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974B1 -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여러가지 착신음 발생 장치를 내장한 전화기 - Google Patents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여러가지 착신음 발생 장치를 내장한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974B1
KR950005974B1 KR1019920005698A KR920005698A KR950005974B1 KR 950005974 B1 KR950005974 B1 KR 950005974B1 KR 1019920005698 A KR1019920005698 A KR 1019920005698A KR 920005698 A KR920005698 A KR 920005698A KR 950005974 B1 KR950005974 B1 KR 950005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tone
ring tone
generating
inco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778A (ko
Inventor
오재덕
Original Assignee
대우통신주식회사
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통신주식회사, 박성규 filed Critical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5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974B1/ko
Publication of KR930022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여러가지 착신음 발생 장치를 내장한 전화기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여러가지 착신음 발생장치를 내장한 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요부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구성으로 된 장치의 착신음 변경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제3도는 제1도의 구성으로 된 장치의 착신음 출력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제4도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내의 여러가지 형태의 음색의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다수의 착신음 발생 장치를 내장한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 콘트롤러(10)를 내장한 전화기에서 별도의 하드웨어 부담이 없이 소프트웨어만으로 다양하게 착신음을 변경, 발생시킬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화기의 착신을 발생 회로의 출력을 적절하게 감쇄시킴으로써 착신음의 음량을 조절할 수가 있었으나 착신음의 음색은 발생 회로에 따라 한가지로 고정되어있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없고, 한 장소에서 여러대의 전화기를 여러개의 국선에 연결해서 사용할 경우 착신표시 회로가 없으면 착신 국선을 구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을로서, 마이크로 콘트롤러(10)내에 다양한 음색의 톤을 발생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사용자는 여러가지 내장톤중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착신음을 쓸수 있도록 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여러가지 착신음 발생 장치를 내장한 전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여러가지 착신음 발생 장치를 내장한 전화기는 선택 가능한 다수의 착신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된 착신음 발생 장치를 내장한 전화기에 있어서,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여러 형태의 착신음을 키패드의 숫자키에 각각 대응시킨 입력수단, 이 입력수단에 의해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수단, 국선 신호를 감지하는 착신감지수단, 상기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착신음을 발생시키는 톤 발생수단, 착신 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착신 상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착신감지 수단에 의해 착신 상태가 감지되게 되면 상기 착신 상태 표시 수단을 구동함과 더불어 상기 기억수단에 설정되어 있는 음성 테이프를 근거로 상기 톤 발생수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여러가지 착신음 발생장치를 내장한 전화기의 내구 구성을 나타낸 블럭구성도로, 동도면에서 참조번호 14는 국선에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 오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착신감지부이고, 12는 착신 상태를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알리기 위한 착신상태표시단, 15는 착신음 종류를 다이알 키의 십진수(0-9)에 대응시킨 입력단(키패드), 13은 사용자가 상기 입단(15)을 통해 선택한 착신음의 출력 파형을 데이터로 저장하는 E2RPOM 등으로 구성된 기억 장치부, 11는 착신음을 출력하기 위한 부저를 포함하여 구성된 톤 발생단, 10은 상기 착신감지부(14)에 의해 착신 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착신상태 표시단(12)을 구동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더불어, 상기 기억장치부(1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톤 발생단(11)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장치로서의 마이크로 콘트롤러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착신음을 변경 설정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0)는 현재 전화선로가 사용중인 아님 즉, 후크 스위치가 온(ON) 상태로 있음으로써 외부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파단(ST1)하여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 수 있는 대기 상태이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입력단(15)에 설치된 버튼이 눌려졌는지를 확인(ST2)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착신음 변경 버튼이 눌려지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0)는 그 동작 모드가 착신음 변경 모드로 전환(ST3)되게 되며, 사용자가 기패드에 설치된 각각의 숫자 버튼에 대응되는 여러 형태의 착신음 가운데 하나를 설정하였는지를 판단(ST4)하여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착신음이 설정되게 되면 상기 톤 발생부(11)를 소정 시간만큼 시험적으로 동작(ST5)시켜 선택된 착신음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지를 확인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0)는 착신음 변경 모드로 전환된 뒤 아무런 키 입력이 없는 상태로 소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점검(ST41)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착신음 변경 모드를 자동으로 해제(ST41)하고 초기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후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입력단(15)에 설치된 착신음 변경 완료 버튼이 눌려졌는지를 확인(ST6)하여 착신음 변경 완료 버튼이 눌려지게 되면 착신음 변경 모드를 해제(ST7)하고 변경된 착신음에 데이터를 내부에 자체막 설치된 메모리에 변경 설정(ST8)하게 된다.
또한 ST61∼ST62는 상기 ST41∼ST42에서와 같이 아무런 키 입력이 없는 경우 초기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단계이다.
이하, 상기한 과정을 통하여 설정된 착신음이 출력되는 동작을 제3도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0)는 상기 착신 감지부(14)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 있는지의 여부 즉, 착신 상태인가를 판단(ST10)하여, 착신상태이면 상기 기억 장치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착신음에 대한 데이터를 독출(ST20) 이를 근거로 상기 톤 발생부(11)를 구동(ST30)함으로써, 착신음을 발생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어 걸려 온 전화를 받게 됨에 따라 후크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오프되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0)는 이를 판단(ST40)하여 상기 톤 발생부(11)의 구동을 정지(ST50)시키게 된다.
상기한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0)의 톤음량 조절단은 착신음의 음량을 "하이" 또는 "로우"로 톤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즉, 마이크로 콘트롤러(10)에서 "하이' 신호가 인가되면 저항(R2)을 통해 트랜지스터(Q2)를 도통시켜 큰 음량이 출력되고, "로우"신호가 인가되면 트랜지스터(Q2)는 오프되어 저항(R3)을 통하여 때문에 작은 음량이 출력되게 된다.
상기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이크로 콘트롤러(10)에 내장된 음색의 톤은 톤파형 출력단에서 하이레벨의 펄스폭 또는 로우레벨의 펄스폭 크기만큼 저항(R1)을 통해 출력되고 트랜지스터(Q1)을 "온", "오프시"시키면서 제4도에 도시된 음색의 톤을 결정하여 부저를 통해 출력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0)는 이와 동시에 착신 상태 표시부(12)를 소정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바, 저항(R4-R15)과 발광다이오드(D1-D12)를 작동시켜 착신음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한편, 착신 상태표시부(12)의 표시 방식을 각각의 전화기마다 다르게 설정해 놓게 되면 더욱 분명히 착신 상태를 청각적 및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마이크로 콘트롤러(10)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2도의 회로만으로도 복잡한 음색의 착신음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여러가지 내장 톤중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착신음을 선택하여 쓸수 있으며 여러개의 국선에 연결해서 사용할 경우 착신음의 음색 및 가시적인 표시의 차이에 의해 착신국선을 구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

