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317Y1 - 편향요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편향요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317Y1
KR950004317Y1 KR92024441U KR920024441U KR950004317Y1 KR 950004317 Y1 KR950004317 Y1 KR 950004317Y1 KR 92024441 U KR92024441 U KR 92024441U KR 920024441 U KR920024441 U KR 920024441U KR 950004317 Y1 KR950004317 Y1 KR 950004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yoke
linear movement
high frequency
frequency generator
movemen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4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591U (ko
Inventor
황영민
Original Assignee
박경팔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팔,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경팔
Priority to KR92024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317Y1/ko
Publication of KR9400175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5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3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4Factory adjustment of completed discharge tubes or lamps to comply with desired toler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향요크 고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편향요크 고정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편향요크 고정장치의 정면도로서, 편향요크의 고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이트 2 : 받침대
5 : 직선운동수단 7 : 고주파 발생기
8 : 프로브
본 고안은 편향요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헤하게는 편향요크의 고정상태를 확실히하고 고정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편향요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은 내면에 3색의 형광체가 도포되어 있는 패널과 이 패널의 개구부에 봉합되며 고압을 인가하기 위한 에노드 버튼이 설치되는 펀넬과, 이 펀넬의 후방으로 이어지며 내측에 전자총이 내장되는 넥크로 외형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패널의 내측에는 3줄의 전자비임을 각각의 형광체에 할당하는 새도우마스크가 설치되어 잇으며, 펀넬의 내측에는 지자계에 의해 전자비임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렉트론 시일드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전자총과 함게 설치되는 음극에는 전자방출 물질이 도포되어 히터의 발열에 따라 전자를 방출하게 된다.
이들 전자는 다수의 전극을 통과하면서 집속 및 가속되고 전자비임으로 되면서 새도우마스크의 개구를 통하여 형광체에 충돌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비임은 1쌍의 수평 편향코일과 1쌍의 수직 편향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하좌우로 편향되어 화면상에 라스터를 그리게 된다.
그런데 이들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이 그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펀넬의 외주에 위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1쌍의 반나팔체가 조합되어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의 내외측에 부착된다.
그런데 ITC작업시 전자비임의 최상의 편향점을 찾기 위하여 편향요크를 관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편향요크의 내측 직경은 펀넬의 외주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편향요크를 펀넬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용한데 넥크부측은 클램프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있지만, 개구부측은 비교적 직경이 크고 구조적으로 클램프를 사용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쐐기라 불리우는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고 있다.
종래에는 이 고정부재를 편향요크의 내측면과 펀넬의 외주면 사이로 밀어넣고 본드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본드의 경화시간이 필요하고 또 이들 작업을 자동화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본드와 같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편향요크는 작은 외력이라도 가하여지면 쉽게 떨어지게 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고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극선관이 위치하는 시이트가 형성된 받침대와, 이 받침대의 상방에 설치되어 승강작용하는 직선운동수단과, 이 직선운동수단에 의해 승강작동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프로브를 보유하는 고주파 발생기로 이루어지는 편향요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고주파 발생기는 승강작동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1쌍의 가이드봉에 의해 안내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고정장치의 사시도로서, 음극선관이 안치될 수 있는 시이트(1)가 형성된 받침대(2)와, 이 받침대(2)로 부터 직교상으로 연장되는 프레임(3)을 갖고 있다.
상기한 프레임(3)의 상판(4)에는 실린더와 같은 직선운동수단(5)이 아래측을 향하여 설치되고 있으며, 이 수단의 이동부재(6) 선단에는 고주파 발생기(7)가 설치되어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고주파 발생기(7)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아래측에 3개의 프로브(8)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고주파 발생기(7)는 직선운동수단(5)에 의해 승강운동할때 좌우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1쌍의 가이드 봉(9)에 의해 안내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고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고정장치에 의해 음극선관의 펀넬 외측에 편향요크가 위치되어 고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편향요크의 세퍼레이터 플랜지부에는 고정부재(S)와 용접될 수 있는 브라켓트(B)가 일체로 형성되고 있다.
