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788B1 - 고온액상체에 각종물질을 주입시켜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 Google Patents

고온액상체에 각종물질을 주입시켜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788B1
KR950005788B1 KR1019880700245A KR880700245A KR950005788B1 KR 950005788 B1 KR950005788 B1 KR 950005788B1 KR 1019880700245 A KR1019880700245 A KR 1019880700245A KR 880700245 A KR880700245 A KR 880700245A KR 950005788 B1 KR950005788 B1 KR 950005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lock
nozzle
web
injection
nozz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1782A (ko
Inventor
윌리암 베이츠 케니쓰
윌리암 컫비 조세프
로날드 딕슨 피터
Original Assignee
인젝탈 리미티드
데맄 클라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젝탈 리미티드, 데맄 클라크 filed Critical 인젝탈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GB1987/000462 external-priority patent/WO1988000247A1/en
Publication of KR88070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1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72Treatment with ga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온액상체에 각종물질을 주입시켜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제1노즐폐쇄수단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노즐블럭의 단면도.
제2도는 제2노즐폐쇄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노즐블럭의 부분단면도.
제3도는 제3노즐폐쇄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노즐블럭의 부분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노즐블럭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X-X선을 따른 노즐불럭의 확대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블럭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고온의 액상체에다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주기 위한 노즐조립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성(鎔銖)이나 용강(鎔鋼)과 같이 취급하기 위험한 용탕과 같은 액상체에다 가스, 분말혼합가스 또는 이 가스와 함께 고형물질을 주입시켜 주는데 쓰여지는 노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고온의 액상체에 여러가지 물질을 주입시켜 주는 목적은 본 출원인이 기히 국제특허 출원하여 공개된WO84/2147호의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용탕에다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주는 여러가지 이유가 제시되어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국제특허공개 WO84/2147호와 마찬가지로 용탕이 채워진 용기의 벽을 통해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 주는데 쓰여지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는 용기의 바닥이나 측벽을 통해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주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장치는, 용기의 벽에 설치될 수 있도록 주입통로가 관통형성되면서 주입작업이 개시되기전에는 이 주입통로로 용탕이 주입되어지지 않도록 공급부위인 용탕쪽 주입통로의 끝이 폐쇄되어진 내화재질의 노즐블럭과, 랜스(lance)조립체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주입통로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공급파이프 및, 상기 주입통로를 폐쇄시켜 주기 위해 그 한쏙끝에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폐쇄부재를 제거 또는 파손시키기 위해 상기 공급파이프를 주입통로 끝쪽으로 밀어 넣어주는 압입수단을 갖춘 것으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파이프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특별한 장치에서는 용탕에 어떤 물질을 주입시켜 주기위해 주입통로를 개방시켜 주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쇳물바가지와 같은 용기는 작업자가 주입물질을 주입하기에 앞서 용탕으로 채워지게 되므로, 특히 점성이 적은 용탕일 경우 노즐폐쇄부재가 끼워져 있더라도 상기 주입통로로 용탕이 스며들어 유입되는 경우가 있게 되고, 또 만일 용량이 용선일 경우에는 용탕이 주입통로로 유입되어져 폐쇄부재와 노즐블럭사이의 이음매를 따라 누출 된다던가 심지어는 폐쇄부재 자체로 스며들어 관통되면서 누출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용탕이 폐쇄부재를 우회해서 누출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첫째, 공급파이프는 대체로 주입작업이 시작되기 전에는 폐쇄부재의 뒷쪽 가까이에 위치해 있게 되는데, 만일 용탕이 상기 공급파이프로 유입되게 되면, 이 공급파이프내에서 용탕이 응고되어져 공급파이프를 폐쇄시켜주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는 주입작업이 불가능해지게 된다. 