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169B1 - 폐수 스트림으로부터 잔류 폴리에테르를 제거하는 환경적으로 안전한 방법 - Google Patents

폐수 스트림으로부터 잔류 폴리에테르를 제거하는 환경적으로 안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169B1
KR950004169B1 KR1019900010056A KR900010056A KR950004169B1 KR 950004169 B1 KR950004169 B1 KR 950004169B1 KR 1019900010056 A KR1019900010056 A KR 1019900010056A KR 900010056 A KR900010056 A KR 900010056A KR 950004169 B1 KR950004169 B1 KR 950004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er
bentonite
adsorbent
polymer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0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721A (ko
Inventor
파라메스워란 안안타파드마나브한 카브세리
데스몬드 고다드 에롤
Original Assignee
유니온 카바이드 케미칼즈 앤드 플라스틱스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티모씨 엔. 비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 카바이드 케미칼즈 앤드 플라스틱스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티모씨 엔. 비숍 filed Critical 유니온 카바이드 케미칼즈 앤드 플라스틱스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10002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1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수 스트림으로부터 잔류 폴리에테르를 제거하는 환경적으로 안전한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폐수 스트림(aqueous waste stream)으로부터 잔류 폴리에테르를 제거하여 폐수 스트립이 환경적으로 안전한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에테르를 불활성 기질에 흡착시키고 연소에 의해 잔류 폴리에테르를 분해시켜 폐수 스트림으로부터 폴리에테르를 제거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활성 기질이 재생될 수 있고 또다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킬렌 에테르 중합체는 특별히 위험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기 때문에, 과거에 수용액으로부터 이들을 제거하는 것은 큰 주목을 받아오지 못했다. 그러나, 이러한 중합체를 사용하는 상업 및 공업적 작업 뿐만아니라 환경보호국의 꾸준히 변해가는 규제로 인해, 수용액으로부터 이런 물질을 제거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액중에 비교적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폴리에테르의 제거는 널리 공지된 방법에 의해 경제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나, 폐수 스트림으로부터 환경규제에 적합하도록 미량을 제거한다는 것은 또다른 문제이다. 단지 소량만의 폴리에테르를 제거하기 위해 다량의 폐수 스트립을 처리한다는 것은 비경제적이며 수고스러울 뿐이다.
본 발명 이전의 수용액으로부터 알킬렌 에테르 중합체를 제거하는데 유용한 여러가지 기술은 탁점 침전, 화학적 침전, 한외여과, 고체상에 흡착, 생분해 등이 있다. 용액중의 폴리에테르 농도에 따라서, 중합체를 제거하기 위해 상이한 기술 또는 기술의 조합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높은 농도 범위(5-10%)에서는 중합체를 퍼센트 분획으로까지 감소시키는데는 탁점 침전이 효과적이다. 한편, 낮은 농도범위에서 폴리에테르를 ppm 수준까지 낮추는데 흡착이 효과적이다. 화학적 침전법은 별도의 시약을 가해야 하므로 폐수 스트립에서 첨가물의 잔류량에 의한 영향을 고려해야만 한다.
거대분자 및 초미세 고체를 분리하는데 한외여과법이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기술이다. 한외여과에서는 막의 부패, 낮은 여과속도 등이 문제점이다. 생분해에서는 미생물 및 분해 생성물의 최종적인 처리가 고려되어야 한다. 간단히 말해, 모든 기술들은 제한된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관련된 제한점도 가지고 있다. 특정의 기술을 선택할때 고려해야할 또 다른 요소는 그 다음의 처리/분리/재생성의 문제이다.
