환기시설이 없는 경우에 상기 밀폐 어셈블리와 일체로 형성되는 환기장치가 종종 필요하게 된다. 밀폐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가장 간단하게 환기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은 슬라이딩 패널을 일부 열어놓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비록 일부분 열린상태에서 슬라이딩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제공하는 것은 가능하더라도, 그러한 것은 비 또는 도난과 같은 것으로 부터 완전히 보호받지는 못하는 것이다.
또다른 통상적인 방법은 패널의 상단부 혹은 측면의 유리부분에 환기수단을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환기수단은 패널의 미관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일정 규격화된 유리패널과 기타 부대부품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생산단가를 높이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은 환기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측변 혹은 사단부에 밀폐 어셈블리의 프레임과 서브프레임(Subframe)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토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것은 서브헤더(Subheader)에서 손실된 공간을 보상하도록 패널이 줄어들지 않으면 표준화된 밀폐 어셈블리의 여닫음 동작이 원만하지 못하다. 그리고 어떠한 방법이든지 생산원가 상승을 초래하고 표준화된 크기가 손상된다.
또한 환기장치는 하나 이상의 패널의 레일 혹은 스타일을 통하여 슬롯트(slot) 또는 구멍을 뚫는 것에 의하여 패널의 섀시에 결합됨으로써 표준화 된 크기의 밀폐구조의 개폐와 시각의 장애를 피하도록 된다. 그러나 그러한 환기장치는 섀시의 강도를 크게 저하시키고 환기장치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통상 건물의 크기에 대하여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모든 공지의 환기장치는 부적합하고, 생산원가를 상승시키는 부품을 필요로 하고 섀시의 균일성 및 강도를 저하시키거나 표준화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이 되었다.
경제적이고, 심미적인 요소를 위하여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의 프레임의 헤드에 환기장치를 일체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영국 특허 제 2,074,716 호는 환기 가능한 부분과 불가능한 부분을 구비한 윈도우 프레임 또는 슬라이딩 도아를 위한 헤드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환기장치 부분은 프레임헤드를 통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구멍을 포함하고 있다. 프레임의 환기부분은 수평 슬라이딩 도어 또는 윈도우의 슬라이딩 패널의 상부에 그것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헤드는 내부벽과 외부벽을 구비한 도치된 패널이다. 그리고 고정된 패널의 외부를 따라 슬라이딩 패널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프레임 헤드에 인서어트(inse insert)가 장착된다. 상기 인서어트는 수평 및 수직벽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멍은 인서어트의 수직벽에, 그리고 인서어트의 수평벽에 혹은 프레임 헤드의 내부벽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멍을 닫기 위한 셔터가 제공된다. 슬라이딩 패널은 프레임 헤드의 외부벽과 인서어트의 수직벽 사이에서, 슬라이딩 패널의 헤드레일의 양쪽에 위치한 프래스틱형태의 가이드에 의하여 유도된다. 공기는 헤드의 외부벽과 슬라이딩 패널의 상단 레일의 외부면 사이에서 유입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슬라이딩 윈도우 혹은 도어의 환기장치의 한가지 단점은 환기용량이 불충분하여 어떠한 빌딩의 요구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점이다. 또다른 단점은 슬라이딩 패널의 상부레일의 내부면만이 틈마개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추운기후 조건때에 슬라이딩 패널 주위에서의 공기의 유입을 막아주지는 못한다. 그리고 강한 비바람으로 인하여 슬라이딩 패널의 상부레일 주위에 비가 스며들어 빌딩 내부로 유입된다. 또다른 하나의 단점은 상기 시스템의 슬라이딩 패널은 항상 고정된 패널의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내부에 슬라이딩 패널을 구비한 시스템으로 전환이 용이하지 않다는 점에 있다. 