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469Y1 - 섀도우 마스크 소성장치 - Google Patents

섀도우 마스크 소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469Y1
KR950003469Y1 KR92026672U KR920026672U KR950003469Y1 KR 950003469 Y1 KR950003469 Y1 KR 950003469Y1 KR 92026672 U KR92026672 U KR 92026672U KR 920026672 U KR920026672 U KR 920026672U KR 950003469 Y1 KR950003469 Y1 KR 950003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firing
mask
firing furnace
kil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6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526U (ko
Inventor
최상범
Original Assignee
석진철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92026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469Y1/ko
Publication of KR9400175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5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4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 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섀도우 마스크 소성장치
제1도는 종래의 소성장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마스크 캐리지를 보이는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소성장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 : 소성로(燒成爐) 1 : 마스크 캐리지(mask carriage)
2 : 차단판(遮斷板) 3 : 케이지부(cage部)
4 : 지지구동부(支持驅動部)
본 고안은 칼라브라운관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섀도우 마스크(shadowmask)의 소성(燒成) 또는 소결(燒結)에 사용되는 개선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섀도우마스크는 칼라 브라운관의 색선별에 사용될 뿐 아니라 브라운관의 형광면 형성시 노광(露光) 마스크로도 사용되므로 브라운관의 핵심부품의 하나이다. 따라서 소재의 반입시나 성형과 용접후에 잔류응력의 제거를 위해 수차례의 소성(compaction)을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브라운관의 작동시에 섀도우마스크에 충돌한 열전자는 이를 열팽창시키게 되는데, 작동이 초기에는 열용량이 큰 프레임(frame)이 팽창하지 않으므로 섀도우마스크가 면외(面外)로 변형하게 된다. 이를 일반적으로 도우밍(doming)현상이라 칭하는에 이러한 도우밍 현상은 전자빔(電子 beam) 랜딩(landing)의 초기 드리프트(初期 drift)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도우밍에 의한 랜딩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수단이 사용되고 있는바, 예를들어 프레임의 지지홀더에 바이메탈(bimetal)판을 접합하여 섀도우마스크를 형광면에 근접시키는 방법등이다.
그런데 평면사각 브라운관(Flast Squart Tube)등의 경우에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인장 마스크(tension mask)를 사용하거나 섀도우마스크 내면에 절연층을 도포성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후자의 방법은 결정성 분말유리인 프리트(frit)용액을 섀도우 마스크 내면에 도포후 이를 소결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이와같이 섀도우 마스크의 소성 또는 소결은 여러가지 목적으로 이뤄지는데, 제1도에는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소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하였다. 제1에서 소성 또는 소결될 섀도우 마스크(S)는 팔레트(pallet ; P)상에 적재되어 체인 컨베이어(chain conveyor)등의 컨베이어(C)를 따라 소성로(F′)내를 통과하며 소성등이 이뤄지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소성장치는 다단(多段)적재가 불가능하여 작업능률이 낮을 뿐 아니라 소성로가 밀폐형이므로 이물(異物)이 잔류하여 섀도우마스크(S)의 색선별구멍을 폐색(閉塞)시키거나 도포된 프리트에 혼입되어 함께 소결되어 버리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밀폐형 소성로의 더큰 문제는 내부 온도의 적절한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적절한 소성 또는 소결이 어려운 점이다. 또한 컨베이어가 고온상태인 소성로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컨베이어의 변형도 심하고 수명도 짧은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물질의 잔류가 없으며 온도조절이 자유로우며 컨베이어에 열영향이 없는 신규한 구성의 소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섀도우 마스크 소성장치는 소성로의 하부 중앙에 슬리트를 형성하고, 이 슬리트를 통해 소성로 내부로 섀도우 마스크를 통과시키는 동시에 소성로 외부에서 구동시키는 신규의 마스크 캐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2도에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마스크 캐리지(1)가 도시되어 있다. 이 마스크 캐리지(1)는 크게 보면 차단판(2)을 경계로 하여 그 상부가 섀도우 마스크(S)가 적재되는 케이지(cage部 ; 3)가 되고 그 하부가 이 마스크 캐리지(1)를 이송시키는 지지구동부(support and drive portion ; 4)가 된다.
먼저 케이지부(3)는 차단판(2)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프레임(frame ; 5)과, 이 프레임(5)에 설치되어 섀도우 마스크(S)를 지지하는 복수의 트레이(tray:6)들로 이뤄진다. 각 트레이(6)는 바람직하기로는 금속제 봉, 예를들어 스테인리스, 합금등 내열성과 내부식성이 강한 질로 형성되고 제3도에 잘 보인 바와같이 적재측으로부터 반대측으로 약간 경사져 있고 그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적재된 섀도우마스크(S)를 이탈없이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지지구동부(4)에는 차단판(2)의 중앙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서포트(support ; 7)와, 그 하부에 결합된 구동수단, 예를들어 체인컨베이어(8)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마스크 캐리지(1)는 복수의 섀도우마스크(S)를 적재한 상태로 제3도와 같이 소성로 (F)내로 통과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소성로(F)는 도시된 바와같이 그 하부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릿(slit ; 9)이 형성되어 마스크 캐리지(1)의 서포트(7)가 통과하도록 되어 있고, 하벽(10)이 이 슬리트(9)를 향해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소성로(F)내의 잔류이물이 이 슬리트(9)를 통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소성로 (F)의 내부에는 히이터가 배열되어 이를 가열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소성로(F)에 있어서는 온도분포가 종래의 밀폐형 소성로에서와 같이 소성로의 길이방향으로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소성로(F)의 높이방향으로 변화된다. 즉 외부의 찬 공기가 유입되는 슬리트(9)측의 온도는 낮고 이로부터 온도가 급속히 증가하다가 소성로의 중간정도부터 증가율이 감소하여 소성로(F)의 천정근처에서 피이크(peak)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 캐리지(1)의 케이지부(3) 트레이(6)는 이러한 온도분포를 감안하여 섀도우마스크(S) 소성의 최적 온도범위내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판(2)은 슬리트(9)로부터의 찬 외기(外氣)가 트레이(6)상의 섀도우마스크(S)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며, 각 마스크 캐리지(1)간의 간격 또는 그 주행속도를 변화시키면 차단판(2)사이로 통과되는 외기량이 변화되므로 소성로(F)내의 온도조절 구실도 할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보인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소성로가 밀폐형이 아니므로 이물질이 내부에 잔류하여 섀도우마스크 폐색등을 야기하는 일이 없으며, 소성로내의 온도도 길이방향으로 균일하고 각 위치에서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다량의 섀도우 마스크를 동시에 투입할수 있으므로 공정효율도 현저히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등의 구동부도 소성로 외부에 위치하므로 열변형이나 수명 감소의 문제가 없게된다.
이에따라 본 고안은 칼라 브라운관의 제조능률과 품질 향상에 큰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섀도우 마스크를 소성하는 소성장치에 있어서, 하벽(10)이 하부 중앙을 향해 경사져서 그 중앙에 외기가 통하는 슬리트(9)가 형성된 소성로(F)와 ; 상기 소성로(F)의 슬리트(9)상에 위치하는 차단판(2)과, 상기 차단판(2)상에 설치되어 상기 섀도우마스크(S)가 복수로 적재되는 케이지부(3)와, 상기 차단판(2)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소성로(F)의 슬리트(9)를 통해 상기 소성로(F)의 외부로 연장되어 구동력이 인가되는 지지구동부(4)를 구비하여 상기 소성로(F)내를 통과하는 마스크캐리지(1)를 ;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 마스크 소성장치.
KR92026672U 1992-12-28 1992-12-28 섀도우 마스크 소성장치 KR950003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6672U KR950003469Y1 (ko) 1992-12-28 1992-12-28 섀도우 마스크 소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6672U KR950003469Y1 (ko) 1992-12-28 1992-12-28 섀도우 마스크 소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526U KR940017526U (ko) 1994-07-28
KR950003469Y1 true KR950003469Y1 (ko) 1995-05-02

