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702Y1 - 브이씨알(vcr)의 음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브이씨알(vcr)의 음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702Y1
KR950005702Y1 KR2019890011380U KR890011380U KR950005702Y1 KR 950005702 Y1 KR950005702 Y1 KR 950005702Y1 KR 2019890011380 U KR2019890011380 U KR 2019890011380U KR 890011380 U KR890011380 U KR 890011380U KR 950005702 Y1 KR950005702 Y1 KR 950005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output
voice signal
transist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1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524U (ko
Inventor
근 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1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702Y1/ko
Publication of KR9100035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5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7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이씨알(VCR)의 음량조절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 브이씨알(VCR)의 음량 조절장치 블록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상세회로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마이콤의 제어흐름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동작설명을 위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W1, SW2, SW3 : 음량 올림, 내림 및 뮤트스위치
SW4 : 노말(NORMAL) 음량 조절모드 슬라이드스위치
Q1∼Q3, Q5 : 트랜지스터 Q4 : 전계효과트랜지스터
R1∼R11 : 저항 D1∼D4 : 다이오드
1 : 키부 2 : 마이콤
3, 7 : 버퍼 4 : 저역통과필터
5 : 음량조절단 6 : 오디오처리단
8 : 출력단
본 고안은 브이씨알(VCR)의 음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레비젼 또는 모니터등과 같은 타기기에 연결하여, 그 연결된 타기기의 음량을 고정시키고 고정된 범위 이하에서 그 타기기의 음량을 브이씨알의 제어로 조절하거나 뮤트(MUTE)시키기에 적당하도록 한 브이씨알(VCR)의 음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브이씨알 내부에는 브이씨알과 타오디오/비디오기기(텔레비젼, 모니터, 오디오앰프등)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그 기기의 음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음량조절은 반드시 그 타기기에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랐다.
일예를 들어 리모콘 조절이 가능한 브이씨알에 리모콘 조절이 불가능한 티브이 또는 모니터를 연결한 경우, 브이씨알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즐기거나, 비디오 테이프를 재생하여 영상을 즐길 때 채널변경 및 재생등의 다른 기능은 리모콘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음량조절만은 티브이 또는 모니터에 부착된 음량조절키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랐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불편함을 감안하여, 브이씨알과 타기기의 연결시 타기기의 음량을 고정하고 브이씨알에서 타기기의 고정된 음량범위 이하에서 음량을 조절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량 올림, 음량 내림 및 뮤팅을 선택하는 키부(1)와, 이 키부(1)의 선택키신호를 검색하여 그 선택키신호에 따라 마이콤(2)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를 완충 증폭하는 버퍼(3)와, 이 버퍼(3)의 출력신호를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저역통과필터(4)와, 오디오처리단(6)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음량을 상기 저역통과필터(4)의 출력전압의 크기에 비례하게 조절하는 음량조절단(5)과, 이 음량조절단(5)의 출력신호를 완충 증폭하는 버퍼(7)와, 이 버퍼(7)의 출력신호를 타오디오기기에 입력시키는 출력단(8)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상세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음량 올림과 내림, 뮤트(MUTE)의 선택스위치(SW1, SW2, SW3)가 선택되어지면 마이콤(2)에서 검색하여 그의 입력에 따라 펄스폭 변조파를 출력한다.
상기 마이콤(2)의 출력단은 저항(R3)을 통해 저항(R4) 및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전원(Vcc)이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및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인가되게 접속하고, 그 전원(Vcc)이 저항(R1)을 통해 그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저항(R2)을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접속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를 저항(R5)에 접속함과 아울러 저항(R6)을 통해 콘덴서(C1) 및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를 저항(R7) 및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의 게이트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전원(Vcc) 또는 접지를 선택하는 노말 음량조절모드 슬라이드스위치(SW4)를 다이오드(D4)를 통해 접속하고, 오디오처리단(6)의 출력단자를 저항(R8)을 통해 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의 소스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함을 저항(R9)을 통해 전원(Vcc)을 콜렉터에 인가받는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를 저항(R10)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콘덴서(C2) 및 저항(R11)을 통해 브이씨알 오디오출력 또는 브이씨알과 연결된 타오디오/비디오기기의 오디오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구성한다.
제 3 도는 상기 마이콤(2)의 제어흐름도이고, 제 4 도는 본 고안의 동작설명을 위한 파형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콤(2)은 제 3 도의 제어흐름도에서와 같이 처음 고전위신호를 출력하여, 연결된 기기의 고정음량이 출력되게 하고, 키부(1)의 음량 올림, 내림 및 뮤트선택스위치(SW1, SW2, SW3)를 검색하여, 음량 내림선택키 신호가 입력되면 펄스폭 변조파의 펄스 갯수를 1/2배로 감소시키고, 음량 올림선택키 신호가 입력되면 펄스폭 변조파의 펄스 갯수를 2배로 증가시키며, 뮤트선택키 신호가 입력되면 증감된 펄스 갯수를 기억하고 펄스폭 변조파 출력단자에 저전위신호를 출력하여 음량 출력을 차단하고, 다시 뮤트선택키 신호가 입력되면 기억되었던 펄스 갯수를 출력하여 음량 조절을 한다. 이때 주기내의 펄스 갯수는 각 마이콤의 출력특성에 따라 프로그램상으로 지정하여주게 되며, 펄스 갯수가 감소되어 저전위신호가 출력되거나 펄스갯수가 증가되어 고전위신호가 출력될 때, 음량 조절을 위한 키를 눌러도 출력상태를 계속 유지하며, 뮤트선택키 신호가 입력되면 펄스갯수를 기억하고 음량을 차단하는 저전위신호를 출력하고, 다시 뮤트선택키 신호가 입력되어야 비로소 기억된 펄스 갯수를 출력하여 음량을 조절한다.