또한 프레임헤드 또는 인서어트의 환기구멍을 위한 셔터가 보이기 때문에 미관상 만족스럽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의 수 또는 형태에 관계없이 프레임 헤드의 전체길이에 대하여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셈블리에 있어서 각각의 패널에 대하여 이중의 틈마개를 포함하는 프레임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패널을 어셈블리의 내부 또는 외부의 어느쪽에 위치 가능토록 하며, 특히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도 바꾸는 것이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하나의 목적은 어셈블리의 환기부분이 실질적으로 보이지 않아서 종래의 도어 또는 윈도우와 동일한 심미적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가 슬라이딩 패널인 적어도 2개의 패널과, 그리고 지지부재, 헤드, 시일 구비한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패널은 2개의 스타일(stile), 상부레일, 그리고 하부레일을 포함하는 섀시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은 내면과 외면, 그리고 프레임 헤드의 면사이에 위치하고 패널의 상부레일의 세로홈에 맞물리는 제1, 제2평행지지레일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레일은 환기 구멍을 구비하는데, 환기구멍은 각각의 패널의 상부레일위에 공기의 유입을 허용한다. 평행한 지지레일 사이의 갭(gap)은 각각의 패널의 상부레일로 부터 환기구멍을 격리하는 스냅인(snap-in) 밀폐부재에 의하여 폐쇄된다.
제3지지레일은 플라이 스크린(fly-screen)도어의 상부레일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속에 포함될 수도 있다. 각각의 지지레일은 바람직하게는 하단에 고정된 연속적인 레일을 구비한 웨브(web)와 같은 박스형 구조물 또는 박스형 구조물과 같은 연속적인 레일을 지지하는 수직포스트이다. 비록 상부레일은 U형 홈에 맞물리는 직사각형의 형상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지지레일은 패널의 상부레일의 상부 또는 측면에 있는 구멍과 맞물리기 위한 적절한 횡단면을 구비한다. 지지레일의 하단은 패널의 상부레일의 홈과 정확하게 끼워지는 크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레일은 프레임 헤드 구조의 일부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스크류 패스너(screw fasteners)등으로 프레임 헤드에 부착되는 독립적 구조 또는 스냅인(snpa-in) 압출물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틈마개는 각 패널의 상부레일의 홈의 내면과 지지레일의 인접 외면사이에서 제공되어, 각각의 패널의 상단을 따라 이중의 틈마개가 된다. 슬라이딩 패널을 위한 지지레일은 슬라이딩 패널의 상부레일을 가이드하여, 프레임 헤드의 내면 또는 외면과 슬라이딩 패널 상부레일의 인접면 사이에서 가이드 수단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패널의 상부레일과 프레임 헤드의 인접면 사이의 갭은 차단되지 아니하고, 그것을 통한 환기 공기는 최대로 된다. 프레임 헤드의 외부에 위치한 지지레일의 환기구멍은 플라이 스크린(fly screen)에 의해 커버된다. 프레임 헤드의 내부에 위치한 지지레일의 환기구멍은 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히트 앤드 미스(hit and miss)형의 셔터에 의해 커버된다. 프레임 헤드의 내면은 셔터에 의해서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으로써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환기용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는 ; 적어도 하나의 패널이 수평 슬라이딩 패널인 적어도 2개의 패널과 ; 상기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프레임헤드, 그리고 시일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 상기 프레임헤드는 상기 슬라이딩 패널의 상부레일을 유도하고, 고정된 패널의 상부레일을 해체 가능하고 고정하기 위하여 이격된 제1, 제2평행 지지레일을 포함하고 ; 상기 지지레일은 대향면 사이에서 환기 챔버(chamber)를 한정하고 환기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는 바닥면에 의하여 밀폐되고 ; 상기 환기구멍은 상기 프레임헤드를 통하여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고 ; 상기 바닥면은 상기 구멍을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프레임헤드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제1a도 내지 제1c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용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의 3가지 예가 도시되었으며, 도면부호 2는 프레임(4), 슬라이딩 패널(6), 고정패널(8)을 구비한 본 발명의 어셈블리를 지칭한다. 각각의 패널은 수직스타일(12), 상부레일(14) 그리고 하부레일(16)을 포함하는 섀시(10)을 구비한다. 프레임(4)은 지지부재(18), 프레임 헤드(20), 그리고 시일(sill)(22)을 포함한다.
