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750Y1 - 전선의 이상상태 점검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의 이상상태 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750Y1
KR950003750Y1 KR92003764U KR920003764U KR950003750Y1 KR 950003750 Y1 KR950003750 Y1 KR 950003750Y1 KR 92003764 U KR92003764 U KR 92003764U KR 920003764 U KR920003764 U KR 920003764U KR 950003750 Y1 KR950003750 Y1 KR 950003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ire
frequency
unit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3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140U (ko
Inventor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이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욱 filed Critical 이상욱
Priority to KR92003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750Y1/ko
Publication of KR9300221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1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7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8Aspects of digital compu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선의 이상상태 점검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회로도 이다.
제2도는 제1도내의 중앙처리 장치의 기능수행 알고리즘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선 2 : 마이컴부
3 : 인터페이스 4 : 제로점송출부
5 : 주파수발진부 6 : 신호검출부
7 : 릴레이절환부 8 : 롬
9 : 중앙연산처리 장치 10 : 램
11 : 디코더 12 : 클럭단
13 : 수정발진자 14 : 카운터
15 : D/A컨버터 16 : 발진기
17 : 트라이액 18 : A/D컨버터
RY : 릴레이스위치 TR : 트랜지스터
VD: 가변용량다이오드 VR1~VR2: 가변저항
R1~R12: 저항 C1~C7: 캐패시터
AMP1,AMP2: 증폭기 X,Y : 전선의 한측선
A,B : 릴레이스위치의 접점 Vcc : 바이어스전압
OP1~OP3: 연산증폭기 NT1~NT3: 인버터
본 고안은 전선의 이상상태 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수용가나 공장등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된 전선에 소정주파수의 신호를 인가한 다음 그 회수되는 주파수신호의 변화량에 따라 전선의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그 검출된 신호에 따라 전력공급을 차단시키도록 된 전선의 이상상태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은 송전선을 거쳐 변전소에 공급되게 되고 또한 이 변전소에서 상기 고압의 전력을 적절한 전압용량, 예컨대 110V 혹은 220V로 강압한 다음 선로를 통해 공장이나 일반가정의 수용가들에 공급해주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력을 공급하는 선로에는 외부요인에 의해 두 선로가 과도하게 인접되어 합선의 우려가 발생하거나 또는 어느 한 선로가 우발적인 낙뢰등에 의해 지락되는 등의 이상상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와같은 이상상태에서는 수용가들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가 없도록 됨은 물론 심한 스피크 현상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로의 이상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각종 계기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중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선의 이상상태 검출 장치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컴퓨터를 이용한 전선의 이상상태 검출장치는 두 선로가 과도하게 인접되거나 또는 합선되었을때 선로(이하 전선이라 함)상에 흐르는 과전류를 검출하여 계기상에 그 검출량을 표시 및 경보해주는 단순한 기능만을 하도록 되기 때문에 전선의 이상상태 발생에 따른 전기시스템의 신속한 보호조치를 할 수가 없게 됨으로 이로인한 전기시스템의 파손이 발생되게 됨은 물론 심한 스파크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선로의 전력차단과 같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 상기와 같은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된 전선에 소정주파수의 신호를 인가한 다음 그 회수되는 주파수신호의 변화량에 따라 전선의 이상상태를 검출하고 그리고 릴레이스위치를 절환시켜 전선에 전력공급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전선의 이상상태로 인하여 전기시스템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전선의 합선으로 인한 화재발생시 전선의 공급도 자동차단 되도록 한 전선의 이상상태 