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328B1 - 증류반응기용 촉매시스템 - Google Patents

증류반응기용 촉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328B1
KR950004328B1 KR1019910002005A KR910002005A KR950004328B1 KR 950004328 B1 KR950004328 B1 KR 950004328B1 KR 1019910002005 A KR1019910002005 A KR 1019910002005A KR 910002005 A KR910002005 A KR 910002005A KR 950004328 B1 KR950004328 B1 KR 950004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zone
catalyst
open
dist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2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325A (ko
Inventor
피네이어 로날드
에이. 울로웨츠 마이클
피. 내이스 티모시
에이. 퍼스 데이빗
Original Assignee
코취 엔지니어링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브래들리 이. 해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취 엔지니어링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브래들리 이. 해독 filed Critical 코취 엔지니어링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10015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in tube reactors; the solid particles being arranged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32Packing elements in the form of grids or built-up elements for forming a unit or module inside the apparatus for mass or heat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009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in combination with chemical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16Fractionating columns in which vapour bubbles throug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16Fractionating columns in which vapour bubbles through liquid
    • B01D3/18Fractionating columns in which vapour bubbles through liquid with horizontal bubble plates
    • B01D3/20Bubble caps; Risers for vapour; Discharge pipe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53Details of the reactor
    • B01J19/006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53Details of the reactor
    • B01J19/0073Sea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5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configuration
    • B01J35/56Foraminous structures having flow-through passages or channels, e.g. grids or three-dimensional monoli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15Feeding of the particles in the reactor; Evacuation of the particles out of the reactor
    • B01J8/003Feeding of the particles in the reactor; Evacuation of the particles out of the reactor in a downwar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03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horizontal
    • B01J8/0407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horizontal through two or more cylindrical annular shaped beds
    • B01J8/0415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horizontal through two or more cylindrical annular shaped beds the beds being superimposed one above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4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 B01J8/0449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two or more cylindrical beds
    • B01J8/0453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two or more cylindrical beds the beds being superimposed one above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4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 B01J8/047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two or more otherwise shaped beds
    • B01J8/04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two or more otherwise shaped beds the beds being superimposed one above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4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 B01J8/047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two or more otherwise shaped beds
    • B01J8/048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the flow within the beds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two or more otherwise shaped beds the beds being place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548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2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with stationary particles
    • B01J2208/021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with stationary partic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beds with flow of reactants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164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controlling the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761Details of the reactor
    • B01J2219/00763Baffles
    • B01J2219/00765Baffles attached to the reactor wall
    • B01J2219/0077Baffles attached to the reactor wall inclined
    • B01J2219/00774Baffles attached to the reactor wall inclined in the form of c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3/00Distillation: processes, separatory
    • Y10S203/06Reactor-distil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증류반응기용 촉매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해 부분 절단한 증류탑의 부분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촉매 강수관의 부분적인 측면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질량전달 층단(tray)의 평면도.
제4도는 구조의 세부사항을 보여주기 위해 부분절단한 또다른 구체예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를 절단하여 그 단면을 보여주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증류탑반응기 11 : 구조물
12 : 증류단 14 : 돌출선반
16 : 반응기외판 18,118 : 강수관, 용기
20 : 고체촉매입자 21 : 굴뚝형 증류단
23 : 매니포울드 25 : 배출노즐
26 : 분리식 플러그 27 : 툭구조물
29 : 하부선 30 : 외벽
32 : 촉매베드 34 : 소형공동
36 : 큰공동 38 : 상하부속품
40 : 햇(hat) 42 : 둑
43 : 밀폐부 144,146 : 원통부
145 : 위퍼밴드 147 : 개방구
149 : 액체수거영역
본 발명은 질량전달 또는 증류탑 반응기에 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 유체흐름과 입상고체 촉매를 병류접촉시키는 동안 반응 생성물을 증류하는 반응기속의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증류탑에서 촉매반응시키는 종래의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촉매를 충전한 용기로 구성되며 탑속에 배치되어 있어서 촉매 및 증류 구조물 역할을 동시에 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구조물의 촉매 화학반응 영역은 질량전달 영역과 결합한 형태이므로 질량전달 영역에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반응과 증류작업을 동시에 실행하는 공지된 구조물의 또다른 한계는 촉매를 모두 소비하였을 때 교환하기가 어렵다는 사실이다. 촉매 재생을 위하여 내부구조물을 반응기 외판으로부터 분리한 후 촉매를 재충전하고 다시 원위치로 배치하여야 한다. 이것은 시간소모가 크고 노동력을 낭비하는 방법이다. 어떤 경우에는 사람이 탑을 설치하고 물리적으로 내부구조물을 분리 및 대체하여야만 한다. 어떤 종류의 구조물에 들어가는 촉매는 강철선 지지구조와 결합한 천으로된 벨트속에 넣어 유지하기도 한다. 이런경우 촉매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지지구조물과 촉매벨트를 모두 분리하고 다시 재생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특히 수개월 정도로 짧은 순환기(cycle life)의 촉매를 이용할 경우 촉매재생으로 인하여 증류탑 가동시간에 큰 손실이 생긴다.·덧붙여서, 탑에 들어가 촉매를 교환하는 사람은 매우 조심해야 하며 특히 유독화학약품이 탑에 충전된 경우에 그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질량전달 혹은 증류탑속에서의 반응공정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유체흐름을 촉매반응시키고 또한 동시에 증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유체흐름의 증류 및 반응을 동시에 실행하고 반응 및 질량전달영역을 모두 활용하여 반응공정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물을 질량전달탑 혹은 증류탑속에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목적으로서, 유체흐름의 반응 및 증류작업을 동시 실행하고 또한 소모된 촉매를 용이하게 대체하여 작업 수행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물을 증류탑 또는 질량전달탑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유체흐름의 반응 및 증류작업을 동시 실행하고 또한 탑속에 사람이 들어가 안전사고발생의 위험없이 소비된 촉매를 용이하게 대체할 수 있는 구조물을 증류탑 또는 질량 전달탑에 설치하는 것이다.
