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737B1 - Stratified burning i.c. engine - Google Patents

Stratified burning i.c. eng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737B1
KR950003737B1 KR1019930002928A KR930002928A KR950003737B1 KR 950003737 B1 KR950003737 B1 KR 950003737B1 KR 1019930002928 A KR1019930002928 A KR 1019930002928A KR 930002928 A KR930002928 A KR 930002928A KR 950003737 B1 KR950003737 B1 KR 950003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piston
virtual plane
layered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2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18139A (en
Inventor
히로미쯔 안도
오사무 히라코
쇼고 오오모리
쥰 타케무라
타이조 키타다
시노 카쯔오 아키
야스키 타무라
미치히로 하타
킨이치 이와치도
마사유키 모토모치
슌스케 마쯔오
노부아키 무라카미
케이조 후루카와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무라 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04400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40045A/en
Priority claimed from JP4253285A external-priority patent/JP2697513B2/en
Priority claimed from JP4255118A external-priority patent/JP2697514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56798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262380B2/en
Priority claimed from JP4256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697517B2/en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무라 유이찌 filed Critical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8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1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737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24Cylinder heads
    • F02F1/42Shape or arrangement of intake or exhaust channels in cylinder heads
    • F02F1/4214Shape or arrangement of intake or exhaust channels in cylinder heads specially adapted for four or more valves per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7/00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ffecting stratification of charge in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4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by means within the induction channel, e.g. d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02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 F02F1/10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for liquid cooling
    • F02F1/108Siamese-type cylinders, i.e. cylinders cast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00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 F02B1/02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 F02B1/04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with fuel-air mixture admission into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2031/006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having multiple air intak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275/00Other engines, componen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B2275/48Tumble motion in gas movement in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24Cylinder heads
    • F02F2001/241Cylinder heads specially adapted to pent roof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24Cylinder heads
    • F02F2001/244Arrangement of valve stems in cylinder heads
    • F02F2001/245Arrangement of valve stems in cylinder heads the valve stems being orientated at an angle with the cylinder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Method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층형상 연소내연기관Layered Combustion Engine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의 층형상 연소내연기관을 표시한 모식적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흡기포오트의 요부구성을 표시한 모식적상면도로서, 제1도에 있어서의 A사시도.FIG. 2 is a schematic top view showing the main constitution of the intake port, and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제3도는 연소실의 요부구성을 표시한 모식적측면도로서 제1도에 있어서의 A'사시도.FIG. 3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main part structure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is a perspective view of A 'in FIG.

제4도는 피스톤상면형상을 상세히 표시한 모식적사시도.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iston top shape in detail.

제5도는 흡기포오트구조의 구성을 표시한 모식적인 부분단면도이며, 제2도에 있어서의 C-C단면도.FIG. 5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take port structure, and C-C cross-sectional view in FIG.

제6도는 연소실내에서의 구성을 표시한 모식적상면도로서 제1도에 있어서의 A사시도.FIG. 6 is a schematic top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a combustion chamber, and is a perspective A view in FIG.

제7도는 흡기포오트구조의 구성을 표시한 모식도로서 제1도에 있어서의 A'사시도.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ake port structure, and A 'perspective view in FIG.

제8도(a)는 흡기포오트구조의 구성을 표시한 모식도로서 제1도에 있어서의 H사시도.FIG. 8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ake port structure. FIG. 8A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제8도(b)~(g)는 각각 제7도에 있어서의 S1-S1단면에서부터 S6-S6단면까지의 단면도.(B)-(g) are sectional drawing from S1-S1 cross section to S6-S6 cross section in FIG. 7, respectively.

제9도는 흡기포오트구조를 표시한 모식도이며 제5도에 있어서의 B-B단면도.FIG.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take port structure, taken along line B-B in FIG.

제10도는 본 발명의 흡기포오트구조의 효과를 표시한 그래프.10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intake 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본 발명의 흡기포오트구조의 효과를 표시한 그래프.11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intake 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2도는 본 발명의 흡기포오트구조의 효과를 표시한 그래프.12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intake 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3도는 본 발명의 흡기포오트구조의 효과를 표시한 그래프.13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intake 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4도는 피스톤상면형상을 상세히 표시한 모식적사시도이며, 제4도의 변형예를 표시한 도면.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iston top shape in detail, and shows a modification of FIG.

제15도는 피스톤상면형상을 상세히 표시한 모식적사시도이며, 제4도의 변형예를 표시한 도면.FIG. 1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iston top shape in detail, and shows a modification of FIG.

제16도는 본 발명의 피스톤상면형상의 효과를 표시한 그래프.16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piston top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7도는 본 발명의 흡기포오트구조의 구성을 표시한 모식도이며 제5도의 변형예를 표시한 도면.FIG. 1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ake 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제18도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의 구성을 표시한 모식적사시도이며 제1도의 변형예를 표시한 도면.FIG. 1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shows a modification of FIG.

제19도는 제18도의 흡기포오트구조를 표시한 모식적인 부분단면도이며 제2도의 변형예를 표시한 도면.FIG. 19 is a schematic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ake port structure of FIG. 18,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제20도는 제18도의 흡기포오트구조를 표시한 모식적인 부분단면도이며 제19도의 변형예를 표시한 도면.FIG. 20 is a schematic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ake port structure of FIG. 18,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제21도는 제18도의 흡기포오트구조를 표시한 모식적인 부분단면도이며 제20도의 변형예를 표시한 도면.FIG. 21 is a schematic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ake port structure of FIG. 18,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제22도는 흡기포오트구조를 표시한 모식적인 부분단면도이며, 제21도의 F-F단면도.FIG. 22 is a schematic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ake port structure, and F-F sectional view of FIG.

제23도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의 구성을 표시한 모식적사시도이며 제1도의 변형예를 표시한 도면.FIG. 2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shows a modification of FIG.

제24도는 제23도의 흡기포오트구조의 구성을 표시한 모식적인 부분단면도로서 제23도에 있어서의 X-X단면도.FIG. 24 is a schematic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take port structure of FIG. 23, and an X-X sectional view of FIG.

제25도는 제23도의 흡기포오트구조의 구성을 표시한 모식적인 부분단면도로서 제23도에 있어서의 V-V단면도.FIG. 25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take port structure of FIG. 23,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제26도는 흡기포오트내에 있어서의 연료분사의 종류를 표시한 모식도.Fig. 2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type of fuel injection in the intake port.

제27도는 본 발명의 흡기포오트구조의 칸막이벽구조의 변형예를 표시한 모식도.Fig. 2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artition wall structure of the intake 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8도는 본 발명의 흡기포오트구조의 칸막이벽구조의 변형예를 표시한 모식도.Fig. 2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artition wall structure of the intake 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9도는 본 발명의 흡기포오트구조의 칸막이벽구조의 변형예를 표시한 모식도.Fig. 2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artition wall structure of the intake 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0도는 본 발명의 흡기포오트구조의 칸막이벽구조의 변형예를 표시한 모식도.3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artition wall structure of the intake 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1도는 본 발명의 흡기통로구조를 표시한 모식도이며 제7도의 변형예를 표시한 도면.FIG. 3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take passa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modification of FIG.

제32도는 본 발명의 흡기통로구조를 표시한 모식도이며 제31도의 R1-R1~R6-R6단면 및 G-G단면도.3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take passa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1-R1 to R6-R6 cross section and G-G cross section of FIG.

제33도는 본 발명의 흡기통로구조의 변형예를 표시한 모식도이며, 제32도(c)에 대응하는 도면.FIG. 3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intake passa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rresponds to FIG. 32 (c).

제34도는 본 발명을 칸막이벽을 가지지 않는 다른 흡기포오트구조에 적용한 모식적사시도.3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another intake port structure having no partition wall.

제35도는 본 발명을 칸막이벽을 가지지 않는 다른 흡기포오트구조에 적용한 모식적 부분단면도이며 K-K단면도.35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nd K-K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nother intake port structure having no partition wall.

제36도는 본 발명을 칸막이벽을 가지지 않는 다른 흡기포오트구조에 적용한 모식적 상면도.36 is a schematic top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nother air intake port structure having no partition wall.

제37도는 종래의 층형상 연소내연기관을 표시한 모식적사시도.3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제38도는 종래의 층형상 연소내연기관을 표시한 모식적단면도.38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점화플러그 12 : 연료공급수단11 spark plug 12 fuel supply means

21 : 칸막이벽 24 : 실린더21 partition wall 24 cylinder

26 : 피스톤 30 : 연소실26: piston 30: combustion chamber

34 : 피스톤꼭대기면 35 : 오목부34: piston top surface 35: recess

37 : 융기부 39 : 밸브리세스37: ridge 39: valve recess

46: 흡기공급수단 58 : 흡기밸브46: intake air supply means 58: intake valve

60 : 실린더헤드하면 FC : 가상평면60: cylinder head FC: virtual plane

L : 실린더축선 SF : 스퀴시L: Cylinder axis SF: Squishy

vf1, vf3, vf4 : 사면 vf2 : 스퀴시부vf1, vf3, vf4: slope vf2: squishy part

본 발명은 특히 층형상 연소에 적합한 연소실 및 흡기포오트구조를 구비한 층형상 연소내연기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to a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combustion chamber and an intake port structure suitable for layered combustion.

종래부터 저연비운전을 목적으로 해서, 연소실내에 혼합기가 진한 층을 생성하고, 이 진한 층에 점화함으로써 전체로서 공연비가 작은 혼합기를 착화가능하게 한 층형상 연소내연기관이 알려져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s been known in which a dark mixture is formed in a combustion chamber for the purpose of low fuel consumption operation, and a ignition in the dark layer makes it possible to ignite a small air-fuel mixture as a whole.

층형상 연소내연기관의 하나로서, 예를 들면 제37도, 제3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세로방향의 층형상 세로 소용돌이(Vertical-Vortex), 즉, 텀블흐름을 발생시키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이 이미 실용화되고 있다.As one of the laminar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for example, a laminar vertical vortex, ie, a laminar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at generates tumble flow, as shown in Figs. It is already put to practical use.

제37도, 제38도는 2흡기포오트식 내연기관의 1개의 기통구조를 표시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부호(322)는 실린더블록, (324)는 실린더보어, (326)은 피스톤, (328)은 실린더헤드, (330)은 연소실이다. 그리고, (334)는 연소실(330)의 상벽부이며 2개의 사면(330a),(330b)을 가진 펜트루프(pent roof)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기포오트(340),(342)가 연소실(330)의 사면(330a)에 각각 개구되고, 양 개구에는, 각각 흡기밸브(35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의 부호(347)은 배기통로(360)에 연통하는 배기포오트, (359)는 배기밸브이다.37 and 38 show one cylinder structure of the two intake port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322 denotes a cylinder block, 324 denotes a cylinder bore, 326 denotes a piston, 328 denotes a cylinder head, and 330 denotes a combustion chamber. 334 is an upper wall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330 and is formed in a pent roof shape having two slopes 330a and 330b. The intake ports 340 and 342 are respectively opened to the slope 330a of the combustion chamber 330, and the intake valves 358 are provided in both openings, respectively. Reference numeral 347 in the figure denotes an exhaust port communicating with the exhaust passage 360, and 359 denotes an exhaust valve.

그리고 각 흡기포오트(340)(342)로부터의 연소실(330)내에 유입한 흡기는, 사면(330b)를 따라서 각 흡기포오트(340),(342)의 연장축선상의 실린더보어(324)의 내벽면을 향해서 흐르고, 이에 의해 연소실(330)내에 각각 화살표 Fa,Fm으로 표시한 것과 같은 텀블을 생성한다.The intake air flowing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30 from each of the intake ports 340 and 342 extends along the slope 330b of the cylinder bore 324 along the extension axis of the intake ports 340 and 342. It flows toward the inner wall surface, thereby producing a tumble such as indicated by arrows Fa and Fm in the combustion chamber 330, respectively.

또 제3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흡기포오트(342)에만 인젝터(312)가 설치되고, 점화플러그(311)는 이 인젝터(312)를 장비한 흡기포오트부분(342)의 흡기밸브(358)의 근처에 배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점화플러그(311)의 근처에는, 인젝터(312)로부터 분사된 연료와 흡기된 공기에 의한 혼합기의 텀블흐름 Fm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연소실(330)내에 혼합기의 텀블흐름 Fm과 공기의 텀블흐름 Fa의 층형상화한 텀블흐름이 형성된다.38, the injector 312 is provided only in one intake port 342, and the spark plug 311 intakes the intake port part 342 equipped with this injector 312. As shown in FIG. It is disposed near the valve 358. For this reason, in the vicinity of the spark plug 311, the tumble flow Fm of the mixer by the fuel injected from the injector 312 and the intake | exhausted air is formed, and thereby the tumble flow Fm of the mixer and the air in the combustion chamber 330 are formed. The tumble flow of fa is a layered tumble flow is formed.

따라서, 연소실(330)내의 공기와 연료의 공연비가 큰 상태, 즉 연소실(330) 전체로서는 연료농도가 연한 희박연소시에도, 점화플러그(311)의 주위에는 다른 부분보다도 진한 혼합기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된 연소상태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air / fuel ratio of air and fuel in the combustion chamber 330 is large, that is, the combustion chamber 330 as a whole has a darker mixture than other parts around the spark plug 311 even when the fuel concentration is light and lean. A stable combustion state can be obtained.

그런데, 연소실내의 층형상화를 보다 완전히 행함으로써, 보다 공연비가 큰 희박연소가 가능하게 되고, 또 텀블흐름을 보다 강하게 함으로써, 층형상화를 보다 완전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However, by performing the layering in the combustion chamber more completely, lean burn with a higher air-fuel ratio becomes possible, and by making the tumble flow stronger,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the layering more completely.

본 발명은, 연소실의 층형상화를 보다 완전하게 행하기 위하여 동 연소실내에 보다 강한 텀블흐름을 생성시키고, 이에 의해서 보다 공연비가 큰 희박연소를 가능하게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이런 종류의 층형상 연소내연기관에 있어서, 착화타이밍직전에, 층형상화되어 있는 텀블흐름에 미세한 교란을 발생시키고, 이에 의해 착화후의 연소속도를 크게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고 HC를 저감할 수 있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at generates a stronger tumble flow in the same combustion chamber in order to perform the layering of the combustion chamber more completely, thereby enabling lean combustion with higher air-fuel ratio. It is. Also, in this type of combustion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minute disturbance is generated in the layered tumble flow immediately before the ignition timing, thereby increasing the combustion speed after ignition, thereby improving combustion efficiency and reducing HC.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세로소용돌이 층형상 연소내연기관은 다음과 같은 특징사항을 포함한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To this end, the vertical whirl-b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n apparatus including the following features.

