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204Y1 -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204Y1
KR950006204Y1 KR92027099U KR920027099U KR950006204Y1 KR 950006204 Y1 KR950006204 Y1 KR 950006204Y1 KR 92027099 U KR92027099 U KR 92027099U KR 920027099 U KR920027099 U KR 920027099U KR 950006204 Y1 KR950006204 Y1 KR 950006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nut
pipe
chair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7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656U (ko
Inventor
유창근
Original Assignee
유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창근 filed Critical 유창근
Priority to KR92027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204Y1/ko
Priority to JP184093U priority patent/JPH0734615Y2/ja
Publication of KR9300176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6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2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회전의자의 전체 측면도.
제 2ab 도는 본 고안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써 (a) 도는 회전의자의 불착석시 상태를 보인 예식도, (b) 도는 회전의자의 착석시 상태를 보인 예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적용되는 너트클러치의 저면 분해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주요구성인 클러치부의 클러치판과 너트클러치 이맞물림 부위를 전개하여 보인 설명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리 20 : 좌판
1 : 지주파이프 2 : 실린더파이프
1a, 1b : 부싱 3 : 부싱
4 : 워셔 5 : 스프링
6 : 슬리브 7 : 슬러시트
8 : 클러치판 9 : 너트클러치
11 : 스크류축 8a : 클러치철부
9 : 클러치요홈 12 : 루버오링
본 고안은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임현상을 방지하고 조절위치가 변화되지 않으며,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좌판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 시키는 조절기구로서, 그러한 조절장치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테레스코픽방식(TELESCOPIC TYPE)과 스크류방식(SCREW TYPE)을 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의자의 좌판과 다리의 사이에 직립식으로 설치되어 좌판 설치의 높이를 제공하는 지주체에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목적하는 의자높낮이 조정을 이루게 하고 있다. 이러한 지주체는 통상 지주 파이프와 그 지주파이프내에 좌판을 떠받치며 자유로이 승강가능하게 끼워맞춤결합되는 실린더파이프로 구성되어 있고, 이의 지주체내에 조절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목적으로 높낮이 조정작업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조절장치는 지주체의 실린더파이프내에 스크류축 및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클러치기능과 이 클러치를 원상복귀 시키는 스프링등으로 이루는 기계요소를 구비하여 높낮이 조절을 이루게 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의자의 좌판에 착석하중이 가해질때와 가해지지 않을때의 하중값 차를 이용하여 상기 클러치기능에 의해 승강력전달이 단속되게한 것으로, 의자에 착석하중이 가해지면 실린더파이프가 하강됨과 동시에 스프링이 수축되면서 스크류축과 나사결합되어진 클러치구조가 해제 되면 너트클러치가 실린더파이프와 이완되어 좌판의 회전력이 너트클러치에 전달되지 않고 공회전되게 하여 의자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게하며, 반대로 의자에 사람이 앉지않은 상태, 즉 하중이 배제되었을 때에는 상기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하강되었던 실린더파이프가 원상복귀되면서 클러치구조를 결합되게함과 아울러, 너트클러치와 실린더파이프가 일체로 되어 좌판의 회전력이 실린더파이프를 통하여 너트클러치에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된 회전력은 너트클러치를 회전 시키어 그 너트클러치가 스크류축을 타고 상하로 승강이동되게 하여 목적하는 의자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들어 보면 일본국 실용신안공보소 55-34846 호 및 미국 특허 제 3,991,956 호들을 들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조절장치는 좌판에 착석하중이 배제된 상태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스프링이 복원력에 의해 실린더파이프를 상승 시키고 이러한 상승이동은 클러치구조가 결합되어 좌판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좌판의 회전력이 실린더파이프를 통하여 전달되어 너트클러치가 회전방향을 따라서 스크류축을 타고 상하로 승강하여 의자의 높낮이를 조정 시키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너트클러치가 스크류축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도달한 상태에서 좌판을 더 돌리게되면 너트클러치는 스크류축의 최상하단부에서 조임현상이 발생하여 이를 다시 풀어주어야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고, 또 이러한 조임력이 작용된 너트클러치의 풀음시 조임력 역방향으로 너트클러치에 순간충격을 주어 풀어주고 있는 것으로 기계요소에 무리를 주거나 파손의 요인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의자에 착석하중이 가해져 클러치구조가 해제되면 너트클러치는 자유한 상태로 놓여져 있는데, 이때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이 의자에 가해지면 스크류축과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클러치가 