중요한 목적대상은 비교적 액체유속이 큰 경우에도 실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유체흐름을 촉매반응과 동시에 증류시키는 방법 및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언급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촉매화 영역 및 비촉매화 영역에 서로다른 질량전달장치를 설치하여 촉매반응 및 증류법과 그 구조물에 최대수압을 가하는 것이다.
그외의 다른 목적은 촉매장치에 반응물인 유체를 통과시켜서 유체흐름 및 공정효율을 극대화하는 설비를 만들어 유체흐름을 촉매반응 및 증류시키기 위한 방법과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촉매베드(bed) 즉, 탑속에서 층단이나 그외의 질량전달장치 사이에 걸친 용기를 갖춘 구조물이 있는 증류 혹은 질량전달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용기에는 유체흐름의 액상(liquidphase)이 전달되는 통로 또는 채널이 있고 또한 층단이 제공하는 증류영역과 분리된 촉매화학 반응영역을 제공한다.
별도의 반응영역 및 질량전달 영역을 이용하면 각 영역에 들어가는 물질의 양을 :(a) 유체흐름을 탑에 유입시키고 ; (b) 이 유체흐름의 액상을 다수의 질량전달장치 사이에 걸쳐 연장된 입상 고체 촉매장치와 접촉시키고 : (c) 기체흐름을 탑에 공급하고, (d) 액상 및 기체상을 이 두 물질간의 질량전달을 실행하기 위하여 질량전달 장치에 유입시키고 ; 또한 (e) 촉매베드를 통과하여 질량전달 장치로 향하는 액상흐름을 제어하는 단계로된 공정에서 조절할 수 있다.
앞서의 단계중 하나 이상은 다른 단계와 동시 실행할 수 있다.
참조번호를 기재하여 각 부분을 나타낸 도면을 첨부하였다.
도면을 보면 특히 제1도-3도의 구체예에서, 증류탑 반응기(10)에는 탑내에서 유체흐름의 반응 및 증류를 동시 실행할 수 있도록한 구조물(11)이 설치되어 있다. 구조물(11)은 다수의 공간부와 수평 연장형 질량전달장치로 구성되고 이것은 탑반응기 외판(16)의 내측에 부착된 돌출선반(14)으로 지지되는 증류단(12) 형태이다. 또한 구조물(11)에는 액체/기체 투과성 강성재료 즉 스크린선으로 만든 강수관(18)형태의 다수의 용기가 들어있다. 용기(18)에 고체 촉매입자(20)을 충전하고 다수의 층단(12)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걸쳐 놓는다.
굴뚝형 증류만(21) 형태로된 분배기가 최상단(12) 위에 자리잡고 또다른 탑에서 유입된 액체를 공급받아 외판(16)내의 탑 전체 표면에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강수관(18)의 최하단은 강수관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된 매니포울드(23)과 연결시킨다. 매니포울드(23)에는 배출노즐(25)이 설치되어 있고 평상시에는 분리식 플러그(26)로 밀폐한다. 다수의 매니포울드(23)를 외판(16) 하단에 설치하여 모든 강수관(18)과 이 매니포울드 및 관계한 배출노즐을 연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가장 일반적인 응용은 앞서 언급한 복합체를 탑의 일부분으로 구비하고 강수관(18)에서 나온 액체를 수거기/분배기로 공급해서 탑의 중요부분의 증류영역으로 운반하는 것이다. 매니포울드(23) 아래에 위치한 둑구조물(27)은 외판(16)의 내벽 주위를 환형으로 둘러싸고 있다. 최종적으로 하부선(29)을 설치하여 더이상의 질량전달 혹은 반응이 필요치 않을때 반응기에서 떨어지는 액체를 받는다.