① 실린더내면과 동일실린더내에 끼워넣어지는 피스톤의 상면과 실린더헤드하면에 의해서 정해진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내면에 설치된 점화플러그와, 상기 실린더헤드하면에 있어서의 실린더축선을 포함한 가상평면의 한쪽에 배설되고 각각 흡기밸브에 의해서 개폐되는 복수의 흡기개구를 가지고, 흡기공기에 의해 상기 연소실내의 대략 전체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고 또한 동일 방향의 텀블흐름을 생성하도록 상기 흡기개구로부터 상기 실린더헤드하면을 따라서 상기 가상평면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흡기를 유입하는 흡기공급수단과, 상기 흡기공급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점화플러그에 대응하는 위치의 텀블흐름을 생성하는 흡기에 연료를 공급하고, 이에 의해 흡기행정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내에 층형상의 텀블흐름을 존재시키는 연료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층형상의 텀블흐름을 조장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꼭대기면이 상기 텀블흐름의 흐름방향을 따른 적어도 1개의 사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①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irtual plane including the combustion chamber defin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and the lower cylinder head which are inserted into the same cylinder as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the spark plug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cylinder axi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ylinder head. And a plurality of intake openings each opened and closed by an intake valve, the intake air being spaced along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from the intake opening so as to generate a tumble flow parallel to each other and substantially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ing fuel to intake supply means for introducing intake air from one side of the virtual plane to the other, and intake air generating a tumble flow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gnition plug in the intake supply means; Fuel holes that present a layered tumble flow in the combustion chamber To a means and promote the tumble flow of the layer-is characterized in that with at least one surface is the top surface of the piston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tumble flow.

② 상기 ①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이, 상기 피스톤꼭대기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상평면의 적어도 한쪽에 그 정상을 가진 융기부의 상기 가상평면쪽의 사면에 의해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he said inclined surface of said (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said piston top surface, and is set by the slope of the said virtual plane side of the ridge part which has the top in at least one of the said virtual plane.

③ 상기 ②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이 상기 융기부의 상기 기상평면쪽에 인접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가 상기 융기부의 상기 사면과 원활하게 연속하는 표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he said piston top surface is provided with the recessed part adjacent to the said gas phase plane side of the said raised part, The said recessed part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surface smoothly continuous with the said sloped surface of the said raised part.

④ 상기 ①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상단부보다도 상기 가상평면으로부터 먼 부분에, 상기 피스톤의 압축행정상사점 근처에서 상기 연소실의 천정과 협동해서 스퀴시를 발생시키는 스퀴시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4) The squishy part according to the above (1), which generates a squish in cooperation with the ceiling of the combustion chamber near the compression stroke top dead center of the piston, at a portion farther from the imaginary plane tha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top surface of the piston.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⑤ 상기 ②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가, 상기 가상평면의 상기 한쪽에만 그 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5) In the above (2), the ridge has a top only on one side of the virtual plane.

⑥ 상기 ②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가 상기 가상평면의 상기 다른쪽에만 그 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6) The above-mentioned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dge has its top only on the other side of the virtual plane.

⑦ 상기 ②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가 상기 가상평면의 상기 한쪽 및 상기 다른쪽의 양방에 각각 그 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7) The ridge portion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dge has its top on each of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virtual plane.

⑧ 상기 ②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평면과 평행한 평면과 상기 사면과의 교선이 대략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8) The cross section between the plane parallel to the virtual plane and the slo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ight line is substantially straight line.

⑨ 상기 ②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과 흡기개구를 개폐하는 흡기밸브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융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상단부보다도 상기 가상평면으로부터 먼 부분에 밸브리세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9) The valve recess is provided at a part farther from the imaginary plane than the upper end of the slope at the ridge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piston top surface and the intake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ake opening. Characterize

⑩ 상기 ⑨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보다도 상기 가상평면으로부터 먼 상기 부분이 상기 피스톤의 압축행정상사점 근처에서 상기 연소실의 천정과 협동해서 스퀴시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9) In the above (9), the portion farther from the imaginary plane than the slope at the ridge portion generates squish in cooperation with the ceiling of the combustion chamber near the compression stroke top dead center of the piston.

⑪ 상기 ①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이 상기 피스톤꼭대기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표면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사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pe is formed by the surface of the recess formed on the top of the piston.

⑫ 실린더내면과 동 실린더내에 끼워넣어지는 피스톤의 상면과 실린더헤드하면에 의해서 정해진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내면에 설치된 점화플러그와, 상기 실린더헤드하면에 있어서의 실린더축선을 포함한 가상평면의 한쪽에 2개의 흡기밸브에 의해서 개폐되는 2개 흡기류개구를 가지고, 흡기공기에 의해 상기 연소실내의 대략 전체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고, 또한 동일방향의 텀블흐름을 생성하도록 상기 흡기개구로부터 상기 실린더헤드하면을 따라서 상기 가상평면의 상기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흡기를 유입하는 흡기포오트와, 동 흡기포오트의 위쪽내면으로부터 아래쪽내면을 향해서 뻗어형성되고 상기 흡기포오트를 복수로 구획하고 동 텀블흐름을 서로 평행한 복수의 흐름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1개의 칸막이벽과, 상기 연소실의 천정중심에 배설된 점화플러그에 대응하는 위치의 텀블흐름을 생성하는 흡기에 연료를 공급하고, 이에 의해 흡기공정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내에 층형상의 텀블흐름을 존재시키는 연료공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2) one side of the imaginary plane including the combustion chamber defin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and the lower cylinder head inserted in the cylinder, the spark plug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cylinder axi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ylinder head. It has two intake flow openings which are opened and closed by two intake valves, and along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from the intake opening so as to generate a tumble flow which is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whole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in the same direction by intake air. An intake port for introducing intake air from the one side of the imaginary plane to the other, a plurality of intake ports formed extending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intake port toward the lower inner surface, and partitioning the intake port into a plurality and paralleling the tumble flows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partition wall partitioned by flow of gas and the ceiling center of the combustion chamber Fueling for generating a tumble flow at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d spark plug inlet, thereb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uel supply means for the presence of the tumble flow of the layer-in the combustion chamber in the intake process.

⑬ 상기 ⑫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이, 상기 피스톤꼭대기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상평면의 적어도 한쪽에 그 정상을 가진 융기부의 상기 가상평면쪽의 사면에 의해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he said slope is formed by the slope of the said virtual plane side of the ridge part provided in the said piston top surface, and having the top in at least one of the said virtual plane.

⑭ 상기 ⑬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이 상기 융기부의 상기 가상평면쪽에 인접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가 상기 융기부의 상기 사면과 원활하게 연속하는 표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he said piston top surface is provided with the recessed part adjacent to the said virtual plane side of the said raised part, The said recessed part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surface which is smoothly continuous with the said slope of the said raised part.

⑮ 상기 ⑬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상단부보다도 상기 가상평면으로부터 먼 부분에 상기 피스톤의 압축행정상사점 근처에서 상기 연소실의 천정과 협동해서 스퀴시를 발생시키는 스퀴시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B) having a squishy portion in cooperation with the ceiling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the vicinity of the compression stroke top dead center of the piston at a portion farther from the imaginary plane than the upper slope on the top surface of the piston It features.

상기 ⑬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평면과 평행한 평면과 상기 사면과의 교선이 대략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ross section between the plane parallel to the virtual plane and the slo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ight line is substantially straight.

상기 ⑬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과 흡기개구를 개폐하는 흡기밸브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융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상단부보다도 상기 가상평면으로부터 먼 부분에 밸브리세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valve recess is provided in a part farther from the imaginary plane than the upper end of the slope in the ridge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piston top surface and the intake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ake opening. do.

상기 ⑬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보다도 상기 가상평면으로부터 먼 상기 부분이 상기 피스톤의 압축행정상사점 근처에서 상기 연소실의 천정과 협동해서 스퀴시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aid distant part from the said imaginary plane rather than the said slope in the said ridge part produces squish in cooperation with the ceiling of the said combustion chamber near the compression stroke top dead center of the said piston.

상기 ⑬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이 상기 피스톤꼭대기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표면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aid slope is formed by the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formed in the said piston top surface.

실린더내면과 동 실린더내에 끼워넣어지는 피스톤의 상면과 실린더헤드하면에 의해서 정해진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내면에 설치된 점화플러그와, 상기 실린더헤드하면에 있어서의 실린더축선을 포함한 가상평면의 한쪽에 배설되고 각각 흡기밸브에 의해서 개폐되는 복수의 흡기개구를 가지고, 흡입공기에 의해 연소실내의 대략 전체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고, 또한 동일방향의 텀블흐름을 생성하도록 상기 흡기개구로부터 상기 실린더헤드하면을 따라서 상기 가상평면의 상기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흡기를 유입하는 흡기포오트와, 상기 연소실의 천정에 배설된 점화플러그에 대응하는 위치의 텀블흐름을 생성하는 흡기에 연료를 공급하고, 이에 의해 흡기행정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내에 층형상의 텀블흐름을 존재시키는 연료공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maginary plane including the combustion chamber defin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and the upper and lower cylinder heads inserted into the cylinder, the ignition plug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cylinder axi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ylinder head. Each of the plurality of intake openings opened and closed by the intake valves, the intake air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generating a tumble flow in the same direction and along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from the intake opening; An intake port for introducing intake air from the one side of the plane to the other and an intake port for generating a tumble flow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ark plug disposed on the ceiling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reby supplying fuel to the combustion in the intake stroke It is equipped with a fuel supply means which makes a floor tumble flow exist indoors. And that is characterized.

상기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이, 상기 피스톤꼭대기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상평면의 적어도 한쪽에 그 정상을 가진 융기부의 상기 가상평면쪽의 사면에 의해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mind The said slope is formed by the slope of the said virtual plane side of the ridge part which is provided in the said piston top surface, and has the top in at least one of the said virtual plane.

상기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이 상기 융기부의 상기 가상평면쪽에 인접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가 상기 융기부의 상기 사면과 원활하게 연속하는 표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mind The said piston top surface is provided with the recessed part adjacent to the said virtual plane side of the said raised part, The said recessed part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surface smoothly continuous with the said inclined surface of the said raised part.

상기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상당부보다도 상기 가상평면으로부터 먼 부분에 상기 피스톤의 압축행정상사점 근처에서 상기 연소실의 천정과 협동해서 스퀴시를 발생시키는 스퀴시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mind The squish portion which generates squish in cooperation with the ceiling of the said combustion chamber near the compression stroke top dead center of the said piston in the part which is far from the said virtual plane rather than the said slope equivalent part in the said piston top surface. It is done.

상기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평면과 평행한 평면과 상기 사면과의 교선이 대략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mind The intersection line between the plane parallel to the virtual plane and the slo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bstantially straight.

상기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과 흡기개구를 개폐하는 흡기밸브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융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상단부보다도 상기 가상평면으로부터 먼 부분에 밸브리세스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mind The valve recess is provided in a portion farther from the imaginary plane than the upper end of the slope in the ridge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piston top surface and the intake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ake opening. .

상기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보다도 상기 가상평면으로부터 먼 상기 부분이 상기 피스톤의 압축행정상사점 근처에서 상기 연소실의 천정과 협동해서 스퀴시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mind The said distant part from the said virtual plane rather than the said slope in the said ridge part produces squish in cooperation with the ceiling of the said combustion chamber near the compression stroke top dead center of the said piston.

상기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이 상기 피스톤꼭대기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표면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mind The said inclined surface is formed by the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formed in the said piston top surfac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제1도~제13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제1도를 사용해서 제1실시예의 층형상 연소내연기관의 개략구성을 설명한다. 내연기관의 각 기통에는, 실린더블록(22)에 형성된 실린더보어(24)와 피스톤(26)과 실린더헤드(28)에 의해서 둘러싸여 연소실(30)이 형성되어 있다.First,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FIG. In each cylinder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combustion chamber 30 is formed by the cylinder bore 24 formed in the cylinder block 22, the piston 26, and the cylinder head 28.

이 연소실(30)에, 흡기포오트(46)가 연통되어 있다. 이 흡기포오트(46)는, 상세하게는 분기부(46C)에 의해서 2분되고, 각각 연소실(30)에 개구하는 2개의 흡기포오트(46A),(46B)를 가진 사이어미즈포오트로 되어 있다. 각 흡기포오트(46A),(46B)이 연소실(30)으로의 흡기개구에는, 각각 흡기개구를 개폐하는 흡기밸브(58)가 배설되어 있다. 또 연소실(30)으로의 배기포오트(47)가 접속되어 있다. 배기포오트(47)는, 상세하게는, 도중에서 2분되고 각각 연소실(30)내에 개구하는 2개의 배기포오트(47A),(47B)를 가진 사이어미즈 포오트로 되어 있다. 각 배기포오트의 연소실(30)으로의 개구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배기밸브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흡기포오트(46A),(46B)는 실린더축선 L을 포함한 가상평면 FC의 한쪽에서 연소실(30)에 개구하고, 각 배기포오트(47A),(47B)는 가상평면 FC의 다른쪽에서 연소실(30)에 개구하고 있다. 또 실린더헤드(28)의 하면(60)에 의해 정해지는 연소실(30)의 천정은, 대략 가상평면 FC 위에 정상을 가지도록 2개의 사면(60a)(60b)을 구비한 펜트루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연소실(30)의 천정의 대략 중심에는 착화수단으로서의 점화플러그(11)가 설치되어 있다.The intake port 46 communicates with the combustion chamber 30. Specifically, the intake port 46 is divided into two portions by the branch portion 46C, and the intake port 46 has two intake ports 46A and 46B respectively ope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It is. Intake valves 5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ake openings are arranged at the intake openings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to the combustion chamber 30, respectively. Moreover, the exhaust port 47 to the combustion chamber 30 is connected. In detail, the exhaust port 47 is a size port having two exhaust ports 47A and 47B, which are two minutes in the middle and open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respectively. Exhaust valves (not shown) are disposed in the openings of each exhaust port to the combustion chamber 30, respectively. In addition, each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is ope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on one side of the virtual plane FC including the cylinder axis L, and each of the exhaust ports 47A and 47B is different from the virtual plane FC. Is ope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from the side. The ceiling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which is determined by the lower surface 60 of the cylinder head 28, is formed in a pen loop shape having two slopes 60a and 60b so as to have a top on the virtual plane FC. have. In the center of the ceiling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an ignition plug 11 as an ignition means is provided.

흡기포오트(46)에 있어서의 분기부(46C)의 상류쪽부분에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연료분사수단으로서의 인젝터(12)가 장착되어 있다. 이 인젝터(12)에 의해 연료가 흡기포오트(46)의 분기부(46C) 부근으로부터 하류쪽을 향해서 분사된다.In the upstream portion of the branch 46C in the intake port 46, an injector 12 as fuel injection means described in detail later is mounted. The fuel is injected by the injector 12 from the vicinity of the branch portion 46C of the intake port 46 toward the downstream side.

각 흡기포오트(46A),(46B)의 축심선(1A),(1B)은,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직선으로 되어 있다. 즉, 각 흡기포오트(46A),(46B)는 서로 평행한 직선형상의 방향결정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 흡기포오트(46A),(46B)로부터의 흡기는,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연소실(30)에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axial center lines 1A, 1B of each intake port 46A, 46B become a straight line parallel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each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has a straight directional determination portion parallel to each other. The intake air from each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flow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 in a state parallel to each other.