따라서 약 200톤 이상에 달하는 용탕이 들어있는 쇳물바가지 전체가 필요한 물질이 주입처리되지 않은 상태로 방치되는 결과가 되므로 용탕은 그 상업적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폐쇄부재의 뒷쪽에 용탕이 응고되어져 있다하더라도 주압작업이 항상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공급파이프가 주입작업을 개시할 수 있는 위치까지 충분히 전진하지 못하도록 전진운동을 방해함은 물론 주입장치에 구비되어져 있는 각종 안전장치가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도록 된다고 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여기서 안전장치는 랜스조립체가 용탕의 압력으로 인해 뜻하지 않게 제거되거나 빠져 나오게 되는 것을 방지해주거나, 또는 랜스조립체를 작동시켜 용탕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 주는 주입작업을 중지시켜 줄 목적으로 갖추어 놓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용탕이 폐쇄부재를 우회해서 주입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해 줄수 있도록 된 주입통로 폐쇄부재로 갖춘 노즐블럭체를 제공하고, 또 주입작업을 위해 주입통로가 개방시키도록 노즐블럭으로부터 쉽게 파손되어 제거되어질 수 있어 폐쇄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온의 액상체에다 각종 물질을 주입 시켜주기 위해 액상체가 채워진 용기의 벽에 설치되는 몸체와, 이 몸체의 공급부위쪽 끝으로 쭉 뻗은 하나이상의 주입통로 및, 이 주입통로내에 설치된 통로폐쇄수단을 구비한 주입노즐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통로폐쇄수단은 한쪽끝이 폐쇄되면서 유체가 관통되어 스며들지 못하도록 된 중공부재와 측벽 및, 상기 중공부재중에서 강도가 약한 부위에 결합되면서 이 중공부재의 끝부위를 폐쇄해주는 폐쇄부위를 갖추어, 이 폐쇄부위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측벽으로 부터 폐쇄부위가 떨어지면서 주입통로와 공급부위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시켜, 이 개구부 및 상기 주입통로를 통해 주입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입노즐 내에서 주입통로를 폐쇄시커 주도록 된 통로폐쇄 부재를 갖추고 있는 바, 상기 통로폐쇄부는 용탕이 관통되면서 스며들지 못하도록 미세입자의 내화물로 만들어진 중공부재로 되고 있고, 이 중공부재는 속이 비어 있으면서 한쪽 끝이 막혀져 있음과 더불어 측벽과, 강도가 약한부위에 선단폐쇄부를 갖추고서 상기 중공부재가 파손됨에 따라 축벽으로부터 상기 선단폐쇄부가 떨어져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노즐몸체에 형성된 각각의 주입통로에는 거의 전체길이에 걸쳐 금속제 라 이닝튜우브가 끼워지고, 이 라이닝튜우브와 함께 사용되는 통로페쇄수단으로서 작은 튜우브 형상이나 컵형상 또는 소켓형상의 파손되기 쉬운 마개가 주입통로의 공급부위 끝이나 그 가까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의 통로폐쇄수단과 라이닝 튜우브는 주입통로 전체 또는 그 일부에 끼워지도록 쭉 뻗은 튜우브형상의 부재로 된 단일체의 중공부재로 만들어질 수도 있는 바, 여기서 상기 튜우브형상의 부재는 그 한쪽끝이 폐쇄된 채로 노즐몸체의 공급부위 끝에 또는 이에 인접히여 설치된 다음, 주입작업시 공급 파이드가 전진되어지면 그 끝이 파손되면서 주입통로를 개방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용탕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면서 쭉뻗은 튜유브형 상으로 된 상기 부재는 그 폐쇄된 선단 가까이에 강도가 약한 부위를 갖추어, 이 부재의 내부로부터 일정한 힘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폐쇄된 선단이 떨어지도록 되어 있는 바, 이를위해 이 폐쇄된 선단과 측벽이 서로 만나는 연결부에 두께가 얇거나 강도가 약한 부위가 갖추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튜우브형상으로 된 상기 부재는 노즐몸체보다도 휠씬 길이가 짧으면서 노즐몸체의 공급부위의 끝영역에 맞닿게 되도록 튜우브형상의 폐쇄부재로 만들 수도 있고, 또 금속이나 세라믹재지로 만들어진 주입통로와 라이닝튜우브를 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튜우브형상의 폐쇄부재는 세라믹재질로 만들 수도 있고 또 열전대의 온도측정탐촉자용 일반내화물튜우브로 만들 수도 있는데, 이때 이 튜우브의 폐쇄된 끝부위영역은 그 폐쇄된 선단이 떨어져 제거될수 있도륵 기계가공 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튜우브형상의 폐쇄부재는 교체할 수 있도록 노즐블럭내에 설치되고, 이 노즐블럭은 내구성이 있어 반복사용할 수 있는데 반해, 상기 튜우브 형상의 폐쇄부재와 공급파이프는 한번의 주입작업으로 수명이 아하는 소모성부품이다.
한편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주입용 노즐내에 설치되는 대체부품은 이들을 조합한 조합체를 사용할 수도있는 바, 이 조합체는 튜우브형상의 세라믹부재와 이 부재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할 수 있도록 된 공급파이프로 구성되고, 이 공급파이프는 그 벽을 관통하여 용탕이 스며들지 않도록 되며, 또 상기 공급파이프의 한쭉 끝은 폐쇄되어 있는 한편, 폐쇄된 선단에 인접한 상기 튜우브형상 부재의 한쪽끝부위는 두께가 얇아 그 정도가 약하게 되어 있어서 상기 공급파이프가 폐쇄된 선단의 내면에 부딪히면서 충격을 주게되면 상기 폐쇄된 선단이 파손되면서 이탈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몸체는 원형으로 다수개의 주입통로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이 주입통로의 공급부부위를 구획지워주는 환상의 폐쇄부재(이하 환상부재라 함)가 갖춰지고, 상기 공급부위는 각각 파손되기 쉬운 웨브로 폐쇄되어 있는 한편, 상기 환상부재는 주입통로로 용탕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해주는 웨브를 갖추고 있고, 이 웨브는 이와 연결결합된 주입통로의 내면으로부터 힘을 가해주게 되면 상기 환상부재로 부터 밀어져 이탈되도록 되어 있다.
제1도와 제4도 및 제6도는 본 출원인이 기히 출원한 국제특허공개 WO84/02147호와 영국특허공고 제2,171,186호, 국제특허출원 PCT/GB87-00117호 및 영국특허출원 제86-024,322호에 개재된 주입 장치의 일부를 도시해놓은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참고로 하기로 하고, 이들 출원에 기재된 그 장치의 기계적 구성부품과 기능 및 작동의 상세한 설명 역시 참고로 하는데, 여기서 기계적 구성부품은 주입장치가 장착되는 용기의 바깥쪽, 즉 제1도와 제4도의 상부에 설치되게 된다.
제1도와 제4도는 다수개의 주입통로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주입용 노즐 블럭(10)과 공급파이프(11)를 도시하고 있는바, 여기서 상기 노즐블럭(10)은 각각 공급파이프(11)를 갖춘 4개의 주입통로(22)를 구비할수가 있다.