점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선의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된 마이컴부, 이 마이컴부에 연결되어 마이컴부와 외부의 데이터신호를 입·출력시키도록 된 인터페이스, 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마이컴부가 전원·전압의 위상이 제로인점을 검출할 수 있도록 펄스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제로점송출부, 그리고 상기 마이컴부의 동작제어신호에 의해 소정주파수의 펄스신호를 전선으로 출력시키도록 된 주파수 발진부, 이 주파수 발진부로부터 출력된 주파수신호를 전선으로부터 회수하여 증폭한 다음 그 증폭된 검출신호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마이컴부로 출력시키도록 된 신호검출부, 또한 상기 마이컴부의 동작제어신호에 의해 릴레이스위치를 절환하여 전선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도록 된 릴레이 절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선(1)의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과 결과에 따라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된 마이컴부(2), 이 마이컴부(2)에 연결되어 마이컴부(2)와 외부의 데이터신호를 입·출력시키도록 된 인터페이스(3), 이 인터페이스(3)을 통하여 상기 마이컴부(2)가 전원전압의 위상이 제로인점을 검출할 수 있도록 펄스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제로점 송출부(4), 그리고 상기 마이컴부(2)의 동작제어신호에 의해 소정주파수의 신호를 전원(1)으로 출력시키도록 된 주파수발진부(5), 이 주파수발진부(5)로 부터 출력된 주파수신호를 전선(1)으로부터 회수하여 증폭한 다음 그 증폭된 검출신호를 인터페이스(3)를 통하여 상기 마이컴부(2)의 동작제어신호에 의해 릴레이스위치(RY1)를 절환하여 전선(1)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도록 된 릴레이절환부(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부(2)에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롬(8)이 각종 연산, 제어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중앙연산처리 장치(9)에 버스라인으로 연결되어 있고,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된 램(10)이 디코더(11)의 출력단에 버스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된 클럭단자(12)이 상기 중앙연산처리 장치(9)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디코더(11)의 입력단도 중앙연산처리 장치(9)에 버스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럭단(12)에는 저항(R1)이 병렬연결된 인버터(NT1)의 일단이 저항(R2)이 병렬연결된 인버터(NT2)의 일단에 캐패시터(C1)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인버터들(NT1, NT2)의 또다른 일단에는 수정발진자(13)가 병렬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카운터(14)의 일단이 인버터(NT3)를 거쳐 인버터(NT2)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고, 카운터(15)의 또다른 일단에는 저항(R3)과 상기 중앙연산처리 장치(9)의 CK단의 중성점이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저항(R3)으로 바이어스전압(Vcc)이 공급되게 되어 있고, 상기 중앙연산처리 장치(9)의 Vcc단에는 저항(R4)과 캐패시터(C2)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로검송출부(4)에는 다이오드(D1)의 캐소드간에 저항(R1)의 중심점이 연결되어 있고, 다이오드(D1) 의 앤노드단에는 트랜스(T2)의 2차축이 연결되어 있으며, 트랜스(T1)의 1차측에는 전원전압이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주파수발진부(5)에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도록 된 D/A컨버터(15)의 출력측에 연산증폭기(OP1)의 연건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D/A컨버터(15)의 입력단에는 상기 인터페이스(3)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과 반전단자 사이에는 가변저항(VR1)과 저항(R10)이 연결되어 있고, 이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에는 가변용량 다이오드(VD)의 캐패시터(4)의 중성점이 연결되어 있으며, 저항(R11)의 일단에는 캐패시터(C5)와 저항(R12) 그리고 발진기(16) 입력측 일단의 중성점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진기(16)의 입력측이 또다른 일단에는 가변저항(VR2)의 출력측에는 트라이액(17)의 T2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트라이액(17)의 게이트(G)단에는 트랜스(T2)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스(T2)의 또다른 일단에는 상기 인터페이스(3)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트라이액(17)의 T1단으로는 전선(1)의 한측선(X)이 연결되어 있으며, 발진기(16)의 일단에는 바이어스 전압(Vcc)이 공급되고 있다.