흡기행정에 있어서 이 각 흡기포오트(46A)(46B)로부터 연소실내에 유입한 흡기는, 연소실 천정을 형성하는 실린더헤드(28)의 하면(60)의 사면(60b)을 따라서 가상평면 FC의 상기 다른쪽으로 흐르고, 또 이 흡기는 실린더보어(24)의 내면을 따라서 하강해서 피스톤상면(35)으로 흐르고, 그리고 또 이 흡기는 실린더보어(24)의 내면을 따라서 상승해서, 실린더헤드(28)의 하면(60)의 사면(60a)으로 흐르고, 이에 의해 연소실(30)이 거의 전체에 세로소용돌이(텀블흐름)을 생성한다.The intake air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from each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in the intake stroke is formed along the slope 60b of the lower surface 60 of the cylinder head 28 forming the ceiling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intake air flows to the other side, and the intake air descend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bore 24 and flows to the piston upper surface 35, and the intake air ris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bore 24, whereby the cylinder head 28 Flows to the slope 60a of the lower surface 60, whereby the combustion chamber 30 generates vertical swirls (tumble flow) almost entirely.

또, 각 흡기포오트(46A)(46B)에는, 그 축심선(1A)(1B)을 대략 따라서, 세로방행으로 뻗은 칸막이벽(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칸막이벽(21)는 각 흡기포오트(46A)(46B)를 중앙통로(4)와 그 바깥쪽의 옆쪽통로(5)로 구획하고 있다. 그리고 인젝터(12)는 점화플러그(11)에 상당하는 위치의 텀블흐름을 생성하는 중앙통로(4)를 향해서 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In each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partition walls 2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substantially formed along the axis lines 1A and 1B, respectively. Each partition wall 21 divides each intake port 46A and 46B into the central passage 4 and the outer side passage 5. The injector 12 is configured to inject fuel toward the central passage 4 which generates a tumble flow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ark plug 11.

이상의 구성에 의해, 연소실(30)내에는 흡기행정에 있어서, 연료를 포함한 텀블흐름 Fm과, 연료를 포함하지 않은 텀블흐름 Fa가 층형상으로 생성된다. 또한 이 텀블흐름 Fm 및 Fa는 서로 대략 평행하고 또한 동일방향인 것이 중요하고, 이에 의해 압축행정에 있어서도, 연소실(30)내에 층형상의 텀블흐름 Fm,Fa가 존재할 수 있다.By the above structure, in the intake stroke, the tumble flow Fm containing fuel and the tumble flow Fa containing no fuel are produced |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in layer form.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 tumble flows Fm and Fa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in the same direction, whereby the layered tumble flows Fm and Fa may exist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even in the compression stroke.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구성은 각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하 차례로 설명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each structure has a characteristic, respectively, and it demonstrates in order below.

먼저, 피스톤(26)의 꼭대기면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스톤(26)은, 제1도,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 꼭대기면(34)에 융기부(37)를 구비하고 있다. 융기부(37)의 정상은 꼭대기면(34)에 있어서의 가상평면 FC의 흡기포오트(46)의 흡기개구쪽에 위치하고 있다. 융기부(37)의 가상평면 FC쪽의 사면 vf1이, 피스톤(26)의 꼭대기면(34)에 원활하게 연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융기부(37)의 사면 vf1은, 가상평면 FC와 평행한 단면이 피스톤(26)의 꼭대기면(34)의 기준면과 평행한 직선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융기부(37)의 사면 vf1은 흡기행정에 있어서, 텀블흐름 Fm,Fa가 피스톤(26)의 꼭대기면(34)으로부터 실린더보어(24)의 내면을 향해서 방향을 바꿀때에, 서로 혼합되는 일없이 깨끗한 층형상화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First, the top face shape of the piston 26 is demonstrated. The piston 26 is provided with the raised part 37 in each top surface 34, as shown to FIG. 1, FIG. 3, and FIG. The top of the ridge 37 is located on the intake opening side of the intake port 46 of the virtual plane FC on the top surface 34. The slope vf1 on the imaginary plane FC side of the raised portion 37 is configured to smoothly continue to the top surface 34 of the piston 26. Moreover, the slope vf1 of the ridge 37 is comprised so that the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virtual plane FC may become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reference surface of the top surface 34 of the piston 26. That is, the slope vf1 of the ridge 37 is mixed with each other when the tumble flow Fm, Fa changes from the top surface 34 of the piston 26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bore 24 in the intake stroke. It is comprised so that the layer formation may be kept clean.

또, 융기부(37)의 바깥쪽 사면 vf2는, 피스톤(26)이 압축행정의 상사점 근처에 있을때에, 연소실(30)의 천정과 협동해서 스퀴시 SF를 발생해서, 텀블흐름 Fm,Fa에 미세한 교란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Moreover, when the piston 26 is near the top dead center of the compression stroke, the outer slope vf2 of the ridge 37 generates squishy SF in cooperation with the ceiling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thereby causing the tumble flow Fm, Fa. It is configured so that minute disturbances occur.

또, 제1도, 제3도,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융기부(37)의 바깥쪽 사면 vf2에는, 흡기밸브(57)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밸브리세트(39)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사점에서 흡기밸브(57)가 오버랩에서 밸브 개방하고 있어도, 피스톤(26)이 흡기밸브(57)와 간섭하지 않고 압축비가 높은 상사점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1, FIG. 3, and FIG. 4, the valve reset 39 which prevents interference with the intake valve 57 is provided in the outer slope vf2 of the ridge 37. As shown in FIG. . Thereby, even if the intake valve 57 opens the valve at the overlapping point at the top dead center, the piston 26 can maintain the top dead center position with a high compression ratio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intake valve 57.

또한, 제3도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칸막이벽(21)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In addition, in FIG. 3, illustration of the partition wall 21 is abbreviate |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다음에 상기한 흡기포오트(46A)(46B)내에 설치된 칸막이벽(21)에 대해서 설명한다. 각 칸막이벽(21)은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흡기포오트(46A)(46B)의 하류쪽단부(21b)가, 흡기밸브(58)근처까지 뻗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 칸막이벽(21)의 하류쪽단부(21b)는 흡기밸브(58)의 밸브헤드부(56)나, 흡기포오트(46A)(46B)를 가로지르는 스템부(57)에는 접촉하지 않도록 이들과 적당한 이유를 확보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기밸브(58)의 작동에는 아무런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칸막이벽(21)은 각 흡기포오트(46A)(46B)의 각 흐름선(45)의 중심선(45A) 및 흡기포오트부분(46A)(46B)의 축심선(1A)(1B)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흡기포오트(46)를 유입하는 흡기류가, 보다 정류된 상태에서 연소실(30)내에 유입된다. 여기서는 흡기포오트부분(46A)(46B)이 서로 대략 평행하기 때문에, 이들 칸막이벽(21),(21)도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설되어 있다. 또 제2도,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벽(21)의 상류단부(21A) 및 하류단부(21B)는, 모드 흡기류의 정류효과가 향상되도록 볼록형상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류쪽(21A) 및 하류단부(21B)를 형성하는 것은, 흡기류를 정류에 의한 유체저항경감효과를 겨냥한 동시에, 칸막이벽(21)의 제조상의 효과를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각 칸막이벽단부(21A)(21B)를 볼록형상 곡면으로 형성하면, 예를 들면 흡기포오트(46)를 주조하는 경우 등에는, 각 칸막이벽단부(21A)(21B)에 대응하는 주형(코어)의 빠지기가 양호하게 되어, 주조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행할수 있는 것이다.Next, the partition wall 21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intake ports 46A and 46B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5, each partition wall 21 has a downstream end portion 21b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extending near the intake valve 58. As shown in FIG. In detail, the downstream end portion 21b of each partition wall 21 is provided in the valve head portion 56 of the intake valve 58 or in the stem portion 57 that crosses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It is secured and formed with these reasons so as not to contact. For this reason, it is formed so that there is no influence on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intake valve 58. FIG. Moreover, each partition wall 21 is the center line 45A of each flow line 45 of each intake port 46A, 46B, and the axial center line 1A, 1B of the intake port parts 46A, 46B. It is formed along. As a result, the intak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46 flow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 in a more rectified state. Here, since the intake port portions 46A and 46B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these partition walls 21 and 21 are also dispose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2 and 6, the upstream end portion 21A and the downstream end portion 21B of the partition wall 21 are formed in a convex curved surface so that the rectifying effect of the mode intake air flow is improved. The formation of the upstream side 21A and the downstream end portion 21B in this manner is aimed at the effect of reducing the flow resistance by rectifying the intake air flow, and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e manufacturing effect of the partition wall 21. That is, when the partition wall end portions 21A and 21B are formed in a convex curved surface, for example, when the intake port 46 is cast, the mold corresponding to the partition wall end portions 21A and 21B ( The core) can be easily removed, and casting can be performed reliably and easily.

다음에 인젝터(12)의 배치와 인젝터(12)와 칸막이벽(21)의 관계에 대해서 제1도, 제3도, 제5도, 제6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Next, the arrangement of the injector 12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jector 12 and the partition wall 2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3, 5, and 6.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벽(21)에 의해서, 각 흡기포오트(46A),(46B)내는 중앙통로(4)와 옆쪽통로(5)로 분리되어 있다. 연료분사수단으로서의 인젝터(12)는 제1도, 제3도,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흡기포오트(46)내의 분기부(46C)상류쪽에 배설되어 있다. 또, 이 인젝터(12)는 흡기행정에 맞추어서 2개의 흡기포오트(46A),(46B)이 하류를 향해서 연료를 분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5도, 제6도의 부호(6)은 인젝터의 축선이고, 또한 분사범위의 중심선을 표시한 것이다.As shown in FIG. 6, the partition wall 21 separates each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into a central passage 4 and a lateral passage 5. As shown in FIG. 1, FIG. 3, and FIG. 6, the injector 12 as fuel injection means is arrange | positioned upstream of the branch part 46C in the two intake ports 46.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is injector 12 is adapted to inject fuel into two intake ports 46A and 46B downstream in accordance with the intake stroke. Reference numeral 6 in Figs. 5 and 6 denotes the axis of the injector and indicates the center line of the injection range.

즉, 제5도, 제6도의 분사축선(6)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흡기포오트 상면부쪽으로부터 분사된 연료는 중앙통로(4)를 통해서 연소실(30)내에 흡기되도록 되어 있고, 옆쪽통로(5)로부터 공기만이 연소실(30)내에 흡입된다.That is, as shown in the injection axis | shaft 6 of FIG. 5, FIG. 6, the fuel injected from the upper surface part of the intake port is made to intake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through the center passage 4, and a side passage Only air is suck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 from (5).

이에 의해 흡기포오트(46A)(46B)내에 있어서 중앙통로(4)와 옆쪽통로(5)로 분기한 흐름은, 칸막이벽(21)에 의해서 정류되면서 서로 분리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연소실(30)내에 층형상으로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칸막이벽(21)에 의해, 이 흡기의 흐름은,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연소실(30)에 유입하면, 공기에 연료가 혼합된 혼합기를 따르는 Fm과 공기뿐인 Fa,Fa의 3개의 층(중앙통로(4)와 그 양쪽의 옆쪽통로(5)의 합계 3개의 흐름)으로 분리한 상태, 즉 층형상화한 상태의 텀블흐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As a result, the flow branched into the central passage 4 and the lateral passage 5 in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is rectified by the partition wall 21 while maintaining the separated state from each other. It is supposed to flow in the form of layers inside. Therefore, by the partition wall 21, when the flow of intake air flow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 as shown in FIG. 6, only Fm and air, which are Fm and air, which follow a mixer in which fuel is mixed with air, The tumble flow of the state which isolate | separated into three layers (a total of three flows of the central passage 4 and the both side passages 5), ie, the layered state, is formed.

다음에, 밸브스템(57)의 모양의 굵기와, 칸막이벽(21)의 두께에 대해서, 제2도 및 제6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Next, the thickness of the valve stem 57 and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2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6.

제2도 및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벽(21)의 중심선과 밸브스템(57)의 중심선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칸막이벽(21)의 두께는 밸브스템(57)의 직경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즉, 칸막이벽(21)의 중앙통로(4)쪽의 표면(21a)은 밸브스템(57)의 중앙통로(4)쪽의 표면보다 옆쪽통로(5)쪽으로 편의된 모양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6, the center line of the partition wall 21 and the center line of the valve stem 57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21 is the diameter of the valve stem 57. It is formed thinner. In other words, the surface 21a of the partition wall 21 toward the center passage 4 has a shape that is more biased toward the side passage 5 than the surface of the valve stem 57 toward the center passage 4.

이에 의해 제6도와 같이 칸막이벽(21)의 안쪽면(21a)를 따른 혼합기류내의 연료분무는, 밸브스템의 안쪽표면에 안내되면서, 제6도중에 표시한 화살표 P를 따라서 연소실 중심의 점화플러그(11)로 향하게 되고, 이 연료분무가 점화플러그(11)에 집중하도록 되어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6, the fuel spray in the mixed air stream along the inner surface 21a of the partition wall 21 is gui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alve stem, and along the arrow P shown in FIG. 11), this fuel spray is concentrated on the spark plug (11).

다음에 흡기포오트(46)의 흡기기류방향의 단면형상에 대해서, 제7도 및 제8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Nex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take port 46 in the intake air flow dire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제7도는 흡기포오트(46)의 흡기류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며, 이것과 직교하는 단면 각각 S1-S1에서부터 S6-S6의 단면형상을 표시한 도면이 제8도이다. 흡기포오트(46)는 제8도(a)~(g)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류쪽을 향함에 따라서 위쪽 절반부(46A-1),(46B-1)가 아래쪽 절반부(46A-2),(46B-2)보다도 서서히 상대적으로 폭 확대되어 형성되고 있다. 이에 의해 흡기포오트(46A)(46B)로부터의 흡기류가 연소실(30)내에서 텀블흐름을 형성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흡기포오트(46)는 제8도의(f)의 S3-S3 단면에서 사이어미즈포오트로 분기하여, 흡기포오트(46A)(46B)를 형성하고 있다. 또 포오트형상도 역삼각형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이 흡기포오트(46A)(46B)는 하류쪽으로 향할수록 대략 역삼각형의 단면형상을 나타내어 보다 텀블흐름이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ake port 46 in the intake air flow direc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cross-sectional shapes S1-S1 to S6-S6, respectively, in cross sections orthogonal thereto. As shown in FIGS. 8 (a) to 8 (g), the intake port 46 has the upper half 46A-1 and the lower half 46A- as the upper half 46A-1 faces the downstream side. 2), It is relatively wider than 46B-2, and is formed. As a result, the intake air flow from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easily forms a tumble flow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The intake ports 46 branch to the size pots at the cross section S3-S3 in FIG. 8 (f) to form intake ports 46A and 46B. The port shape also shows the shape of an inverted triangle. In addition,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show a cross-sectional shape of an inverted triangle toward the downstream side, whereby the tumble flow is enhanced.