제2도는 제1도의 I - I 선을 따라 취한 프레임(4)의 부품을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4)은 다른 적절한 재료도 좋지만 바람직하기로는 나무로 만들어진 서브프레임(21)과, 프레임 헤드(20) 그리고 시일(22)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헤드(20)은 제1지지레일(24)와, 제2지지레일(26)을 포함한다. 시일(22)은 제1시일트랙(28)과 제2시일트랙(30)을 포함한다. 지지레일(24,26)의 단부는 각각 슬라이딩 패널(6)과 고정패널(8)의 상부레일(16)의 U형 채널(32)과 맞물린다. 시일트랙(28,30)은 각각 슬라이딩패널(6)과 고정패널(8)의 하부레일(14)를 지지한다. 지지레일(24와 26)과 시일트랙(28과 30)은 각각 동형이고 슬라이딩 패널(6)이 도어 또는 윈도우의 내측 또는 외측의 어떤 쪽에 위치토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틈마개(31)는 바람직하기로는 U형 패널(32)의 상부에지의 내부를 따라 위치토록 하고, 지지레일(24와 26)그리고 시일트랙(28과 30)의 양측에 접하도록 하여 패널의 상단부와 하단부 주위에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한다. 패널의 단부에는 통상의 방법으로 틈마개를 지지부재측에 장착하여 레일과 접하도록 한다. 패널의 상기 스타일(12), 상부레일(14) 그리고 하부레일(16)은 유리지지구(34)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구(34)는 필요한 여러개의 유리(36)를 포함한다. 지지구(34)는 적절한 재료를 형성되고, 원하는 디자인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어셈블리의 고정패널은 장착레일에 의하여 프레임헤드(20)과 시일(22)에 해체가능하게 부착된다. 상부 장착레일(38)은 내부 또는 외부 지지레일(24 또는 26)에 부착되고, 하부 장착레일(40)은 대향하는 내부 또는 외부 시일트랙(28 또는 30)에 부착된다. 고정패널 장착레일(38과 40)은 스크류 패스터(41)에 의하여 각각의 지지레일에 부착되는데, 상기 스크류 패스너(41)은 장착레일을 서브프레임(2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의 것을 사용한다. 또한 스크류 패스너는 장착레일을 해체할 수도 있고, 필요하다면 어셈블리의 조립후에도 고정패널과 슬라이딩 패널을 바꿀 수 있다. 고정패널(8)의 상부 및 하부레일(16과 14)은 상부 또는 하부 장착레일(38과 40)에 스크류 패스너(43)에 의하여 스크류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패널(6)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로울러가 제공되는데, 상기 로울러는 슬라이딩 패널(6)의 하부레일(14)에 장착되어 시일(22)의 시일트랙(30)에 설치된 로울러트랙(42)을 활주한다. 해체 가능한 트레이드부(44)는 고정패널(8)의 외단부와 대향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한 시일의 해당 부분위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트레이드부(44)는 시일트랙(28)을 보호하고, 도어가 이동하기 위한 기준면을 제공한다.
