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324B1 - 양변기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324B1
KR950006324B1 KR1019920013102A KR920013102A KR950006324B1 KR 950006324 B1 KR950006324 B1 KR 950006324B1 KR 1019920013102 A KR1019920013102 A KR 1019920013102A KR 920013102 A KR920013102 A KR 920013102A KR 950006324 B1 KR950006324 B1 KR 950006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cap
guide rod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3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440A (ko
Inventor
황종규
Original Assignee
황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종규 filed Critical 황종규
Priority to KR1019920013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324B1/ko
Publication of KR940002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변기용 급수장치
제1도는 종래의 양변기용 급수장치의 작동상태로서, a는 부구하강에 의해 밸브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b는 부구상승에 의해 밸브가 폐방된 상태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용 급수장치의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a는 부구하강에 의해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구조도. b는 부구상승에 의해 배출구가 폐방된 상태의 단면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5 : 고무패킹 26 : 고무링
30 : 급수몸체 31 : 이단급수로
32, 41 : 나사부 33 : 마개구
34 : 스프링 35 : 캡
36 : 개구부 37 : 스프링 탄착홈
38 : 배출공 39 : 가이드공
40 : 가이드봉 42 : 너트
45 : 부구 46 : 통공구
본 발명은 좌변기 및 양변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의 저수량에 따라 부구를 상하 수직적으로 운동케하여 저수조의 급ㆍ저수량을 자동적으로 제어하고 필요에 따라 급수량을 임의로 저절가능하도록 한 양변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구를 이용한 양변기용 급수장치를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에 급수관(5)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2)와 수조바닥(4')과 고정결합하기 위한 고정부재(3)를 두고, 길이방향으로 급수로(6)와 배수로(7)를 갖는 급배수면(1)의 상층 외주연에 뚜껑(8)을 고정하기 위해 다수의 괘지홈(10)을 갖는 괘지구(9)를 형성하되, 뚜껑(8)의 하방으로 괘지구(9)의 괘지홈(10)과 걸림고정되는 괘지턱(11)을 형성하고, 상기 뚜껑(8)과 급배수변(1)의 급수로(6)간에는 밸브(12)를 내장하되, 그 일측을 뚜껑(8)의 가이드공(13)에 삽입안내되게 구성하며, 상기 뚜껑(8)의 상면으로 가이드공(13)과 레버지지축(14)을 두어 가이드봉(15)에 삽입안내 되는 밸브(12)를 레버지지축(14)에 축결합되는 레버(16)의 시이소 작동으로 밸브(12)를 제어토록 구성하고, 상기 레버(16)의 일측에는 부구(17) 및 부구연결봉(18)을 체결토록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양변기의 급수장치는 제1도의 a 및 b에서와 같이 양변기수조(4)의 바닥에 고정부재(3)에 의해 급배수변(1)의 하부를 고정하되, 고무패킹(19)에 의해 밀봉처리하고, 급수로(6)의 하단을 커플링 등과 같은 연결부재(2)에 의해 급수관(5)과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제1a도 참조) 급수관(5)을 통해 물을 공급하면 뚜껑(8)의 레버(16)에 체결되어 있는 부구(17)의 자중에 의해 부구(17)가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게 된다.
이때 뚜껑(8)의 가이드공(13)과 접촉되는 레버(16)의 일측은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되므로, 급배수변(1)의 급수로(6)를 차단하고 있던 밸브(12)는 급수 압력에 의해 위로 올라가게 되면서 급수로(6)를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급수로(6)를 통한 물은 급수로(6) 외측으로 형성된 배수로(7)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어 양변 기수조(4)내에는 점차 급수되는 물이 저장된다.
이후 수조(4)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에 의해 부구(17)가 뚜껑(8)의 레버지지축(14)에 축 결합된 레버(16)와 함께 레버지지축(14)의 축 중심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수조(4)내의 급수량이 저수량에 도달되면 제1b도 에서와 같이 부구(17)가 저수량의 최고위치에 있게 되어 뚜껑(8)의 레버지지축(14)에 축결합된 레버(16)의 일측이 가이드공(13) 상부로 올라온 밸브(12)를 누르게 된다.
이 동작으로 밸브(12)는 하측으로 내려오면서 급수로(6)를 차단하게 되어 급수동작을 정지시키면서 저수량을 유지시킨다.