즉, 흡기포오트(46)의 각 단면에 있어서의 위쪽절반부(46-1)를 아래쪽절반부(46-2)보다도 폭 확대함으로써, 흡기포오트(46)에 위쪽절반부(46-1)의 유속 및 유량이 아래쪽 절반부보다도 큰 것이 되고 있다. 다른 한편, 흡기밸브(58)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텀블흐름 Fa, Fm을 증가시키는 흐름의 성분 a와, 텀블흐름 Fa, Fm을 억제하는 흐름의 성분 b가 존재한다. 따라서 흡기 포오트(46)의 위쪽 절반부의 유속 및 유량이 아래쪽 절반부보다도 커지게 됨으로서, 텀블 흐름 Fa, Fm을 보다 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흐름의 성분 a에 관해서는, 텀블흐름 Fa, Fm의 방향과 동일하기 때문에, 흐름의 성분 a에 대한 유통저항이 매우 작고, 이 때문에 전체로서의 유량도 대폭으로 증대할 수 있다.That is, by expanding the upper half portion 46-1 in each cross section of the intake port 46 wider than the lower half portion 46-2, the upper half portion 46-1 is placed on the intake port 46. Flow rate and flow rate are larger than the lower half.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take valve 58 is opened, there is a component a of the flow that increases the tumble flows Fa and Fm and a component b of the flow that suppresses the tumble flows Fa and Fm, as shown in FIG. . Therefore, the flow rate and the flow rate of the upper half of the intake port 46 become larger than the lower half, so that the tumble flows Fa and Fm can be made stronger. In addition, the component a of the flow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of the tumble flows Fa and Fm, so the flow resistance to the component a of the flow is very small, so that the flow rate as a whole can be greatly increased.

또, 제8도(a)~(g)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흡기포오트(46)내에는, 칸막이벽(21)이 거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이 칸막이벽(21)이 흡기포오트부분(46A)(46B)내를 좌우방향으로 2분하도록 흡기포오트 아래쪽 벽면(7)으로부터 흡기포오트쪽벽면(8)까지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이로부터 흡기포오트부분(46A)(46B)내에 유입한 흡기류는, 중앙통로(4)와 옆쪽통로(15)로 흡기의 흐름이 분기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8A to 8G, partition walls 21 are provided in the intake port 46 over almost the entire length. The partition wall 21 is provided from the intake port lower wall surface 7 to the intake port side wall surface 8 so as to divide the inside of the intake port portions 46A and 46B in two directions. It can be seen that the flow of intake air flows into the central passage 4 and the side passage 15 from the intak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portions 46A and 46B.

즉, 제8도(a)에 표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흡기포오트부분(46A)(46B)은 최상류쪽인 실린더 헤드측면(28A)(제7도)근처에서는 1개의 흡기통로로서 형성되고, 이 직후에 칸막이벽(21)에 의해, 중앙통로(4)의 옆쪽통로(5)로 흡기의 흐름이 분기한다. 그리고 제8도(b)~(d)가 표시하는 바와 같이, 서서히 중앙쪽 통로(4)가 2분되고, 제8도(e)에 표시한 단면 S4-S4보다 하류에서는, 흡기가 완전히 2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해서 2분된 흡기류는 각각 흡기밸브(58)에 의해 연소실(30)에 유입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8A, two intake port portions 46A and 46B are formed as one intake passage near the cylinder head side 28A (Fig. 7) on the uppermost side. Immediately after this, the partition wall 21 branches the flow of intake air into the side passage 5 of the central passage 4. As shown in Figs. 8B and 8D, the central passage 4 is gradually divided into two minutes, and downstream of the cross section S4-S4 shown in Fig. 8E, the intake air is completely reduced. Minutes. The intake air flow divided in this manner flow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 by the intake valve 58, respectively.

흡기포오트(46)에 대해서, 제7도, 제8도 및 제9도를 사용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intake port 4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8, and 9.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흡기포오트(46)는 흡기류에 방향결정을 해서, 연소실(30)내에서 텀블흐름을 생성하기 때문에, 대략 스트레이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다른 한편, 실린더헤드의 구조상, 흡기밸브(58)에 의해 개폐되는 흡기개구의 축선과 흡기류의 방향을 동일한 것으로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흡기포오트(46A)(46B)의 하류쪽 단부가 큰 곡률을 가진 만곡부를 개재해서 흡기개구에 연속되고 있다. 이 만곡부에 있어서의 실질유통단면적은 제8도(f),(g)에 명백한 바와 같이 가장 작아지고, 특히 밸브스템(57), 도시하지 않은 스템가이드 및 칸막이벽(21)의 존재도 더불어서, 실질유통단면적의 저하가 심하다.As shown in FIG. 7, the intake port 46 is oriented to the intake air flow to generate a tumble flow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Thus, the intake port 46 has a substantially straight shape.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cylinder head,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the intake openings opened and closed by the intake valve 58 and the intake air flow cannot be the same. For this reason, the downstream ends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are connected to the intake opening through a curved portion having a large curvature. The actual flow cross-sectional area at this curved portion is the smallest as is apparent in FIGS. 8 (f) and 8 (g), in particular with the presence of the valve stem 57, not shown stem guide and partition wall 21, The real distribution area is severely reduced.

이 때문에, 흡기포오트(46A)(46B), 동흡기포오트(46A),(46B)에 있어서의 이 만곡부의 내경의 폭을 가장 크게, 또한 각 흡기밸브(58)에 의해 개재되는 흡기개구보다도 크게 설정된 불룩한 부분(1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만곡부에서의 실질유통단면적의 저하를 방지하고, 충분한 유속 및 유량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For this reason, the width | variety of the inner diameter of this curved part in the intake port 46A, 46B, the copper intake port 46A, 46B is the largest, and the intake opening through which each intake valve 58 is interposed. A bulging portion 13 set larger than this is form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actual flow cross-sectional area at the curved portion and to secure a sufficient flow rate and flow rate.

또한 볼록한 부분(13)은, 제9도에 명백한 바와 같이, 각 흡기포오트(46A)(46B)의 주로 위쪽절반부(46A-1),(46B-1) 형성되었으므로, 각각 위쪽절반부(46A-1),(46B-1)의 유속 및 유량이 아래쪽 절반부(46A-2)(46B-2)보다도, 더욱 크게 할 수 있어 텀블흐름 Fa, Fm의 생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행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x part 13 is mainly formed in the upper half part 46A-1, 46B-1 of each intake port 46A, 46B, as shown in FIG. The flow rates and flow rates of the 46A-1) and 46B-1 can be made larger than the lower half portions 46A-2 and 46B-2, and the tumble flows Fa and Fm are more effectively generated.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의 층형상 연소내연기관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흡입행정에 있어서, 각 흡기포오트(46A)(46B)로부터 연소실(30)내에 유입한 흡기는, 연소실(30)내에 있어서, 혼합기의 텀블흐름 Fm과 공기의 텀블흐름 Fa를 층형상으로 생성한다. 이어서 압축행정에 들어가도 이 층형상의 텀블흐름 Fm, Fa는 존재하나, 압축행정 상사점근처에 가까워지면, 각 텀블흐름 Fm, Fa는 붕괴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연소실(30)내의 점화플러그(11)의 근처에는 여전히, 진한 혼합기가 존재한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점화플러그(11)에 의해 점화가 행해진다. 이후의 폭발행정 및 배기행정은 종래의 층형상 연소내연기관의 내연기관과 완전히 동일하다.Since the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intake air flowing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 from each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in the suction stroke is the combustion chamber 30. ), The tumble flow Fm of the mixer and the tumble flow Fa of air are generated in the form of layers. Subsequently, even when entering the compression stroke, the layered tumble flows Fm and Fa exist, but as they near the compression stroke top dead center, each tumble flow Fm and Fa starts to collapse. However, in the vicinity of the spark plug 11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a dark mixer still exists, and in this state, ignition is performed by the spark plug 11. The subsequent explosive stroke and exhaust stroke are exactly the same as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conventional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이에 의해, 연소실(30)전체로서는, 이론공연비보다도 연료가 적은 혼합기로서, 점화플러그(11) 근처에는 착화에 충분한 농도의 혼합기가 존재하므로, 착화성을 악화시키는 일없이 엔진을 운전할 수 있을 것이다.As a result, as the entire combustion chamber 30 is a mixer having less fuel than the theoretical fuel ratio, a mixer having a concentration sufficient for ignition exists near the ignition plug 11, so that the engine can be operated without degrading ignition.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피스톤(26)의 꼭대기면(34)에 오목부(35) 및 융기부(37)가 형성되고, 보다 강한 텀블흐름 Fm, Fa를 생성해서, 보다 완전한 층형상의 텀블흐름 Fm, Fa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연소실(30)내 전체의 혼합기의 공연비를 보다 작게해도 충분히 안정된 점화 및 연소를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cave portion 35 and the ridge portion 37 are formed on the top surface 34 of the piston 26 to generate stronger tumble flows Fm and Fa, thereby creating a more complete layered tumble. The flows Fm and Fa can be obtained. Thereby, ignition and combustion sufficiently stable can be obtained even if the air-fuel ratio of the entire mixer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is made smaller.

또 피스톤(26)의 융기부(37)의 바깥쪽사면 vf 2가, 압축행정의 상사점근처에 있어서, 연소실(30)의 천정과 협동해서 발생하는 스퀴시 SF에 의해서, 혼합기에 미세한 교란을 발생시키므로, 착화후의 연소속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이 스퀴시 SF는 지나치게 강하면 역효과가 있기 때문에, 피스톤 상사점시에 있어서의 바깥쪽사면 vf2와 연소실(30)의 천정과의 간격은, 적당히 조정된 것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융기부(37)의 바깥쪽사면 vf2에는 밸브리세트(39)가 설치되고, 피스톤(26)이 상사점에 달했을때에, 흡기밸브(57)가 밸브오버랩에 의해 개방되고 있어도, 바깥쪽사면 vf2와 흡기밸브(57)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스톤(26)의 상사점을 보다 높이고, 압축비를 높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slope vf 2 of the ridge 37 of the piston 26 causes fine disturbance to the mixer by Squishy SF generated near the top dead center of the compression stroke in cooperation with the ceiling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Since it produces | generates, the combustion speed after ignition is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is squishy SF has an adverse effect when it is too strong, it is important to make the space | interval of the outer slope vf2 and the ceiling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at the time of piston top dead center adjusted suitably. Moreover, when the valve reset 39 is provided in the outer slope vf2 of the ridge 37, and the piston 26 reaches top dead center, even if the intake valve 57 is opened by the valve overlap, it is the outer side. It is comprised so that interference of the slope vf2 and the intake valve 57 may be avoided. For this reason, the top dead center of the piston 26 can be made higher, a compression ratio can be raised, and combus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즉 제10도의 그래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흡기포오트(46A)(46B)에 칸막이벽(21)을 설치해서 혼합기의 층형상화를 촉진함으로써, 보다 희박한 혼합기에 의해서 기관을 운전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의 횡축은 공연비(A/F)이고, 종축은 NOX배출량 및 Pi(도시평균유효압)변동률이다. 또 선 a 및 선 c는 흡기포오트에 칸막이벽(21)을 설치한 기관의 특성을 표시하고, 선 b 및 선 d는 칸막이벽(21)을 가지지 않는 통상의 텀블흐름을 흡기포오트를 구비한 기관의 특성을 표시하고 있다. 또 선 a, 선 b는 NOX배출에 관한 것이고, 선 c, 선 d는 Pi변동률에 관한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10, the partition wall 21 is provided in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to promote the layering of the mixer, so that the engine can be operated by a thinner mixer. The horizontal axis of the figure is the air-fuel ratio (A / F), and an ordinate is the NO X emissions and Pi (indicated mean effective pressure) fluctuation rate. Lines a and c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gine provided with the partition wall 21 on the intake port, and lines b and d have an intake port for a normal tumble flow without the partition wall 21. Indicate the characteristics of an institution. Lines a and b are for NO x emissions, and lines c and d are for Pi variability.

이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벽(21)을 설치한 기관(선 a참조)에서는, 통상의 텀블흐름을 사용한 기관(선 b참조)보다도 A/F의 값이 희박(연한)쪽에서 NOX의 배출량이 피크가 된다. 또 이 NOX배출량의 피크치 자체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연소실(30)내의 텀블흐름이 층형상화가 촉진됨으로써, 종래의 기관보다도 NOX의 배출량이 피크치가 되는 A/F가 희박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 10, in the engine provided with the partition wall 21 (see line a), the value of A / F is thinner than the engine (see line b) using a normal tumble flow. NO x emissions peak.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lso reduce the peak value itself of the NO X emissions. That is, because the tumble flow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is accelerated in layering, the A / F in which the NO x emission peak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ngine moves toward the lean side.

또, 선 c와 선 d는 A/F와 Pi변동률의 관계를 표시한 것이다. 여기서 Pi변동률이란 기관의 연소안정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이 Pi 변동률이 지나치게 높으면, 기관의 연소가 안정되지 않고, 토크변동을 수반한 불쾌한 운전상태가 된다. 또한 도면중의 기준선 e는 일반적으로 불쾌함이 없는 상태에서 운전할 수 있는 연소안정한계의 Pi변동률이다.In addition, the lines c and d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 / F and Pi variability. Here, the Pi fluctuation rate is used as a criterion for judging combustion stability of the engine. If the Pi fluctuation rate is too high, combustion of the engine is not stabilized and an unpleasant operation state accompanied by torque fluctuation is achieved. In addition, the reference line e in the figure is generally the Pi variation rate of the combustion stability limit that can be operated in the absence of discomfort.

이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통내에서 안정된 연소상태가 얻어지는 Pi변동률의 한계치에 대해서, 칸막이벽(21)을 설치한 기관(선 C참조)에서는, 통상의 텀블흐름을 사용한 기관(선 참조)보다도 더욱 희박쪽의 A/F에서 기관을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이때의 NOX의 배출량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즉 보다 희박한 A/F에서도 안정된 연소상태를 얻을 수 있고, 연소한 계의 A/F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As shown in this figure, in the engine (see line C) provided with the partition wall 21 with respect to the limit of Pi variation rate at which a stable combustion state is obtained in the cylinder, the engine using a normal tumble flow (see line) In addition, the engine can be operated at a lean A / F, and the amount of NO x emitted at this time can be greatly reduced. That is, it shows that stable combustion state can be obtained even in thinner A / F, and the A / F of a combustion system can be improved.

따라서, 본 구조에 의해 매우 저연비이고, 또한 NOX를 거의 배출하지 않는 기관을 실현할 수 있다.Therefore, this structure can realize an engine that is very low fuel consumption and emits little NO x .