제2도에서, 각 강수관(18)은 일반적으로 원통형구조이며(이에 국한되지 않음) 촉매입자(20)로 만들어진 촉매베드 주위를 감싼 철망구조의 액체투과성 외벽(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벽(30)은 촉매입자(20)을 보유하기에 적절한 각종 스크린형 재료로 구성되며 필요한 액체 및 기체를 투과시킬 수 있다. 별도로, 이 벽은 바람직한 구성의 시이트형 금속 또는 다른 물질로 만들 수 있고 그 공통크기는 촉매입자가 관통하지 않는 반면 액체와 기체를 투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벽(30)을 쇠그물이나 금속스크린 재료로 만들 수 있으며 원하는 특성에 따라 플라스틱 그물, 유리섬유천 또한 세라믹류의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촉매베드(32)는 이 안에서 일어날 반응에 알맞는 고체입자형촉매(20)로 구성된다. 촉매(20)는 산성 또는 염기성 촉매이거나 촉매형금속 및 그들의 산화물, 할로겐화물, 또는 다른 화학적 반응물이다. 분자체 역시 촉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선택된 촉매는 체의 반응 및 유체흐름에 대해 불균일하여야 한다. 예컨대, 산성 양이온교환 수지를 이중합반응, 중합반응, 에테르화반응, 에스테르화반응, 이성질화반응 및 알칼리화반응에 이용할 수 있다. 분자체, 마그네시아, 크로미아 및 수활석 같은 다른 촉매 역시 이성질화 반응에 사용할 수있다.
증류단(l2)은 제1도 및 3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전형적인 체-형 평판구조로 되어 있으며 기체와 액체의 접촉에 이용한다.·밸브단, 버블캡형층단 또한 제트탭(jet tap) 층단과 같은 다른 종류의 층단도 상기의 증류단(12)과 함께 또는 그대신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증류단은 반응기외판(16)의 내부에 배치하며 반응기(10)안의 적당한 위치에서 일정간격으로 수직배열한다. 증류단에 나있는 다수의 소형공동(34)은 기체가 통과하기 위한 것이다. 이보다 다소 큰 공동(36)은 증류단을 통과하여 상부 및 하부 부속품(38)에 의해 고정되는 강수관(18)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각 증류단에 있는 크고 작은 공동(34) 및 (36)의 분포는 특정의 촉매반응 공정에 따라 결정된다. 공동은 오프셋(offset) 행렬로 분포되며 그결과 한행의 역시 한공동과 인접행의 두 근접공동 사이에 가상선을 그릴경우 정삼각형이 형성된다. 정상적인 배치에서, 큰공동(36)은 증류단 총표면적이 약 19%를 차지하고 소형공동(34)은 역시 총표면적의 약 1.7%이 된다. 큰공동과 그에 따른 강수관(18)이 인접 강수관 중심간에 3'직경×6'공간 간격으로 되어 있다면 3발 직경의 증류단에서 이 공간 밀도를 얻을 수 있다. 소형공동은 중심으로부터 3'만큼 떨어져 있으며 0.5'정도의 직경크기로 되어있다. 공동의 공간밀도는 다양하며 큰공동(36)의 단면적 혹은 소형공동(34)의 단면적을 이상적인 크기로 만들 수 있도록 한다. 큰공동(36)의 표면적 상한치는 증류단 표면적의 약 32%가 바람직하다·
강수관(18)은 한 증류단(12)에서 그보다 아래있는 단까지 하향연장하며 단 사이에 액체를 통과시킨다. 강수관은 다수의 연속 증류단을 통해 계속적으로 연장하며 강수관 하단부를 통해 액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하고 한편 강수관 속에 촉매를 유지할 수 있는 적당한 밀폐기가 설치된 하부 증류단의 상부표면 위에서 끝난다. 그러나 강수관이 각 증류단(12)을 계속 통과 연장하여 결과적으로 촉매베드의 제거 및 충전을 위한 연속통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수관(18)이 그물망 구조로 되어있으면 이것과 접촉할 액체상을 수용하고 또한 액상 및 기체상간의 질량전달을 촉진할 수 있는 매우 크고 효과높은 표면적을 제공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강수관(18)을 통과하는 액체흐름은 강수관(18)내에 원뿔형 햇(hat)(40) 같은 적당한 유동제한기를 삽입하여 액체 하향류를 방해 또는 제한하고 또한 강수관에서 유입된 이 흐름을 증류단(12)상에 전환하므로서 조절이 가능하다. 각종 제한기를 활용하여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햇(40)과 같이 촉매충전에 적합한 제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과정에서, 한가지 이상의 유체흐름을 라인(22)를 통하여 반응기(10) 영역으로 보낸다. 이 흐름은 액체가 강수관(18), 상단부로 유입되고 또한 그속에 있는 촉매베드(32)를 통과하여 하향유동하게될 체-형 층단(12)상으로 분배단(21)에 의해 향하게 된다. 유체흐름의 촉매반응은 촉매반응영역이 있는 촉매베드를 통과할 때 일어난다. 유체 전면이 전개할때, 반응영역을 통과하는 유체는 강수관의 벽(30)을 통해 물방울을 흘려보내고 액체혼합 및 분화가 일어나는 증류단(12) 상부표면 위로 벽(30)의 외면을 따라 내려간다.