조정된 현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조금씩 유동되어 의자의 높낮이 조절위치를 변화시키어 의자에 앉을 때마다 그 조절높이가 안정되지 못한 결함이 있었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너트클러치와 스프링 사이에 개재되는 슬러시트의 하부에 워셔를 구비하고 너트클러치 내측에 상면으로 개방된 수납홈을 구성한 후, 이의 수납홈 상면으로 일부분이 튀쳐올라오도록 설치되는 루버오링을 설치하여서 상기 워셔를 통해 전달되는 스프링의 팽창압력으로 루버오링이 가압되면서 그의 내경의 수축시 발생하는 조임력으로 스크류축을 물어 너트클러치가 쉬웁게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조임구성 요소를 첨가한 회전의자의 승강조절장치로 국내 실용신안공번 91-5145 호의 예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승강조절장치는 클러치의 유동방지에는 다소 효과를 얻었으나 루버오링의 조임력이 불필요하게 크게 작용하여 높낮이 조절시 너트클러치의 승강조절이 부드럽지 못한 결함이 있고, 또한 너트클러치가 최상단 또는 최하단으로 이동 되었을시에 풀림에 제한이 있게 되어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에서와 같이 너트클러치(높이조절구)의 상측에 루버오링을 가압팽창시키기 위한 워셔(지지링)를 필수적으로 설치하여야하는 것이므로 기계적인 요소가 증가되고, 또 이러한 기계요소의 설치공간이 필연적으로 요구되어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결함이 있었을 뿐 아니라, 자재비와 조립공수가 많아져 생산성을 높이는데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 착석하중이 가해지고 가해지지않는 것에 의하여 루버오링의 가압팽창값을 달리 가지고 있으므로 그이 조임력 또한 착석하중 작용에 따라 다소의 차이를 가지게 되어 착석하중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루버오링의 조임상태가 풀어져 외력이 가해졌을 시에는 스크류축에서 너트클러치가 조금씩 움직이고 이러한 움직임은 조절위치가 변화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스크류축(볼트)과 결합되는 너트에 마찰저항이 큰 링(합성수지)을 개입하여 너트의 풀림을 억제하는 자동차용풀림 멈춤육각너트도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근래예와 상기에서와 같은 구성에서 스크류축에 나사결합되는 너트클러치의 내측 중앙부에 요홈을 설치하고 이의 요홈에 고무링을 끼워넣는 간단한 구성으로 높낮이 조절기능이 원할 하도록하는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본원이 선출한 바도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너트클러치의 조임현상이 일어나지않는 간단하고도 효과적인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의자의 높낮이 조정위치가 정확히 유지되는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 요소를 간소화하여 제작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고장요인을 배제하여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의자의 좌판 높낮이 조절, 즉 클러치를 사용하도록된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조절장치는 자유로이 신장, 수축가능하게 끼워맞춤결합되고 중앙에 스크류축을 가지는 지주파이프와 실린더파이프를 갖고있고, 이의 실린더파이프내에 제 1 및 제 2 스프링, 슬리브, 슬러시트와 의자의 높낮이 조절동력전달을 단속하는 클러치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유니트는 또한 너트클러치와 클러치판으로 구성된다. 너트클러치는 요홈에 수직부와 경사부가 설치되며, 이의 수직부와 경사부가 만나는 부위에 이상외력이 작용시 미끄럼을 발생시키어 클러치기능을 자동적으로 해제시키는 둔각의 모서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너트클러치내에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쳄버를 구성하고 이 쳄버내에 스크류축을 물어주어 너트클러치를 유지하는 러버오링(RUBBER ORING)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너트클러치의 조임현상을 방지하고 조정위치를 안정되고도 견고히 고정유지 하게 된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 1 도에는 본 고안 높낮이 조절장치가 설치된 회전의자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의 의자는 세 개 또는 네 개의 발을 가지는 다리(10)와 등받이를 구비한 좌판(20)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의 다리와 좌판의 사이에 지주파이프(1)와 실린더파이프(2)로 구성되어 좌판의 착석높이를 제공하는 지주체를 개재하여 의자의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회전의자의 지주체에 조절장치가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목적하는 의자의 높낮이 조절작업을 이루게 할 것이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서는 조절장치의 구조에 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다리(10)중앙 상면에 수직상으로 고정설치되는 대략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주파이프(1)내에다 상부 끝단 일부분을 상향으로 가며 점차 좁아져 테이퍼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21)에 좌판(20)이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어 얹혀져 있는 실린더파이프(2)가 자유로이 승강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렇게 설치되는 실린더파이프(2)내에 상측으로 부터 제 1 스프링(51), 부싱(3), 워셔(4) 및 제 2 스프링(52)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제 2 스프링(52)의 하부측으로는 슬리브(6)와 슬러시트(7)가 역시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실린더파이프(2)상측에 내장되어 있는 제 1 스프링(51)은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작용을 이루어 지주체 상하단의 접합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로 줄이는 완화작용을 이루게 될 것이다.