또, 칸막이벽(21)의 두께가 밸브스템(47)의 직경보다 작고, 칸막이벽(21)의 중심선과 밸브스템(57)의 중심선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칸막이벽(21)의 중앙통보쪽 벽면은, 밸브스템(57)의 중앙통로쪽 벽면보다 옆쪽통로(5)쪽으로 편의되고, 중앙통로(4)내의 칸막이벽(21)을 따르는 혼합기류내의 연료분무는, 밸브스템(57)의 안쪽 표면에 안내되면서, 점화플러그(11)의 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혼합기내의 연료분무가 점화플러그(11) 근처에 집중하여, 착화가 양호하게 행해지고, 희박한계를 더욱 연장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21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valve stem 47, and the center line of the partition wall 21 and the center line of the valve stem 57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the partition wall 21 The central notification side wall is biased toward the side passage 5 than the central passage side wall of the valve stem 57, and the fuel spray in the mixed air stream along the partition wall 21 in the central passage 4 is connected to the valve stem 57. Gui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 it is dir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spark plug 11, and the fuel spray in the mixer is concentrated near the spark plug 11, so that the ignition is performed well, and the lean limit can be further extended.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7도,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구조에서는 흡기포오트(46A)(46B)의 대략 역삼각형의 단면의 위쪽절반부(46A-1),(46B-1)가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소실(30)내의 강한 텀블흐름 및 엔진 완전개방시의 유량계수를 확보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7 and 9, in the present structure, the upper half portions 46A-1, (the upper half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ubstantially inverted triangle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 Since 46B-1) is large enough, the strong tumble flow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and the flow rate coefficient at the time of full engine opening can be ensured.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흡기포오트(46A)(46B)에 있어서의 가장 실질유통단면적이 작게되는 각 만곡부에 불룩한 부분(13)을 형성하는 동시에, 밸브스템(57)의 하류쪽에는 유통저항이 되는 칸막이벽(21)을 설치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연소실(30)내의 강한 텀블흐름 및 엔진완전개방시의 유량계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ulging portions 13 are formed at the curved portions where the most effective flow cross-sectional areas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are small, and the flow resistance is downstream of the valve stem 57. Since the partition wall 21 to be provided is not provided, the strong tumble flow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and the flow coefficient at the time of full engine opening can be ensured more effectively.

또, 흡기포오트(46A),(46B)에 있어서의 밸브스템(57)의 하류쪽에 칸막이벽(21)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에는,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법상 큰 이점이 있다. 즉 만약 밸브스템(57)의 하류쪽에도 칸막이벽(21)을 설치한 경우, 그 칸막이벽에 있어서의 밸브스템(57)에 대응하는 부분을 칸막이벽의 주조후에 드릴링할 필요가 생기나, 칸막이벽이 얇기 때문에 상기 드릴링시에 갈라짐이 발생할 위험이 생기고, 흡기포오트(46A)(46B)내의 밸브스템(57)의 하류쪽에, 한쪽 지지의 칸막이벽이 존재하게 되어, 강도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불편이 생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밸브스템(57)의 하류쪽에 칸막이벽(21)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외와 같은 불편을 일체 피할 수 있다. 또한 밸브스템(57)의 하류쪽 칸막이벽(21)을 존재시키지 않아도, 층형상화에는 거의 영향이 없다는 것도 확인되고 있으며, 제조상 큰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Moreover, the structure which does not provide the partition wall 21 downstream of the valve stem 57 in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has a big advantage in manufacturing method as demonstrated below. That is, if the partition wall 21 is provided downstream of the valve stem 57, it is necessary to drill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valve stem 57 in the partition wall after casting of the partition wall, Due to its thinness, there is a risk of cracking during drilling, and there is a partition wall on one support downstream of the valve stem 57 in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which is undesirable in terms of strength. This occurs.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artition wall 21 does not exist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valve stem 57 as described above, inconveniences such as the outside can be avoided at all.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re is almost no effect on the layering even if the partition wall 21 downstream of the valve stem 57 is not provided, which can provide a great advantage in manufacturing.

여기서, 제11도는 포오트단면적과 평균텀블비(텀블흐름의 회전속도/엔진회전속도) 및 평균유량계수(전체로서의 유량)와의 관계를 표시한 것이다. 여기서 선 a는 포오트단면적과 평균 텀블비와의 관계를 표시하고, 선 b는 포오트단면적과 평균 유량계수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것이고, ■표시는 흡기포오트(46A)(46B)의 단면의 위쪽절반부(46A-1)(46B-1)를 충분히 크게 한 흡기포오트를 구비한 기관의 평균유량 계수를 표시하는 것이다.Here, FIG. 11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rt area and the average tumble ratio (rotational speed of the tumble flow / engine rotational speed) and the average flow coefficient (flow rate as a whole). Here, line a indic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rt area and the average tumble ratio, and line b indic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rt area and the average flow coefficient, and the mark indicates the cross section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The average flow coefficient of the engine provided with the intake port with the upper half portion 46A-1 and 46B-1 large enough to be displayed.

또, ○는, 통상의 텀블흐름의 흡기포오트를 구비한 기관의 평균텀블비를 표시하는 것이고, ●는 흡기포오트(46A)(46B)에서는 위쪽 절반부(46A-1),(46B-1)를 충분히 크게 해서, 포오트 단면적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평균텀블비, 평균유량계수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Indicates the average tumble ratio of the engine provided with the intake port of the normal tumble flow, and indicates the upper half portions 46A-1 and 46B- in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Since 1) is sufficiently enlarged to secure the port cross-sectional area, as shown in the figure, both the average tumble ratio and the average flow coefficient can be improved.

이에 의해, 텀블비와 유량계수와의 관계는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것이 된다. 이 제12도에 있어서 △표시는 종래의 텀블흐름을 사용한 기관, ☆표시는 칸막이벽(21)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 칸막이벽(21)에 의해 흡기포오트부분(46A)(46B)내의 단면적이 저하하고 있는 기관, ★표시는 본구조를 구비한 기관으로서 흡기포오트(46A)(46B)의 단면의 위쪽 절반부(46A-1),(46B-1)를 충분히 크게한 것이다. 즉 이 제12도가 표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포오트(46A)(46B)에 칸막이벽(21)을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흡기류의 층형상화를 촉진해도 유량계수가 저하해 버리고, 완전개방성능이 저하해버리는 불편이 있다. 여기서, ★표시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포오트(46A)(46B)의 단면적의 위쪽 절반부(46A-1)(46B-1)를 충분히 크게 하므로써, 텀블비 및 유량계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칸막이벽(21)을 설치하는 것에 의한 흡기포오트(46A)(46B)의 단면적의 감소를 보충할 수 있고, 연소실(30)내의 강한 텀블흐름 및 기관의 완전개방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umble ratio and the flow rate coefficient is as shown in FIG. In FIG. 12,? Indicates an engine using a conventional tumble flow, and ☆ indicates a partition wall 21. However, the partition wall 21 provides a cross-sectional area within the intake port portions 46A and 46B. This declining engine, the symbol (*), is an engine having the present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half portions 46A-1 and 46B-1 of the cross sections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are sufficiently large. That is, as shown in FIG. 12, only by providing the partition walls 21 in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the flow coefficient decreases even when promoting the layering of the intake air, resulting in a complete opening performance. It is inconvenient to lower. Here, as indicated by ★, the tumble ratio and the flow rate coefficient can be improved by sufficiently increasing the upper half portions 46A-1 and 46B-1 of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reduction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by providing the partition wall 21, and to secure the strong tumble flow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and the full opening performance of the engine. It can be.

또, 제13도는 기관의 회전토크 및 출력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도면중 선 a 및 선 c는 본 구조를 구비한 기관의 특성을 표시한 그래프, 선 b 및 선 d는 종래의 흡기포오트구조를 구비한 기관의 특성을 표시한 그래프이다. 먼저 선 a 및 선 b는 기관의 회전속도와 토크의 관계를 표시하고 있으나, 이 2개의 곡선에 거의 차는 없고, 본 구조를 구비한 기관이 종래보다도 희박한 혼합기에 의해서 운전해도 종래의 기관과 동등한 토크를 실현하고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Fig. 13 shows the rotational torque and output of the engine, in which the lines a and c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gine having the present structure, and the lines b and d show the conventional intake port structure. It is a graph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 of the equipped engine. First, the lines a and b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and the torque. However, these two curves are hard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shows that it is realized.

그리고, 선 c 및 선 d는 기관의 회전속도와 출력의 관계를 표시하는 것이지만, 이들의 선 c와 선 d에 대해서도 상기한 토크특성과 마찬가지로, 거의 차는 없고 종래보다도 희박한 혼합기에 의해서 운전해도 종래의 기관과 출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The lines c and d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and the output. However, the lines c and d are similar to the torque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Indicates that the engine and output can be obtained.

따라서,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구조를 구비한 기관은 흡기포오트(46A)(46B)의 텀블비 및 유량계수가 커지는 결과, 종래의 기관과 동등한 토크, 출력특성의 내연기관을 실현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3, the engine having this structure can realize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torque and output characteristics equivalent to those of the conventional engine, as a result of the increase in the tumble ratio and the flow rate coefficient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Can be.

이와 같이, 흡기포오트(46)에 칸막이벽(21)을 설치하고, 또한 흡기포오트(46A)(46B)의 대략 삼각형의 단면의 위쪽 절반부(46A-1)(46B-1)를 충분히 크게 하므로써 토크, 출력 모두 종래의 내연기관보다도 저하시키는 일없이, 종래의 내연기관보다도 희박한 혼합기에 의해서 안정된 연소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NOX도 저하할 수 있다. 또 동시에 연비도 향상시킬 수 있다.Thus, the partition wall 21 is provided in the intake port 46, and sufficient upper half 46A-1 and 46B-1 of the substantially triangular cross section of the intake port 46A and 46B is sufficient. by large torque and output at the same time in both a stable combustion state by one lean mixture than a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out reducing all of the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it can be reduced also nO X. At the same time, fuel economy can be improved.

다음에 피스톤 상면의 형상에 관한 변형예에 대해서 제14도 및 제15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Next, the modified example regarding the shape of the piston upper surface is demonstrated using FIG. 14 and FIG.

제1실시예의 제1도, 제3도의 엔진은 제4도(a),(b)와 같은 오목부(35) 및 융기부(37)를 가진 피스톤(26)을 구비하고 있었으나, 이 피스톤에 대신해서, 제14도(a),(b)에 표시한 바와 같은 피스톤(26a)을 채용한다.The engine of FIGS. 1 and 3 of the first embodiment had a piston 26 having recesses 35 and ridges 37 as shown in FIGS. 4A and 4B. Instead, the piston 26a as shown in Figs. 14A and 14B is employed.

제14도(a),(b)의 피스톤(26a)은 그 상면에 오목부(35) 및 융기부(37a)를 가진다. 융기부(37a)의 정상은, 꼭대기면(34)에 있어서의 가상평면 FC의 흡기포오트(46)의 흡기개구쪽에 위치하고 있다. 융기부(37a)의 가상평면 FC쪽의 사면 vf3은 피스톤(26a)의 상면에 원활하게 연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면 vf3은, 가상평면 FC와 직각이고 또한 실린더축선을 포함한 평면에 관해서 대칭의 형상이다.The piston 26a of FIGS. 14A and 14B has a recess 35 and a ridge 37a on its upper surface. The top of the ridge 37a is located on the intake opening side of the intake port 46 of the virtual plane FC on the top surface 34. The slope vf3 on the imaginary plane FC side of the raised portion 37a is configured to smoothly continu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26a. The slope vf3 is a shape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virtual plane FC and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lane including the cylinder axis.

이 제14도(a),(b)의 변형예에 있어서는, 사면 vf3이 상기한 바와 같이 오목형상이므로, 텀블흐름 Fa, Fm은 피스톤(26a)의 상면으로부터 실린더보어 내벽면을 따르도록 방향을 바꿀때에, 전부 텀블흐름 Fm의 중심으로 치우도록 한다. 그러나 사면 vf3이 상기와 같이 대칭이므로, 텀블흐름 Fa, Fm이 층형상 상태는 붕괴되는 일이 없다.In the modifications of Figs. 14A and 14B, since the slope vf3 is concave as described above, the tumble flows Fa and Fm are oriented so as to follow the cylinder bore inner wall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26a. When changing, move them all to the center of the tumble flow Fm. However, since the slope vf3 is symmetrical as described above, the layered state of the tumble flows Fa and Fm does not collapse.

다음의 변형예는, 제15도(a),(b)에 표시한 바와 같은 피스톤(26b)을 채용하고 있다.The following modified example employs the piston 26b as shown in Figs. 15A and 15B.

제15도(a),(b)의 피스톤(26b)은 상면에 오목부(36) 및 융기부(37b)를 가진다. 이중의 융기부(37b)의 정상은, 꼭대기면(34)에 있어서의 가상평면 FC의 흡기포오트(46)의 흡기개구쪽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한편, 오목부(36)는 꼭대기면(34)에 있어서의 가상평면 FC쪽에 인접해서 위치하고 있다. 융기부(37b)의 가상평면 FC쪽의 사면 vf4는 오목부(35)의 상면은, 가상평면 FC와 평행한 단면이 피스톤(26b)의 기준상면과 평행한 직선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Piston 26b of FIG. 15 (a), (b) has the recessed part 36 and the raised part 37b in the upper surface. The top of the double raised portion 37b is located on the intake opening side of the intake port 46 of the virtual plane FC on the top surface 34. On the other hand, the recessed part 36 is located adjacent to the virtual plane FC in the top surface 34. As shown in FIG. The slope vf4 on the virtual plane FC side of the raised portion 37b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35 has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referenc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26b.

이 제15도(a),(b)의 변형예에 있어서는, 융기부(37b)와 함께 오목부(3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텀블흐름 Fa, Fm이 실린더보어 내벽면으로부터 피스톤(26b)의 꼭대기면을 따르도록 방향을 바꿀때에, 텀블흐름 Fa, Fm의 층형상 상태가 보다 깨끗하게 유지된다.In the modifications of Figs. 15A and 15B, since the concave portion 35 is formed together with the ridge portion 37b, the tumble flows Fa and Fm are applied to the piston 26b from the inner wall of the cylinder bore. When changing the direction along the top surface, the layered state of the tumble flows Fa and Fm is kept cleaner.

여기서, 제16도에는, 종래의 피스톤상면이 평행한 엔진의 특성을 N선으로, 제1도의 안쪽벽 vf1을 가진 피스톤상면의 엔진 E의 특성을 A선으로, 제15도의 오목부(35) 및 안쪽벽 vf4를 가진 피스톤상면의 엔진의 특성을 C선으로 표시했다. 여기서는 연소안정성과, 도시출력과, NOX저감률을 차례로 표시했다. 이 시험은 일정연료량으로 공기량을 변화시킴으로써 공연비를 변경하고 있고, 이 경우의 도시출력의 차는, 연비의 차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Here, in FIG. 16, the characteristic of the engine in which the conventional piston upper surface is parallel is N line, the characteristic of the engine E of the piston upper surface which has the inner wall vf1 of FIG. 1 is A line, and the recessed part 35 of FIG.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engine of the piston upper surface which has the inside wall vf4 is shown by the C line. In this case it was shown in turn to the combustion stability and, output shown as, NO X Reduction rate. In this test, the air-fuel ratio is changed by changing the amount of air with a constant amount of fuel. In this case, the difference in the city output indicates the difference in fuel economy.

