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396Y1 - 어신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어신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396Y1
KR950006396Y1 KR2019910025298U KR910025298U KR950006396Y1 KR 950006396 Y1 KR950006396 Y1 KR 950006396Y1 KR 2019910025298 U KR2019910025298 U KR 2019910025298U KR 910025298 U KR910025298 U KR 910025298U KR 950006396 Y1 KR950006396 Y1 KR 950006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fishing
buzzer
switch
fis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5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753U (ko
Inventor
최영한
Original Assignee
최영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한 filed Critical 최영한
Priority to KR2019910025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396Y1/ko
Publication of KR9300127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7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3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어신감지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에 어신감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전체 개략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부분은 절단하여 보인 단면.
제 3 도는 본 고안 어신감지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20 : 협지부
300 : 제 1 스위치 400 : 제 2 스위치
410 : 가동자 411 : 무게추
420 : 고정자 421 : 링단자
본 고안은 리일낚시 또는 대낚시, 방울낚시등에 사용되는 어신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낚시대의 진동을 감지하여 어신을 민감하고도 신속히 발할수 있는 어신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채시기를 램프와 부저등 소리와 빛을 이용하여 알리는 어신감지장치는 어신감지기구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그러한 어신감지기구는 주로 리일낚시 또는 방울낚시에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어신감지기구는 통상 낚시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고 낚시대의 줄을 어신감지기구의 감지부재에 걸어놓고 있다.
어신으로 인한줄의 당김력, 즉 물고기의 입질시 흡입력으로 끌어 당겨지는 것에 의해 낚시줄이 긴장되는 것으로 감지부재가 협동하여 어신신호를 발하게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어신감지기구는 민감하지 못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떡밥의 풀림과 수면의 파동으로 낚시줄이 느슨해 질 경우에는 이 신호가 둔해지고 심할경우에는 어신감지기구가 동작되지 않는 등 어채시기를 놓치게 되고, 따라서 어획률을 저하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주야에 관계없이 램프와 부저가 함께 동작을 함으로 배터리 소모가 심하였다.
즉 주간에는 램프의 점열 보다는 부저음을 듣고 어채시기를 식별하고 야간에는 램프 점열을 보고 어채시기를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램프와 부저가 함께 동작함으로 이중으로 어채시기를 알려줌에 따라 배터리가 배로 소모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어신호에 민감히 동작되고 어채시기를 정확히 알리어 어획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주야를 구별하여 램프와 부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배터리 소모를 감소한 어신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어신호를 알리는 즉 입질로 인한 낚시대의 진동으로 어신을 감지하는 어신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 되는데, 이 어신감지장치는 낚시대의 끝단부에 자유로이 착탈되는 협지부가 구비된 본체를 갖고 있고, 이 본체내부에는 부저와 선단부로 관출되는 발광램프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 내부에는 또한 어신전달로 유동하는 낚시대의 진동으로 접속을 이루는 제 2 스위치를 구비함과 아울러, 발광램프 또는 부저의 어신기구를 선택적으로 조작시키는 제 1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입시로 인한 낚시대의 진동으로 어신호를 발하게 된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 1 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어신감지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서 100은 본체이다.
이 본체(100)는 탄두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전장부품을 내장시킬 공간부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체는 가능한 부피를 줄이어 소형화, 즉 낚시대의 끝단부에서 하중작용을 최소로 줄이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본체(100)내에는 발광램프(LP)와 부저(BZ)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200)이 내장되어 있다.
발광램프(LF)와 부저(BZ)는 본체(100)의 주벽 적당한 장소에 설치되는 제 1 스위치(3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 구동될 것이다. 예를들어 주간에는 부저만을 이용하여 어신호를 발하게 하고, 야간에는 부저와 함께 발광램프가 점등되어 어신호를 발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상에는 물고기 입질로인한 낚시줄의 당김으로 발생하는 낚시대의 진동과 협동하면서 어신기구를 가동시키는 제 2 스위치(400)가 구비된다.
제 2 스위치(400)는 적은 진동에도 자유로이 유동하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가동자(410)와 그 가동자(410)가 관통되고 소정의 구경을 가지고 구성되는 링단자(421)를 구비하는 고정자(4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자(410)는 다소의 높이를 가지고 그 상단부에 적은 움직임에도 예민히 진동되게 하는 무게추(411)로 구비하고 있다. 가동자(410)는 다소의 높이를 가지고 그 상단부에 적은 움직임에도 예민히 진동되게 하는 무게추(411)를 구비하고 있고, 가동자(410)가 직립 상태로 유지되어 있을때에는 부저(BZ)와 램프(LP)는 OFF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100)에 유동이 전달되면 가동자(410)가 제 1 도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고정자(420)의 링단자(421)와 접속되는 것에 의해 회로를 도통시키어서 어신을 발하게 할 것이다.