한편, 상기 신호검출부(6)에는 아날로그 신호를 다지탈신호로 변환하도록 된 A/D컨버터(18)의 출력측에 상기 인터페이스(3)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A/D컨버터(18)의 입력측에는 증폭기(AMP1)과 증폭기(AMP1)의 출력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증폭기(AMP1)의 입력단에는 연산증폭기(OP2)의 출력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증폭기(AMP2)의 입력단에는 연산 증폭기(OP3)의 출력단이 연결되어 있고, 이 연산증폭기(OP2)의 입력단에는 전선(1)의 한측선(Y)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절환부(7)에는 트랜지스터(TR)의 클렉트단에 릴레이스위치(RY)의 코일(L)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는 저항(R9)을 거쳐 인터페이스(3)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릴레이스위치(RY)의 코일(L) 양단에는 바이어스전압(Vcc)이 공급된다.
또한 릴레이스위치(RY)의 코일(L) 양단에는 과전류차단용 다이오드(D2)가 연결되어 있고, 릴레이스위치(RY)의 접점(A)에는 전선(1) 한측선(X)이 연결되어 있으며, 릴레이스위치(RY)의 접점(B)에는 전선(1)의 한측선(Y)이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장치는 전원이 공급되는 선로에 설치되는 것으로 먼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전원을 on시키면 시스템이 동작하게 되는데, 이때 마이컴부(2)의 클럭단(12)의 수정발진자(14)가 일정주파수의 펄스신호로 발진하여 인버터들(NT1~NT3) 통과하게 되면 구형파의 펄스신호가 발생되게 된다.
그리고 이 발생된 구형파의 펄스신호는 카운터(14)에 인가되게 되어 소정주기의 분주비 예컨대 4M[HZ]정도로 분주된 다음 중앙연산처리 장치(9)의 클럭단자(CK)에 인가되게 되고 그에 따라 마이컴부(2)가 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중앙연산처리장치(9)에 클럭신호가 인가됨과 동시에 이 중앙연산처리장치(9)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S1)으로 진행하여 마이컴부(2)를 초기화 시키게 된다.
그리고 스텝(S2)에서 중앙연산처리장치(9)가 롬(8)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설정된 소정주파수 예컨대, 0~100[HZ]를 100개의 단위로 구분 설정하여 입력전원위상에 따른 제로점송출부(4)의 제로점 송출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하고 스텝(S3)으로 진행한다.
즉, 전원전압이 제로점송출부(4)의 트랜스(T1)를 거쳐 다이오드(D1)의 앤노드단에 인가되게 되고, 그리고 상기 전원전압이 이 다이오드(D1)를 통과하면 반파정류된 구형파 형상의 펄스신호로 나타나게 되며, 이 구형파 형상의 펄스신호는 인터페이스(3)를 거쳐 중앙연산처리장치(9)에 입력되게 된다.
또한, 스텝(S3)에서 중앙연산처리장치(9)가 제로점송출부(4)로 부터 입력된 전원전압위상에 따른 펄스신호를 롬(8)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원전압위상의 제로점을 판단하게 되고, 그 판단된 결과 제로점이 검출되지 않았으면, 스텝(S2)으로 복귀하여 루트를 반복수행하게 되며, 그 판단결과 제로점이 검출되었으면 스텝(S4)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스텝(S4)에서 중앙연산처리장치(9)가 롬(8)에 설정되어 있는 소정갯수의 주파수, 예컨대 0~100[HZ]의 주파수를 100개로 분할하여 설정한 주파수들중의 한개의 주파수를 주파수발진부(5)로 통하여 전선(1)의 한측선(X)으로 방출하고 스텝(S5)으로 진행한다.
즉, 중앙연산처리장치(9)에서 소정범위와 갯수로 분할된 소정주파수들중 한개의 주파수, 예컨대 0∼100[HZ]의 주파수를 100개의 단위[0, 1, 2, ……100HZ]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주파수들중 한단위 즉, 0[HZ]의 주파수로 부터 100[HZ]의 주파수까지의 개개의 주파수를 하나씩 입력전원전압의 위상이 제로인 점이 될 때마다 인터페이스(3)를 거쳐 D/A컨버터(15)에 차례로 인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D/A컨버터(15)에서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주파수에 비례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 다음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단자에 입력시킨다. 그러면, 이 연산증폭기(OP1)를 통하여 상기 주파수에 비례되는 아날로그 신호가 예컨대 5V범위 내의 전압으로 신호제한 된 후, 정전용량 다이오드(VD)에 공급되게 되고 또한 이 정전용량 다이오드(VD)가 상기 아날로그 신호값에 따라 정전용량 값이 변화하게 됨으로 이에 따라 발진기(16)의 시정수가 변화하게 되어 소정주파수의 신호를 트라이액(17)의 t1단에 인가시킨다.