여기서 희박한계공연비는 표준형과 비교해서, 타입 A에서 1, 타입 C에서 2로 개선되었다. 그 결과, 희박한계시의 NOX는 타입 A에서 50%, 타입 C에서 16%까지 저감된다.The lean marginal fuel ratio improved from type A to 1 and type C to 2 as compared to the standard type. As a result, NO X is reduced in the lean revealed in 50% of type A, type C and 16%.

다음에 흡기포오트(46A)(46B)내에 있어서의 칸막이벽(21)의 변형예를 제17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이 변형예는, 칸막이벽(21)에 대신해서, 흡기포오트(46A)(46B)내의 대략 아래쪽절반부에만 칸막이벽(21Q)을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인젝터(12)가 흡기포오트(46)의 분기부(46C)보다 상류쪽에서, 흡기포오트상면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해서 배설되어 있다. 연료가 흡기포오트하면쪽에 모이기 쉽기 때문에, 칸막이벽(12Q)과 같이 흡기포오트의 비교적 하면쪽에만 설치한 경우에도, 중앙통로(4)와 옆쪽통로(5)에 의한 텀블흐름 Fa, Fm의 층형상화가 충분히 가능하다.Next, a modification of the partition wall 21 in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will be described using FIG. 17. In this modification, instead of the partition wall 21, the partition wall 21Q is provided only in the substantially lower half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injector 12 is disposed upstream from the branch portion 46C of the intake port 46 from the intake port upper surface downward. Since the fuel tends to collect on the lower side of the intake port, the tumble flow Fa and Fm by the central passage 4 and the side passage 5 can be obtained even when the fuel is installed only on the relatively lower side of the intake port like the partition wall 12Q. Layering is sufficiently possible.

다음에 인젝터(12)의 배치 및 방향과 칸막이벽(21)의 관계의 변형예에 대해서 제18도~제25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Next, a mod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rangement and the direction of the injector 12 and the partition wall 21 will be described using FIGS. 18 to 25.

제18도, 제19도의 인젝터(12) 축선방향(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인젝터(12)는 흡기포오트(46)의 하부쪽으로부터 이들 흡기포오트(46A)(46B)의 하류쪽의 비스듬 히 위쪽을 향해서 연료를 분사한다. 그리고 비스듬히 위쪽으로 분사된 연료는 흡기포오트(46), 흡기포오트(46A)(46B)내의 중앙통로(4)를 통해서 연소실(30)내에 흡기된다.As shown in the axial direction 6 of the injector 12 of FIG. 18 and FIG. 19, the injector 12 is downstream from these intake ports 46A and 46B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take port 46. As shown in FIG. Inject fuel at an angle upwards. The fuel injected obliquely upward is intaken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 through the central passage 4 in the intake ports 46 and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제20도는 제19도의 칸막이벽(21)에 대신해서, 흡기포오트 상면쪽으로부터 늘어뜨려, 상반부에만 칸막이벽(21C)을 설치한 것이다. 이들 제19도 및 제20도에 표시한 변형예에 의하면, 연료가 인젝터 분사축선(6)을 따라서, 상면쪽내벽(8)을 향해서 분사되고, 점화플러그(11) 근처에 형성된 혼합기의 텀블흐름 Fm에서는, 이 텀블흐름 Fm의 텀블흐름중심안쪽의 흐름보다도 점화플러그(11) 근처의 텀블흐름중심 바깥쪽의 흐름쪽이 농후한 혼합기가 된다. 따라서, 보다 희박연소를 안정되게 성립시킬 수 있다.In FIG. 20, instead of the partition wall 21 in FIG. 19, the partition wall 21 is arrang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take port, and the partition wall 21C is provided only in the upper half. According to these modified examples shown in FIGS. 19 and 20, fuel is injected along the injector injection axis 6 toward the upper inner wall 8 and the tumble flow of the mixer formed near the spark plug 11. In Fm, the flow side of the tumble flow center outside the spark plug 11 is thicker than the flow inside the tumble flow center of this tumble flow Fm. Therefore, lean burn can be more stably established.

또 제21도 및 제2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벽(21)은 흡기포오트(46), 흡기포오트(46A),(46B)의 상반부쪽에 설치된다. 이 상반부만이 좌우로 2분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칸막이벽(21C)의 아래가장자리를 따라서는, 흡기포오트(46), 흡기포오트(46A),(46B)를 상하로 2분하도록, 보조벽으로서의 대략 수평의 칸막이벽(21F)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칸막이벽(21F)에 의해, 흡기포오트(46A),(46B) 내에는, 상반부(46A-1),(46B-1)와 하반부(46-2)(46A-2)(46B-2)를 칸막이 된다. 또 상반부(46A-1)(46B-1)는, 칸막이벽(21C)에 의해 중앙쪽(점화플러그쪽) 통로와 옆쪽(점화플러그 반대쪽) 통로(5)로 2분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인젝터(12)는 각 흡기포오트(46A)(46B)의 중앙통로(4)에 있어서의 칸막이벽(21F)보다도 위쪽부분에 연료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혼합기의 텀블흐름 Fm의 바깥쪽은, 연료농도가 높은 혼합기가 되고, 이것이 점화플러그(11) 근처에 집중한다. 이 때문에 보다 희박한 연료에 의해서도 안정된 연소상태를 가능하게 한다.As shown in FIG. 21 and FIG. 22, the partition wall 21 is provided in the upper half of the intake port 46, the intake port 46A, 46B. Only this upper half is to be divided into two minutes from side to side. In addition, along the lower edge of the partition wall 21C, an approximately horizontal partition wall 21F as an auxiliary wall is formed so that the air intake port 46, the air intake ports 46A, and 46B are divided up and down. It is installed. Therefore, the partition walls 21F allow the upper half portions 46A-1, 46B-1 and the lower half portions 46-2, 46A-2 and 46B to enter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2) partitions. In addition, the upper half 46A-1 and 46B-1 are divided into 21 minutes by the partition wall into the center side (ignition plug side) passage | route and the side (ignition plug opposite side) passage 5 for 2 minutes. And the injector 12 is comprised so that fuel may be inject | poured into the upper part rather than the partition wall 21F in the center passage 4 of each intake port 46A, 46B. As a result, the outside of the tumble flow Fm of the mixer becomes a mixer having a high fuel concentration, which concentrates near the spark plug 11. This enables a stable combustion state even with a lean fuel.

또, 제23도~제25도는, 제21도, 제22도에 표시한 보조칸막이벽(21F)에 대신해서, 보조칸막이벽(21G)을 설치한 것이다. 단, 인젝터(12)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흡기포오트(46)의 상면 또한 분기부(46C)의 상류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칸막이벽(21G)의 상류단부는, 수직 방향의 칸막이벽(21C)과 마찬가지로 인젝터(12)의 배설위치근처까지 설치되어 있다. 이 수평의 칸막이벽(21)이 인적테(12)로부터 분사된 연료를 흡기포오트(46)내의 아래쪽으로 확산시키지 않도록 되어있다. 즉 흡기포오트(46)의 분기부(46C)보다도 상류쪽에서는, 흡기포오트(46)내의 상부에 예를 들면 제24도와 같은 장방향 단면의 중앙쪽통로(4)가 형성된 형상이 된다. 즉 흡기포오트(46)내는, 중앙쪽통로(4)의 옆쪽통로(5)로 2분되게 된다. 또, 분기부(46C)보다도 하류쪽에서는, 이 중앙쪽통로(4)가 각 흡기포오트(46A)(46B)내의 기준면(3)쪽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흡기포오트(46A)(46B)의 아래쪽을 향해서 분사된 연료는, 흡기포오트(46A)(46B)내에 설치된 수평칸막이벽(21G)에 의해, 옆쪽통로(5)에의 유입이 방지된다. 그리고 분사된 연료는 상반부(46A-1),(46B-1)의 중앙통로(4)에 유입해서, 옆쪽통로(5)에는 공기만이 유입한다. 또 칸막이벽(21G)이 인젝터(12)의 배설위치보다도 상류쪽으로부터 하류쪽에 걸쳐서 뻗어설치되어 있으므로, 연료를 확실히 흡기포오트(46A)(46B)의 상반부(46A-1)(46B-1)의 중앙통로(4)에 유입시킬 수 있고, 따라서 혼합기의 텀블흐름 Fm의 바깥쪽은, 연료농도가 높은 혼합기가 되고, 이것이 점화플러그(11) 근처에 집중한다. 이에 의해 혼합기는 연소실(30)내에서 확실히 착화, 연소할 수 있고, 종래보다도 희박한 연료에 의해서도 안정된 연소상태를 가능하게 한다.23 to 25 are provided with auxiliary partition walls 21G in place of the auxiliary partition walls 21F shown in FIGS. 21 and 22. However, the injector 12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ake port 46 and also upstream of the branch portion 46C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upstream end of the partition wall 21G is provided up to the position of the injector 12 in the vicinity of the partition wall 21C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21 prevents the fuel injected from the inlet 12 from diffusing downward in the intake port 46. That is, in the upstream side of the branch part 46C of the intake port 46, the center passage 4 of the longitudinal cross section like FIG. 24 is formed in the upper part in the intake port 46, for example. That is, the inside of the intake port 46 becomes two minutes to the side passage 5 of the center passage 4. Further, downstream from the branching portion 46C, the central passage 4 is formed above the reference plane 3 in each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As a result, the fuel inject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side passage 5 by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21G provided in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 The injected fuel flows into the central passage 4 of the upper half portions 46A-1 and 46B-1, and only air flows into the side passage 5. In addition, since the partition wall 21G extends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from the excretion position of the injector 12, the fuel is reliably placed in the upper half portions 46A-1 and 46B-1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Can flow into the central passage 4, so that the outside of the tumble flow Fm of the mixer becomes a high fuel concentration mixer, which concentrates near the spark plug 11. As a result, the mixer can reliably ignite and combust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thereby enabling a stable combustion state even with a lean fuel than before.

다음에, 인젝터(12)의 분사에 관한 변형예를, 제26도의 (a)~(d)를 사용해서 설명한다.Next, a modification of the injection of the injector 12 will be described using Figs. 26A to 26D.

(a)는 사이어미즈형 흡기포오트(46)의 분기부(46C)를 향해서 연료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분기부(46C)에 연료를 적극적으로 충돌시킨 후, 확산한 연료를 흡기포오트(46A)(46B)내의 중앙통로(4)에 유입하도록한 것이다. 이 흡기포오트(46)의 분기부(46C)는, 인젝터(12)의 분사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적극적인 충돌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 충돌면에 충돌한 연료를 확산시키도록 되어 있다.(a) is to inject fuel toward the branch portion 46C of the size-type intake port 46. After actively impinging the fuel on the branch portion 46C, the diffused fuel is injected into the intake port 46A. Into the central passage 4 in the 46B). The branch portion 46C of the intake port 46 has an aggressive collision surface that is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injector 12, and diffuses the fuel collided with the collision surface.

(b)는 연료분사구멍을 2개 구비한 인젝터(12)를 사용하는 타입의 것으로서, 각 연료분사구멍으로부터 분사된 2개의 연료의 흐름은, 각각 흡기포오트(46A)(46B)의 중앙쪽통로에 직접 유입해간다. 이 경우는 흡기포오트(46)의 분기부(46C)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흡기류의 흡기저항을 저감하고 있다.(b) is a type in which the injector 12 provided with two fuel injection holes is used, and the flow of two fuel injected from each fuel injection hole is respectively centered in the intake port 46A and 46B. Enter the passage directly. In this case, the branched portion 46C of the intake port 46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o reduce the intake resistance of the intake air streams.

(c)는 연료분사구멍이 1개의 인젝터(12)를 사용해서, 각 칸막이벽(21)(21)에는 연료가 부착하지 않도록, 중앙통로(4)내를 향해서 직접연료를 분사하는 타입의 것이다. 이 경우, 연료가 흡기와 함께 원활하게 흡입되도록, 흡기포오트(46)의 분기부(46C)를 예각적으로 형성하고 있다.(c) is a type of injecting fuel directly into the central passage 4 so that the fuel injection hole uses one injector 12 so that no fuel adheres to the partition walls 21 and 21. . In this case, the branch portion 46C of the intake port 46 is formed at an acute angle so that the fuel can be sucked smoothly with the intake air.

(d)는 상기한 (c)와는 반대로, 연료를 적극적으로 각 칸막이벽(21)(21)까지에 걸쳐서 광각을 향해서 분사하는 타입의 것이다. 이 경우는 흡기포오트(46)에 분기(46C)는,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b)의 마찬가지로 곡면형상으로 둥글게 되어있다.Contrary to the above (c), (d) is a type of actively injecting fuel over the partition walls 21 and 21 toward the wide angle. In this case, the branch 46C of the intake port 46 is rounded in the same curved shape as in the above (b) in order to reduce the resistance.

또한 상기한 (a)~(d)는 인젝터(12)에 관한 분사의 변형예이고, 인젝터(12)의 배설위치나 분사축선(6)은 모두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In addition, (a)-(d) mentioned above is a modification of the injection | pouring with respect to the injector 12, and the excretion position and the injection axis | shaft 6 of the injector 12 are all the same as 1st Example.

다음에 밸브스템(57)과 칸막이벽(21)의 배치와의 어레인지에 대한 변형예를 제26도~제29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Next, a modifica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valve stem 57 and the partition wall 21 will be described using FIGS. 26 to 29.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칸막이벽(21)을 폭좁게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칸막이벽(21)의 안쪽의 면(121a)을, 밸브스템(57)의 안쪽표면으로부터 옆쪽통로(5)에 편의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서, 칸막이벽(21)의 면(121a)을 따라서 흐르는 혼합기속의 연료분무가 제6도중 P로 표시한 바와 같은 방향에서, 점화플러그(11)의 근처로 집중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wall 21 as shown in FIG. 6 is formed to be narrow. This biases the inner surface 121a of the partition wall 21 to the side passage 5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valve stem 57. Thereby, the effect of concentrating the fuel spray of the mixer flow along the surface 121a of the partition wall 21 near the ignition plug 11 in the direction as indicated by P in FIG. 6 is obtained.

제27도에 표시한 어레인지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밸브스템(57)의 안쪽표면보다도, 칸막이벽(121A)의 내면을 옆쪽통로(5)에 편의시키는 동시에, 칸막이벽(21)의 중심선 자체도 밸브스템(57)의 축선과 편의시킨 것이다.The arrangement shown in FIG. 27 makes the side passage 5 more comfortabl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21A than the inner surface of the valve stem 57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the same effect as the first embodiment. The center line itself of the partition wall 21 is also biased with the axis of the valve stem 57.