어떤 경우에는 벽(30) 표면에서 질량전달이 실행된다. 단(12)을 떠난 후, 액체는 강수관(18)의 반응영역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탑의 저면에 도달하는 액체일부와 함께 반응 및 증류영역을 점진적으로 통과한다. 이 저면에서는 액체가 라인(29)을 통해 배출하거나 컬럼의 증류영역으로 향한다. 정상적으로 재가열기(도면에 없음)를 이용하여 반응기에 회수된 액체의 일부를 가화하기도 한다.
액상이 강수관(18) 통과 하향하면 액상증류에 의해 생성되는 기체상(또다른 원인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는)은 증류단에 있는 소형공동(34)을 통해 상향하며 다공성 강수관에서 나온 액상과 상호 혼합된다. 액체와 기체상 사이의 조기 질량전달은 증류단에서 일어나며 일부는 촉매반응 영역과 특히 벽(30) 표면상에서 일어나기도 한다. 따라서 강수관벽(30)은 액체뿐만 아니라 기체투과성으로 만들어 강수관으로부터 기체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체상이 반응기(10) 상단으로 올라간 후 다시 분류지역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응축하여 환류액으로서 다시 반응기에 회수될 수도 있다. 이 생성물은 다시 반응기내에서 처리하거나 또한/또는 공지의 기술을 가진자에케 잘알려진 방식으로 반응기에서 분리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는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고, 고체원통형둑(42)을 강수관(18)에 대해 동심원형태로 설치한다. 둑(42)을 하나이상의 단(12)의 상부표면에 설치하여(제3도에서의 단에는 둑(42)이 없음)이 단 상부표면에서 액체혼합 및 분류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둑은 동일한 높이로 되고 강수관(18)과 일정간격을 둔 큰공동(36)을 에워싸서 단위의 액체수위가 둑의 높이를 넘을때까지 강수관속의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각 둑(42)의 최하단에 밀폐부(43)를 만들어서 강수관(18)을 통과하기 전에는 액체가 이 부분을 통과할 수 없도록 한다.·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는 강수관을 통과하는 액체를 제어하고 또한 강수관(18)에 의해 생긴 반응영역속에서 액체와 기체상간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 또다른 형태의 용도 및 그것을 수행할 방법은 제l도-3도의 구체예에서 기술한 것과 사실상 유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제5도에서 나타내었다. 이 구체예에서, 촉매가 들어있는 구조물(118) 역시 체눈(34)이 있는 증류단(12) 형태의 다수의 평판을 관통하는 연속 강수관을 보여주는 원통형 철망구조로 되어있다. 강수관(118)내에 한 개의 원통부(144)가 있고 이것은 강수관 외벽 내부에 동심원 형태로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원통부(144)는 철망재료로 만들어서 촉매베드(32) 내측에 개방구(147)가 존재하여 스크린망의 개구를 통해 촉매베드와 통하도록 한다. 절망눈의 크기는 적당한 것을 선택하여 스크린을 통해서 촉매베드와 개방지역간에 액체가 흐르도록 하고 반면에 촉매입자(20)는 개방지역을 통과하지 않게한다. 원통부(144) 상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체가 컬럼을 통하여 용기(118) 외벽으로 흐르는 형태로된 고체햇 구조물(40)로 밀폐한다. 위퍼밴드(145)로 액체가 용기(1l8) 외벽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막는다.