즉, 중앙연산처리장치(9)에서 설정한 주파수의 값에 비례되는 주파수신호로 발진기(16)가 발진하게 되고, 이 발진된 주파수신호는 트라이액(17)을 통하여 전선(1)의 한측선(X)으로 방출되게 되는데, 이때 중앙연산처리장치(9)가 인터페이스(3)를 통하여, “하이”(5V)신호를 트랜지스(T1)에 인가하게 되고 그리고 이 트랜스(T1)가 동작됨에 따라 이 트랜스(T1)에 인가하게 되고 그리고 이 트랜스(T1)가 동작됨에 따라 이 트랜스(T1)에 연결되어 있는 트라이액(17)의 게이트(G)단에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 트라이액(19)이 턴온되게 된다.
한편, 스텝(S5)에서 중앙연산처리장치(9)는 주파수발진부(5)로 부터 방출된 주파수신호가 전선(1)의 한측선(X)을 따라 공장 혹은 일반수용가의 부하(도시안됨)들에 인가되게 되고 그리고 전선(1)의 또다른 한측선(Y)을 거쳐 신호검출부(6)에 회수되게 되어 상기 신호검출부(6)로 부터 방출됐던 주파수의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즉, 주파수신호가 상기 주파수발진부(5)의 트라이액(17) t2단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1)의 한측선(X)을 통하여 출력된 후, 이 한측선(X)을 따라 공정 혹은 일반수용가의 회로로 흐른 다음 신호검출부(6)의 연산증폭기(OP2)에 입력되게 되고, 그리고 상기 회수되는 주파수의 신호는 연산증폭기(OP2)에 의해 5V범위의 전압으로 신호제한된 후 증폭기(AMP1)에 입력되게 되고, 그리고 이 증폭기(AMP1)에서 신호증폭한 다음 A/D컨버터(20)로 입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파수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기 때문에 A/D컨버터(20)에서 디지탈 신호로 신호변환된 후 인터페이스(3)를 거쳐 중앙연산처리장치(9)에 입력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수되는 주파수신호는 전선(1)의 한측선(X)과 한측선(Y) 사이의 분포용량 때문에 대부분 원신호출력에 비해 감소된 상태로 회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주파수신호는 전선(1)의 이상상태 즉, 낙뢰로 인하여 전선(1)이 지락되거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는 주파수신호가 인가된 그 전선(1)의 한측선(X)을 따라 역류되어 상기 신호검출부(6)의 연산증폭기(OP3)에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이 역류된 주파수신호는 증폭기(AMP2)에서 신호증폭된 다음 A/D컨버터(18)에 신호변환되어 중앙연산처리장치(9)에 입력되게 된다.
또한, 스텝(S6)에서 중앙연산처리장치(9)가 롬(8)에 설정된 주파수, 예컨대 100개일 경우 0에서부터 100까지 차례로 설정주파수를 상기 주파수발진부(5)를 통하여 전선(1)의 한측선(X)으로 방출하고 스텝(S6)으로 진행하여 회수되는 주파수신호를 램(10)에 번지수를 지정한 다음 저장시킨다.
그리고, 스텝(S8)으로 진행한 다음 중앙연산처리장치(9)가 회수되는 주파수의 갯수가 “0”개 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 “0”개라면 스텝(S2)으로 복귀하여 루프를 반복수행하고, 그 판단결과 “0”개 이상이라면 상기 동작을 반복 수행한 후, 스텝(S9)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9)에서는 중앙연산처리장치(9)가 램(10)에 저장되어 있는 회수된 주파수신호 100개를 설정한 다음 스텝(S10)으로 진행하고 그리고 스텝(S10)에 상기 중앙연산처리장치(9)가 그 지정된 100개의 특정번지에 대한 데이터를 디코더(11)에 로드한다.