제 4a 도는 펄스폭 변조출력파형의 초기상태인 고전위 출력이고, (b)도는 중간단계에서의 펄스파형이며, (c)도는 펄스의 갯수가 점점 감소되어 펄스폭 변조출력이 저전위단계의 바로 전 레벨로 하나의 주기(T)에 펄스가 한개 있는 경우이며, 각 경우의 펄스폭 변조파는 트랜지스터(Q1)를 통과하여 반전되고, 트랜지스터(Q2)를 통해 다시 반전되어 마이콤(2)에서 출력된 펄스폭 변조파와는 크기가 다른 전원(Vcc)정도의 크기를 갖는 같은 형태의 펄스폭 변조파가 되고, 이 펄스폭 변조파는 저역통과필터(4)의 저항(R6) 및 콘덴서(C1)를 통해 직류레벨로 변환되어,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로 제 4d 도의 파형처럼 펄스폭 변조파의 펄스 갯수에 비례하는 직류레벨로 출력되고, 이 직류출력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의 게이트에 고전위전압이 인가되면, 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가 컷오프(cut off)되어 음량이 고정된 오디오 처리단(6)의 음량레벨이 저항(R8, R9)을 거쳐 그대로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인가되며, 점점 낮은 전압이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의 게이트에 인가되면, 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의 저항성분이 점점 작아지므로 소스단의 신호가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를 통해 점점 더 흐르게 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점점 작아진다.
이와같이 가변된 오디오신호는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의 에미터로 출력된 후 콘덴서(C2) 및 저항(R11)을 통해 브이씨알 오디오 출력단이나, 브이씨알과 연결된 타기기의 오디오입력단에 출력된다.
그리고 노말(NORMAL) 음량 조절모드 슬라이드스위치(SW4)가 전원(Vcc)에 연결되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가 오프되므로 음량조절키와 상관없이 고정되어진 오디오 음량에 따라 출력되며, 그 스위치(SW4)가 접지에 연결된 때만 상기와 같이 음량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브이씨알에 연결된 타오디오/비디오기기의 음량 조절레벨을 고정시키고 고정된 레벨 이하에서 브이씨알의 제어로 음량 조절 및 뮤트가 가능하며, 종래의 로타리형 텔레비젼이나 리모콘이 채용되지 않는 기기에 사용할 수 있고 리모콘에 본 고안의 키를 채용하여 사용자가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음량을 선택하는 음량선택수단과,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음성신호 입력수단과, 상기 음성신호 입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음량을 상기 음량선택수단의 선택출력신호에 따라 조절하는 음량조절수단과, 상기 음량조절수단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신호 출력수단과, 상기 음성신호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신호를 외부에 존재하는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라인연결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음량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선택수단은 키패드와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신호를 해독하여 일정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음량 조절장치.
KR2019890011380U 1989-07-31 1989-07-31 브이씨알(vcr)의 음량조절장치 KR9500057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380U KR950005702Y1 (ko) 1989-07-31 1989-07-31 브이씨알(vcr)의 음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1380U KR950005702Y1 (ko) 1989-07-31 1989-07-31 브이씨알(vcr)의 음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524U KR910003524U (ko) 1991-02-27
KR950005702Y1 true KR950005702Y1 (ko) 1995-07-20

Family

ID=1928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1380U KR950005702Y1 (ko) 1989-07-31 1989-07-31 브이씨알(vcr)의 음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7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524U (ko) 1991-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702Y1 (ko) 브이씨알(vcr)의 음량조절장치
KR970004408Y1 (ko) 조도적응형 음량조절장치
KR940001479Y1 (ko) 음향 기기의 뮤트(mute)차단회로
KR960001727Y1 (ko) Tv수상기의 백색 잡음 방지 회로
KR910000104Y1 (ko) Tv와 오디오/비디오의 스위치 회로
KR910007203Y1 (ko) 컬러 tv의 음량 조절회로
KR940006559Y1 (ko) 피아이피 오디오 콘트롤 회로
KR890006232Y1 (ko) 예약 녹음시의 뮤우트 선택회로
JPH0810989Y2 (ja) 映像信号のフェーダ回路
KR910003762Y1 (ko) 다기능 텔레비젼의 영상신호 선택회로
KR910005624Y1 (ko) Vcr의 정지화면 조절회로
KR910006091Y1 (ko) 방송신호 유무에 따른 음성 뮤우트와 텔레텍스트 리셋트 기준 신호 발생회로
KR930005159Y1 (ko) 오디오 앰프기기의 헤드폰 출력회로
JP2932089B2 (ja) 映像音声消去回路
KR0131706B1 (ko) 텔레비전의 영상합성장치
KR910003392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방송신호/재생신호 선택 스위칭 회로
KR910004407Y1 (ko) 음성 다중 모우드 제어회로
KR860002760Y1 (ko) 대출력 앰프에서의 음성 뮤팅회로
KR910010067B1 (ko) 중저음 재생 특성 제어회로
KR970050545A (ko) 음성 줄임 제한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자동 녹음이 가능한 텔레비전 비디오테이프레코더
KR960011729B1 (ko) 티브이(tv)사운드 출력의 자동조절회로
KR950005260Y1 (ko) 비데오 카메라 음성녹음장치
KR900007854Y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구동 제어회로
KR200141283Y1 (ko) 사운드 출력 절환회로
KR890006632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잡음 방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