여기서 주입통로 및 공급파이프의 갯수는 증감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용선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주기 위해 8개의 주입통로가 15개의 주입통로를 갖춘 노즐블럭을 설계하였으나, 필요하다면 상기 노즐블럭은 오로지 하나뿐인 주입통로나 공급파이프를 갖추도록 단순화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에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될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노즐블럭(10)은 쇳물바가지(14)와 같은 용기의 측벽 또는 바닥벽(13)(통상적으로 측벽에)내에 형성된 개구부(12)에 끼워 맞춰지는 바, 이때 이 개구부(12)의 위치는 주입하고자 하는 물질이 용탕의 상부표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약 1m이상의 깊이에서 주입될 수 있도록 정해주어야 하고, 상기 쇳물 바가지(14)는 강철 쉘(15)과 단열라이닝(l6)을 갖춘 통상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즐블럭(10)은 내화재료로 만들어지되, 제1도에서와 같이 여러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진 조립체 또는 제4도에서와 같이 단일체로 만들수도 있고, 상기 내화재료는 적합한 캐스터블 콘크리트(Castable Concrete)로 대체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노즐블럭(10)은 취급이 용이해지도록 3∼4개의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진 조립체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그런데, 만일 노즐블럭(10)이 여러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진 조립체일 경우에는 각각 화학적인 조성 및 물성이 다른 것을 선택할 수가 있는바, 예컨대 용탕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부품에는 내밀성이 큰 재질로 선정해주는 것이 좋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블럭(10)은 내측부재(18)와 외측부재(19) 및 중앙부재(20)로 분할 형성되는바, 상기 내측부재(18)는 개구부(12)에 시멘트를 매개로 쇳물바가지(14)에 단열라이닝(16)에 고정결합되게 되나, 상기 외측 및 중앙부재(19, 20)는 서로 끼워진 상태로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서 그대로 상기 내측부재(18)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18)의 외주면에는 오목부(21)가 형성되어 내측부재(18)가 용기의 벽(13)내에 설치될때 이들 접합부위에서 빠져나오는 과잉의 시멘트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바, 이때 만일 상기 오목부(21) 주위로 시멘트 필렛이 연속적으로 빠져나오게 된다면, 이는 상기 내측부재(18)와 개구부(12) 사이의 접합부위에 시멘트가 충분히 도포되어져서 적절하게 밀봉되어졌음을 나타내주는 것이 된다.
한편,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체로 된 노즐블럭(10)은 개구부(12)의 내측면주위에 시멘트를 발라준뒤 결합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에도 과잉의 시멘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목부(21)가 노즐블럭(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 외측부재(18, 19)에는 주입통로(22)가 형성되고, 이 주입통로(22)의 일부분을 형성해 주게 되는 금속제의 라이닝튜우브(24)내에는 공급파이프(11)가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라닝튜우브(24)는 주조되거나 또는 내측부재(18)에 시멘트로 고정결합되어 있는 반면, 외측부재(19)에는 시멘트로 고정결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노즐블럭(10)은 각각의 주입통로(22)를 폐쇄시켜 주도록 된 통로폐쇄부재가 갖추어져 있는데 이러한 통로폐쇄부재는 여러가지 형태로 되어 있는바, 이를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재(18)에는 주입통로(22)를 폐쇄시켜 주기 위한 통로폐쇄부재를 갖추고 있는바, 각각의 폐쇄부재는 주입작업이 시작되기전에는 연결된 주입통로(22)로 용탕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해주는 한편, 주입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내측부재(18)로부터 공급파이프(11)를 강하게 밀어 전진시켜주면 상기 폐쇄부재가 파손되면서 주입작업이 가능한 형태로 되게 되는데, 여기서 공급파이프(11)의 선단과 폐쇄부재사이의 공간 S에는 용탕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통로폐쇄부재는 상, 하부폐쇄부재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대측부재(18)가 이들을 감싸면서 접합되는바, 여기서 상부폐쇄부재는 내화물로 된 마개(26)로서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생략할 수도 있는데, 상기 마개(26)는 노즐블럭(10)의 용탕접촉면(27)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테이퍼져 있고, 또 상기 마개(26)의 하부면은 또다른 폐쇄부재인 소켓형상의 마개에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이들 상, 하부폐쇄부재가 적절하게 조립되어진 다음 상기 내측부재(18)가 이들 상, 하부폐쇄부재 주위를 감싸면서 접합되게 된다.
그런데, 이때 상기 내측부재(18)를 접합시켜주기전에 상기 마개(26)에는 분리제(Panting Compound)를 뿌려주어 공급파이프(11)가 전진할 때 상기 마개(26)가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한편, 통로폐쇄부재에서 주요부분은 미세한 입자로된 내화물로 만들어지고 한쪽끝이 폐쇄되어 있는 중공부재(30)로서, 본 실시예에서 이 중공부재(30)는 컵 또는 골무형상으로 되어있고 상기 마개(26)와 끼워맞춰지는 바닥벽(31)과, 그 내면이 주입통로(22)의 일부를 형성하게 되는 측벽(32)을 갖추고 있으며 이 중공부재(30)와 금속제 라이닝튜우브(24)는 그 내경이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벽(31)은 측벽(32)의 다른 부위보다 횔씬 두께가 얇게 된 중간벽부(34)를 매개로 측멱(32)과 연결되는데, 여기서 상기 중공부재(30)의 하부 바깥면에는 바닥벽(31)쪽을 향해 계단모양으로 형성된 계단부(33)가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벽부(34)는 직립원통형으로 마개(26)의 상부면보다도 그직경이 약간 작게되어 있으며, 상기 계단부(33)의 윗쪽부위는 이 계단부(33)로부터 점차 그 직경이 커지게되는 잘린 원추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중공부재(30)의 하부에 계단부(33)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해서, 이 바닥벽(31)의 내부에 공급파이프(11)가 전진되면서 부딪히게 되면, 바닥벽(31)이 파손되면서 측벽(32)으로부터 떨어져 이탈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중간벽부(34)는 마개(26)와 함께 용탕속으로 투입되면서 주입통로(22)가 개방되게 되므로 주입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중공부재(30)는 치밀하고 미세한 입자로 된 내화 재료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용탕이 관통되어 스며들지 못하게 되므로, 용탕은 마개(26)와 내측부재(18) 사이의 접합부를 따라 스며들거나 또는 마개(26)차체 내부로 관통되면서 스멸드게 되나 중공부재(30)에 형성된 공간 S에는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공부재(30)는 뮬라이트로 만들어져 있으나 기타 다른 내화 재료로 만들 수도 있지만, 내화재료를 완전 방수로 하여 용탕이 전혀 스며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중공부재(30)에 용탕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해주기 위해서는 이 중공부재(30)를 용탕과의 접촉면(27)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위치하도록 설계해주어 노즐블럭(10)의 안쪽으로 스며든 용탕이 상기 중공부재(30)에 도달되어지자 마자 응고되거나 점성이 커지도록 해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용탕접촉면(27)으로부터 점차 온도 기울기가 밀어지도록 설계해서 상기 마개(26)와 바닥벽(31)주위로 스며든 용량이 반고체상으로 유지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그 온도를 유지하도록 해주게 되면, 상기 중공부재(30)로 부터 바닥벽(31)을 쉽게 파손시켜 이탈시켜 주게 되므로 상기 마개(26)를 노즐블럭(10)으로부터 이탈시켜주는 작동이 충분히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쇳물바가지(14)내에 용탕이 채워지게 됨에 따라 노즐블럭(1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라이닝튜우브(24)는 열팽창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내측부재(18)를 접합시켜줄 때 라이닝튜우브(24)의 선단과 중공부재(30) 사이에 종이로 만들어진 가스킷을 끼워넣어 주는데, 주입작업동안 이 가스킷은 연소된 다음 그 자리에 빈 공간을 형성해주게 되므로 상기 라이닝튜우브(24)의 열팽창을 흡수하기 충분한 공간을 제공해주게된다.