또 상기 슬러시트(7)의 하부에는 실린더파이프(2)내 하단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클러치판(8)과 착탈가능하게 이맞물림되는 너트클러치(9)가 스크류축(11)에 나사결합식으로 설치되고, 스크류축(11)은 그 하단과 상단이 부싱(1a)(1b)을 이용하여 지주파이프(1)와 실린더파이프(2)사이에 걸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다시 설명하면 스크류축(11)의 상단은 실린더파이프(2)내 중간 상부축에 설치되는 와셔(4)와 한몸으로 고정되는 부싱(1b)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춤결합되며, 그의 하단은 지주파이프(1)내 하부에 설치된 부싱(1a)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슬리브(6)와 너트클러치(9) 사이에 설치되는 슬러시트(7)는 슬리브와 너트클러치 상호간 간섭을 받지 않게하는 미끄럼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실린더파이프(2)내의 부싱(3)과 슬리브(6)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스프링(52)은 지주파이프(1)내 상측에 설치되는 와셔(4)를 떠받쳐 착석하중을 배제한 좌판의 자중을 밀어올림과 동시에, 클러치판(8)을 너트클러치(9)와 결합시키는 적당한 상향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스프링은 의자의 좌판에 착석하중이 가해지면 수축되고 착석하중이 제거되면 원상복귀, 다시설명하면 스프링이 신장되면서 지지파이프를 자동적으로 떠밀어 올려 이후에 설명할 의자의 착석높이를 조절하기위한 너트클러치(9)와 클러치판(8)의 이맞물림결합력을 제공할 것이다.
한편 상기 너트클러치(9)내부, 즉 나선이 구비되어 있는 내주벽 상부측에는 내향으로 개방되고 적당한 크기의 사각공간을 구성하여 대략 원형링형상의 루버오링(12)을 수용하는 쳄버(9a)를 구성하고 있다. 이때 루버오링(12)은 쳄버내 주벽에 긴밀히 삽입되는 굵기를 가지고 있고, 그의 루버오링의 외경은 쳄버의 주벽과 거의 동일한 지름을 가지며, 내경은 스크류축(11)의 외경보다 다소 적은 지름을 가지고 스크류축이 억지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게 하고 있다. 이때 루버오링(12)은 적당한 완충성을 가지고 스크류축(11)을 수용하면서 스크류축의 치산을 깊숙히 받아들여 스크류축의 치산과 가능한 넓은면적으로 면접촉되어 스크류축을 일정한 가압력을 가지고 안정된 물음력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너트클러치(9)의 상면에는 스프링(5)과 슬리브(6) 및 슬러시트(7)가 탑재되는 면적부를 가지고 이들을 떠받치는 받침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떠받침력은 의자의 좌판 높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조절장치의 너트클러치(9)가 스크류축(11) 그 어는 한 점에 정지되어 있는 위치로하여 좌판의 착석높이를 제공함과 아울러, 착석하중을 수용하는 것으로 그 너트클러치는 가능한 강도가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제 4 도에는 조절장치의 주요구성 요소인 클러치판(8)과 너트클러치(9)의 상호 결합구조에 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너트클러치(9)의 저면에 적당한 간격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이상의 요홈(91)을 가지고 있고, 이의 요홈(91) 양측 주벽에 수직부(911)와 경사부(9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요홈(91)의 수직부(911)는 너트클러치의 요홈 전장길이의 약 3/1높이를 가지고 있으며, 그 이외의 3/2는 경사부(912)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되는 요홈(9)은 클러치판(8)의 상면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철부(8a)가 이맞물림결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여 클러치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요홈(91)은 수직 및 경사부(911), (912)로 구성되고, 이의 수직 및 경사부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 둔각의 모서리(913)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모서리(913)는 클러치판(8) 상면에 상기 요홈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반원호상 철부(8a)의 정점이하 적당한 위치에 접촉되어 그 철부(8a)와 가능한 적은 마찰계수를 갖는 선 접촉을 제공할 것이다. 이때 모서리(913)와 철부(8a)사이에서 발생하는 선 접촉은 너트클러치(9)에 가해지는 이상외력 보다는 적은 접착력을 제공할 것이다.
