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460Y1 - 전자레인지의 중량감지회로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중량감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460Y1
KR950003460Y1 KR2019890015611U KR890015611U KR950003460Y1 KR 950003460 Y1 KR950003460 Y1 KR 950003460Y1 KR 2019890015611 U KR2019890015611 U KR 2019890015611U KR 890015611 U KR890015611 U KR 890015611U KR 950003460 Y1 KR950003460 Y1 KR 950003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erminal
resistor
operational amplifi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5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90015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460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중량감지회로
제1도는 종래의 전자레인지 중량 감지 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전자레인지의 내부 간략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전자레인지 중량 감지 회로도.
제4도의 a도는 제2도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포트단자(P0) 출력 파형도, b도는 제2도의 센서 양단에 걸린 전압 파형도, c도는 제2도의 피크홀드회로의 출력 파형도, d도는 제2도의 연산증폭기(OP-A)의 출력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C : 마이크로 컴퓨터 OP-A,OP-B : 연산증폭기
R1-R3 : 저항 S1 : 센서
TR1,TR2 : 트랜지스터 D1 : 다이오드
C1 : 콘덴서 VR1 : 가변저항
Vcc : 전원단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턴테이블에 올려지는 용기 및 음식물의 중량을 정확히 감지하여 자동요리를 하는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전자레인지의 중량 감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반전단자(+)가 접지된 연산증폭기(OP-A)의 반전단자(-)는 센서(Sensor)(S1)를 통해 연산증폭기(OP-A)의 출력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저항(R1)을 통해 반전단자(-)가 접지된 연산증폭기(OP-B)의 비반전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연산증폭기(OP-B)의 비반전단자(+)는 저항(R2)을 통해 그의 출력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직렬 연결된 저항(R3)과 가변저항(VR1) 및 저항(R4)을 통해 접지되고, 가변저항(VR1)에는 저항(R5)이 연결되어 연산증폭기(OP-A)의 반전단자(-)로 연결되며, 상기 연산증폭기(OP-B)의 출력단은 다이오드(D1)를 통해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이의 콜렉터는 병렬 연결된 저항(R6)과 콘덴서(C1)를 통해 전원단(Vcc)에 연결됨과 동시에 마이크로 컴퓨터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전자레인지의 내부 구성도로써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3)내의 턴테이블(1) 하단에는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와 음식물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S1)가 내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레인지 중량 감지회로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턴테이블(1)에 올려지는 음식물의 중량에 따라 턴테이블(1)이 하강하면서 센서(S1)를 압박함으로써 센서(S1)의 용량이 변화된다. 즉 음식물의 중량이 무거우면 센서(S1)의 극판간의 거리가 가까와져 정전용량이 커지게 되고, 이 변화된 신호는 연산증폭기(OP-A)와 센서(S1) 및 가변저항(VR1)으로 구성된 적분회로에 의해 발진시킨 후 저항(R1)을 통해 연산증폭기(OP-B)의 비반전단자(+)에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연산증폭기(OP-B) 및 저항(R1)(R2)은 비반전 증폭기로 동작을 하여 발진을 계속 유지해 줌과 동시에 다이오드(D1)를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로 인가되고,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서는 저항(R6)과 콘덴서(C1)에 의해 구형파 펄스가 발생되어 이와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입력단으로 인가됨으로써 마이크로 컴퓨터는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서 발생된 구형파 펄스의 폭을 카운트해서 음식물의 중량을 감지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저항(R4)을 통해 연산증폭기(OP-B)의 반전단자(-)에 연결된 가변저항(VR1)에 의한 제로(Zero)세팅은 캐비티내의 용기가 고정된 관계로 인하여 일정한 무게의 용기만 감지하도록 구성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시정보완하기 위하여 음식물 또는 용기의 중량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출력된 임펄스 신호에 의해 센서 양단에 충전된 전압의 피크치가 연산증폭기를 통하게 되며 마이크로 컴퓨터에서는 이 전압의 피크치를 체크하여 디지탈로 용기 또는 음식물의 중량을 카운팅하도록 안출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전자레인지 중량감지 회로도로써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펄스 신호가 출력되는 마이크로 컴퓨터(MC)의 포트단자(P0)는 저항(R1)을 통해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이의 콜렉터는 가변저항(VR1)을 통해 전원단(Vcc)에 연결함과 아울러 센서(S1)를 통해 접지하고, 상기 센서(S1)의 일단과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는 공통 접속시켜 연산증폭기(OP-A)의 비반전단자(+)에 연결하고, 이의 출력은 다이오드(D1)를 통해 연산증폭기(OP-A)의 반전단자(-)로 피드백시킴과 동시에 콘덴서(C1)를 통해 접지 및 연산증폭기(OP-B)의 비반전단자(+)에 연결하고, 연산증폭기(OP-B)의 출력은 이의 반전단자(-)와 마이크로 컴퓨터(MC)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포트단자(AD1)에 연결하며, 마이크로 컴퓨터(MC)의 포트단자(P1)는 저항(R3)을 통해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연결하고, 이의 콜렉터는 저항(R2)으로 연산증폭기(OP-B)의 비반전단자(+)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도면 제3, 4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크로 컴퓨터(MC)의 포트단자(P0)에서는 제4도의 a도와 같이 폭이“t0”인 임펄스를 내보내게 된다.