제2도는 분할형성딘 주입통로 폐쇄부재에 대한 제2실시예에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 2개의 상, 하부재는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서로 끼워맞춰져 있고, 이들 폐쇄부재중 하부부재는 제1도에 도시된 마개(26)와 유사하나 확대된 헤드부(41)를 갖춘 마개(40)로 되어 있고, 중공부재(42)는 제1도의 중공부재(30)와는 달리 휠씬 두꺼운 바닥벽(43)를 갖추고 있다.
그런데 제2도의 중공부재(42)도 계단부(46)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 바닥벽(43)과 측벽(44)사이에는 중간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대신, 상기 계단부(46)와 바닥멱(43) 사이에 형성된 고정부(45)와 상기 중공부재(42)의 내벽에 형성된 코너부(48) 의 부위는 그 두께가 극히 얇게되어 있고, 또 이 코너부(48)는 바닥벽(43)의 윗면과 마주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공급파이프(11)가 전진되어 바닥벽(43)의 윗면에 부딪히게 되면 상기 바닥멱(43)은 측벽(44)의 중간부(50)로부터 떨어져나와 이탈되는바, 즉 이는 상기 중간부(50)가 마주보는 한쌍의 코너부(45, 48)사이에 위치되면서 그 강도가 약하게 설계되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상기 중공부재(42)는 바닥벽(43)과 측벽(42) 사이의 중간부(50)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더 얇게 형성되도록 변형시켜줄 수도 있다.
한편 제1도와 제2도에서의 마개(26, 40)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앞에서도 언급 했듯이 반드시 형상이 달라야 할 필요는 없다.
제3도는 중공부재(52)가 노즐블럭(10)의 내측부재(18)에 포위된 상태로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중공부재(52)는 제2도의 중공부재(42)와 대체로 동일하며, 또 제1도의 중공부재(30)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각 중공부재(30, 42)에 형성된 위치 결정용 소켓은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중공부재(52)는 그 전체가 노즐블럭(10)의 내측부재(18)에 파묻혀 설치되어서 그 바닥벽의 끝면(53)이 내측부재(18)의 용탕과의 접촉면(27)에 가까이 위치되도록 하여, 공기파이프(11)가 전진되면서 상기 중공부재(52)의 바닥벽에 부딪히게 되면 이 바닥벽이 파손됨과 동시에 용탕과 이 바닥벽 사이의 내측부재(18)의 하부가 파손되면서 떨어져 나가게 됨으로써 주입통로(22)가 개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부재(18)의 하부가 깨끗하게 잘려져 이탈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용탕접촉면(27)에는 노치선이나 노치홈(55)을 형성시켜줄 수도 있으며 또한, 마개(26, 40)를 설치해줄 경우에는 이들을 내측부재(18)에 견고하지 않게 접합시켜 놓는다.
한편 상기 중공부재(42, 52)는 양쪽측면이 평행하거나, 또는 끝면을 향해서 좁혀지지도록 테이퍼진 바닥벽이 갖추어져 있으나 이는 제작상 번거로우며, 또 중공부재(30, 42)와 마개(26, 40)를 제작상 복잡하지만 각각일체로 형성시켜줄 수 있다.
만일 용탕에 각종 물질을 주입해주는 작업이 끝나게 되면 용기를 비우고, 노즐블럭(10)을 해체하여 교환하거나 재정비를 해주게 되는데, 이때에는 먼저 외측 및 중앙부제(19, 20)를 제1도에서의 윗쪽방향으로 제거해준다. 그런데 공급파이프(11)는 통상적으로 응고된 용량으로 인해 내측부재(18)에 응고되어 접합된 상대로 되어 있으므로, 이를 위해 유압식 견인장치를 상기 공급파이프(11)에 부착해준 다음 쇳물바가지(14)의 개구부(12)로부터 상기 공급파이프(11)와 내측부재(18)를 당겨서 끄집어 내주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만일 상기 공급파이프(11)가 상기 내측부재(18)에 너무 약하게 접합되어져 있다면 상기 공급파이프(11)만 빠져나오고 내측부재(18)에는 그 중앙에 관통구멍이 뚫려지게 되므로, 이 관통구멍속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견인장치를 삽입하여 내측부재(18)를 뽑아내어 제거해주면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부재(18)는 자주 새것으로 교체해주어야 하나 외측 및 중앙부재(19, 20)는 홰손되지 않는한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주입통로(22)에는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된 공급파이프(11)가 수용된 라이닝튜우브(24)가 끼워지고, 각 라이닝튜우브(24)는 용탕이 스며들거나 관통되어 흐르지 못하도록 알루미늄이 첨가된 뮬라이트와 같은 내화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 라이닝튜우브(24)는 주입통로(22)의 P위치에서 끼워지면서 이 주입통로를 폐쇄해주는 폐쇄수단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는바, 이를 위해 각 라이닝튜우브(24)는 노즐블럭(10)의 공급부위 또는 용탕과의 접촉면(27)에 인접한 선단(25)이 막혀져 있어서 주입작업이 시작되기전에는 용탕이 유입되지 못하도록되어 있으나, 상기 선단(25)에 공급파이프(11)가 전진되면서 부딪히게 되면 이 선단(25)이 라이닝튜우브(24)의 나머지 부위로 부터 떨어져 제거되어 주입통로를 개방 시켜줌으로써 주입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이닝튜우브(24)는 노즐블럭(10)의 공급부위 끝으로 부터 약간 후퇴된 상태로 설치되되 그 선단(25)이 막혀져 있고,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은 대화재료로 만들어진 마개(26)가 노즐블럭(10)의 내부, 즉 상기 튜우브의 선단(25) 아래쪽에 장착되어져 제거시켜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4도에 도시된 마개(26)는 제1도 및 제2도에서의 마개(26)와는 그 형상이 다르게 되어 있고, 그상부면은 상기 라이닝튜우브(24)의 폐쇄된 선단(25)과 접촉되면선 맞춰져 있으며, 여기서 이들 사이의 접촉면은 반구형면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마개(26)와 이를 제위치에 지지해주게 되는 시멘트는 주입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용탕이 라이닝튜우브(24)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해주기도 하지만, 이 마개(26)의 본래의 목적은 쇳물바가지(14)에 처음으로 고온의 용탕이 채워지게 될 때 열충격으로 부터 상기 라이닝튜우브(24)를 보호해 주기 위함이다.