제 4a 도의 경우는 클러치판(8)과 너트클러치(9)가 상호 결합되어 너트클러치(9)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때에는 좌판에 착석하중이 배제되고 실린더파이프(2)가 스프링(5)의 원상복귀력에 의해 상승하여 실린더파이프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클러치판(8)과 너트클러치(9)가 상호결합되어 좌판에 회전력을 가하면 그 회전력이 실린더파이프와 클러치판을 통해 너트클러치로 전달되어 목적하는 의자의 높낮이 조정작업을 이루게될 것이다. 이때 요홈(91)내의 모서리(913)와 클러치판(8)의 철부(8a) 사이에서 발생하는 접찰력보다 다소큰 회전력이 클러치판(8)에 전달되면 너트클러치(9)는 클러치판 철부의 만곡면을 타고 미끄러져 올라간다. 이러한 미끄럼 현상은 클러치의 철부에서 제공되는 높이에 의해 제 4b 도에서와 같이 너트클러치(9)를 상향으로 밀어올려 클러치기능이 자동적으로 해제되게 하였다. 이렇게 발생하는 클러치 해제동작은 조절장치에 무리, 즉 너트클러치(9)가 스크류측(11)의 최상하단에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의자를 불필요하게 더 돌리어 클러치구조에 조임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요홈(91)내에 구비되는 경사부(912)는 약 45°가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면 제 2 도 및 제 4 도는 참조하여 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작동에 관해 설명하겠다. 제 2b 도는 의자에 사람이 앉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로서, 착석자가 앉지 않을 때에는 착석하중이 작용되지 않아 실린더파이프(2)가 제 2 스프링(52)의 팽창력에 의해 상승되어 실린더파이프(2)의 하단에 구비된 클러치판(8)과 너트클러치(9)가 결합되어 목적하는 의자 높낮이 조정작업을 이루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a 도 상태에서와 같이 클러치판(8)과 너트클러치(9)가 상호결합되어 의자의 좌판을 좌우로 회전시키게 되면 좌판에 가해진 회전력은 실린더파이프(2)를 통해 클러치판(8)에 전달되고 이렇게 클러치판에 전달된 회전력은 클러치판과 이 맞물림결합되어 있는 너트클러치를 그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너트클러치 나사조립 방법으로 조립되어 있는 스크류축(11)을 타고 오르고 내리어 목적하는 높낮이 조정작업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제 2b 도는 좌판상에 착석하중이 작용한 상태의 경우를 보인 것으로, 좌판상에 착석하중이 가해지면 실린더파이프(2)는 하향으로 내려간다. 이러한 하강은 실린더파이프(2)의 하단에 구비되는 클러치판(8)이 너트클러치(9)와 분리되고 이의 너트클러치(9) 상면으로는 실린더파이프(2)를 통해 전달되는 착석하중이 스프링(5)과 슬리브(6), 그리고 슬러시트(7)로 전달되어 그 착석하중이 너트클러치상에 실어지고 의자의 착석위치를 너트클러치가 잡아주게 된다. 이때 스프링(5)은 신장되어 있던 상태에서 착석하중에 의해 수축되어 와셔(4)와 슬리브(6) 사이에서 간격유지부재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착석하중을 너트클러치상으로 직접 전달한다.