따라서, 하기 목적중 하나 이상이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해 성취될 것이다. 환경적으로 안전한 방법에 의해 폐수 스트림으로부더 잔류 폴리에테르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한번의 조작에 의해 폐수 스트림으로부터 모든 폴리에테르를 흡착시켜 폐수 스트림으로부터 폴리에테르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잔류 폴리에테르를 불활성 기질에 흡착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기질로부터 흡착된 폴리에테르를 이산화탄소와 물의 형태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목적은, 또다른 폴리에테르 흡착에 사용하기 위해 기질을 재생 및 재순환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흡착제가 환경적으로 안전한 방법으로 재생 및 재순환되면서 폐수 스트림으로부터 잔류 폴리에테르를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당해분야의 전문가라면 본원에 주어진 기술의 범주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넓은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약 200 이상의 분자량을 가지며 폐수 스트립중에 바람직하게 약 1% 이하의 농도로 존재하는 잔류 수용성 중합체, 특히 폴리에테르의 제거 및 처리를 위한 환경적으로 안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 (a) 그램당 약 500 내지 약 1000m2의 표면적을 갖는 벤토나이트 흡착제를 약 650℃ 내지 약 750℃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 1 내지 4시간동안 가열하여 전처리하고 ; (b) 이 벤토나이트 흡착제를 폐수 스트립과 약 1 내지 약 10분동안 접촉시키고 ; (c) 벤토나이트 흡착제로부터, 폴리에테르가 실질적으로 유리된 폐수 스트림을 분리시키며 : (d) 폴리에테르가 이산화탄소와 물로 전환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벤토나이트 흡착제를 약 650℃ 내지 약 750℃의 온도로 가열하고 ; (e) 벤토나이트 흡착제를 1시간이상 동안 하나 이상의 산, 알칼리 또는 중성 세척액으로 처리하여, 벤토나이트의 층간 간격을, X-선 회절 분석으로 측정하여, 적어도 약 9 내지 약 10Å으로 회복시키며 ; (f) 폴리에테르를 함유한 또다른 폐수 스트림과 접촉시키기 위해 벤토나이트 흡착제를 재순환시킨다.
상기 단계의 순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폐수 스트림으로부터 폴리에테르의 제거 및 처리에 대한 환경적으로 안전한 방법을 제공한다. 그 결과 폐수 스트립의 처리는 환경적으로 불안전한 조건을 만들지 않으면서 처리할 수 있다.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폐수 스트림으로부터 폴리에테르 제거를 위해 벤토나이트 흡착제를 사용한다. 폴리에테르 제거를 위해 다른 흡착제가 조사, 연구되건 했으나, 하나 이상의 측면의 결합이 발견됐다. 예를 들어, 알루미나, 실리카, 아파타이트(Ca-인산염), 벤토나이트 점토, 고령토, 여지, 셀룰로즈 분말 및 앰버라이트(AMBERLITE) IRC-50(메타크릴산 비드)와 같은 흡착제를 포함한 여러가지 고체들이 평가되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폴리에테르의 농도가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중량% 미만인 폐수 스트림으로부터 폴리에테르를 제거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1% 이상의 농도로 제거될 수는 있으나, 훨씬 다량의 흡착제 및/또는 폐수 스트림의 반복적 재순환이 필요하다.
통상적인 흡착 검정은 하기와 같이 수행된다.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Union Carbide Corporation)에서 유콘 플루이드(UCON Fluid) 75 H 380,000이란 상표로 시판하는 공지된 농도 및 pH를 가지는 200cc의 폴리에테르 용액을 0.5g(고체농도=25gpl)의 고체와 유리병(glas vial)중에서 접촉시킨다. 이 현탁액의 최초 pH를 기록한다. 이 유리병을 관절작용 진탕기(wrist action shaker)를 사용하여 1시간동안 교반한다. 슬러리의 최종 pH를 기록한다. 10,000rpm에서 원심분리하여 고체를 상청액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상청액중의 폴리에테르 최종 농도는 총 탄소 분석기를 사용하여 결정한다. 용액으로부터 제거된 폴리에테르 액체의 양은 흡착 밀도를 계산하는데 사용한다(고체 g당 중합체 mg).
총 탄소분석은 벡크만 토카마스터(Beckman TOCAMASTER)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이 기술은 폴리에테르를 약 1ppm 이하까지 검출하는데 대단히 유효한 것으로 밝혀졌다. 선명한 계산 곡선을 일련의 각 실험으로부터 수득했다. 또한, 각종 계 성분에 대한 CO2/유기탄소의 방출/흡수가 없음을 확인하기 위해, 용액 조건은 흡착계와 동일하나 어떤 고체/유콘(UCON) 유체도 가지고 있지 않은 대조군 실험도 수행하였다.
알루미나, 실리카, 아파타이트, 벤토나이트, 고령토, 여지, 셀룰로즈 분말 및 앰버라이트(AMBERLITE)-IRC-50과 같은 고체상에 200ppm의 중합체를 함유한 수성용액으로부터 폴리에테르의 흡착 거동을 조사하였다. 수득된 결과는 벤토나이트의 예상치 않았던 놀라운 탁월한 흡착성을 분명히 보여주었다. 앰버라이트(AMBERLITE) 및 고령토 역시 폴리에테르를 흡착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그 정도가 훨씬 낮았다. 상청액의 GPC 분석 역시 상기 결과를 확증했다.