한편 라이닝튜우브(24)의 폐쇄된 반구형선단(25)과 측벽(28)사이의 접합부는 이 측멱(28)이나 끝벽보다도 훨씬 강도가 약한 튜우브부위(29)가 갖춰져 있는데, 이는 상기 튜우브부위(29)를 측벽(28)이나 끝벽보다도 그 두께를 얇게 해줌으로써 그 강도를 약하게 해준 것이고, 또 상기 측벽(28)의 끝쪽에 형성되면서 강도가 약한 상기 튜우브부위(29)에 연결되는 계단부(33)도 역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주입작업시 쉽게 파손되도록 되어 있다.
공지의 유압식 램프(도시안됨)이 공급파이프(11)를 강하게 밀어주어 이 공급파이프(11)가 상기 폐쇄된 선단(25)의 내면에 부딪히게 되면, 상기 튜우브부위(29)가 파손되고, 계속해서 상기 공급파이프(11)가 전진하게 되면 파손된 상기 선단(25)과 함께 마개(26)를 노즐블럭(10)의 몸체로부터 이탈시키어 용탕속으로 투입되게 됨으로써 주입통로(22)가 개방되어져 가스나 고체상 또는 분말상의 첨가물질이 혼합된 가스가 상기 공급파이프(11)를 통과하여 용탕속으로 주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계단부(33)는 상기 라이닝튜우브(24)의 폐쇄된 선단(25)이 파손되어 이탈되게될 때, 이 라이닝튜우브(24)를 노즐블럭(10)의 몸체내에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게되는 한편, 상기 라이닝튜우브(24)는 마개(26)가 시멘트로 접합되어지는 부위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며, 또한 주입작업시 앞선 실시예에서의 중공부재(30)의 지지작용도 상기 설명에서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라이닝튜우브(24)는 쉽게 구할 수 있는 한쪽 끝이 폐쇄된 열전대용 튜우브를 절삭 또는 연마해서 두꼐가 얇은 튜우브부위(29)를 형성해줌으로써 간편하면서도 값싸게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이닝튜우브(24)와 공급파이프(11)의 접촉면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 공급파이프(11)가 전진되면서 주입작업이 시작되면 쇳물바가지(14)의 용탕이 상기 간극으로 유입되게 되나, 상기 라이닝튜우브(24)는 상당히 양호한 단열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용탕이 라이닝튜우브(24)의 다른쪽끝에 도달 되기 전까지는 응고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간극을 관통하여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따라서 이처럼 용탕이 상기 간극을 통해서 유출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공급파이프(11)와 라이닝튜우브(24)에는 밀봉수단(35)이 갖추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밀봉수단(35)은 라이닝튜우브(24)의 다른쏙 끝에 끼워지는 밀봉슬리이브(36)와 공급파이프(11)에 끼워진 맞춤링(38)으로 구성되는바, 이 맞춤링(38)은 금속제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주성분이 흑연인 압축성물질로 만들어진 것으로, 상기 금속제 밀봉슬리이브(36)와 맞춤링(38)은 공급파이프(11)가 주입위치로 전진되게 될 때 서로 긴밀히 끼워맞춰져 밀봉작용을 하도록 되어 용탕이 상기 밀봉수단(35)까지 밀려져 유입되게 되면 이 밀봉수단(35)이 용탕의 유출을 방지해주면서 용탕을 급냉시켜 응고되도록 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밀봉수단(35)은 본 발명의 앞선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제4도에서 왼쪽에 도시된 공급파이프(11)는 주입작업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또 라이닝튜우브(24)는 폐쇄된채 완전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반면, 오른쪽에 도시된 공급파이프(11)는 주입작업위치로 전진된 상태로 되어 있고 라이닝튜우브(24)는 그 폐쇄된 선단(25)과 마개(26)가 상기 공급파이프(11)에 의해 파손되어 이탈되어져 있기 때문에 주입작업을 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정상적인 작업조건에서 주입작업이 시작되기전 상기 쇳물바가지(14)에는 3∼4시간동안 용탕이 채워져 있게 되므로 라이닝튜우브(24)는 선철이나 강철과 같은 고온의 용탕에 장시간 접촉되어도 내열효과를 갖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공급파이프(11)는 이러한 고온에서 산화되어 손상되기가 쉽다. 따라서 강철제인 공급파이프(11)가 점진적으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해주기 위해 알루미늄으로 표면처리를 하거나, 또는 좀 비싸기는하지만 복합재료나 세라믹등으로 만들어진 튜우브로 대체할 수도 있다.