  1. 선택 가능한 다수의 착신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된 착신음 발생 장치를 내장한 전화기에 있어서,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여러 형태의 착신음을 키패드의 숫자키에 각각 대응시킨 입력수단, 이 입력수단에 의해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수단, 국선 신호를 감지하는 착신감지수단, 상기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착신음을 발생시키는 톤 발생수단, 착신 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착신 상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착신감지 수단에 의해 착신 상태가 감지되게 되면 상기 착신 상태 표시 수단을 구동함과 더불어 상기 기억수단에 설정되어 있는 음성 테이프를 근거로 상기 톤 발생수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여러가지 착신음 발생 장치를 내장한 전화기.
KR1019920005698A 1992-04-06 1992-04-06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여러가지 착신음 발생 장치를 내장한 전화기 KR950005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5698A KR950005974B1 (ko) 1992-04-06 1992-04-06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여러가지 착신음 발생 장치를 내장한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5698A KR950005974B1 (ko) 1992-04-06 1992-04-06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여러가지 착신음 발생 장치를 내장한 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778A KR930022778A (ko) 1993-11-24
KR950005974B1 true KR950005974B1 (ko) 1995-06-07

Family

ID=19331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5698A KR950005974B1 (ko) 1992-04-06 1992-04-06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여러가지 착신음 발생 장치를 내장한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9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778A (ko) 199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2576A (en) Telephone answering device linking displayed data with recorded audio message
EP0502617B1 (en) Portable telephone
CN1086539C (zh) 呼叫提醒和自动拨号的方法
US6442249B1 (en) Telephone call screening unit
US64773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uitive audio keypad navig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2122517A1 (en) Telephone apparatus with caller identification
US4324954A (en) Dialing circuits and methods for electronic telephone sets
US4008380A (en) Telephone conversion unit with multiple memory system
US5317545A (en) Telephone timer apparatus
KR950005974B1 (ko)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여러가지 착신음 발생 장치를 내장한 전화기
US5373488A (en) Telephone alarm
GB2308038A (en) Calling line identification
CA2144744A1 (en) Circuit and method for automatic memory dialing
JPH05235830A (ja) 携帯用通信端末
US4856056A (en) Apparatus for timely controlling the sound characteristic of a signaling means of a voice communication device
JPH1042008A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7251321B2 (en) Crescendo telephone ringer
JP3046608B2 (ja) データ通信装置
US4847895A (en) Controllable annunciator using ring signal
KR950022567A (ko) 통신기기의 지역번호 자동선택/송출방법 및 그 장치
KR970011409B1 (ko) 병렬연결 전화기를 이용한 전화번호 저장장치 및 그 방법
KR0124181B1 (ko) 전화번호 저장영역의 비사용 번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11552U (ko) 진동 모드에서 전화벨 모드로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통신기기
JPH0733477Y2 (ja) ト−ンダイヤラ
KR960039802A (ko) 동시 통화 방지용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