한편 본체(100)의 저면을 나사조립식으로 착탈되는 뚜껑(110)으로 개폐되게 함과 아울러 그 내부에서 제공되는 공간부에 배터리(BA)를 내장시키고 있다.
이의 배터리는 어신기구 즉 발광램프 및 부저를 구동시키는 전원을 공급시킨다.
그리고 본체(100)의 외주벽 적당한 장소에 본체를 낚시대 끝단부에 자유로이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협지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도에는 협지부(120)에 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본체(100)의 외주벽에 그 주벽면을 연직면상으로 하여 소정높이로 뛰쳐나오는 돌출부(121)를 구비하고 이를 돌출부(121)내부에 그 돌출부 길이방향으로 삽지홈(122)를 형성함과 아울러 적당한 장소에 삽지홈을 개방하는 입구부(123)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한 삽입홈(122)은 낚시대의 끝단부의 외경보다 다소적인 내경을 가지고 있고 입구부(123)또한 신축성이 우수하여 넣고 꺼냄이 용이하며 결합시에는 우수한 물음력을 제공하여 낚시대에 본체를 견고히 부착 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 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여 어신감지장치의 동작에 관한 설명을 하겠다.
예를들어 주간 낚시의 경우를 보면 제 1 스위치(300)를 주간용으로 절환시킨 상태에서 낚시대의 끝단부에 협지부(120)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낚시대를 펼쳐놓고 어신호를 대기하게 된다.
이렇게 어신호를 대기하고 있다가 입질로 낚시줄에 전달되면 그 입질력은 낚시줄을 통하여 낚시대에 전달되어 낚시대가 유동하게 되고, 이러한 낚시대의 유동으로 제 2 스위치(400)가 접속되면 부저(BZ)가 어신을 발하여 어채시기를 알리게 된다.
그리고 야간 낚시시에서는 제 1 스위치(300)를 야간용으로 절환하고 상기에서와 같이 어신이 이루어지면 제 2 스위치(400)가 접속하여 발광램프와 부저를 동시에 발하여 어신호를 알리게 하고 있다.
따라서 낚시대 끝단에 전달되는 어신의 진동을 감지하여 어신호를 발하게 함으로서 어신이 민감하고도 정확한 효과가 있다.
또 어채시기를 정확히 알리어 어획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을 뿐만아니라 설치 및 해체가 간편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주간에는 램프를 상용하지 않음으로 배터리 소모가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고정지와 가동자를 구반하는 제 2 스위치의 단략으로 발광램프를 점멸하는 본체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의 단락으로 발음하는 부저, 상기 부저와 상기 발광램프를 선택적으로 동작 시키는 제 1 스위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장치.
KR2019910025298U 1991-12-31 1991-12-31 어신감지장치 KR950006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298U KR950006396Y1 (ko) 1991-12-31 1991-12-31 어신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298U KR950006396Y1 (ko) 1991-12-31 1991-12-31 어신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753U KR930012753U (ko) 1993-07-26
KR950006396Y1 true KR950006396Y1 (ko) 1995-08-10

Family

ID=1932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5298U KR950006396Y1 (ko) 1991-12-31 1991-12-31 어신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3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753U (ko) 199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0243A (en) Angling bite detector
US4633608A (en) Fish strike detector
US5396726A (en) Fish bite indicator
US4376349A (en) Night time fishing aid
US4625446A (en) Detector for detecting a bit of a fish
US6594942B1 (en) Battery powered lighted rod
US6446380B1 (en) Fish on alert rod
US6789350B1 (en) Tolling assembly with hydrodynamic planer board, strike indicator, night lighting, and novel fishing line release
US4447979A (en) Fish strike alarm
US20070271835A1 (en) Fish strike indicating apparatus
KR950006396Y1 (ko) 어신감지장치
US5586402A (en) Fishing rod bite indicator
KR20090011513U (ko) 진동감지장치
KR100817909B1 (ko) 어신 감지 제어 장치와 이를 이용한 낚시찌
US6568121B1 (en) Fish bite indicating apparatus
GB2274761A (en) A bite indicating device for use in fishing
GB2209261A (en) Magnetic-electronic bite indicator
KR200235466Y1 (ko) 어신 감지센서
GB2313281A (en) Fishing bite indicator
KR910000111Y1 (ko) 리일낚시용 어채 신호 장치
US20070214704A1 (en) Fish strike indicating apparatus
JPH0323094Y2 (ko)
KR200176903Y1 (ko) 릴낚시의 감지장치
KR900008353Y1 (ko) 원투 낚시용 어신 감지기
KR820001263Y1 (ko) 낚시대의 자동 신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