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662Y1 - 유리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662Y1
KR950004662Y1 KR2019930011656U KR930011656U KR950004662Y1 KR 950004662 Y1 KR950004662 Y1 KR 950004662Y1 KR 2019930011656 U KR2019930011656 U KR 2019930011656U KR 930011656 U KR930011656 U KR 930011656U KR 950004662 Y1 KR950004662 Y1 KR 9500046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angle
head
clean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1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410U (ko
Inventor
정덕찬
정석진
Original Assignee
정덕찬
정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덕찬, 정석진 filed Critical 정덕찬
Priority to KR2019930011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662Y1/ko
Publication of KR9500004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4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6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6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08Hand implements with provision for supplying liquids, e.g. cleaning agen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리 세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유리 세척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유리 세척장치의 각도 가변구조를 보인 것으로 제2(a)도는 브러쉬부와 헤드부의 위치가 수직상태인 경우이고, 제2(b)도는 브러쉬부의 각도가 변화된 구조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척패드 2 : 수분제거패드
3 : 살수공 4 : 급수호스
5 : 브러쉬부 6 : 헤드부
7 : 급수부 8 : 힌지
9 : 힌지핀 10 : 작동로드
11 : 홈 12,12' : 제1,2고정점
13 : 결착구
본 고안은 유리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러쉬부의 각도 가변을 위한 구조로서 비좁은 공간에서 바람직한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리 세척장치 분야에서 수압에 의하고 유리표면에 수분을 분사시켜 세척하는 방법 및 장치는 보편화되어 있다.
그 장치에 있어 주요골격은 수원으로 부터 시작하여 소정의 위치로 물을 수압에의해 이동시키고 손잡이 역활을 하는 관의 조립체인 급수부와, 급수부를 통해 공급된 물을 저장하거나 수압에 의해 고른 분포로 물을 분사시키고 브러쉬를 수용하는 헤드부와, 특별하게는 상기 헤드부에 분리조합되고 세척면을 형성하는 스폰지재의 브러쉬부가 있다.
급수부에 물이 공급되면 수압에 의해 물이 헤드부로 이동하고 이동되어진 물은 세탁대상면에 살표되어 브러쉬로 문질러 유리를 세척한다.
세척대상 부위를 중심으로 별 다른 장애물이 없으면 세척장치를 이용한 세척효율은 크게 좋아질 수 있다.
특히 넓은 면적에 유리표면을 세척할 경우 빠른 시간에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유리표면의 외부에 설치가설물 또는 구조물이 있으면 세척장치의 위치이동을 제한하여 세척작업을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가옥(아파트등), 건물등의 외부에 샤시를 설치하였을 경우 난간의 좁은틈을 통해 유리세척을 하여야 하는데 세척장치의 부피가 크거나 넓은폭을 갖고 있으면 난간의 폭으로 세척장치가 통과하지 못해 유리세척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에 설치된 유리표면 세척작업에 있어서 구조물의 간섭으로 부터 벗어나도록 브러쉬에 각도 가변 구조를 제공하여 세척장치의 작업반경을 넓혀 주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세척장치는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쉬부와, 브러쉬부를 일정 범위내에서 안내하는 헤드부와, 브러쉬를 헤드부에서 회전시키기 위해 고정점에 구성되는 각도조절수단과, 브러쉬부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작동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퍽패드(1)와 수분제거패드(2)가 있는 브러쉬부(5)와, 상기 브러쉬부(5)를 안내고정하고 다수의 살수공(3)이 형성된 헤드부(6)와, 상기 헤드부에 물을 공급하고 손잡이 부분인 관의 연결체인 급수 호스(4)로 이루어진 급수부(7)와, 브러쉬부(5)와 헤드부(6)를 연결고정하는 각도조절수단과 브러쉬가 헤드부에서 각도가 가변되도록 한 작동수단과, 브러쉬가 헤드부에서 각도가 가변되도록 하는 작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브러쉬부(5)와 헤드부(6)상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힌지(8)이고 이들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핀(9)이며 작동수단은 일단이 브러쉬부(5)에 고정되는 작동로드(10)와, 홈(11)이 형성되어 급수부측에 돌설된 제1고정점(12)과 제2고정점(12')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작동로드(10)에 있는 결착구(13)로 이루어짐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세척장치는 브러쉬부를 임의의 각도로 가변시켜 주변 구성물에 의한 브러쉬의 이동제한 폭을 줄인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제2(a)도, 제2(b)도는 제1도에 의한 브러쉬부(5)의 각도변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제2(a)도에서 작동로드(10)의 결착구(13)는 제1고정점(12)에 고정되어 브러쉬부(5)가 힌지핀(9)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직에 가깝게 세워진 상태로서 임의의 폭 "a"을 갖게 된다.
따라서 난간등의 구조물을 통과시켜 유리표면을 닦을 경우 적어도 "a"폭보다는 구조물의 폭이 넓어야만 세척장치의 통과가 가능하다.