Family

ID=1934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6672U KR950003469Y1 (ko) 1992-12-28 1992-12-28 섀도우 마스크 소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4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526U (ko) 199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0191B9 (en) Reflow oven
CN100519369C (zh) 步进式热处理装置
KR950003469Y1 (ko) 섀도우 마스크 소성장치
DE4020883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bildroehre
KR960001328B1 (ko) 음극선관용 컬러 선택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US2948949A (en) Method of firing ceramic tubes suspended in a shaft oven
US4493668A (en) Method for combined baking-out and panel-sealing of a partially-assembled CRT
US3468005A (en) Process for improving mask-screen registration in cathode ray tubes
US2754628A (en) Heat-treating frangible glass articles
US2956373A (en) Glass bulb fabrication
KR900008197B1 (ko) 음극선관의 봉지방법
KR970001587B1 (ko) 색 선택 전극을 구비한 색 표시 튜브
JP2005114284A (ja) 焼成炉
US4723979A (en) Apparatus for removing a cullet of a cathode-ray tube
SU1076724A1 (ru) Методическа электропечь дл химико-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KR970011490B1 (ko) 칼라 브라운관의 열처리 방법 및 장치
US3737065A (en) Envelope for, and method of processing, a color cathode-ray tube
US4793845A (en) Method for removing a cullet of a cathode-ray tube
GB20975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electron gun assembly having selfindexing insulating support rods
KR0136747Y1 (ko) 칼라 음극선관의 소성장치
KR0131936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42068B1 (ko) 칼라 음극선관의 마스크 프레임
US3240977A (en) Electron tubes
KR0156499B1 (ko) 칼라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SU1238394A1 (ru) Устройство горизонтальной подачи заготовки дл установок рафинирующего перепла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