원통부(144) 최하단에서 이것보다 다소 작은 직경의 제2원통부(146)와 통해져 있고 또한 용기(118) 벽내에 일정간격을 두고 동심원형태를 만든다. 제2원통부(146) 역시 철망재료로 구성되며 액체 수거영역(49)이 존재한다. 이 원통부(146)는 원통부(144) 바닥에서 단(12) 아래의 햇구조물(40) 상부 어느 지점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다른 형태의 용기(118)와 이에 관련된 원통부(144) 및 (146)의 이용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행해진다. 원통부(144)의 개방지역(147)에서 컬럼을 통과하는 액체유량이 훨씬 커진다. 이보다 다소 작은 원통부(146)의 단면적 때문에 액체는 액체수거영역(149)에 모이게 된다. 수거된 액체는 점차적으로 스크린(146)과 그 주위에 있는 촉매베드를 통해 외부로 이동하고 액체전면이 어떤 수위에 도달하게 된다.
용기(118) 및 관련 스크린원통부(144)와 (146)은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구조로서 앞서의 제1도-3도에서의 구체예와 유사한 방법에 적용된다. 액체는 단(l2)에 모여 방사형으로 촉매베드를 통과하고 주위의 원통부(144) 및 그곳에 있는 개방지역 속으로 들어간다. 액체상은 그후 액체수거지역(149)속에 축적되며 축적액의 전면이 예정수위에 도달하면 이 지역에서 외부로 흘러나가 촉매베드(32)를 통과해서 그다음 인접햇(40)에 도달할 때까지 강하한다. 이 햇은 다시 용기(118)의 벽방향으로 힘을 받고 그아래에 있는 단(12)에서 앞서의 처리과정이 반복된다. 액체증류 및 분류공정이 일어나는 단과 또한 강수관(118) 및 원통부(142)(146)의 표면에서 질량전달이 이루어진다.
액체가 반응기를 통해 내려가면서 촉매베드(32)가 있는 반응영역에서 반응이 일어난다. 제1도-3도의 구체예를 함께 검토할 때 반응기 저면에 도달한 액체는 동일 컬럼상의 또다른 영역으로 향한다. 원통부(144)와 (146)은 일반적으로 서로 관련되어 있으므로 다른 하나를 이용하지 않고 하나만 별도로 이용하면 유체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외관(16)으로 둘러싸인 컬럼 내측에 강수관(18) 및 (118)이 단(12)과 함께 구비되어 있는 증류구조물은 먼저 분별증류가 일어나는 지역과 또한 촉매반응이 일어나는 지역으로서 중요한 특징을 갖는다. 강수관 내에 들어있는 촉매베드(32)는 촉매반응 영역이며 또한 단(12) 사이로 강하하는 액체흐름이 기본 통로역할을 하므로써 액체와 촉매 사이의 완전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보장한다. 증류단(12)은 액상과 기체상간의 질량전달을 위한 기본적인 분별증류 지역이다. 분별증류 및 촉매반응을 공동으로 실행하는 각 영역을 만들어 보다 개선된 공정효율을 얻을 수 있다. 계의 반응을 조절하는 일은 촉매영역을 통과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하므로서 유지한다. 유속을 증가하면 더많은 액상이 강수관의 벽을 통해 흘러내리고 단(12)위의 질량 전달영역에 유입된다. 질량전달 영역에 들어가는 물질의 양은 액체유속 또는 이것을 제어하는 다른 공정변수의 조절에 따라 제어하게 된다.
강수관(18) 및 (118)속의 촉매(20)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플러그(26)를 떼어 촉매(20)가 배출노즐(25)을 통해 나오도록 한다. 굴뚝형 분배단(21)을 분리한 후 촉매를 강수판(18) 및 (118)속으로 재충전한다.