제28도, 제2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어레인지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칸막이벽(121B),(121C)의 상류쪽 및 중간부를 밸브스템(57)의 축심보다도 바깥쪽으로 편의한다. 그리고, 칸막이벽(121B),(121C)의 하류부(122)(123)에 있어서의 착화수단쪽 칸막이벽(내벽면)(122a),(123a)이 착화수단쪽(4)의 흡기류를 점화플러그(11)쪽으로 향하도록 중앙근처로 향해서 경사져 있다. 이 경우에는 흡기류가 보다 원할하게 점화플러그(11)쪽으로 향하게 되고, 엔진의 희박연소화를 보다 촉진할 수 있어, 층형상 연소엔진에 매우 유효하다. 또한 제28도에 표시한 예에서는, 칸막이벽(121B)의 내벽면(122a)만이 굴곡하고 있고, 칸막이벽(121B)의 외벽면은 평면형상으로 되어있다. 또, 제29도에 표시한 예에서는, 칸막이벽(121C)의 두께가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거의 일정하게 설정되어, 칸막이벽(121B)의 내벽면(122a)과 함께 외벽면도 굴곡형성되어 있다.The arrangements shown in Figs. 28 and 29 can be considered. The upstream and middle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s 121B and 121C are biased outward from the shaft center of the valve stem 57. Then, the ignition means side partition walls (inner wall surface) 122a and 123a in the downstream portions 122 and 123 of the partition walls 121B and 121C ignite the intake air on the ignition means side 4. It is inclined toward the center toward the plug 11. In this case, the intake air flows more smoothly toward the spark plug 11, which can further promote lean burn of the engine, and is very effective for a laminar combustion engine. 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8, only the inner wall surface 122a of the partition wall 121B is bent, and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21B is planar. 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9,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121C is set substantially constant over its entire length, and the outer wall surface is bent together with the inner wall surface 122a of the partition wall 121B.

이와 같이 적어도 칸막이벽(21)의 안쪽면(21a)을 밸브스템(57)의 안쪽면보다도 약간 점화플러그 반대쪽으로 편의시키거나, 혹은 칸막이벽(21)의 하류쪽단부의 내벽면(21a)자체를 점화플러그쪽으로 경사지게 하므로써, 칸막이벽(21)의 내벽면을 따라서 흐르는 혼합기속의 연료분무의 점화플러그쪽으로의 집중화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혼합기의 점화플러그쪽으로의 집중상태는, 예를들면 내벽면(21a)(121a)의 편의 상태나 내벽면(122a)(123a)자체의 경사상태의 설정에 따라서, 층형상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In this manner, at least the inner surface 21a of the partition wall 21 is biased slightly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park plug than the inner surface of the valve stem 57, or the inner wall surface 21a of the downstream end of the partition wall 21 itself. By inclining the spark plug toward the spark plug, the centralization of the fuel spray in the mixer flowing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21 toward the spark plug can be realized. The concentration of the mixer toward the spark plug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inclined state of the inner wall surfaces 122a and 123a and the inclined state of the inner wall surfaces 21a and 121a, for example. Can be.

다음에 흡기포오트(46)내에 유입하는 흡기류의 방향에 관한 칸막이벽구조의 변형으로서, 제30도~제31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Next, as a modification of the partition wall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intake air flow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46, a description will be given using FIGS. 30 to 31. FIG.

실시예 1에서는 칸막이벽(21)의 내벽과 외벽이 대략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제조상의 점에서 생각해서 형상을 단순화한 것이다. 흡기포오트(46A)(46B)내를 유입하는 흡기류를 정류하고, 밸브스템(57)의 부분에서의 흡기류의 교란을 방지하는 것을 고려하면, 제3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벽(21)의 두께를 밸브스템(57)의 상류쪽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하고, 또 상단부에서는 매우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류쪽의 밸브스템(57)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서서히 밸브스템(57)의 외경과 대략 동등한 두께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흡기류의 흐름은, 칸막이벽(21) 및 밸브스템(57)에 의해서 교란되는 일없이, 원활하게 연소실(30)에 유입할 수 있다.In Example 1, the inner wall and outer wall of the partition wall 21 are set substantially parallel. This simplifies the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manufacturing point. In consideration of preventing the intak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and preventing disturbance of the intake air in the portion of the valve stem 57, as shown in FIG. 30, the partition wall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thickness of (21) thinner toward the upstream of the valve stem 57, and to form very thin at the upper end. Moreover, as it approaches the downstream valve stem 57, it is preferable to form so that it may become thickness substantially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valve stem 57 gradually. In this way, the flow of intake air can flow smoothly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partition wall 21 and the valve stem 57.

다음에 흡기포오트(46) 및 동흡기포오트(46)의 상류쪽에 접속되는 흡기매니폴드(14)의 변형예에 대해서 제31도~제33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Next, modification examples of the intake manifold 14 connected to the upstream side of the intake port 46 and the same intake port 46 will be described using FIGS. 31 to 33.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흡기포오트부분(46A)(46B)의 위쪽 절반부(46A-1)(46B-1)가 하반부(46A-2)(46B-2)보다 폭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또 흡기포오트(46)의 상류쪽에 접속되는 흡기매니폴드의 형상도 개량함으로써, 연소실(30)내에서 보다 강한 텀블흐름 Fa, Fm을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half portions 46A-1 and 46B-1 of the intake port portions 46A and 46B are lower than the lower half portions 46A-2 and 46B-2. It is widening. However, by further improving the shape of the intake manifold connected to the upstream side of the intake port 46, stronger tumble flows Fa and Fm can be obtai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제31도에 있어서, 부호(14)는 실린더헤드(28)의 측면(28A)에 고정되고 흡기포오트(46)의 상류쪽단부에 접속되는 흡기매니폴드이다. 그리고 흡기포오트(46) 및 흡기매니폴드(14)의 각부의 단면형상은, 제32도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이 흡기매니폴드(14)에서는, 각 흡기포오트(46A)(46B)내에 원활하게 흡기가 유입하도록(즉, 흡기의 속도를 저하시키지 않도록), 제32도(a)~(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류로부터 하류로 감에 따라서 단면형상을 서서히 변화시키고, 흡기통로부분(14A)(14B)과 접속하고 있는 최하류쪽(제32도(c))에서는, 흡기포오트(46A)(46B)의 흡기매니폴드(14)와의 각 단면형상이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FIG. 31, reference numeral 14 denotes an intake manifold fixed to the side surface 28A of the cylinder head 28 and connected to an upstream end of the intake port 46.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part of the intake port 46 and the intake manifold 14 is comprised as shown in FIG. That is, in this intake manifold 14, the intake air flows smoothly into each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i.e., does not lower the speed of the intake air). As shown in the figure, the cross-sectional shape is gradually changed from the upstream to the downstream, and the intake port 46A is provided at the lowest downstream side (Fig. 32 (c)) connected to the intake passage portions 14A and 14B. Each cross-sectional shape with the intake manifold 14 of the head 46B is formed to substantially match.

즉, 이 흡기매니폴드(14)내에서는, 2개의 흡기통로부분(14A)(14B)에 의해, 각 흡기통로부분(46A)(46B)의 단면형상과 마찬가지로, 하류로 감에 따라서, 위쪽 절반부(14A-1)(14B-1)를 아래쪽 절반부(14A-2)(14B-2)보다도 상대적으로 폭확대된 편심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at is, in this intake manifold 14, the two intake passage portions 14A and 14B, as 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intake passage portion 46A and 46B, move upward in the lower half. The portions 14A-1 and 14B-1 are formed to have an eccentric shape that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lower half portions 14A-2 and 14B-2.

이에 의해서, 흡기는 흡기매니폴드(14)내의 2개의 흡기통로(14A)(14B)에서 흡기류중심(45)이 위쪽절반부(14A-1)(14B-1)로 편심되어 흡기포오트(46A)(46B)에 유입하므로, 각 흡기포오트(46A)(46B)에서의 텀블흐름의 형성을 더욱 촉진하도록 되어있다.As a result, the intake air is eccentric from the two intake passages 14A and 14B in the intake manifold 14 to the upper half portions 14A-1 and 14B-1 so that the intake port ( Since it flows into 46A and 46B, it is made to further promote formation of the tumble flow in each intake port 46A and 46B.

또, 제1실시예에서는 흡기포오트내에만 칸막이벽을 설치했으나, 제3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흡기매니폴드(14)에 각 흡기통로부분(14A)(14B)을 좌우방향으로 2분하는 칸막이벽(15)(15)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칸막이벽(15)는 각 흡기통로부분(14A)(14B)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각 흡기통로부분(14A)(14B)내에서는 각각 흡기류의 중앙쪽통로(4')의 옆쪽통로(5')로 2분되도록 되어 있다. 이 칸막이벽(15)은 흡기매니폴드(14)의 하류쪽단부, 즉 흡기포오트(46A)(46B)와의 접합면 근처까지 설치되어 있고, 칸막이벽(15)에 의해 흡기매니폴드(14) 및 흡기포오트(46A)는, 흡기류는 중앙통로(4)(4')의 옆쪽통로(5)(5')로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앙통로(4)(4')의 옆쪽통로(5)(5')로 분기한 흡기류가 혼합기와 공기로 완전히 분리되고, 연소실(30)내의 텀블흐름 Fa, Fm의 층형상화를 보다 강화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 partition wall is provided only in the intake port. However, as shown in FIG. 33, the intake manifold 14 has two intake passage portions 14A and 14B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two minutes.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partition walls 15 and 15. The partition wall 15 is provide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intake passage portions 14A and 14B, whereby the central passage 4 of the intake air flows in the intake passage portions 14A and 14B, respectively. It is made for 2 minutes by the side passage 5 'of'). The partition wall 15 is provided upstream of the downstream end of the intake manifold 14, that is, near the joining surface with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and the intake manifold 14 is provided by the partition wall 15. And the intake airflow port 46A separates the intake air into the side passages 5 and 5 'of the central passages 4 and 4'. As a result, the intake air branched into the side passages 5 and 5 'of the central passages 4 and 4'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ixer and air, and the layering of the tumble flows Fa and Fm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is achieved. I can strengthen it.

다음에 흡기포오트내에 칸막이벽을 가지지 않는 복수의 흡기포오트를 소유하는 엔진에 적용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34도~제36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n engine having a plurality of intake ports having no partition wall in the intake po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4 to 36.

제34도는, 이 제2실시예에 관한 층형상 연소내연기관을 표시한 것이고, 피스톤(26)의 꼭대기면형상 및 흡기포오트(46A)(46B)의 형상을 제외하고 제37도 및 제38도에 표시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다.34 shows the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except for the shape of the top surface of the piston 26 and the shapes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It is basic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hown in FIG.

그리고, 피스톤(26)의 꼭대기면의 형상은, 제1도 및 제4도에 표시되는 형상, 혹은 제15도에 표시되는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흡기포오트(46A)(46B)의 단면형상은, 제34도 및 제35도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위쪽절반부가 아래쪽절단부보다 폭확대된 대략 역삼각형상을 하고 있다. 또, 흡기포오트(46A)(46B)는 전체로서 대략 스트레이트형상을 나타내고, 연소실(30)에의 흡기개구단부근처에서 크게 만곡되어 있다. 이만곡부에는 제3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주로 그 위쪽절반부에 흡기포오트(46A)(46B)의 흡기개구보다도 큰 내경을 가진 볼록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And the shape of the top surface of the piston 26 can employ | adopt the shape shown in FIG. 1, FIG. 4, or the shape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34 and 35,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have a substantially inverted triangle shape in which the upper half portion is wider than the lower cut portion. In addition,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generally have a substantially straight shape, and are largely curved near the intake opening end to the combustion chamber 30. As shown in FIG. 36, a convex portion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intake openings of the intake ports 46A and 46B is mainly formed in the curved portion as shown in FIG.

이에 의해서, 흡기포오트(46A)로부터는, 혼합기가, 흡기포오트(46B)로부터 공기가 희박연소에 충분한 텀블흐름을 형성하면서, 또한 충분한 흡기유량도 확보하면서 연소실(30)에 유입하고, 종래부터 존재하는 희박연소내연기관보다, 연소안정성 및 연소효율, 출력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As a result, from the intake port 46A, the mixer flow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0 while forming a sufficient tumble flow of air from the intake port 46B for lean combustion, and also ensuring a sufficient intake flow rat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bustion stability, the combustion efficiency, and the output, compared to the lean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또한, 상기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연소실(30)내에 혼합기의 텀블흐름 Fm과 공기의 텀블흐름 Fa가 생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공기의 텀블흐름 Fa에 대신해서 텀블흐름 Fm보다 공연비가 작은 텀블흐름 Fa'를 생성하도록 텀블흐름 Fa에도 연료를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in all the above embodiments, the tumble flow Fm of the mixer and the tumble flow Fa of air are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fuel to the tumble flow Fa so as to generate the tumble flow Fa 'having an air-fuel ratio smaller than the tumble flow Fm instead of the tumble flow Fa of air. .

Claims (27)