그런데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보다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주입통로(22)의 일부만을 보호해주도록 라이닝튜우브(24)의 길이를 짧게해줄 수도 있는데, 만일 라이닝튜우브(24)의 길이를 짧게해주려면, 이 짧아진 라이닝튜우브(24)의 왼쪽 주입통로에다 금속제튜우브를 끼워주면 되므로 그 결과 제4도에서 X-X선의 아래쏙 부위에만 내화물로 된 짧은 라이닝튜우브(24)가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노즐블럭(10)의 몸체는 중공부재(30)가 폐쇄된 선단(25)을 갖춘 수정된 라이닝튜우브(24)로 대체된 것을 제의하고는 제1도에 도시된 노즐블럭(10)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된다.
한편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대는 것으로, 노즐블럭(10)은 각각 15개의 주입통로(22)와 이에 끼워진 끼워진 공급파이프(11)를 갖추고 있고, 상기 주입통로(22)는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형성되면서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한편, 상기 노즐블럭(10)의 공급부위에는 통로폐쇄수단이 끼워지고 그 반대쪽에는 밀봉슬라이브(36)와 맞춤링(38)을 갖춘 밀봉수단이 갖추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통로폐쇄수단은 미세입자의 내화물로 된 환상부재(60)를 갖추고서 용탕이 이를 관통하여 상당한 양으로는 스며들지 못하도록 해주게 되는데, 상기 환상부재(60)에는 상, 하부면(62, 61)이 형성되고, 그중 하부면(61)은 노즐블럭(10)의 용탕접촉면(27)과 동일평면내에 위치하도록 됨과 더불어, 상기 상부면(62)는 환상부재(60) 전체가 노즐블럭(10)내부로 삽입되어지게 되면 상기 접촉면(27)으로부터 후퇴된 상태로 되면서 계단모양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부면(62)에는 주입통로(22)와 일치되는 오목부(64)가 형성되어 라이닝튜우브(24)의 한쪽끝이 이 오목부(64)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오목부(64)의 아래쪽 하부면(61)에는 또 다른 오목부(66)가 형성되어 마개(26)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인접한 양쪽 오목부(64, 66)의 바닥은 상기 환상부재(60)와 같은 재질로 되면서 두께가 얇은웨브(68)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고, 이 웨브(68)는 인접한 2개의 오목부(64, 66)의 모서리부에 의해 비교적 강도가 작은 취약한 성질을 갖고 있다. 따라서 공급파이프(11)가 강하게 전진되어 상기 웨브(68)에 부딪히게 되면 이 웨브(68)는 파손되어져 마개(26)와 함께 용탕속으로 투입되게 된다. 제6도에서 왼쪽편은 공급파이프(11)가 전진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오른쪽편은 주입을 위해 상기 공급파이프(11)가 전진되어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환상부재(60)의 변형예로서 오목부(66)와 마개(26)를 생략할 수 있는데, 이때 환상부재(60)의 하부면(61)을 웨브(68)의 바닥면과 동일평면으로 되게 하고, 또 하부면(61)에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내화물층을 피복하여 노즐블럭(10)의 몸체에 끼워지도록 해주면 된다.
그런데 상기의 피복층은 웨브(68)과 함께 그 표면에 금을 긋거나 노치홈을 내어 공급파이프(11)가 전진되어 부딪히게될 때 이 환상부재(60)로부터 이 웨브(68)를 보다 용이하게 파손시켜 제거시켜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바, 바꾸어 말하면 이와 같은 환상부재(60)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구성으로 할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여러가지로 변형시킬 수 있는바, 예컨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폐쇄수단인 환상부재(60)는 대체로 주입작업전에는 단면이 H자형상으로 되어있고, 이 H자형상의 수평부위가 주입작업시 파손되게 되는 웨브(68)에 해당되며,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장치에서 각각의 주입 통로에 설치된 통로폐쇄수단도 수직단면이 대체로 H자형상인 원통형 회전체로 해줄 수도 있는바, 이때에도 주입작업이 시작되어 공급파이프(11)가 전진하게 되면 통로를 폐쇄해주게 되는 웨브(68)부위가 파손되게 된다.
또한 제7도에 도시된 통로폐쇄수단(80)은 주입통로(22)의 공급부위쪽 끝인 노즐블럭(10)의 몸체에 설치되는바, 여기서 상기 통로폐쇄수단(80)은 속이빈 원통형상으로 주입작업시 주입통로(22)를 개방시켜주기 위해 파손되어져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궤브(82)이 가로로 걸쳐져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주입작업을 실시해주기 위해 공급파이프(11)가 강하게 전진되어 통로폐쇄 부재에 부딪히면서 힘을 가해주게 되면 이 통로폐쇄부재가 제거되면서 주입통로(22)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통로폐쇄부재를 제거시켜 주입통로(22)를 개방시켜주기 위해 적절한 가스압력을 주입통로(22)로 공급해서 주입통로(22)를 개방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얻을 수도 있다.