따라서 증류구조물(11)이 있는 반응기는 촉매반응식 증류보조장치를 분리하지 않고도 촉매(20)를 제거 및 재충전할 수 있다는 또다른 장점이 제공된다. 이결과 전체구조물(11)을 해체할 때 특히 짧은 순환기의 촉매를 이용하는 경우 소비되는 조작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것이며 또한 기존의 응용분야에 본발명을 활용할 수 있는 다른 장점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과 부분적 복합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것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여러 구체예도 있을 수 있으므로 첨부도면에 나타낸 것들은 단지 실시예이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Claims (38)

  1. 분별증류 및 질량전달 영역을 제공하는 일정간격을 둔 다수의 평판과 ; 고정식 구조로서 촉매를 담기위하여 상기의 평판사이에 연장된 촉매 반응영역인 다수의 용기로 구성되고 이 용기가 평판사이로 액체흐름을 전달하기 위한 기본 유동경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탑형 반응기를 통과하는 유체흐름의 증류와 촉매반응을 동시 실행하기 위해 반응기속에 사용하는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용기에 투과성 외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용기외벽이 스크린 재료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평판에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다수의 공동이 있어서 이 용기가 평판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용기가 다수의 용기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용기에 입상형 고체촉매를 충전하여 촉매반응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용기둘레에 상단 및 하단이 있는 고체원통부가 설치되고 이 원통부는 용기와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원통부 하단에 유체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용기를 통해 낙하는 액체의 유속을 늦추기 위한 간섭 구조물이 용기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촉매를 담는 상기 내부에 개방지역을 제공하는 수단이 있어 여기에서 액체가 방사형으로 흘러 용기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개방지역과 통하는 개방형태이고 일정간격을 두고 하향하는 액체 수거영역을 제공하는 수단이 있고 이 영역에서 액체를 방사형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개방지역의 어느 위치에서 용기의 외벽에 대해 액체흐름을 전하는 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2. 제1l항에 있어서, 개방지역의 단면적 크기가 액체수거 영역의 크기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용기벽, 개방지역 제공수단 및 액체수거 영역 제공수단이 모두 망상재료(meshmateria1)로된 것인 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액체수거영역이 평판수단의 어느 위치에서 이 평판수단 하부의 어느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5. 제11항에 있어서, 액체수거영역이 평판위의 어느 위치에서 시작되고 이보다 아래에 있는 또다른 평판의 어느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6. 일정간격을 둔 다수의 증류장치가 역시 다수의 촉매함유 용기와 함께 탑속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이 촉매함유 용기속에 입상촉매를 충전하여 촉매베드를 만들어서 그결과 증류장치내에 촉매영역과 별도의 증류영역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입상촉매를 활용하는 증류공정을 수반한 반응탑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촉매를 충전하여 촉매베드가 다수의 증류장치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촉매영역내에 개방지역 제공수단을 제공하여 방사형으로 액체흐름이 개방지역속에 수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개방지역과 통하는 개방형태이고 일정 간격을 두고 하향하는 액체수거영역을 제공하는 수단이 있고 이 영역에서 액체를 방사형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개방지역의 어느 위치에서 용기의 외벽에 대해 액체흐름을 전환하는 수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용기벽, 개방지역 제공수단과 또한 액체수거영역 제공수단이 모두 망상재료로된 것인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액체수거영역이 평판수단의 어느 위치에서 이 평판수단 하부의 어느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액체수거영역이 평판위의 어느 위치에서 시작되고 이보다 아래에 있는 또다른 평판의 어느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내부에 촉매를 충전하여 제한적으로 촉매반응영역이 형성된 용기와 서로 연결시킨 일정간격을 둔 다수의 증류장치를 갖춘 탑(column)을 제공하고, 액체흐름을 공급하고 촉매반응영역에 통과시켜서 촉매반응을 실행하고, 기체흐름을 탑에 공급하고, 액체흐름 일부와 기체흐름을 증류장치에 보내어 질량전달이 일어나게 하고, 또한 촉매반응 및 증류결과로 나온 생성물을 반응기로 부터 분리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촉매가 들어있는 탑형 반응기속에서 유체흐름의 증류 및 촉매반응을 동시실행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기체흐름 공급단계에서 액체흐름 일부를 증류하는 것으로 된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용기가 다수의 증류장치를 관통하여 연장하도록된 탑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촉매영역내에 개방지역 제공수단을 설치하여 액체흐름이 방사형으로 개방지역속에 수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개방지역과 통하는 개방형태이고 일정간격을 두고 하향하는 액체수거영역을 제공하는 수단이 있고 이 영역에서 액체를 방사형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개방지역의 어느 위치에서 용기의 외벽에 대해 액체흐름을 전환하는 수단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용기벽, 개방지역 제공수단과 또한 액체수거 영역 제공수단이 모두 망상재료로된것인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액체수거영역이 평판수단의 어느 위치에서 이 평판수단 하부의 어느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액체수거영역이 평판위의 어느 위치에서 시작되고 이보다 아래에 있는 또다른 평면의 어느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유체흐름을 탑에 공급하고 ; (i) 다수의 질량 전달장치 사이에 연장된 입상고체 촉매베드와 유체흐름의 액체상을 접촉시켜 액체상 성분을 촉매화학적으로 반응시키고 ; (ii) 동시에 액체상 일부를 증류시켜 기체상을 형성하고 또한 ; 기체상과 액체상을 질량전달장치에 보내어 액상 및 기체상간의 질량전달을 수행하고 또한 ; 촉매베드를 통과하여 질량전달창치로 가는 액체상 흐름을 조절해서 계의 반응을 제어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며, 탑속에서 유체흐름의 촉매반응 및 증류작업을 동시 실행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촉매베드를 통과하는 액체상의 흐름 조절단계가 촉매베드에서 형성된 액체의 수위를 조절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촉매베드내에 개방지역을 제공하고 또한 액체를 방사형으로 베드에 통과시켜 상기의 개방지역에 보내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개방지역과 통하는 개방형태로서 일정간격으로 하향하는 액체 수거영역을 제공하고 또한 개방지역에서 나온 액체가 상기의 수거영역으로 들어가 모이고 이 액체는 다시 방사형으로 상기의 촉매베드를 통과하는 것으로된 방법.