벤토나이트를 폴리에테르 용액의 상이한 수준에서 접촉시킨 후 용액에 잔류하는 폴리에테르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거의 대부분에 해당하는, 약 1% 이하의 폴리에테르 수준까지 흡착에 의해 추출됐음이 입증됐다. 그러나, 높은 수준에서는 용액에 잔존하는 %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상응하는 흡착 밀도값에서는 용액중에 거의 일정하게 최초 유콘(UCON)의 약 1% 이상이 잔존함을 볼 수 있다.
[표 1]
Figure kpo00001
또한, 벤토나이트에 대한 폴리에테르의 포화흡착 밀도는 고체 g당 약 325 내지 400mg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명히, 벤토나이트는 용액으로부터 자신의 무게의 1/3에 해당하는 중합체를 흡착한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결과들은 모두 pH 4에서 수행했다. 금속 작용 유체 및 압매유(hydrolube)와 같은 대다수 폴리에테르계의 작용 pH가 알칼리의 범위에 있기 때문에, 높은 pH 범위중에서 폴리에테르 유체의 흡착 거동이 측정했다. pH 8.9 내지 9.0에서 벤토나이트상의 유콘(UCON) 75 H 380,000 폴리에테르의 포화 흡착도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약 225 내지 275mg/g이다. 따라서, 이 계는 단지 약한 pH 의존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이들 실제 계를 산성화시키지 않고 처리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표 2]
Figure kpo00002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용액중에 잔존하는 폴리에테르 유체의 농도가 최초 농도의 약 1%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하는 이유는 벤토나이트의 포화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런 경우, 고체 농도의 증가가, 보다 높은 농도에서 일지라도 폴리에테르 유체를 완벽하게 추출함이 틀림이 없다. 이것은 3%의 폴리에테르 용액을 상이한 양의 벤토나이트와 접촉시킴으로서 확인된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kpo00003
벤토나이트 농도를 25mg/ℓ로부터 100g/ℓ로 증가시키면 제거된 유콘(UCON) 유체의 %가 약 18에서80%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적절하게 높은 양의 고체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유콘(UCON) 유체 농도에 대한 추출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유콘(UCON) 중합체 및 유사한 폴리에테르 이외에, 통상적인 폐수 스트립은 계면활성제, 무기 이온 및 심지어 유기 착화제까지 함유하는 것 같다. 이런 피할 수 없는 종류들의 존재는 중합체 흡착에 명백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NaCl, CaCl2및 트리에탄을아민(TEA)의 영향을 결정하기 위한 시험이 수행됐다. NaCl은 흡착을 적당히 증가시키지반, CaCl2는 약 100mg/g까지 감소시킨다. 결과는 하기의 표4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kpo00004
알칼리 pH 조건하에서는 TEA가 벤토나이트상에 현저하게 흡착되지 않으며 폴리에테르 유체의 흡착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pH 4에서 TEA는 벤토나이트상에 강하게 흡착되어 흡착부위를 놓고 중합체와 경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에탄올아민들 역시 유사한 방식으로 벤토나이트에 흡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TEA의 이러한 영향은 관심있는 다수의 폴리에테르 유체 제형이 상당량의 TEA를 함유하고 있으며, 계의 본래 pH가 알칼리 밤위이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폴리에테르를 포함한 광범위한 수용성 중합체에 대해 적용가능하다. 폴리에테르에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가 포함된다. 이들 물질들은 분자량이 약 200 이상인 에틸렌 옥사이드의 중합체이거나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와의 공중합체이다. 이들은 윤활제, 압매유(hydraulic fluid),금속 작용 유체 등으로서 다양한 용도로 쓰이므로, 폐수 스트립에서 통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수용성 폴리에테르의 확실한 대표적 예가 된다.
본 발명의 효율성은 결정하기 위해 선택적 전형적인 폴리에테르는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UnionCarbide Carbide Corporation)에서 시판하고 있는 유콘(UCON) 75 H 380,000(평균분자량 18,000) 및 유콘(UCON) 50 HB 660(평균분자량 1700)이다.
유콘(UCON) 75 H 380,000의 분자량은 약 18,000이다. 저분자량 폴리에테르의 흡착 거동을 결정하기 위한 시험이 수행됐다. 분자량이 약 1,000인 유콘(UCON) 50 HB 660은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약240 내지 300mg/g의 포화력으로 흡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표 5]
Figure kpo00005
이와는 대조적으로, 300미만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테르는 이러한 고흡착능을 나타내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은 하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벤토나이트상에 흡착되지 않는다.