프레임 헤드와 각각의 패널의 중심을 절취한 단면도인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헤드(20)는 내면(46), 내부지지레일(24), 외부지지레일(26) 그리고 외면(48)을 포함한다. 구멍(50)은 지지레일(24,26)에 형성된다. 상기 구멍(50)은 내부 환기 챔버(57)로 부터 지지레일(24,26)을 통해 형성하는 것이 프레임 헤드(20)의 내면(46)을 천공하지 않아도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만약 환기챔버(57)로 부터 구멍을 내기 위한 장비가 없으면 프레임 헤드(20)의 측면으로 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면(46)의 외부면에 커버플레이트를 부착하여 구멍을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나이론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형성되는 스크린(52)은 지지레일(26)과 슬라이딩 패널의 상부레일(14) 사이의 접촉부 상부에서 외부의 지지레일(26)의 외부면에 고정된다. 상기 스크린(52)은 지지레일의 외부면의 구멍을 완전히 커버하며, 지지레일(26)의 전길이에 대하여 연장되는 연속 스트립(strip)이라도 가능하고, 몇개의 구멍을 각각 커버하기 위한 적정수의 부분적인 스크린이라도 가능하다. 히트 앤드 미스(hit and miss)형의 환기용 밀폐부재(54)는 내부 지지레일(24)의 내면에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어 선택적으로 구멍(50)을 밀폐할 수 있다. 밀폐펠트(55)가 환기 밀폐부재(54)에 고정되고, 밀폐부재(54)의 구멍과 일치되도록 구멍이 천공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 지지레일(24와 26)은 그 내부벽 사이에서 환기챔버(57)를 형성한다. 환기 밀폐부재(54)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환기챔버(57)가 밀폐되어 빌딩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환기챔버(57)의 하부벽(56)은 지지레일의 2개의 대향 내면의 각각에 있는 세로홈(58)에 끼워져서 구멍(50)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한정한다. 화살표로 표시된 환기용 공기의 경로는 환기 밀폐부재(54)가 열린상태에서 프레임헤드(20)의 내부, 외부면의 내면과 상부레일(14)의 인접면과, 구멍(50)을 통과한다. 공기의 흐름이 표시된 방향 뿐만아니라 그 역으로 흐를 수 있고, 본 어셈블리의 안과 밖의 기압의 차이에 의해서 흐름의 방향이 결정되는 것은 명백하다. 환기 밀폐부재(54)는 작동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컨트롤레버(60)를 구비한다. 컨트롤 레버(60)는 선택적이기는 하나 환기밀폐부재(54)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편리한 파지부를 제공하는 잇점이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스크류(64)가 프레임 헤드(20)의 내면(46)에 위치하여, 환기 밀폐부재(54)의 열림동작을 제한하게 되고 따라서 환기밀폐부재가 닫힌 상태에서는 내부 지지레일(24)의 구멍(50)이 완전히 차단된다. 조정스크류(64)는 컨트롤레버(6)의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밀폐부재(54)의 열림동작을 제한한다.
제5도는 환기챔버를 한정하기 위하여 하부벽(56)이 세로홈(58)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하부벽(56)은 모든 고정 또는 슬라이딩 패널의 설치후에 설치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최소한 2개의 하부벽이 필요하다. 하부벽(56)은 한쪽 모서리를 하나의 홈(58)에 끼운후 하부벽의 중심에서 상부로 가압하여 다른 모서리가 대향 홈(58)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설치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어셈블리가 설치가 완료된 것을 도시한 부분 정면도이다. 밀폐부재(54)와 구멍(50)은 프레임 헤드(20)의 내면에 의해 가려져서 보이지 않고 다만 프레임 헤드의 내면 밑으로 컨트롤 레버(60)의 단부만 보인다.
제6a도에는 외부 지지레일(26)의 구멍(50)과 환기챔버 하부벽(56)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내부 지지레일(24)의 구멍은 위치와 크기가 동일 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레일 보강부재(66)는 인접한 각쌍의 패널 스타일이 만나는 지점에서 프레임 헤드(20)에 장착된다. 상기 보강부재(66)은 서브프레임(21)에 고정하는 스크류 패스너(67)에 의하여 프레임헤드(20)에 고정된다. 부강부재(66)는 스타일이 만나는 가장 약한 부분에서 지지레일의 저항력을 증가시키고, 틈마개를 지지하는 역활을 한다. 보강부재(66)는 지지레일(24와 26)의 내부벽 사이의 갭에 맞도록 적절한 길이로 잘려진 채널형의 압출성형물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강부재(66)은 대향견부(shoulder)를 따라 연장된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유연한 틈마개(68)을 포함한다. 틈마개(68)은 하부벽(56)과 보강부재(66) 사이에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하부벽(56)과 협력한다.
