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854Y1 - 정량 배출 용기 - Google Patents
정량 배출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5854Y1 KR950005854Y1 KR2019930005265U KR930005265U KR950005854Y1 KR 950005854 Y1 KR950005854 Y1 KR 950005854Y1 KR 2019930005265 U KR2019930005265 U KR 2019930005265U KR 930005265 U KR930005265 U KR 930005265U KR 950005854 Y1 KR950005854 Y1 KR 95000585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er
- auxiliary cap
- compartment
- contents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작용 표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량 배출용기 2 : 통체
3 : 뚜껑 4 : 배출구
5 : 정량 조절구 6 : 요입부
7 : 개구부 8 : 함실
9 : 안치턱 10 : 보조캡
11 : 함실
본 고안은 주로 커피나 프리마, 설탕등 분말상으로 된 각종 차(茶) 종류나 간장, 식초등 액상의 양념류를 장입하는 정량 배출용기를 새로운 구조로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사용시 용기를 들고 거꾸로 뒤집으면 내용물이 일정량 만큼만 배출될 수 있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일층 개선한 것이다.
종래의 각종 차종류나 양념류는 주로 일정 용기에 담았다가 필요시는 뚜껑을 열어서 티스푼이나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여 일정량 만큼만 퍼내므로서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필요한 양만큼만 정확히 퍼내기가 어려운 등의 불편함이 따랐으며, 또한 스푼등을 사용하지 않고 적당히 부어서 조절할 경우는 분말상으로 된 각종 차종류나 양념류가 과도히 배출되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통체와 뚜껑 사이에 별도의 정량 조절구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시는 손으로 통체를 잡고 뒤집으면 정량 조절구의 함실에 남아 있는 분말이 하부로 떨어져 1회 사용시는 일정양 만큼만 배출되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일층 개선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체(2)의 상측에 배출구(4)를 갖는 뚜껑(3)을 결합한 통상의 분상물 용기에 있어서, 통체(2)의 상측에 함실(11)을 갖는 보조캡(10)과 정량 조절구(5)를 결합하되, 상기 정량 조절구(5)의 내측에는 함실(8)을 형성하고 이의 중앙부에는형 개구부(7)를 개구하며 외측으로는 환형 요입부(6) 및 안치턱(9)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보조캡(10)이 인치턱(9)에 안치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제 1 도와 같이 뚜껑(3)과 보조캡(10) 및 정량 조절구(5)를 분리하여 통체(2) 내부에 커피나 프리마, 설탕등의 차(茶)종류나 각종 분말상의 양념을 내입하여 순서적으로 결합한 다음 사용하는 것으로 즉 최초에는 정량 배출용기(1)를 잡고 거꾸로 뒤집으면 통체 내부(2)의 분말상으로 된 차(茶) 또는 양념이 정량 조절구(5)의 개구부(7)를 통하여 보조캡(10)의 함실(11)에 모여지게 되는 바, 통체(2)를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키면 제 2 도와 같이 분말상의 내용물이 보조캡(10)의 내측에 형성된 요입부(6)를 통해 함실(8)에 모여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캡(10)을 요입부(6)의 측방에 돌설된 안치턱(9)에 안치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이 요입부(6)를 통해 함실(8) 내부에 용이하게 모여지며, 특히 통체(2) 내부의 내용물은 자체 무게에 의해 통체(2)를 기울이면 개구부(7)를 통해 다시 통체(2)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환형 요입부(6)를 통해 함실(8) 내부에 모여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1)를 다시 뒤집으면 제 3 도와 같이 함실(8) 내부에 모여 있던 내용물은 역시 자체의 무게에 의해 요입부(6)를 통해 보조캡(10)의 함실(11)에 들어가지 못하고 보조캡(10)의 외주연부를 타고 뚜껑(3)의 배출구(4) 쪽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며 이와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통체(2) 내부의 내용물은 정량 조절구(5)의 개구부(7)를 통해 보조 캡(10)의 함실(11)로 모여지게 되는바, 내용물의 배출을 촉진시키기 위해 뚜껑(3)의 평면을 경사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이 배출구(4)로 이송되기가 매우 용이한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필요한 양(즉 티스푼의 1회 기준양)만큼 통체(2)를 뒤집었다가 세우면 정확한 양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각종 차를 탈 경우나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매우 편리하고 간편하게 내용물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으며, 특히 별도의 계량장치가 없어도 정확한 양의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어서 주로 가정의 주방용이나 사무실용 및 업소용 정량 배출 용기로서 매우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 통체(2)의 상측에 배출구(4)를 갖는 뚜껑(3)을 결합한 통상의 분상물 또는 액상물 용기에 있어서, 통체(2)의 상측에 함실(11)을 갖는 보조 캡(10)과 정량 조절구(5)를 결합하되, 정량 조절구(5)의 내측에는 함실(8)을 형성하고 중앙부에는형으로 된 개구부(7)를 개구하며 이의 외측에는 요입부(6) 및 안치턱(9)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보조캡(10)의 하부가 안치턱(9)에 안치되게 하여서 된 정량 배출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05265U KR950005854Y1 (ko) | 1993-03-31 | 1993-03-31 | 정량 배출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05265U KR950005854Y1 (ko) | 1993-03-31 | 1993-03-31 | 정량 배출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21921U KR940021921U (ko) | 1994-10-19 |
KR950005854Y1 true KR950005854Y1 (ko) | 1995-07-21 |
Family
ID=1935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30005265U KR950005854Y1 (ko) | 1993-03-31 | 1993-03-31 | 정량 배출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50005854Y1 (ko) |
-
1993
- 1993-03-31 KR KR2019930005265U patent/KR950005854Y1/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21921U (ko) | 1994-1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67903A (en) | Apparatus for dispensing measured amounts of granular product | |
US5465871A (en) | Spice jar and associated dispenser cap | |
CN105253446B (zh) | 带有防滴漏盖帽的容器 | |
KR900000264B1 (ko) | 주둥이가 있는 분배 용기 및 그 뚜껑 | |
US8028865B2 (en) | Two-way dispenser cap with metered and unmetered selection | |
US20090200342A1 (en) | Metered dosage dispenser closure for powders | |
CA2378290A1 (en) | Dispensing cap with internal measuring chamber | |
US11105671B2 (en) | Device for storage and dosage of a powder or a liquid | |
US20100012683A1 (en) | Powder dispenser | |
KR950005854Y1 (ko) | 정량 배출 용기 | |
US3526313A (en) | Food container and serving accessories | |
CN215099323U (zh) | 出料盖体组件和容器 | |
US6419130B1 (en) | Container for dispensing a small amount of the contents | |
JPH01223906A (ja) | ティーバッグ用湯のみ | |
CN218200036U (zh) | 集包装与搅拌为一体的固体饮料锤形包装搅拌用具 | |
KR200237432Y1 (ko) | 정량 배출식 분말케이스 | |
JP2005153938A (ja) | 計量機能付き粉末容器 | |
US4149660A (en) | Dial dispenser and canister | |
CN2186719Y (zh) | 可调盛物取物器 | |
KR200181285Y1 (ko) | 계량컵이 부착된 용기 캡 | |
WO1994026612A3 (de) | Dosierverschluss | |
CN211324577U (zh) | 婴幼儿专用调味盐盐瓶 | |
JP2024006833A (ja) | 計量容器 | |
JPH0137485Y2 (ko) | ||
KR930001057Y1 (ko) | 계량용기가 일체로 형성된 포장용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O032 |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O061 | Decision on refusal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