0.3% 농도에서, 약 25%(30mg/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200(분자량 200) 및 70%(84mg/g)의 유콘(UCON) 50 HB 55가 벤토나이트에 의해 추출된다. 동일한 농도에서, 98 내지 99%(117 내지 118mg/g)의 유콘(UCON) 75 H 380,000이 벤토나이트에 의해 추출된다. 흡착도가 분자량과 무관하게 되는 임계분자량은 300 내지 1000이다.
[표 6]
Figure kpo00006
특정 이론과 결부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PEG 200 및 50 HB 55의 흡착 결과를 비교하면 소수성이 큰 분자일수록 흡착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가능한 원인은 피흡착제와 흡착제 사이의 특정한 소수성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소수성 분자의 물에 대한 허용성이 감소된 때문이다.
지금까지 논의된 시험은 유콘(UCON) 용액을 1시간동안 분산된 점토 현탁액과 함께 격렬하게 진탕시켜 수행한다. 흡착 동력학을 조사하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점토-유콘(UCON) 유체 용액을 1분동안 손으로 격렬하게 진탕시킨다. 이어서 이 현탁액을 1시간동안 정치시킨다.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으며, 후자의 기술에 의해 수득된 흡착도 값은 관절-작용에 의한 진탕 방법에 의해 수득된 흡착도 값과 동일하다. 이들 결과는 흡착 동력학이 매우 빠르고, 가능하게는 흡착이1분내에 발생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7]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수 스트립으로부터 제거된 폴리에테르를 처리하기 위한 환경적으로 안전한 방법을 제공한다. 폴리에테르는 연소시키는 경우 이산화 탄소와 물로 전환되기 때문에,폴리에테르를 고온에서 연소시키고 벤토나이트를 재생성시키는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중합체를 약 650℃에서 약 4시간동안 연소시킨 후 적합한 산/중성/알칼리 세척을 하는 경우 폴리에테르가 안전하제 제거될 뿐만 아니라 벤트나이트의 흡착특성이 완전히 회복됨을 발견하였다. 사실, 대조실험은 벤토나이트를 연소시키는것이 입수된 그대로의 벤토나이트의 흡착력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입수된 그대로의 벤토나이트의 낮은 흡착력은 벤토나이트상에 사전에 흠착된 유기물질의 존재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점토를 약 650℃에서 연소시키면 점토를 재생시킬 뿐만 아니라 입수된 그대로의 점토의 흡착력을 증진시키는 실행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1000℃에서 연소된 샘플은 이의 흡착력을 완전히 상실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정 이론과 결부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효과는 약 750℃에서의 벤토나이트의 구조적 변형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면에서, 점토의 흡착력의 생성/재생성과 양립하는 가능한 가장 낮은 온도에서 중합체를 연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표 8 내지 10은 벤토나이트의 재순환에 대한 데이타를 나타낸다.
[표 8]
Figure kpo00009
[표 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표 10]
Figure kpo00012
수행된 상기 모든 시험에서, 고속 원심분리에 의해 상청 용액으로부터 폴리에테르 중합체로 도포된 벤토나이트를 분리했다. 벤토나이트 현탁액의 미세 입자 및 느린 침전특성은 고체-액체 분리를 위한 통상의 여과법/원심분리법의 이용을 어렵게 한다. 고속 원심분리 이외에, 이용될 수 있는 다른 기술에는 한외여과 및 응집-여과가 포함된다. 후자의 경우 백반 또는 고분자량 폴리옥스(POLYOX)
Figure kpo00013
와 같은 시약을 사용한다. 한편 한외여과는 뚜렷한 잇점을 갖는다. 이 기술에서는, 일단계의 조작으로 흡착 및 고체-액체 분리를 모두 통합할 수 있다. 아미콘(AMICON) 박채널(thin channel) 교차-유동 한외여과 유니트를 사용한 시험은, 폴리에테르 유체를 UF 챔버 안쪽의 벤토나이트 현탁액과 접촉시킴으로써, 흡착 및 고체-액체 분리가 모두 일단계로 수행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통합된 과정에 기초하여 폴리에테르 유체를 제거시키는 가능한 흐름도를 제 2 도에 나타냈다.