또한, 스텝(S11)에서 중앙연산처리장치(9)가 디코더(11)를 통하여 100개의 특정번지들에 저장된 주파수신호들중 한개의 번지씩 순차적으로 중앙연산처리장치(9)로 로드시킨다.
한편, 스텝(S12)에서 중앙연산처리장치(9)가 100개의 특정번지 내에 저장된 주파수신호의 각각을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비교 판단한 다음 회수된 개개의 주파수 신호가 내장된 프로그램에 이미 설정된 기준 주파수 값보다 적을 경우는 스텝(S14)으로 진행하고, 그 판단된 결과 회수된 개개의 주파수 신호가 내장된 프로그램에 이미 설정된 기준 주파수 값보다 클 경우는 스텝(S13)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연산처리장치(9)가 판단한 결과 회수된 개개의 주파수신호가 내장된 프로그램에 이미 설정된 기준 주파수 값보다 클 경우는 전선(1)의 한측선 (X)과 전선(1)이 한측선(Y)이 과도하게 인접된 것인데, 즉 전선(1)의 한측선(X)과 전선(1)의 한측선(Y) 사이가 과도하게 인접되면 그 분포용량이 적어짐으로 전선(1)의 한측선(X)에 인가된 주파수 신호가 타측선(Y)으로 흐르게 되어 이에 따라 회수되는 주파수신호의 값은 상당히 증가하게 되고 또한 전선(1)의 분포용량에 비례하여 증가된 상기 주파수신호가 신호검출부(6)에 입력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수된 주파수신호가 기준 신호값보다 클 경우는 전선(1)의 한측선(X)과 전선(1)의 또 다른 한측선(Y)이 과도하게 접근하거나 합선된 것이므로 수용가들에 대한 전선(1)의 전력공급을 차단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스텝(S13)에서 중앙연산처리장치(9)가 상기 스텝(S12)에 의해 전선(1)에 이상 상태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됨으로 릴레이 절환부(7)에 동작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릴레이스위치(RY)의 접점을 절환시킴으로 전선(1)의 전력공급을 차단한다.
즉, 중앙연산처리장치(9)가 인터페이스(3)를 거쳐 릴레이절환부(7)의 트랜지스터(TR) 베이스단에 동작제어신호(5V)를 인가하고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TR)가 턴온되게 되어 바이어스 전압(Vcc)이 릴레이 스위치(RY)의 코일(L)과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단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릴레이스위치(RY)의 접점(A, B)이 “off”됨으로 전선(1)의 전력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한편, 스텝(S14)에서 중앙연산처리장치(9)가 설정된 100개의 특정번지내의 데이터가 중앙연산처리장치(9)에 모두 로드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 계속 램(10)으로 부터 특정번지의 데이터가 로드되고 있다면 스텝(S10)으로 복귀하여 루프를 반복 수행하게 되고, 그 판단된 결과 램(10)으로 부터의 데이터 전송이 모두 완료되었을 경우는 스텝(S2)으로 복귀하여 루프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된 전선에 소정주파수의 펄스를 인가한 다음 그 회수되는 주파수 신호의 변화량에 따라 전선의 이상상태를 검출하고 릴레이스위치를 절환시켜 전선에 전력공급을 차단되게 함으로서 이상상태로 인하여 전기시스템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전선의 합선으로 인한 화재발생시에는 전선의 전력공급도 자동차단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선(1)의 이상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도록된 마이컴부(2), 이 마이컴부(2)에 연결되어 마이컴부(2)와 외부의 데이터신호를 입·출력 시키도록 된 인터페이스(3), 이 인터페이스(3)를 통하여 상기 마이컴부(2)가 전원 ·전압의 위상이 제로인점을 검출할 수 있도록 펄스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제어전송검출부(4), 그리고 상기 마이컴부(2)의 동작 제어신호에 의해 소정 주파수의 펄스신호를 전선(12)으로 출력시키도록 된 주파수발진부(5), 이 주파수발진부(5)로 부터 출력된 주파수신호를 전선(1)으로 부터 회수하여 증폭한 다음 그 증폭된 검출신호를 인터페이스(3)를 통하여 상기 마이컴부(2)로 출력시키도록 된 신호검출부(6), 또한 상기 마이컴부(2)의 동작제어신호에 의해 릴레이스위치(RY)를 절환하여 전선(1)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도록 된 릴레이절환부(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상상태 점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로점 송출부(4)가 다이오드(D1)의 캐소드단에 저항(R7)과 저항(R8)의 중성점이 연결되어 있고, 다이오드(D1)의 앤노드단에는 트랜스(T1)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상상태 점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발진부(5)가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도록 