  37. 제30항에 있어서, 유체흐름을 개방지역 주변으로 보내어 접근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8. 제33항에 있어서, 질량전달장치가 다수의 단과 이 단에 액체를 수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10002005A 1990-02-06 1991-02-06 증류반응기용 촉매시스템 KR950004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5,971 1990-02-06
US07/475,971 US5108550A (en) 1990-02-06 1990-02-06 Catalyst system for distillation reactor
US475,941 1990-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325A KR910015325A (ko) 1991-09-30
KR950004328B1 true KR950004328B1 (ko) 1995-04-28

Family

ID=2388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2005A KR950004328B1 (ko) 1990-02-06 1991-02-06 증류반응기용 촉매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5108550A (ko)
EP (1) EP0441058A3 (ko)
JP (1) JPH04363132A (ko)
KR (1) KR950004328B1 (ko)
AU (1) AU635814B2 (ko)
CA (1) CA2033460A1 (ko)
MX (1) MX167866B (ko)
NZ (1) NZ2370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7609A (en) * 1990-02-06 1995-09-05 Koch Engineering Company, Inc. Catalytic reaction and mass transfer process
US5454913A (en) * 1990-02-06 1995-10-03 Koch Engineering Company, Inc. Internals for distillation columns including those for use in catalytic reactions
US5948211A (en) * 1990-02-06 1999-09-07 Koch-Glitsch, Inc. Distillation column downcomer having liquid permeable wall
US5593548A (en) * 1990-02-06 1997-01-14 Koch Engineering Company, Inc. Method for concurrent reaction with distillation
ES2057965T3 (es) * 1991-03-08 1994-10-16 Inst Francais Du Petrole Aparato de destilacion-reaccion y su utilizacion.
FR2684893A1 (fr) * 1991-12-16 1993-06-18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distillation reactive catalytique et appareillage pour sa mise en óoeuvre.
US5308451A (en) * 1992-11-02 1994-05-03 Uop Fractionation tray for catalytic distillation
AU6105694A (en) * 1993-02-17 1994-09-14 China Petro-Chemical Corporation A multiple stage suspended reactive stripping process and apparatus
US5714640A (en) * 1994-01-21 1998-02-03 Mobil Oil Corporation Vapor pocket reactor
US5449501A (en) * 1994-03-29 1995-09-12 Uop Apparatus and process for catalytic distillation
US5697218A (en) * 1995-06-07 1997-12-16 Shnell; James H. System for geothermal production of electricity
US5730843A (en) * 1995-12-29 1998-03-24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mpany Catalytic distillation structure
EP0888156B1 (en) * 1996-01-22 2002-04-24 Koch-Glits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urrent reaction with distillation
US5895608A (en) * 1996-10-30 1999-04-20 Koch Enterprises, Inc. Downcomer for chemical process towe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6565816B1 (en) 1997-06-25 2003-05-20 Koch-Glitsch, Inc. Saddle structure for reactive distillation
US6379507B1 (en) 1998-08-03 2002-04-30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oducing methylal
CA2288312C (en) * 1998-12-22 2004-01-06 Willem Wiekert Levering Reactive distillation
EP1163952A1 (de) * 2000-06-14 2001-12-19 Sulzer Chemtech AG Mikrokanäle enthaltendes Festbett angeordnet in einem rohrförmigen Reaktorteil
US6846959B2 (en) 2002-10-07 2005-01-25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rocess for producing alkanolamines
ES2612956T3 (es) * 2007-01-16 2017-05-19 Basf Se Reactor y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ón de ácido sulfhídrico
KR101637292B1 (ko) 2015-02-16 2016-07-2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환류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가스 응축 장치
CN112403012A (zh) * 2020-12-09 2021-02-26 安徽金禾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循环控温式分子蒸馏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6875A (en) * 1942-06-16 1954-04-27 Atomic Energy Commission Catalytic apparatus for isotope exchange
DE872938C (de) * 1948-10-02 1953-04-09 Metallgesellschaf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exothermer katalytischer Gasreaktionen
US3541000A (en) * 1968-08-27 1970-11-17 Mobil Oil Corp Method and means for treating mixed phase vapor and liquid reactants under exothermic reaction conditions and temperature control
US3629478A (en) * 1969-08-22 1971-12-21 Chevron Res Separation of linear olefins from tertiary olefins
US3634535A (en) * 1969-08-22 1972-01-11 Chevron Res Separation and catalysis
DE2226829A1 (de) * 1972-06-02 1973-12-20 Knapsack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crylsaeureestern