이와같은 상태, 즉 좌판에 착석하중이 작용시에는 실린더파이프가 회전되어도 클러치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실린더파이프가 공회전만 하게되어 착석자가 있는 상태에서 회전할 때에는 높낮이 조절동작이 되지 않는다. 이때 착석하중이 슬러시트(7)를 통해 너트클러치(9)에 집중적으로 전달되게 되는데, 이의 슬러시트와 너트클러치 사이에서 착석하중으로 인하여 상호 접찰력이 작용하고 이러한 접착력은 실린더파이프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너트클러치에 전달시키어 너트클러치를 유동시키려하나, 너트클러치(9)의 쳄버(9a)내에 수납되어 있는 루버오링(12)의 물음력이 상기 접찰력보다는 다소크게 작용하여 너트클러치가 착석하중이나 외력에 의해 쉬웁게 움직이지 않고 그의 조정위치를 잡아주게 되므로 높낮이 조절위치를 안정되고도 견고히 고정유지시키게 된다.
또 너트클러치의 내측에 루버오링을 수납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스크류축에 제동력을 가할 수 있게 하므로서 종전에 너트금구 표면에 고무링과 워셔등 다수의 기계요소가 요구되던 것에 비하여 부품수와 제작공정 및 수공을 줄이고 원가절감과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클러치한(8)과 너트클러치(9)의 클러치기능으로 하여 높낮이 조정을 위한 동력전달을 단속함과 아울러, 그 너트클러치(9)의 요홈(91)내에 수직부(911)와 경사부(912)를 구비하고 이들이 서로 만나는 지점에 모서리부(913)을 구비하여 소정이상의 부하, 즉 의자의 높낮이조정시 사용자가 부주의로 너트클러치(9)가 스크류축(11) 최상단에 도달한 상태에서 좌판을 더 들리는 이상외력이 작용시 너트클러치(9)의 요홈(91)내에 구비되어 있는 수직 및 경사부(911), (912)에 의해 클러치판(8)의 철부(8a)에 미끄럼현상이 일어나게 하여서 너트클러치와 클러치판이 자동적으로 분리되게한 것으로, 너트클러치의 조임현상을 완전방지하고 따라서 너트클러치를 되풀어 주어야하는 문제점을 제거할 뿐 아니라, 되풀음시 지주체의 접합부에 충격이 전달되어 기계요소의 고장 또는 파손의 우려를 완전방지하여 제품성을 향상 시킴은 물론 사용수명을 연장 시키게되는 효과가 있다.
제 5 도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부호에 "100"을 첨가하여 표시하였다. 두실시예 간의차이점은 좌판(20)을 떠받치는 지주체중 실린더파이프(102)의 상부 끝단부에 구비되는 삽입부(121)를 상기 실시예와 같이 테이퍼형상으로 이루지 않고 실린더파이프(102)의 외경 그대로 연장하여 직관형상으로 구성하고 이의 내에 제 1 스프링(151)을 설치하고 있다는 것이 다르다는데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린더파이프(102)의 상부 끝단부에 구비되는 삽입부(121)에 좌판(120)을 끼워맞춤결합하여 탑재 시키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재된 바와같은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다리(10)와 좌판(20)의 사이에 지주파이프(1)와 실린더파이프(2)로 신장, 수축 가능하게 끼워맞춤결합되어 구성되는 지주체를 개재하고, 이의 지주체중 실린더파이프(2)내 상측으로부터 제 1 스프링(51), 부싱(3), 워셔(4), 제 2 스프링(52), 슬리브(6) 및 슬러시트(7)가 설치되며, 이들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지주파이프와 실린더파이프에 걸쳐 설치되는 스크류축(11)에 좌판에 착석하중이 가해지고 가해지지 않는 것에 따라 요홈(91)과 철부(8a)가 결합, 해제되는 클러치유니트를 구비하여서된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유니트의 너트클러치(9) 요홈(91)에 수직부(911)와, 클러치판(8)의 철부(8a)가 이상외력이 작용시 미끄럼을 제공하여 클러치유니트를 해제시키고 너트클러치가 공회전되게하는 경사부(912)를 갖추어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유니트의 너트클러치 내측주벽에 제한된 크기의 공간을 제공하는 쳄버(9a)를 구성하고, 이의 쳄버(9a)내에 적당한 완충성을 가지고 긴밀히 삽입되어 스크류축의 치산에 가능한 넓은 접촉면적을 제공하여 너트클러치가 외력에 의해 유동되지 않게하는 루버오링(12)을 갖춘 것을 포함하는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요홈(91)의 경사부(912) 구배를 40°에서 50°내에 가지도록한 것을 포함하는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911)와 경사부(912)가 서로만나는 지점에 모서리부(913)를 구비하여 클러치판의 철부(8a)와 선접촉되게한 것을 포함하는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92027099U 1992-01-28 1992-12-29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950006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7099U KR950006204Y1 (ko) 1992-01-28 1992-12-29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JP184093U JPH0734615Y2 (ja) 1992-01-28 1993-01-27 回転椅子の高さの高低調節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1231A KR940003389B1 (ko) 1992-01-28 1992-01-28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주파수특성 개선회로