이와같이 종래의 양변기의 급수장치는 저수량에 따라 부구(17)가 레버지지축(14)중심으로 원운동하게 되고, 수조(4)내의 저수량을 소모하면 제1a도와 같은 상태로서 급수가 이루어지고, 제1a도와 같은 상태에서 급수를 시작하여 일정량의 저수량에 도달하면 제1b도와 같은 상태로 밸브(12)가 급수로(6)를 차단하게 되어 급수정지와 동시에 저수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이 종래의 양변기 급수장치는 급ㆍ배수변 제조시 급수로와 배수로를 이중으로 형성해야 하는 제작공정이 까다롭고, 급수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구경에 의해 급수시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며, 부구를 뚜껑의 지지축 중심으로 원운동하고 이 운동으로 레버를 시이소 작동시켜 급ㆍ배수를 행하는 구성에 의해 수조내의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동시에 조립 및 시공상의 수작업을 요하며, 사용상의 고장이 작은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부구를 상하 수직적으로 운동케 소요부재를 간소화시켜 조립 및 시공을 간편화시키는 동시에 제작 및 구입단가를 낮추고, 설치공간을 줄이는 동시에 소음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양변기용 급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이단급수로(31)를 갖는 원통형 급수몸체(30)의 하측으로 급수관(5) 및 수조바닥면(4')과 연결고정하기 위한 나사부(32)를 형성하고, 그 상측으로 테이퍼진 마개구(33)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36)와 스프링 탄착홈(37)과 급수몸체(30)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출공(38) 및 이단 가이드봉(40)을 삽입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공(39)을 갖는 캡(35)과 착탈되도록 분리구성하며, 상기 캡(35)의 가이드공(39)을 통해 삽입된 캡(35) 내측의 가이드봉(40)에 스프링(34)과 마개구(33)를 탄착하여 급수몸체(30)에서 이단 가이드봉(40)이 직립설치되고, 상기 이단 가이드봉(40)의 상부로 나사부(41)를 두어 부구(45) 승각억제용 너트(42)의 조임위치에 따라 수조내의 저수량을 조절하되, 캡(35)에 지지되는 이단 가이드봉(40)에 중앙으로 통공구(46)를 갖는 부구(45)를 관착시켜 수위에 따라 승ㆍ하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용 수조의 급ㆍ저수장치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장치의 작동상태를 2단계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제2도에서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조립순서는 먼저, 이단급수로(31)를 갖는 급수본체(30)의 하체에 수조(4)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25)을 관착시킨 후, 급수몸체(30)의 나사부(32)를 수조바닥면(4')에서 관통시키고, 이에 별도의 고정부재(3)를 통해 급수몸체(30)와 수조바닥면(4')간에 고정시킨다.
그런다음 수조바닥면(4')에서 관통된 급수몸체(30)의 나사부(32)에 커플링 등과 같은 연결부재(2)로서 급수관(5)과 연결시켜 급수관(5)으로부터 급수몸체(30)의 급수로(31)를 통해 수급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조바닥면(4')내의 누수방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고무패킹(25) 구조는 테이퍼진 형태가 가장 양호하며, 외경이 작은 측을 수조바닥면(4')의 구멍에 삽입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몸체(30)가 수조(4)내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캡(35)의 가이드공(39)을 통해 이단 가이드봉(40)을 끼운다음 제3a, b도와 같이 캡(35)의 내측으로 삽입된 이단 가이드봉(40)의 하체에 스프링(34)과 마개구(33)를 관착시킨다.
상기 이단 가이드봉(40)의 하체종단부와 마개구(33)간에는 나사결합되며, 마개구(33)를 이단 가이드봉(40)에 결합시키면 이단 가이드봉(40)의 하체는 캡(35)의 내부에서 스프링(34)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스프링(34)은 캡(35)의 개구부(36)를 통과하여 스프링 탄착홈(37)에 안착되어지므로 저수량 보충시에는 항상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 마개구(33)가 개구부(36)를 개방시킨 제3a도와 같은 상태로 된다.
이와같이 이단 가이드봉(40)을 캡(35)에 조립한 상태에서 캡(35)을 상기 급수몸체(30)와 결합한다.
상기 캡(35)과 급수몸체(30)간의 결합수단은 나사식 결합수단으로 하되, 현장의 시공 조건에 따라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캡(35)과 급수몸체(30)간에는 걸림홈 및 걸림턱을 형성하여 슬라이드 체결식 구성으로도 제조가능하다.