만일 마이크로 컴퓨터(MC)의 포트단자(P0)에서 출력된 임펄스폭(t0)이 로우 (L) 신호일때는 저항(R1)과 연결된 트랜지스터(TR1)는 오프됨으로써 가변저항(VR1)을 통한 전원단(Vcc)의 전압은 센서(S1)의 양단에 제4도의 b도와 같이 충전이 된다. 이때 전자레인지의 턴테이블에 올려진 용기 및 음식물의 중량에 따라 턴테이블이 하강하면서 센서(S1)를 압박함으로써 센서(S1)의 정전용량이 변화된다. 즉, 음식물의 중량이 클때는 센서(S1)의 극판간의 거리가 가까와져 정전용량이 커지게 되고, 피크전압(V1)은 도면 제4도의 b도와 같이 나타나게 되며, 중량이 작을때는 센서(S1)의 극판간의 거리가 넓어져 정전용량이 작아지므로 전원단(Vcc)에서 흐르는 전류가 빨리 충전되면서 피크전압(V2)은 제4도의 b도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 센서(S1)의 양단에 걸린 피크전압(V1)(V2)은 피크 홀드(Park Hold)회로로 구성된 연산증폭기(OP-A)를 통해 증폭된 후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에 의해 제4도의 c도와 같이 피크전압(V1)(V2)으로 정류된 후 버퍼회로로 구성된 연산증폭기(OP-B)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MC)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포트단자(AD1)로 인가됨으로서 마이크로 컴퓨터(MC)는 이 신호를 디지탈로 카운팅하여 음식물 또는 용기의 중량을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제로(Zero) 세팅은 턴테이블 및 용기의 무게에 따라서 가변할 수 있도록 용기와 턴테이블만 올려놓고 마이크로 컴퓨터(MC)의 포트단자(P0)에서 임펄스폭(t0)을 변화시켜 제로발란스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맞출 수 있고, 또한 초기시작시에는 마이크로 컴퓨터(MC)의 포트단자(P1)에서 하이(H) 신호가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됨으로써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저항(R2)과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방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중량센서의 노후화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 및 용기고정, 턴테이블 무게 고정에 의해 일정한 용기만 감지하는 문제를 본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출력된 임펄스폭(t0)의 변화로 보상 가능하게 하여 어떠한 용기에서도 정확한 중량을 감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센서(S1)의 정전용량 변화에 따라 중량을 감지하는 전자레인지의 중량 감지회로에 있어서, 임펄스가 출력되는 마이크로 컴퓨터(MC)의 포트단자(P0)는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이의 콜렉터는 가변저항(VR1)을 통해 전원단(Vcc)에 연결함과 아울러 일단이 접지된 센서(S1)의 타단과 연산증폭기(OP-A)의 비반전단자(+)에 연결하고 이의 출력은 다이오드(D1)를 통해 반전단자(-)에 피드백시킴과 함께 콘덴서(C1)를 통해 접지 및 연산증폭기(OP-B)의 비반전단자(+)에 연결하고, 연산증폭기(OP-B)의 출력은 이의 반전단자(-)와 마이크로 컴퓨터(MC)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화 포트단자(AD1)에 연결하고, 포트단자(P0)는 저항(R3)을 통해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이의 콜렉터는 저항(R2)을 통해 연산증폭기(OP-B)의 비반전단자(+)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레인지의 중량 감지회로.
KR2019890015611U 1989-10-26 1989-10-26 전자레인지의 중량감지회로 KR950003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5611U KR950003460Y1 (ko) 1989-10-26 1989-10-26 전자레인지의 중량감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5611U KR950003460Y1 (ko) 1989-10-26 1989-10-26 전자레인지의 중량감지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460Y1 true KR950003460Y1 (ko) 1995-05-02

Family

ID=1929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5611U KR950003460Y1 (ko) 1989-10-26 1989-10-26 전자레인지의 중량감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4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5429A (en) Inductance divider sensor
GB2064136A (en) Capacitive level sensing device
US4188586A (en) Demodulator circuit for chopper amplifier
US4563634A (en) Measuring and linearizing circuit device for a capacitive primary element
KR960004926B1 (ko) 유도성 픽업용 펄스 성형기
JPH0351376U (ko)
KR950003460Y1 (ko) 전자레인지의 중량감지회로
US6184695B1 (en) Diagnostic circuit for potentiometric sensors
US4310794A (en) Capacitive probe detection systems
US3844168A (en) Torque measuring apparatus
KR900004740B1 (ko) 주파수 판정회로
US4305008A (en) Rectifiers
KR930006544Y1 (ko) Fm 복조회로
JPH06258127A (ja) 静電容量式レベル計
KR870002366Y1 (ko) 전자렌지의 온도 요리용 제어장치
JPH0241954Y2 (ko)
KR900002156Y1 (ko) 전자조리기의 구동 제어회로
KR890003624Y1 (ko) 전자렌지의 요리 제어장치
JPS5841505Y2 (ja) 磁気センサに用いる検波器
KR930006677Y1 (ko) 중량 검출회로
KR910004578Y1 (ko) 전기 보온 밥솥용 온도 검출회로
JPS6352067A (ja) 回転計
KR0113182Y1 (ko) 전자레인지의 중량감지장치
KR870002925Y1 (ko) 110v/220v겸용 자동전력 제어회로
KR0126672B1 (ko) 전자레인지의 중량센서 오차 보정회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5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