실린더(24)내면과 동 실린더(24)내에 끼어넣어지는 피스톤(26)의 상면(34)과 실린더헤드하면(60)에 의해서 정해진 연소실(30)과, 상기 연소실(30)의 내면에 설치된 점화플러그(11)와, 상기 실린더헤드하면(60)에 있어서의 실린더축선(L)을 포함한 가상평면(FC)의 한쪽에 배설되고 각각 흡기밸브(58,58)에 의해서 개폐되는 복수의 흡기개구를 가지고, 흡입공기에 의해 상기 연소실(30)내의 대략 전체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고 또한 동일 방향의 텀블흐름을 생성하도록 상기 흡기개구로부터 상기 실린더헤드하면(60)을 따라서 상기 가상평면(FC)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흡기를 유입하는 흡기공급수단(46)과, 상기 흡기공급수단(46)에 있어서의 상기 점화플러그(11)에 대응하는 위치의 텀블흐름을 생성하는 흡기에 연료를 공급하고, 이에 의해 흡기행정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30)내에 층형상의 텀블흐름을 존재시키는 연료공급수단(12)을 구비하고, 상기 층형상의 텀블흐름을 조장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꼭대기면(34)에 상기 텀블흐름의 흐름방향을 따른 적어도 1개의 사면(vf1)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Ignition provi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defin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24 and the upper surface 34 and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60 of the piston 26 inserted in the cylinder 2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A plurality of intake opening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irtual plane FC including the plug 11 and the cylinder axis L on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60 and opened and closed by the intake valves 58 and 58 respectively. And from one side of the imaginary plane FC along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60 from the intake opening so as to generate a tumble flow parallel to one another and substantially in the same direction within the combustion chamber 30 by intake air. The fuel is supplied to the intake air supply means 46 for introducing the intake air to the other side, and the intake air generating a tumble flow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ark plug 11 in the intake air supply means 46, whereby Said kite in administration And a fuel supply means 12 for presenting the layered tumble flow in the chamber 30, and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tumble flow on the top surface 34 of the piston to promote the layered tumble flow. A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by having at least one slope (vf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vf1)이, 상기 피스톤꼭대기면(34)에 형성되고, 상기 가상평면(FC)의 적어도 한쪽에 그 정상을 가진 융기부(37)의 상기 가상평면(FC)쪽의 사면에 의해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2. The virtual plane FC of claim 1, wherein the slope vf1 is formed on the piston top surface 34, and the ridge 37 has its top on at least one of the virtual plane FC. A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the side of the s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34)이 상기 융기부(37)의 상기 가상평면(FC)쪽에 인접하는 오목부(35)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35)가 상기 융기부(37)의 상기 사면(vf4)과 원활하게 연속하는 표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3. The piston top (34)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iston top (34) has a recess (35) adjacent to the virtual plane (FC) side of the ridge (37), and the recess (35) is the ridge ( 37) A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by having a surface smoothly continuous with the slope (vf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34)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상 단부보다도 상기 가상평면(FC)으로부터 먼 부분에 상기 피스톤(26)의 압축행정상사점 근처에서 상기 연소실(30)의 천정을 구성하는 실린더헤드하면(60)과 협동해서 스쿼시(SF)를 발생시키는 스쿼시부(vf2)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2. The ceiling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mpression stroke top dead center of the piston (26) is located near a portion farther from the virtual plane (FC) than the sloped end portion of the piston top surface (34).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quash portion (vf2) for generating a squash (SF) in cooperation with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60) constitut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37)가, 상기 가상평면(FC)의 상기 한쪽에만 그 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3. The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said raised portion (37) has its top only on said one side of said virtual plane (FC).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37)가 상기 가상평면(FC)의 상기 다른쪽에만 그 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3. The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idge (37) has its top only on the other side of the virtual plane (FC).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37)가 상기 가상평면(FC)의 상기 한쪽 및 상기 다른쪽의 양방에 각각 그 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3. The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idges (37) have their tops on each of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virtual plane FC.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평면(FC)과 평행한 평면과 상기 사면(vf1.vfa)과의 교선이 대략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3. The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intersection of the plane parallel to the virtual plane FC and the slope vf1.vfa is approximately straigh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34)과 흡기개구를 개폐하는 흡기밸브(58,58)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융기부(37)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상단부보다도 상기 가상평면(FC)으로부터 먼 부분에 밸브리세트(3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3. The virtual plane FC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piston top surface 34 and the intake valves 58 and 5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ake openings, the imaginary plane FC is used. The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ve reset (39) is provided at a portion far from th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37)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vf1,vf3,vf4)보다도 상기 가상평면(FC)으로부터 먼 상기 부분이 상기 피스톤의 압축행정상사점 근처에서 상기 연소실(30)의 천정을 구성하는 실린더헤드하면(60)과 협동해서 스쿼시(SF)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10. The combustion chamber (30)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said portion farther from said imaginary plane (FC) than said slopes (vf1, vf3, vf4) in said ridge (37) is near the compression stroke top dead center of said piston. A squamous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to generate a squash (SF) in cooperation with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60) constituting the ceiling of th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vf4)이 상기 피스톤꼭대기면(34)에 형성된 오목부(35)의 표면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The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slope (vf4) is formed by a surface of a recess (35) formed in said piston top surface (34). 실린더(24)내면과 동 실린더(24)내에 끼어넣어지는 피스톤(26)의 상면(34)과 실린더헤드하면(60)에 의해서 정해진 연소실(30)과, 상기 연소실(30)의 내면에 설치된 점화플러그(11)와 상기 실린더헤드하면(60)에 있어서의 실린더축선(L)을 포함한 가상평면(FC)의 한쪽에 2개의 흡기밸브(58,58)에 의해서 개폐되는 2개의 흡기개구를 가지고, 흡입공기에 의해 연소실(30)내의 대략 전체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고, 또한 동일 방향의 텀블흐름을 생성하도록 상기 흡기개구로부터 상기 실린더헤드하면(60)을 따라서 상기 가상평면(FC)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흡기를 유입하는 흡기흡기포오트(46)와, 동 흡기포오트(46)의 위쪽내면(8)으로부터 아래쪽내면(7)을 향해서 뻗어형성되고 상기 흡기포오트(46)를 복수로 구획하고 동 텀블흐름을 서로 평행한 복수의 흐름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1개의 칸막이벽(21)과, 상기 연소실(30)의 천정중심에 배설된 점화플러그(11)에 대응하는 위치의 텀블흐름을 생성하는 흡기에 연료를 공급하고, 이에 의해 흡기공정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30)내에 층형상의 텀블흐름을 존재시키는 연료공급수단(1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Ignition provi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defin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24 and the upper surface 34 and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60 of the piston 26 inserted in the cylinder 2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It has two intake openings opened and closed by two intake valves 58 and 58 on one side of the virtual plane FC including the plug 11 and the cylinder axis L in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60. Intake air from one side of the virtual plane FC along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60 from the intake opening to the other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generates a tumble flow in the same direction. An intake intake port 46 for introducing intake air, and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8 of the intake port 46 toward the lower inner surface 7 and partitions the intake port 46 into a plurality; To divide the tumble stream into a plurality of parallel flows The fuel is supplied to at least one partition wall 21 and an intake air generating a tumble flow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ark plug 11 disposed at the ceiling center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thereby providing the fuel in the intake process. A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fuel supply means (12) for presenting a layered tumble flow in a combustion chamber (3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vf1)이, 상기 피스톤꼭대기면(34)에 형성되고, 상기 가상평면(FC)의 적어도 한쪽에 그 정상을 가진 융기부(37)의 상기 가상평면(FC)쪽의 상면에 의해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13. The virtual plane FC of the ridge 37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slope vf1 is formed on the piston top surface 34 and has its top on at least one side of the virtual plane FC. A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34)이 상기 융기부(37)의 상기 가상평면(FC)쪽에 인접하는 오목부(35)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35)가 상기 융기부(37)의 상기 사면(vf4)과 원활하게 연속하는 표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14. The piston top (34)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piston top surface (34) has a recess (35) adjacent to the virtual plane (FC) side of the ridge (37), and the recess (35) is the ridge ( 37) A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by having a surface smoothly continuous with the slope (vf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34)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상단부보다도 상기 가상평면(FC)으로부터 먼 부분에, 상기 피스톤의 압축행정상사점 근처에서 상기 연소실(30)의 천정을 구성하는 실린더헤드하면(60)과 협동해서 스쿼시(SF)를 발생시키는 스쿼시부(vf2)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15. The ceiling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according to claim 13, which is formed near the compression stroke top dead center of the piston at a portion farther from the imaginary plane FC than the upper sloped end of the piston top surface 34. And a squash portion (vf2) for generating squash SF in cooperation with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6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평면(FC)과 평행한 평면과 상기 사면(vf1.vf4)과의 교선이 대략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14. The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intersection of the plane parallel to the virtual plane FC and the slope (vf1. Vf4) is substantially straigh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34)과 흡기개구를 개폐하는 흡기밸브(58,58)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융기부(37)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상단부보다도 상기 가상평면(FC)으로부터 먼 부분에 밸브리세트(3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The virtual plane FC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piston top surface 34 and the intake valves 58 and 5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ake openings, the virtual plane FC is form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lope in the ridge 37. The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ve reset (39) is provided at a portion far from th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37)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vf1,vf3,vf4)보다도 상기 가상평면(FC)으로부터 먼 상기 부분이 상기 피스톤의 압축행정상사점 근처에서 상기 연소실(30)의 천정을 구성하는 실린더헤드하면(60)과 협동해서 스쿼시(SF)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14. The combustion chamber (30)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said portion of said ridge (37) farther from said imaginary plane (FC) than said slopes (vf1, vf3, vf4) is near the compression stroke top dead center of said piston. A squamous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to generate a squash (SF) in cooperation with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60) constituting the ceiling of th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vf4)이 상기 피스톤꼭대기면(34)에 형성된 오목부(35)의 표면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14. The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said slope (vf4) is formed by a surface of a recess (35) formed in said piston top surface (34). 실린더(24)내면과 동 실린더(24)내에 끼워넣어지는 피스톤(26)의 상면(34)과 실린더헤드하면(60)에 의해서 정해진 연소실(30)과, 상기 연소실(30)의 내면에 설치된 점화플러그(11)와, 상기 실린더헤드하면(60)에 있어서의 실린더축선(L)을 포함한 가상평면(FC)의 한쪽에 배설되고 각각 흡기밸브(58,58)에 의해서 개폐되는 복수의 흡기개구를 가지고, 흡입공기에 의해 상기 연소실(30)내의 대략 전체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고, 또한 동일 방향의 텀블흐름을 생성하도록 상기 흡기개구로부터 상기 실린더헤드하면(60)을 따라서 상기 가상평면(FC)의 상기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흡기를 유입하는 흡기포오트(46)와, 상기 연소실(30)의 천정을 구성하는 실린더헤드하면(60)에 배설된 점화플러그에 대응하는 위치의 텀블흐름을 생성하는 흡기에 연료를 공급하고, 이에 의해 흡기행정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30)내에 층형상의 텀블흐름을 존재시키는 연료공급수단(1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Ignition provi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defin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24 and the upper surface 34 and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60 of the piston 26 fitted in the same cylinder 24, and the ignition provid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aid combustion chamber 30. A plurality of intake opening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virtual plane FC including the plug 11 and the cylinder axis L on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60 and opened and closed by the intake valves 58 and 58 respectively. The virtual plane FC along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60 from the intake opening so as to generate a tumble flow parallel to one another and substantially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30 by intake air. Intake fuel 46 that flows intake air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intake fuel that generates a tumble flow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ignition plug disposed on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60 constituting the ceiling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Supply, thereby absorbing In the stroke the combustion chamber 30, a layer-bur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a fuel supply means (12) to present the tumble flow of the layer-within.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vf1)이, 상기 피스톤꼭대기면(34)에 형성되고, 상기 가상평면(FC)의 적어도 한쪽에 그정상을 가진 융기부(37)의 상기 가상평면(FC)쪽의 사면에 의해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21. The virtual plane FC of claim 20, wherein the slope vf1 is formed on the piston top surface 34 and has a normal shap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virtual plane FC. A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the side of the side.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34)이 상기 융기부(37)의 상기 가상평면(FC)쪽에 인접하는 오목부(35)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35)가 상기 융기부(37)의 상기 사면(vf4)과, 원활하게 연속하는 표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2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piston top surface 34 has a recessed portion 35 adjacent to the virtual plane FC side of the raised portion 37, the recessed portion 35 being the raised portion ( 37. The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moothly continuous surface with said slope (vf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34)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상단부보다도 상기 가상평면(FC)으로부터 먼 부분에 상기 피스톤(26)의 압축행정상사점 근처에서 상기 연소실(30)의 천정을 구성하는 실린더헤드하면(60)과 협동해서 스쿼시(SF)를 발생시키는 스쿼시부(vf2)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22. The ceiling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ceiling of the combustion chamber (30) is positioned near the compression stroke top dead center of the piston (26) at a portion farther from the imaginary plane (FC) tha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top surface (34) of the piston. And a squash portion (vf2) for generating squash SF in cooperation with the cylinder head lower surface (60) to be configured.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평면(FC)과 평행한 평면과 상기 사면(vf1.vf4)과의 교선이 대략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22. The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intersection of the plane parallel to the virtual plane FC and the slope vf1.vf4 is substantially straight.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꼭대기면(34)과 흡기개구를 개폐하는 흡기밸브(58,58)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융기부(37)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상단부보다도 상기 가상평면(FC)으로부터 먼 부분에 밸브리세스(3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22. The virtual plane FC according to claim 21,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piston top surface 34 and the intake valves 58 and 58 that open and close the intake openings. The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ve recess (39) is provided at a portion far from the.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37)에 있어서의 상기 사면(vf1,vf3,vf4)보다도 상기 가상평면(FC)으로부터 먼 상기 부분이 상기 피스톤(26)의 압축행정상사점 근처에서 상기 연소실(30)의 천정을 구성하는 실린더헤드하면(60)과 협동해서 스쿼시(SF)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22. The combustion chamber as set forth in claim 21, wherein said portion farther from said imaginary plane (FC) than said slopes (vf1, vf3, vf4) in said ridge (37) is near said compression stroke top dead center of said piston (26). A squamous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haracterized by generating squash (SF) in cooperation with a cylinder head lower surface (60) constituting the ceiling of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vf4)이 상기 피스톤꼭대기면(34)에 형성된 오목부(35)의 표면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형상 연소내연기관.A layer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 set forth in claim 21, wherein said slope (vf4) is formed by a surface of a recess (35) formed in said piston top surface (34).
KR1019930002928A 1992-02-28 1993-02-27 Stratified burning i.c. engine KR95000373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44007 1992-02-28
JP4044007A JPH05240045A (en) 1992-02-28 1992-02-28 Swirl gener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253285A JP2697513B2 (en) 1992-03-27 1992-09-22 Intake port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92-253285 1992-09-22
JP92-255118 1992-09-24
JP4255118A JP2697514B2 (en) 1992-09-24 1992-09-24 Intake port structure of stratifi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5679892A JP3262380B2 (en) 1992-09-25 1992-09-25 Intake port structure of stratifi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92-256799 1992-09-25
JP92-257046 1992-09-25
JP92-256798 1992-09-25
JP4256797A JP2697517B2 (en) 1992-09-25 1992-09-25 Intake port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5679992 1992-09-25
JP4257046A JP2697518B2 (en) 1992-03-27 1992-09-25 Intake port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92-256797 1992-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139A KR930018139A (en) 1993-09-21
KR950003737B1 true KR950003737B1 (en) 1995-04-18

Family

ID=6686684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2930A KR950003738B1 (en) 1992-02-28 1993-02-27 Stratified burning i.c. engine
KR1019930002928A KR950003737B1 (en) 1992-02-28 1993-02-27 Stratified burning i.c. engine
KR1019930002929A KR960013098B1 (en) 1992-02-28 1993-02-27 Internal combustion engin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2930A KR950003738B1 (en) 1992-02-28 1993-02-27 Stratified burning i.c. engin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2929A KR960013098B1 (en) 1992-02-28 1993-02-27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95000373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098B1 (en) 1996-09-30
KR950003738B1 (en) 1995-04-18
KR930018141A (en) 1993-09-21
KR930018139A (en) 1993-09-21
KR930018140A (en) 199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5464A (en) Stratified burn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069291A2 (en) In-cylinder direct-injection spark-ignition engine
KR950003737B1 (en) Stratified burning i.c. engine
JPH0814102A (en) Layer burning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104499B2 (en) Stratifi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104475B2 (en) Stratifi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906932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906933B2 (en) Stratifi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814048A (en) Stratifi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635730B2 (en) Intake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668106B2 (en) Intake passage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697518B2 (en) Intake port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936988B2 (en) Stratified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U657393B2 (en) Stratified burn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11107760A (en) Intake system for direct-injection engine
JP3903200B2 (en) In-cylinder injection spark igni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697517B2 (en) Intake port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2301618A (en) Combustion chamber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294188B2 (en) Piston for engine
JPH07122407B2 (en) Engine combustion chamber structure
JPH06101485A (en) Intake port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stratified combustion
JPH0979040A (en) Cylinder fuel injection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853421B2 (en) Combustion chamber of a swirl chamber type diesel engine
JPH1113472A (en) Combustion chamber structur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9170526A (en) Intake air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