Claims (24)

  1. 노즐블럭(10)의 몸체에서 공급부위 끝쪽으로 쭉뻗어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 통로폐쇄수단을 구비한 하나이상의 주입통로(22)를 갖추고서 고온의 유체에다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 주기위해 유체가 채워진 용기의 벽에 설치된 주입용노즐에 있어서, 상기 통로폐쇄수단은 한쪽 끝이 막혀 있으면서 유체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도록 된 중공부재(30, 42, 52)와 라이닝튜우브(24), 측벽(28, 32, 44), 끝이 폐쇄된 바닥벽(31, 43), 선단(25)을 갖추고서 강도가 작게 설계된 중간부(34, 50) 및, 끝부위(29)를 매개로 서로 결합되어져 상기 바닥벽(31, 43) 및 선단(25)에 힘이 가해지게 되면 이들이 상기 측벽(28, 32, 44)으로부터 밀어져 파손되면니 주입통로(22)가 접촉면(27)사이에 개구부(12)가 형성시켜져, 이 개구부(12)와 주입통로(22)를 통해 주입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다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30, 42, 52) 및 라이닝튜우브(24)가 노즐블럭(10)의 접촉면(27)쪽으로 폐쇄된 바닥벽(31, 43) 및 선단(25)과, 주입통로(22)를 부분적으로 형성해 주게되는 측벽(28, 32, 44)을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다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3. 제1항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30, 42, 52)와 라이닝튜우브(24)는 용탕과의 접촉면(27)쪽으로 지향된바닥면(31, 43)과 선단(25)을 갖추고서, 이들 바닥벽(31, 43)과 선단(25)이 측벽(26)으로부터 파손되면서 떨어지게 될 때 노즐블럭(10)의 나머지 부위와 분리형성된 마개(26)와 분리되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다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30, 42, 52)와 라이닝튜우브(24)는 접촉면(27)쪽으로 지향되면서 노즐블럭(10)의 공급부위쪽에 끼워진 마개(26)에 의해 분리형성된 바닥벽(31, 43)과 선단(25)을 갖추고 있고, 상기 마개(26)와 바닥벽(31, 43) 및 선단(25)은 바닥벽(31, 43) 및 선단(25)이 중공부재(30, 42, 52)의 측벽(28)으로부터 파손되면서 밀어지게 될 때, 이 노즐블럭(10)으로 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30, 42, 52)와 라이닝튜우브(24)는 컵이나 골무형상 또는 튜우브형상의 부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튜우브(24)는 일체로 형성된 선단(25)을 갖춘 튜우브형상 부재로 되면서, 그 측벽의 두께가 상기 선단(25)에 인접된 튜우브부위(29)에서 감소되어져 강도가 약해짐으로써 이 선단(25)에 힘이 가해지게 되면 떨어져 제거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튜우브(24)는 접촉면(27)에 인접한 주입통로(22)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노즐블럭(10) 몸체를 관통해서 뻗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튜우브(24)는 접촉면(27)에 인접해서 폐쇄되어진 선단(25)를 갖춤과 더불어 노즐블럭(10)의 몸체 주요부를 관통하면서 뻗혀 주입통로(22)를 형성하는 라이닝역할을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 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42)는 측벽(44)으로부터 바닥벽(43)을 향해 안쪽으로 계단진 모양을 형성하면 두께가 얇아지도록 된 코너부(45)와 계단부(48)가 갖추어짐으로써, 상기 바닥벽(43)이 떨어져 제거될 수 있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 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30)는 측벽(32)과 바닥벽(31) 사이에 안쪽으로 계단진모양으로 형성된 중간벽부(34)를 갖추어 상기 바닥벽(31)이 밀어져 제거될 수 있도록 해주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 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30, 42, 52)는 접촉면(27)쪽을 향한 바닥벽(31, 43)을 갖추고, 상기 측벽(32, 44)은 상기 바닥벽(31, 43)으로붙 윗쪽으로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된 바깥면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수기 위한 노즐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블럭(10)에는 용탕과의 접촉면(27) 부위에 주입통로(22)의 공급부위를 형성해주는 환상부재(60)를 갖추고, 상기 공급부위가 강도가 약한 웨브(68)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환상부재(60)는 주입통로(22)로 유체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해 주도록 된 웨브(68)을 갖추고서 이 웨브(68)가 주입통로(22) 내부로 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환상부재(60)로부터 밀어져 제거될 수 있도록 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재(60)는 그 상부면(62)에 주입통로(22)와 일치되는 오목부(64)를 갖추면서, 이 오목부(64)의 바닥은 강도가 약한 웨브(68)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 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재(60)가 노즐블럭(10)의 접촉면(27)에서 노즐블럭(10) 몸체내로 끼워지고, 상기 웨브(68)를 덮어주고 있는 노즐블럭(10)의 몸체부위가 웨브(68)이 주입통로(22)로 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떨어지게 되면 이 웨브(68)과 함께 노즐블럭(10)의 나머지 부위로부터 떨어져 제거되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 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재(60)는 그 상부면(62)에 상기 주입통로(22)와 일치되는 오목부(64)를 하부면(61)에는 상기 오목부(64)에 대응되는 오목부(66)를 갖추고, 상기 웨브(68)는 상기 각 오목부(64, 64)의 바닥벽사이에 위치함과 더불어, 제거될 수 있도록 된 마개(26)가 상기 오목부(66)에 끼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 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16. 제l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30, 42, 52)와 라닝튜우브(24) 및 환상부재(60)가 미세입자의 내화재로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 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블럭(10)에는 공급파이프(11)가 미끄럼이동 할 수 있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 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블럭(10)에는 각 주입통로(22)내에서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된 공급파이프(11)와, 이 공급파이프(11)를 주입통로(22) 내의 작업준비위 치로부터 주입 작업 실시위치로 길이방향으로 전진시켜서 상기 중공부재(30, 42, 52)와 라이닝튜우브(24) 및 환상부재(6)에 충돌되도록 해서 폐쇄부재인 상기 바닥면(31, 43)과 선단(25) 및 웨브(68)를 절단시켜주도록 된 공급파이프(11) 전진수단 및, 상기 공급파이프(11)을 압축가스탱크 또는 주입하고자 하는 용탕처리용 물질이 함유된 가스탱크로 연결시켜 주는 연결수단이 구비된 주입장치에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 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블럭(10)에는 금속제인 공급파이프(11)와, 이 공급파이프(11)를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해주는 튜우브형상의 안내부재연 라인닝튜우브(24) 및, 