상기 기술의 유용한 변형은, 폴리에테르 용액중에 현탁된 경우, 용액으로부터 중합체를 추출하는 벤토나이토를 함유한 막백(membrane bag)의 이용이다. 이 기술의 성공은 막을 통한 중합체의 확산 동력학에 의존한다.
벤토나이트에 의한 폴리에테르 유체의 흡수에 관련되는 분자 메카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중합체로 도포된 샘플을 X-선 회절 분석한다. 처리되지 않은 건조된 점토의 회절 패턴은 9.7Å 층간 간격에 상응하는 피이크를 나타낸다. 폴리에테르 흡착시, 약 18.2 내지 18.3Å의 간격에 상응하는, 횔씬 낮은 각도의 매우 날카로운 피이크가 이들 샘플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층간 간격의 8.5 내지 8.6Å의 증가는 폴리에테르 쇄직경의 약 2배이며, 이는 중합체의 2개의 층이 점토소판(platelet)들 사이에 편평하게 위치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중합체를 연소시키기 위해, 650℃에서 점토를 연소시키는 경우, 층간 간격이 본래 점토에 상응하는 값으로 감소된다. 그러나, 1000℃에서 샘플을 연소시키는 경우에는 9.7Å 층간 간격이 아닌 단지4Å의 층간 간격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래 짐토 구조의 붕괴는 분명히 폴리에테르를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된 연소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의 벤토나이트의 낮은 흡착력으로 인한 것이다. X-선 회절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표 11]
Figure kpo00014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물질로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포괄적인 기술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 및 이의 태양을 만들 수 있다.

Claims (16)

  1. (a) g당 약 500 내지 약 1,000m2의 표면적을 갖는 벤토나이트 흡착제를 약 650℃ 내지 약 75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전처리하고, (b) 이 벤토나이트 흡착제를 폐수 스트림(stream)과 약 1 내지 약 10분동안 접촉시키고, (c) 벤토나이트 흡착제로부터, 중합체가 실질적으로 유리된 폐수 스트림을 분러시키며, (d) 중합체를 이산화탄소와 물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벤토나이트 흡착제를 약 650℃ 내지 약750℃의 온도로 가열하고, (e) 벤토나이트 흡착제를 1시간 이상 동안 하나 이상의 산, 알칼리 또는 중성 세척액으로 처리하여 벤토나이트의 층간 간격을, X-선 회절 분석으로 측정하여, 약 10Å 이상으로 회복시키고, (f) 중합체를 함유하는 또다른 폐수 스트립과 접촉시키기 위해 벤토나이트 흡착제를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여, 약 200 이상의 분자량을 갖고 폐수 스트림중에 약 1% 미만의 농도로 존재하는 잔류 수용성 중합체를 폐수 스트립으로부터 제거 및 처리하는 환경적으로 안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접촉을 교반하에 수행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교반을 약 1 내지 2분동안 수행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흡착제가 다공성 막내에 함유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폴리에테르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의 농도가 용액의 약 5중량% 미만인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의 분자량이 약 1,000 이상인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가 폴리(옥시알킬렌)에테르인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가 에틸렌옥사이드의 중합체인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가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와의 공중합체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흡착제를 한외여과에 의해 수성 메질로부터 분리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흡착제를 약 1 내지 약 4시간동안 약 650℃ 내지 약 750℃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흡착제를 하나 이상의 산과 접촉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흡착제를 전처리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산이 염산인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흡착제를 하나 이상의 염기와 접촉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흡착제를 전처리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염기가 수산화나트륨인 방법.