상기 나사식 결합수단이나 슬라이드 체결식을 채용하더라도 공통적으로 캡(35)의 개구부(36)에 이단 가이드봉(40)에 결합된 마개구(33)가 막고 있는 상태에서 급수몸체(30)내의 급수로(31)에 있는 물의 흐름을 완화하기 위해 캡(35)과 급수몸체(30)간에 고무링(26)으로 밀봉 처리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이단 가이드봉(40)을 설치한 캡(35)을 급수몸체(30)에 고정설치한 상태에서 다음단계로 이단 가이드봉(40)에 상부측으로 통공구(46)를 통해 부구(45)를 삽입시킨 다음 이단 가이드봉(40)의 나사부(41)에 부구(45) 승강억제용 너트(42)를 끼워 조립완료 한다.
이와 같이 조립완료한 상태에서 급ㆍ저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수조(4)내에 저수된 물이 없을 경우 캡(35)과 결합된 급수몸체(30)내의 마개구(33)는 제3 a도 와같이 캡(35)의 개구부(36)에서 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떨어져 있는 상태로 있게 되어 급수관(5)을 통해 수급되는 물은 급수몸체(30)의 이단급수로(31)를 통과한 후 캡(35)의 개구부(36) 및 배출공(38)을 통해 배출되며, 배출되는 물은 수조바닥면(4')으로부터 저수된다.
이때 배출공(38)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급수몸체(30)내 이단급수로(31)의 내구경차에 의해 수급시의 소음발생이 억제된다.
이후 수급되는 물이 수조(4)내에 점차 저장되면서 저수량이 증가하면 가이드봉(40)에 관착된 부구(45)가 부력에 의해 물의 표면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부구(45)는 이단 가이드봉(40)을 따라 자연스럽게 떠오르게 되며, 상승되는 부구(45)의 상면이 이단 가이드봉(40)의 나사부(41)에 조임 결합되어 있는 너트(42) 하부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몸체(30)의 이단 급수로(31)를 통해 수급되는 물은 캡(35)의 배출공(38)을 통해 계속적으로 배출되는 상태가 되며, 계속적인 배출에 따른 저수량 증가로 부구(45)는 더욱 위측으로 올라갈려고 하는 상승작용을 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부구(45)는 가이드봉(40)의 나사부(41)에 결합된 너트(42)를 점진적으로 위로 밀게되며, 이 동작으로 급수몸체(30)와 캡(35)간의 급수로(31)에 있는 마개구(33)도 이단 가이드봉(40)을 따라 올라가게 되면서 제3b도와 같이 테이퍼진 마개구(33)가 캡(35)의 개구부(36)를 폐방시키게 된다.
이때 마개구(33)의 상승동작으로 이단 가이드봉(40)의 하체에 관착된 스프링(34)은 압착하게 되며, 이의 압착상태는 부구(45)의 부력에 못미치게 되므로 급수관(5)을 통해 급수몸체(30)의 급수로(31)에 수급되는 물은 개구부(36)의 폐방상태에 의해 캠(35)의 배출공(38) 또한 밀폐되어 급수동작은 정지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다른 경로를 통해 수조(4)내에 저수된 물이 배출되면 부구(45)는 자중에 의해 이단 가이드봉(40)을 따라 하강 개시하는 동시에 부구(45)에 의해 상측으로 올라갔던 이단 가이드봉(40)은 캡(35)의 스프링 탄착홈(37)에 압착되어 있던 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된다.