KR92027099U KR950006204Y1 (ko) 1992-01-28 1992-12-29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656U KR930017656U (ko) 1993-08-20
KR950006204Y1 true KR950006204Y1 (ko) 1995-08-04

Family

ID=193284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1231A KR940003389B1 (ko) 1992-01-28 1992-01-28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주파수특성 개선회로
KR92027099U KR950006204Y1 (ko) 1992-01-28 1992-12-29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1231A KR940003389B1 (ko) 1992-01-28 1992-01-28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주파수특성 개선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400033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84360A (zh) * 2014-10-17 2016-10-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折叠式车辆座椅
KR20190061405A (ko) * 2017-11-28 2019-06-05 곽범용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536B1 (ko) * 2001-08-28 2004-08-04 이종환 회전의자의 작동레버 설치구조
KR100890156B1 (ko) * 2008-10-08 2009-03-20 김문구 잭서포트 정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84360A (zh) * 2014-10-17 2016-10-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折叠式车辆座椅
US9475407B2 (en) 2014-10-17 2016-10-25 Hyundai Motor Company Folding vehicle seat
CN105984360B (zh) * 2014-10-17 2019-04-1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折叠式车辆座椅
KR20190061405A (ko) * 2017-11-28 2019-06-05 곽범용 설치가 용이한 조절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656U (ko) 1993-08-20
KR940003389B1 (ko) 199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9147A (en) Friction pivot assembly
US5556170A (en) Sleeve structure of an office chair
KR950006204Y1 (ko)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US5823699A (en) Post height adjustment for dental equipment
US7597295B2 (en) Furniture stabilizer
US6142570A (en) Ergonomic arm support
WO2002096240A1 (en) Seating unit for supporting a body or part of a body
CA2129687C (en) Chair seat back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5881980A (en) Leg assembly
US5816556A (en) Adjustable chair stand
KR20180117787A (ko) 높낮이 조절식 가구용 받침다리
CN220205043U (zh) 一种燃气管道支撑保护结构
CN210370469U (zh) 一种梯子平衡辅助器
CN221410820U (zh) 一种高防滑的家具配件扶手脚
JPH0734615Y2 (ja) 回転椅子の高さの高低調節装置
KR960001430Y1 (ko) 회전의자 높이 조절장치
CN219437981U (zh) 一种钓台支脚快速锁紧结构
KR0133264Y1 (ko) 높이 조절 가능한 회전의자의 좌판 원복 장치
CN221012584U (zh) 一种带摇摆功能的椅子托盘
KR920005129Y1 (ko) 의자 지지축
CN215273989U (zh) 脚踏板及轮椅
CA2471915C (en) Adjustable grommet for a chair seat
KR960005550Y1 (ko)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950002784Y1 (ko) 회전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JPS6220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