KR1019900010056A 1989-07-05 1990-07-04 폐수 스트림으로부터 잔류 폴리에테르를 제거하는 환경적으로 안전한 방법 KR950004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375,488 1989-07-05
US07/375,488 US4897199A (en) 1989-07-05 1989-07-05 Environmentally safe method for the removal of residual water soluble polymers from aqueous waste streams
US7-375,488 1989-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721A KR910002721A (ko) 1991-02-26
KR950004169B1 true KR950004169B1 (ko) 1995-04-27

Family

ID=23481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056A KR950004169B1 (ko) 1989-07-05 1990-07-04 폐수 스트림으로부터 잔류 폴리에테르를 제거하는 환경적으로 안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897199A (ko)
EP (1) EP0406846A3 (ko)
JP (1) JPH0741238B2 (ko)
KR (1) KR950004169B1 (ko)
CN (1) CN1049143A (ko)
AR (1) AR243853A1 (ko)
BR (1) BR9003193A (ko)
CA (1) CA20204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5884A (en) * 1994-04-21 1995-06-20 Texaco Inc. Recovering polyoxyalkylene glycols from wastewater
US20040213368A1 (en) * 1995-09-11 2004-10-28 Norman Rostoker Fusion reactor that produces net power from the p-b11 reaction
KR200451854Y1 (ko) * 2010-06-22 2011-01-14 주식회사 대현드래곤트레이딩 연료조절밸브의 작동이 용이한 절단기
KR102650520B1 (ko) 2017-01-19 2024-03-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산출 지표를 이용한 폐수처리제 투입량 산출 방법 및 폐수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43456A (de) * 1972-02-23 1973-10-31 Heinz Ing Hartkorn Karl Verfahren zur Reinigung von Abwasser
FR2359076A1 (fr) * 1976-07-22 1978-02-17 Ouest Union Chimique Indle Procede d'epuration des eaux d'alimentation a usages domestiques ou industriels, des eaux usees et de l'air par mise en contact avec des substances epurantes
US4549966A (en) * 1982-09-20 1985-10-29 Radecca, Inc. Method of removing organic contaminants from aqueous compositions
US4648977A (en) * 1985-12-30 1987-03-10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cess for removing toxic organic materials from weak aqueous solutions thereof
DE3728812A1 (de) * 1987-04-08 1988-10-20 Marx Guenther Mineralischer stoff,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sselben
DE3815271A1 (de) * 1988-05-05 1989-11-16 Sandoz Ag Verfahren zur reinigung von industrieabwaessern
FR2640613B1 (fr) * 1988-11-29 1992-01-10 Alsthom Gec Produit et procede de traitement d'une dispersion aqueuse usee a l'aide d'une montmorilloni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06846A3 (en) 1991-03-06
EP0406846A2 (en) 1991-01-09
AR243853A1 (es) 1993-09-30
US4897199A (en) 1990-01-30
JPH0741238B2 (ja) 1995-05-10
BR9003193A (pt) 1991-08-27
KR910002721A (ko) 1991-02-26
JPH0342090A (ja) 1991-02-22
CN1049143A (zh) 1991-02-13
CA2020452A1 (en) 199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bio et al. The mechanism of adsorption of poly (ethylene oxide) flocculant on silica
US6267893B1 (en) Process for cleaning fluids and particulate solids
Hua et al. Effective removal of mercury ions in aqueous solutions: A review
Ghazy et al. Lead separation by sorption onto powdered marble waste
Wiśniewska et al. Simultaneous removal of lead (II) ions and poly (acrylic acid) macromolecules from liquid phase using of biocarbons obtained from corncob and peanut shell precursors
Hutchins Activated carbon
KR950004169B1 (ko) 폐수 스트림으로부터 잔류 폴리에테르를 제거하는 환경적으로 안전한 방법
Isfahani et al. Efficient mercury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carboxylated Ti3C2Tx MXene
Rashid et al. Treatment of oil content in oilfield produced water using chemically modified waste Sawdust as Biosorbent
CA1213236A (en) Clarification of black water produced during recovery of bitumens and heavy oils
Hasar et al. Removal of zinc (II) by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almond husks under different conditions
Zeng et al. Spongy crosslinked branched polyethylenimine-grafted dithiocarbamate: highly efficient heavy metal ion–adsorbing material
Ghazy et al. Sorption of lead from aqueous solution by modified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olive stones
US4094776A (en) Method for treatment of oil-containing waste water by using an oil adsorbent
Zinchenko et al. Application of DNA condensation for removal of mercury ions from aqueous solutions
RU2187459C2 (ru) Способ адсорбционн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 ионов металлов
Subeshan et al. Mercury recycling technologies in its’ end-of-life management: a review
Priyanka et al. Modified coconut fiber used as adsorbent for the removal of 2-chlorophenol and 2, 4, 6-trichlorophenol from aqueous solution
US20030087756A1 (en) Solid materials for removing metals and fabrication method
RU1786006C (ru) Способ активации неорганического сорбента дл извлечени орг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из водных растворов
Qiming et al. Heavy metal adsorption properties of marine algae Durvilliea potatorum, Ecklonia radiata and Laminaria japonica
RU2090514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сероводорода
Ayesha Y et 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io-waste-derived adsorbents for the removal of boron from groundwater
RU209025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орбента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от нефти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RU2153472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вулканизационных производст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