그리고 미관을 위하여, 환기챔버 단부브라켓(70)이 환기챔버 하부벽(56)과 밀폐부재의 각 단부에 있는 지지부재 사이에 제공된다. 단부 브라켓(70)의 형상은 제6a도에 명백히 도시되어 있다. 단부 브라켓(70)은 지지 부재의 중앙포스트(72)의 주위에서 밀착되어 끼이도록 성형되고, 환기챔버(57)의 각각의 단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연성 틈마개(74)와 협력한다. 그리고 단부 브라켓(70)은 스테이플(76)에 의하여 그것을 관통하여 중앙포스트(72)에 고정됨으로써 중앙포스트(72)와 연결된다. 또한 단부브라켓은 그 외부 바닥 모서리에 하방으로 돌출한 립(lip)(80)을 구비하는데, 그것은 단부브라켓(70)과 하부벽(56) 사이의 환기공기의 통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하부벽(56)과 협력한다. (제6도 참조) 그리고 밀폐를 더욱 확실히 하기 위하여 코킹(cauking)재료를 더할 수도 있다.
[공업적 응용]
환기용 밀폐부재(54)의 사용에 대하여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닫힘상태를 도시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헤드(20)의 내부 지지레일(24)내의 구멍(점선도시부분)이 밀폐부재(54)에 의하여 완전히 닫혀있다. 따라서 상기 통로를 통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그리고 환기 밀폐부재(54)사이의 공기의 유입은 밀폐부재의 후면에 부착된 밀폐펠트(55)(제3도 참조)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제거된다. 컨트롤레버(60)의 작동으로 정진적으로 공기유입경로가 열리게 된다. 완전히 열린상태에서 밀폐부재 포트(Port)(54)의 구멍과 내부지지레일의 구멍이 일치하게 되어 최대의 공기가 유입된다. 지지레일(24와 26)의 구멍과 밀폐 부재(54)의 구멍은 실질적으로 어떠한 크기와 형태, 그리고 수는 지지레일의 구조적 강도가 파괴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빌딩 크기에 대한 환기 요구치는 프레임 헤드이 강도의 조정과는 무관하게 본 발명에 의한 표준화된 도어 또는 윈도우에 의하여 쉽게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환기되지 않는 같은 크기의 패널 어셈블리에 비하여 환기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패널의 내외측의 어느 곳에도 장착할 수 있는 심미적이고 개량된 환기구를 제공한다.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기술된 실시예에 관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패널이 슬라이딩 패널(6)인 적어도 2개의 패널(6,8)과 지지부재(18), 프레임 헤드(20)와 시일(22)을 구비한 프레임(4)을 포함하고, 패널(6,8)이 표준 프레임(4)에 수납되는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를 제공하되, 프레임 헤드(20)의 전길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환기용량을 제공하도록 개량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에 있어서 ; 프레임 헤드(20)는 슬라이딩 패널(6)의 상부레일(14)을 안내하고 고정 패널의 상부레일(14)을 해체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패널(6,8)의 상부레일(14)에 있는 채널(32)과 맞물리는 평행하게 이격된 제1, 제2지지레일을 포함하고 ; 지지레일(24,26)은 그들이 대향벽 사이에서 환기챔버(57)를 한정하고, 환기구멍(50)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는 하부벽(56)에 의하여 밀폐되고 프레임 헤드(20)의 전길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연장 성형되며 ; 환기구멍(50)은 프레임 헤드(20)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허여하고 ; 하부벽(56)은 환기구멍(50)을 통한 공기의 유입을 제외하고 상기 프레임 헤드(20)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2), 상기 하부벽(56)은 상기 환기구멍(50)을 통한 공기의 유입을 제외하고는 프레임 헤드(20)를 통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24,26)은 솔리드 수직 웨브인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24,26)은 2개의 수직벽과 연결용 수평 하부벽(56)을 구비하는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24,26)은 내부 보강벽을 더 포함하는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24,26)은 그 저면 모서리에 상기 상부레일(14)의 개구와 맞물리기 위한 연속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연속레일은 내부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 헤드(20)로 간헐적으로 지지되는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
  6.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24,26)은 프레임 헤드(20)와 독립적으로 제조되고, 점착, 마찰 혹은 기구적으로 서브어셈블리로써 프레임 헤드에 부착되는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