유체가 관통되면서 스며들지 못하도록 된 내화물로 된 폐쇄부재인 중공부재(30, 42, 52)와 환상부재(60)의 조합으로 구성되면서, 상기 중공부재(30, 42, 52)와 환상부재(60)가 바닥벽(31, 43)과 선단(25) 및 웨브(68)부위에 인접해서 두께가 감소되고 감도도 약해지도록 되어 상기 바닥벽(31, 43)과 선단(25) 및 웨브(68) 부위에 공급파이프(11)가 부딪히면 쉽게 떨어져 제거될 수 있도록 된 대체부재가 조합시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깁시켜 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블럭(10)에는 한쪽끝이 페쇄되어 액상체가 관통되어 스며들지 못하도록 미세입자의 내화재료로 만들어진 중공부재(30, 42, 52)와 라이닝튜우브(24)로 구성 되면서, 상기 중공부재(30, 42, 52)는 컵 또는 골무형상으로 상기 라이닝튜우브(24)는 튜우브형상으로 되어 두께가 얇아져 강도가 감소된 튜우브부위(29) 및 중간벽부(34)를 매개로 바닥멱(31, 43)과 선단(25) 및 측벽(32, 44, 28)에 결합되어져,상기 튜우브부위(29) 및 중간벽부(34)가 파손됨에 따라 상기 바닥벽(31, 43)과 선단(25)이 상기 측벽(32, 44, 28)으로부터 떨어져 제거되도록 된 통로폐쇄부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 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블럭(100에는 유체가 관통되어 스며들지 못하도록 미세입자의 내화재료로된 환상부재(60)를 갖추고서, 이 환상부재(60)에 주입물질을 공급해 주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부면(62)에 오목부(64)가 두께가 얇은 웨브(68)부위까지 뻗어 형성되고, 상기 환상부재(60)는 웨브(68)부위에 인접해서 강도가 약해지도록 설계되어 이 웨브(68)가 노즐블럭(10)의 나머지 부위로부터 떨어져 제거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 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블럭(10)에는 통로폐쇄수단(80)이 액상체가 관통되어 스며들지 못하도록 미립의 내화재료로 만들어지면서 가로로 통로를 폐쇄해 주는 웨브(82)를 갗춘 대체로 H자형상으로 된 쉘을 갖추어, 상기 웨브(82)가 쉘로부터 떨어져 분리되게 되면 상기 쉘을 관통하게 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져 주입통로(22)를 통해 주입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 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블럭(10)에는 주입통로(22)를 폐쇄시켜주기 위해 노즐에 장착되면서 유체가 관통되어 스며들지 못하도록 미세입자의 내화재료로 만들어진 쉘을 갖추면서, 이 쉘이 대체로 단면이 H자형상이고 이 가로방향의 웨브(82)를 갖춘 중공부재로 됨과 더불어, 이 웨브(82)가 상기 쉘로부터 떨어져 제거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 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블럭(10)에는 상기 노즐블럭(10)이 주입통로(22)로 유체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해주기 위해 내화재료로 만들어진 폐쇄부재에 상기 주입통로(22)에 결쳐지도록 된 가로방향의 폐쇄부위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 폐쇄부위가 상기 폐쇄부재로부터 떨어져 제거되게 되면 주입통로(22)가 개방시켜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액상체에 각종 물질을 주입시켜 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KR1019880700245A 1986-07-05 1987-07-02 고온액상체에 각종물질을 주입시켜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KR950005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616455 1986-07-05
GB868616455A GB8616455D0 (en) 1986-07-05 1986-07-05 Nozzles
GB868624323A GB8624323D0 (en) 1986-07-05 1986-10-10 Nozzles
GB8624323 1986-10-10
PCT/GB1987/000462 WO1988000247A1 (en) 1986-07-05 1987-07-02 Improvements in nozzles for injecting substances into liqui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782A KR880701782A (ko) 1988-11-05
KR950005788B1 true KR950005788B1 (ko) 1995-05-31

Family

ID=10600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245A KR950005788B1 (ko) 1986-07-05 1987-07-02 고온액상체에 각종물질을 주입시켜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950005788B1 (ko)
DD (1) DD260943A5 (ko)
GB (2) GB8616455D0 (ko)
UA (1) UA11053A (ko)
ZA (1) ZA8747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311B1 (ko) * 2011-12-06 2013-10-23 주식회사 포스코 탈류 랜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11053A (uk) 1996-12-25
GB8624323D0 (en) 1986-11-12
ZA874793B (en) 1988-04-27
GB8616455D0 (en) 1986-08-13
DD260943A5 (de) 1988-10-12
KR880701782A (ko) 198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6314A (en) Rock anchor
FI75866B (fi) Anordning foer tillsaettning av aemnen till en vaetska.
CA2552700A1 (en) Process for setting anchors and anchor usable in the process
CA1218845A (en) Sampling device for molten metals
KR950005788B1 (ko) 고온액상체에 각종물질을 주입시켜주기 위한 노즐조립체
US4789141A (en) Nozzles for injecting substances into liquids
JPH02248711A (ja) 注入アダプタ
US3495815A (en) Outside change tuyere
JPH0236344B2 (ko)
JPH01107952A (ja) 溶融金属用容器の回転流出ノズル
US20140300036A1 (en) Refractory purging devices
JPS61262449A (ja) 直接チル鋳造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100241618B1 (ko) 용융 금속 용기의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용 밸브판 조립체
CS209805B2 (en) Refractory brick with the through-hole for liquid met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76996C (zh) 关闭放出口的方法和设备
US4219139A (en) Bottom pouring crucible
JPS62501859A (ja) 液体中に処理物質を導入する為の装置
FR2475063A1 (fr) Procede de montage et de remplacement d'une garniture pour l'introduction de gaz par la paroi d'un recipient contenant une masse fondue,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JP5771433B2 (ja) 出銑口の閉塞構造および出銑口の閉塞方法
GB2120369A (en) An improved metallurgical lance
US5104097A (en) Gas stir plugs with slot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GB2150868A (en) Porous plug assemblies for molten metal vessels e.g. ladles
SU735640A1 (ru) Фурма дл глубинной продувки металла
US3614083A (en) Outside change tuyere
JPH01503153A (ja) 物質を溶融金属内へ注入するための注入装置をシールする手段の改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