된 D/A컨버터(15), 이 D/A컨버터(15)에 연결되어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도록된 연산증폭기(OP1), 이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전압에 따라 정전용량 값이 변하는 가변용량다이오드(VD), 이 가변용량다이오드(VD)의 정전용량 값에 따라 시정수가 변이되고 이 변이된 시정수에 따라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된 발진기(16), 이 발진기(16)의 주파수신호를 전선(1)으로 인가시키도록 된 트라이액(1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상상태 점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검출부(6)가 전선(1)으로부터 회수된 주파수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제한 하도록 된 연산증폭기(OP2, OP3), 이 연산증폭기(OP2, OP3)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신호로 증폭하도록 된 증폭기(AMP1, AMP2), 이 증폭기(AMP1, AMP2)의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탈신호로 신호변환하도록 된 A/D컨버터(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이상상태 점검장치.
KR92003764U 1992-03-09 1992-03-09 전선의 이상상태 점검장치 KR950003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3764U KR950003750Y1 (ko) 1992-03-09 1992-03-09 전선의 이상상태 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3764U KR950003750Y1 (ko) 1992-03-09 1992-03-09 전선의 이상상태 점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140U KR930022140U (ko) 1993-10-16
KR950003750Y1 true KR950003750Y1 (ko) 1995-05-13

Family

ID=1933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3764U KR950003750Y1 (ko) 1992-03-09 1992-03-09 전선의 이상상태 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7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140U (ko) 199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048A (ko) 상이한 용량을 갖는 상이한 형태의 교류전원을 공통모선에 병렬연결가능한 전력변환방법 및 장치
CN1983789A (zh) 逆变器
EP3772147B1 (en) Power interrup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phase measurement and arc detection of power level
KR950003750Y1 (ko) 전선의 이상상태 점검장치
US7282813B2 (en) AC power backfeed protection based on phase shift
KR980006695A (ko) 복합계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5814977A (en) Power supply for compensating a failed voltage
CN112731007B (zh) 剩余电流保护装置测试系统
KR970004253A (ko) 전원
US4811010A (en) Monitor system for traffic-lights
US5426553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grounded states of multiple DC loads of relay system
JPS589528A (ja) 交流モ−タ保護装置
US4233598A (en) Emergency stop circuit monitoring system
US20060126240A1 (en) AC power backfeed protection based on voltage
JPH09107681A (ja) 直流無停電電源装置
CN115065246B (zh) 用于电源管理芯片的电流补偿电路
JPH07131094A (ja) レーザ発振器の高周波電源の位相検出による異常検出装置
KR20040089155A (ko) 오결선 검출 및 경보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전력량계
JP2018191453A (ja) 運転制御装置及び発電設備
KR20170123096A (ko) 누전 차단기
KR19980049562U (ko) 전동차용 보조전원장치의 연장급선장치
JP3311489B2 (ja) 高調波検出方式
KR20040009973A (ko) 피엘씨에 공급되는 교류전원 및 직류전원의 순시정전 고속검출장치
KR100193610B1 (ko) 적정 전원 감지 회로
AU597761B2 (en) Improved monitor circuit arrang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