  7.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지지레일(24,26)과 상기 구멍(50)을 통한 공기유입을 제외하고 프레임 헤드(20)를 통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하부벽(56)은 하나의 일체화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지지레일(24,26)을 활주 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하여 상부패널(14)에 형성된 U형 홈(32)을 포함하고, 상기 U형 홈(32)은 연속적으로 대향 세로면을 따라 부착되는 연속되는 틈마개(31)를 구비하고, 상기 틈마개(31)는 상기 지지레일(24,26)의 측면과 협력하여 상부레일(14)과 지지레일(24,26) 사이의 공기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8)은, 지지레일(24,26)을 통하여 프레임 헤드(20)에 수직으로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패스너(41)로 상기 지지레일(24,26)의 하부면에 해체 가능하게 고정된 부착레일(38)에 의하여 지지레일(24,26)의 하나에 해체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패널(8)의 상부레일(14)은 상기 부착레일과 상부레일(14)의 적어도 한면을 통하여 옆으로 고정하는 스크류 패스너(43)에 의하여 해체 가능하게 부착 레일(38)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
  10.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지지레일(24,26)에 환기구멍을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환기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
KR1019920701110A 1989-11-13 1989-11-13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 KR950006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435,029 US5016526A (en) 1989-11-13 1989-11-13 Ventilated sliding closure assembly
US07/435,029 1989-11-13
PCT/CA1990/000386 WO1991007564A1 (en) 1989-11-13 1990-11-08 Ventilated sliding closure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409B1 true KR950006409B1 (ko) 1995-06-15

Family

ID=2568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1110A KR950006409B1 (ko) 1989-11-13 1989-11-13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4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2414A (zh) * 2018-06-15 2018-10-23 北京英策瑞德科技有限公司 行车空气轨道送风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2414A (zh) * 2018-06-15 2018-10-23 北京英策瑞德科技有限公司 行车空气轨道送风系统
CN108692414B (zh) * 2018-06-15 2024-04-05 北京英策瑞德科技有限公司 行车空气轨道送风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1793A (en) Wood clad window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US5746032A (en) Structure for attaching a lower transverse frame member of a sash to a lower edge of a building opening
US4523408A (en) Door light
US5016526A (en) Ventilated sliding closure assembly
GB2194038A (en) Window vent
GB2194328A (en) Ventilator for door or window frames
KR950006409B1 (ko) 환기 가능한 슬라이딩 밀폐 어셈블리
US4592167A (en) Doors
EP0324820B1 (en) Improved vent for windows and like apertures
US4027581A (en) Ventilator
US3830147A (en) Ventilating unit
GB2441179A (en) A ventilation system for windows and doors
GB2074716A (en) Sliding doors or windows adapted for ventilation
US5746654A (en) Ventilator
GB2282401A (en) Extruded frame section
GB2299664A (en) Ventilator
CA2643557C (en) Window cladding
GB2264740A (en) Extruded frame section
CA2161079A1 (en) Ventilator
GB2165288A (en) Door
KR102205522B1 (ko) 미닫이형 자동문
KR0121348Y1 (ko) 창문용 환기구
GB2301664A (en) A ventilator
JPH018902Y2 (ko)
JPH11190170A (ja) 連窓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