이 브라켓트(B)는 플랜지부의 원주면 3등분 지점에 형성되고 고정부재(S)는 이와 일치하는 위치에 끼워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직선운동 수단(5)을 하강작동시켜 3개의 프로브(8)가 각각 브라켓트(B)의 외측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서 접촉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주파 발생기(7)를 작동시켜 고주파를 발생하게 되면 상당한 고열에 의해 브라켓트(B)와 고정부재(S)가 용융되는데, 프로브(8)가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용융상태로 접촉하여 일체물로 부착된다.
이때 고정부재(S)와 브라켓트(B)가 용융부착되는 시간은 상당히 짧은 시간내에 이루어지게 되므로 하강시켰던 고주파 발생기(7)를 다시 상승시키게 되면 간단히 고정작업이 완료된다.
이러한 작업은 3개의 고정위치를 일거에 부착시킬 수 있고, 또 경화시간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짧은 시간내에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작업이 직선운동수단(5)의 승강작용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자동화가 가능하며 고정부재와 브라켓트가 일체물로 부착되기 때문에 임의적인 외력이 가하여지지 않는한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고정장치는,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고, 또 작업을 빠른 시간내에 완료할 수 있으며, 수작업에 따른 작업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접착제 부착방식에 비하여 제품의 신뢰도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음극선관이 위치하는 시이트(1)가 형성된 받침대(2)와, 이 받침대(2)의 상방에 설치되어 승강작용하는 직선운동수단(5)과, 이 직선운동수단(5)에 의해 승강작동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프로브(8)를 보유하는 고주파 발생기(7)로 이루어지는 편향요크 고정장치.
KR92024441U 1992-12-04 1992-12-04 편향요크 고정장치 KR950004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4441U KR950004317Y1 (ko) 1992-12-04 1992-12-04 편향요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4441U KR950004317Y1 (ko) 1992-12-04 1992-12-04 편향요크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591U KR940017591U (ko) 1994-07-28
KR950004317Y1 true KR950004317Y1 (ko) 1995-05-24

Family

ID=1934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4441U KR950004317Y1 (ko) 1992-12-04 1992-12-04 편향요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3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591U (ko) 199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19433A (en) Cathode ray tube having an envelope shaped to reduce beam deflection power requirements
US5155411A (en) Color CRT assembly having an improved envelope
MX9504348A (es) Aparato de exhibicion que tiene una mascara de sombra de resolucion mejorada y un metodo para hacer la misma.
KR950004317Y1 (ko) 편향요크 고정장치
US4429254A (en) Deflection yoke integrated within a cathode ray tube
US5350970A (en) Display tube having a detachable getter
US1993457A (en) Cathode arrangement for braun tubes
KR100323977B1 (ko) 두개의음극선관을갖는음극수상관
KR950002702Y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세퍼레이터
CA1189561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mproved inline electron gun
KR930008826B1 (ko) 새도우 마스크-프레임 조립체 지지부를 갖는 컬러 수상관
US6639344B2 (en) Cathode ray tube having a focus mask and support frame assembly with an improved border
KR0126544B1 (ko) 칼라브라운관의 게타스프링
KR200143460Y1 (ko) 음극선관의 평향 요크 고정용 쐐기
KR960011770B1 (ko) 전자파 차폐용 도전층을 갖는 음극선관
KR100471962B1 (ko) 음극선관용편향요크
KR200271018Y1 (ko) 칼라 브라운관의 음극지지체 구조
KR100414502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266525Y1 (ko)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_
GB2288060A (en) Electron gun for a colour CRT
KR100255853B1 (ko) 칼라음극선관의 새도우마스크의 제조방법
JP2003142012A (ja) 陰極線管のためのテンションマスク
KR100334064B1 (ko) 칼라음극선관의게터플레싱장치
JPH03208238A (ja) カラー受像管
KR19980057669A (ko) 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