JPS5234825A (en) * 1976-09-13 1977-03-17 Sakura Color Prod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crayon
DE7636679U1 (de) * 1976-11-22 1977-03-10 Boehringer Mannheim Gmbh, 6800 Mannheim Vorrichtung zur chemischen und/oder physikalischen behandlung von fluessigkeiten
US4126539A (en) * 1977-12-05 1978-11-21 Mobil Oil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of apparatus for hydrogenating hydrocarbons
US4302356A (en) * 1978-07-27 1981-11-24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 Process for separating isobutene from C4 streams
DE2848086C2 (de) * 1978-11-06 1986-11-06 Kernforschungsanlage Jülich GmbH, 5170 Jülich Röhrenreaktor für katalytische Prozesse
US4307254A (en) * 1979-02-21 1981-12-22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mpany Catalytic distillation process
US4213847A (en) * 1979-05-16 1980-07-22 Mobil Oil Corporation Catalytic dewaxing of lubes in reactor fractionator
US4443559A (en) * 1981-09-30 1984-04-17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mpany Catalytic distillation structure
US4439350A (en) * 1982-06-21 1984-03-27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mpany Contact structure for use in catalytic distillation
US4579647A (en) * 1982-10-15 1986-04-01 Mobil Oil Corporation Multiphase catalytic process with improved liquid distribution
JPS59147632A (ja) * 1983-02-15 1984-08-24 Mitsui Zosen Eng Kk 多塔式充填塔
US4471154A (en) * 1983-06-10 1984-09-11 Chevron Research Company Staged, fluidized-bed distillation-reactor and a process for using such reactor
DE3481038D1 (de) * 1983-12-15 1990-02-22 Sulzer Ag Stoffaustauschkolonne.
US4540831A (en) * 1984-05-17 1985-09-10 Uop Inc. Mixed-phase hydrocarbon conversion process employing total overhead condenser
EP0201614B1 (de) * 1985-05-14 1989-12-27 GebràœDer Sulzer Aktiengesellschaft Reaktor zum Durchführen von heterogenen, katalysierten chemischen Reaktionen
US4620952A (en) * 1985-10-15 1986-11-04 Koch Engineering Company, Inc. Gas liquid contact tray and method
FR2611740B2 (fr) * 1986-04-16 1989-10-27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reformage catalytique
FR2628418B1 (fr) * 1988-03-08 1991-01-04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preparation d'un ether alkylique tertiaire par distillation reactive
US5026459A (en) * 1988-03-21 1991-06-25 Institut Francais Du Petrole Apparatus for reactive distillation
JP2671927B2 (ja) * 1988-08-10 1997-11-05 東陶機器株式会社 サーモスタットミキシングバルブ
JPH033856U (ko) * 1989-06-02 1991-01-16
US5133942A (en) * 1989-06-07 1992-07-28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mpany Distillation column reactor with catalyst replacement apparatus
US5073236A (en) * 1989-11-13 1991-12-17 Gelbein Abraham P Process and structure for effecting catalytic reactions in distillatio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41058A3 (en) 1991-09-18
KR910015325A (ko) 1991-09-30
MX167866B (es) 1993-04-19
EP0441058A2 (en) 1991-08-14
AU635814B2 (en) 1993-04-01
US5108550A (en) 1992-04-28
US5291989A (en) 1994-03-08
CA2033460A1 (en) 1991-08-07
NZ237006A (en) 1993-04-28
JPH04363132A (ja) 1992-12-16
AU7025891A (en) 199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328B1 (ko) 증류반응기용 촉매시스템
AU699855B2 (en) Distributor device for multiple-bed downflow reactors
US10214699B2 (en) Scale collection and predistribution tray for vessel with downward two-phase flow
CA2595478C (en) Distribution device for two-phase concurrent downflow vessels
US4571326A (en) Process and device for hydroconversion of hydrocarbons
EP1477221B1 (en) Multiphase mixing device with improved quench injection for inducing rotational flow
JP4298795B2 (ja) 触媒蒸留装置
KR20000016285A (ko) 반응기 분배장치 및 급랭존 혼합장치_
US5454913A (en) Internals for distillation columns including those for use in catalytic reactions
EP0670178A2 (en) Liquid-phase catalyst-assembly for chemical process tower
EP0664722B1 (en) Catalytic reaction and mass transfer structure and process employing same
EP0716881B1 (en) Distributor device for multiple-bed downflow reactors
US5855741A (en) Apparatus for concurrent reaction with distillation
US5593548A (en) Method for concurrent reaction with distillation
EP0602287B1 (en) Reactor for catalytic processes
EP1663467B1 (en) Distribution device
EP08881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urrent reaction with distillation
EP06647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urrent reaction with disti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