제2(b)도에서는 브러쉬부(5)가 수직상태에서 꺾어져 각도 변화가 생긴 것인데 작동로드(10)의 결착구(13)는 제2고정점(12')에 고정되어 브러쉬부(5)를 당기게 되어 작동로드(10)의 이동량만큼 브러쉬부(5)의 각도가 변화된 상태로서 폭 "a"는 제2(a)도의 "a"폭에 비해 넓다.
임의의 폭 "b"를 갖는 구조물과 세척장치의 폭이 a'≥b인 조건하에서 제2(b)도와 같은 a'의 폭으로 설정된 세척장치는 구조물을 통과하지 못하지만 제2(a)도의 경우는 a<b가 될수 있어 구조물의 통과가 가능하다.
따라서 구조물의 폭이 좁고 이 공간을 통과시켜 세척할 경우 작동로드(10)를 각 고정점(12)(12')에 선택적으로 고정하여 브러쉬부(5)의 각도를 제2(a)도와 같은 수직상태로 조절함으로서 어느 정도범위내에서는 구조물을 통과시켜 세척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세척장치는 비교적 복잡한 구조물의 틈사이로 통과시켜 셈세한 구석 유리창 세척에 적합하다.
브러쉬부(5)에는 헤드부(6)의 살수공(3)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받아 유리 표면에 밀착시켜 이물질을 닦어내는 세척패드(1)가 있고 세척패드(1)에 의해 닦여진 유리표면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패드(2)가 있다.
제2(a)도의 경우는 수분제거패드(2) 사용시 헤드부(6)와 브러쉬부(5)의 바람직한 각도이고 제2(b)도는 세척패드(1)의 사용에 따른 바람직한 브러쉬부(5)의 각도이다.
사용자는 세척대상물의 세척조건과 상황을 고려하여 작동로드(10)의 고정위치를 바꾸어줌으로서 브러쉬부(5)의 각도를 가변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브러쉬의 각도조절을 통해 세척대상폭을 넓혀 세척효율을 좋게하고 단순한 구성을 갖고 있어 오조작이나 고장의 염려없이 간단한 운용조작으로 신뢰도 높은 유리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1. 급수호스의 상부에 브러쉬를 안내고정하는 헤드부와, 서로 다른 재질을 갖고 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쉬부와, 브러쉬부와 헤드부의 고정점에 구성되는 각도조절수단과, 브러쉬부의 각도를 가변시키기 위한 작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유리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도조절수단은 브러쉬부와 헤드부의 연결고정부의 대응위치에 형성된 힌지와, 상기 힌지를 연결하는 힌지핀으로 구성된 유리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작동수단은 선단이 브러쉬부에 고정된 작동로드와, 작동로드의 끝단에 위치하고 홈이 있는 결착구와, 상기 결착구의 홈을 안내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이상의 고정점을 급수호스에 구비한 유리 세척장치.
KR2019930011656U 1993-06-29 1993-06-29 유리 세척장치 KR9500046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656U KR950004662Y1 (ko) 1993-06-29 1993-06-29 유리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656U KR950004662Y1 (ko) 1993-06-29 1993-06-29 유리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410U KR950000410U (ko) 1995-01-03
KR950004662Y1 true KR950004662Y1 (ko) 1995-06-13

Family

ID=1935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1656U KR950004662Y1 (ko) 1993-06-29 1993-06-29 유리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6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410U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8678A (en) Apparatus for applying fluids to various types and locations of surfaces
US5425589A (en) Car washer
KR950004662Y1 (ko) 유리 세척장치
US6250831B1 (en) Combination squeegee and radiator-fill apparatus
US5398363A (en) Screen washing machine
KR20000067506A (ko) 상하좌우 자동이동 유리창 청소장치
CN109363590A (zh) 一种多功能清扫卫生工具
US5620157A (en) Car wash boom system
US3371371A (en) Pick-up tool assembly
JPH08140900A (ja) サッシ窓ガラス面清掃装置
US2288353A (en) Washing apparatus
CN2482378Y (zh) 多功能清洁器
CN208371716U (zh) 一种刮擦洗合一的清洗装置及清洗幕墙机器人
KR101795991B1 (ko) 유리창 청소기
CN217244142U (zh) 清洁组件及清洁机器人
CN219060309U (zh) 一种水利施工清淤装置
KR0113549Y1 (ko) 분무기
JP3513628B2 (ja) 茶樹に対する薬剤の散布装置
CN216221371U (zh) 一种免手洗喷水拖把
CN215838802U (zh) 拖布、拖布机构、智能清洁装置以及手持式清洁装置
EP0162397A2 (de) Sanitärzelle
KR930005694Y1 (ko) 유리창 청소구
KR200316287Y1 (ko) 다기능 차 청소기
KR200305298Y1 (ko) 다용도 기구겸 테이프청소기
KR930004945Y1 (ko)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