이 동작으로 캠(35)의 개구부(36)를 차단하고 있던 마개구(33)도 하강하게 되어 개구부(36)가 개방되는 동시에 급수몸체(30)의 급수로(31)에 대기하고 있던 물은 다시 제3a도와 같이 캡(35)의 개구부(36) 및 배출공(38)을 통해 배출되어 재급수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수조(4)내의 물급수 및 저수유지는 부구(45)의 직립적인 승ㆍ하강 동작에 의해 이단 가이드봉(40)이 연동되어 캡(35)의 개구부(36)를 개폐시켜 이루어지며, 상기 급ㆍ저수 반복동작에 의해 수조(4)내에 저장되는 저수량은 이단 가이드봉(40)의 나사부(41)에 조임된 너트(42)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단 가이드봉(40)에서 너트(42)의 조임 위치를 설정하여 주면 필요이상의 물소비를 줄일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급수장치는 좌변기 또는 양변기용 수조에만 한정되게 설치하는 것은 아니며, 탱크의 유량물, 기름제어가 필요한 유조 및 수조탱크에도 적용가능하며, 이는 탱크용량 및 크기에 따라 크기가 다른 동일형태의 급수장치 제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급수관 보다 내경이 다소 크게 급수몸체의 급소로를 형성하는 구성에 의해 급수시 소음발생을 억제할 수가 있고, 아울러 부구를 관착시킨 가이드봉을 캡에 탄착시켜 급수몸체와 결합되는 구성에 의해 조립 및 시공을 간소화시킬 수가 있고, 부구가 가이드봉을 따라 직립적으로 승ㆍ하강되어 급ㆍ저수되는 구성에 의해 수조내의 설치공간의 활용도를 높일수가 있음은 물론, 전체적으로 간소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써 제작단가 및 구매단가를 낮출수가 있고, 수조내의 저수량 조절을 사용자 임의로 가능하게 하므로써 필요이사의 물소비를 억제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이단급수로(31)를 갖는 원통형 급수몸체(30)의 하측으로 급수관(5) 및 수조바닥면(4')과 연결고정하기 위한 나사부(32)를 형성하고, 그 상측으로 테이퍼진 마개구(33)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36)와 스프링 탄착홈(37)과 급수몸체(30)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출공(38) 및 이단 가이드봉(40)을 삽입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공(39)을 갖는 캡(35)과 착탈되도록 분리구성하며, 상기 캡(35)의 가이드공(39)을 통해 삽입된 캡(35) 내측의 가이드봉(40)에 스프링(34)과 마개구(33)를 탄착하여 급수몸체(30)에서 이단 가이드봉(40)이 직립설치되고, 상기 이단 가이드봉(40)의 상부로 나사부(41)를 두어 부구(45) 승강억제용 너트(42)의 조임위치에 따라 수조내의 저수량을 조절하되, 캡(35)에 지지되는 이단 가이드봉(40)에 중앙으로 통공구(46)를 갖는 부구(45)를 관착시켜 수위에 따라 승ㆍ하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급수장치.
KR1019920013102A 1992-07-22 1992-07-22 양변기용 급수장치 KR950006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102A KR950006324B1 (ko) 1992-07-22 1992-07-22 양변기용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102A KR950006324B1 (ko) 1992-07-22 1992-07-22 양변기용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440A KR940002440A (ko) 1994-02-17
KR950006324B1 true KR950006324B1 (ko) 1995-06-14

Family

ID=1933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3102A KR950006324B1 (ko) 1992-07-22 1992-07-22 양변기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3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440A (ko) 1994-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2997A (en) Flush toilet accessory
US6510866B2 (en) Ball cock assembly, float assembly for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liquid level in a tank
US5464037A (en) Level control valve arrangement and water closet cistern
CN110173028B (zh) 排水阀装置、贮水水箱装置及冲水大便器
US5331690A (en) Dual control flushing mechanism, enabling complete or partial evacuation of a toilet tank to be operated selectively
US3831204A (en) Toilet flush apparatus
US7200877B2 (en) Dual flush water saving toilet system
US5305474A (en) Stoppable flushing mechanism with assured minimal flow
US4901377A (en) Toilet bowl automatic flow shut off and water saver device
US6199221B1 (en) Flush valve
KR950006324B1 (ko) 양변기용 급수장치
KR100239150B1 (ko) 화장실 수세식 탱크의 재공급 및 배수장치
KR100402596B1 (ko) 배수배출장치
US5517701A (en) Toilet flush control assembly and methods
KR20090004454U (ko) 변기 세정액 공급장치
JP2582345Y2 (ja) フロート弁装置
US4842011A (en) Flushing means
KR200301081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JP2713078B2 (ja) ロータンクの吐水装置
US7284567B2 (en) Liquid level controller
GB2245910A (en) Flushing and refilling arrangement for a W.C. cistern
SU1293289A1 (ru) Запорно-выпуск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мывного бачка
JPH0640696Y2 (ja) 便器洗浄タンク装置
KR930005531Y1 (ko) 수위 제어장치
CN2208131Y (zh) 一种坐便器储水箱控制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