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429Y1 - 전선 접속기 - Google Patents

전선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429Y1
KR950003429Y1 KR92015496U KR920015496U KR950003429Y1 KR 950003429 Y1 KR950003429 Y1 KR 950003429Y1 KR 92015496 U KR92015496 U KR 92015496U KR 920015496 U KR920015496 U KR 920015496U KR 950003429 Y1 KR950003429 Y1 KR 950003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terminal block
piece
bas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5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510U (ko
Inventor
유석근
Original Assignee
유석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석근 filed Critical 유석근
Priority to KR92015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429Y1/ko
Publication of KR9400065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5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4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선 접속기
제1도는 본 고안을 적용한 터미널대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적용한 터미널대의 조립상태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중 압접대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압접대와 전선의 단자편의 타실시예에 대한 일실시예.
제5도는 본 고안의 레버손잡이 길이를 짧게 한 상태의 일실시예.
제6도는 본 고안의 레버와 베이스대의 일실시예.
제7도는 본 고안의 베이스대에 대한 고정편의 실시예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베이스대를 횡렬연결하는 상태도.
제9도는 종래의 터미널에 대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대 2 : 격실
2a : 단자대홈 3 : 격벽
4 : 힌지핀공 5 : 단자대
6 : 압접대 6a : 평탄면
6b : 탄력편 8 : 레버
8a : 만곡면 8b : 캠홈
9 : 손잡이 10 : 전선
11 : 단자편 12 : 힌지핀
13,13′ : 보조레버
본 고안은 전원공급단자와 전원분배단자 등을 터미널대에 용이하게 고정 분리하기위한 전선 접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자와 단자의 접속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인 알려진 전선 접속기는 제9도에 도시한 구성과 같이, 양측으로 스크류공(104)이 각각 뚫린 단자대(103)를 부도전체인 베이스대(101)에 형성된 각격실(102)에 설치한 구성을 갖추고, 격실(102)의 트여진 개구를 통해 전선(105)의 선단에 고정한 단자편(106)을 단자대(103)의 상면에 얹어 놓고 단자편(106)의 통공으로 통상의 스크류(107)를 조여 단자편(106)과 단자대(103)를 연결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전선 접속기는 스크류(107)의 조임상태에 따라서 전선의 접속과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데 스크류를 완전히 조이지 않으면, 전선의 접속상태가 불량하고 고정상태도 안정되지 않은 것이어서, 스크류를 항상 완전히 조는 여부에 따라 그 접속상태가 결정되고, 특히 스크류를 조이는 데 많은 번거로움과 작업시간이 지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전선 접속기는 전선의 교체, 분리를 위해서 스크류(107)를 단자내(103)에서 완전히 풀러내고 전선의 단자편(106)에서 빼내어야만 소정의 작업이 가능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베이스대(101)에는 10~20개의 스크류가 채워져 이어서 이를 스크류를 조이고 풀러내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던 것이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본 공개실용신안 공보 평2-56353호에 개재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이 가능한 연결대를 캠레버로 조이거나 이완시키는 것에 의해 양측의 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접속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 레버식 접속기는 전기한 스크류조임식의 접속기에 비하여 작업시간면에서 단월등이 우수한 이점이 있기는 하였다.
그러나, 이는 탄성 연결편을 조이기 위한 캠의 구조가 날카로워 손상되기 쉽고 동작이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축을 중심으로 위치전환되어 연결편을 조이게 하는 레버의 캠 형상이 매우 예리한 단면을 가지고 있게 되어, 그 날카로운 캠면이 연결편에 접한 상태에서 위치 이동될 때 연결편과 접하며 슬라이딩되는 접촉면 내지는 캠면이 쉽게 마모되어 훼손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단시간의 사용으로도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예리한 캠면과 연결편이 접하며 슬라이딩되는 상태가 원활하지 못하여 많은 동작에 저항을 가지게 되어, 작업시 순간적으로 많은 힘을 가해야 하는 단점도 있었다.
그리고, 가장 큰 단점은 연결편을 조이는 캠면의 접촉상태가 선접촉(線接觸)상태이므로 도선을 밀착하는 것이 취약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조임력이 되어 전기접속상태가 불량하게 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취급이 용이하고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전기접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그 전기 접속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기접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도전체로 격벽(3)에 의해 그 양측으로 격실(3)들이 복수로 배열되는 베이스대(1)와 ; 상기 양측의 각 격실(2) 사이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단자대(5)와 ; 이 단자대(5)에 고정되어, 각 격실(2)의 위치로 양측에 탄력편(6b)이 자유상태에서 들어지도록 설치되는 압접대(6)와 ; 상기 베이스대(1)의 각 격실(2)에 힌지핀(12)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힌지핀(12)을 축으로 회동될 때 도선의 단자대(5) 위치로 캠홈(8b)이 탄력편(6b)을 밀착하여 강제 압착시키는 레버(8)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에 있어서 ; 상기 레버(8)의 캠홈(8b)은 탄력편(6b)의 형상과 상응하는 반원형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터미널본체(100)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다.
즉, 부도전체로 성형하는 베이스대(1)의 격실(2)에 조립시킨 단자대(5)와 전선(10)의 선단에 고정한 단자편(11)을 접속 또는 분리시키는 터미널본체(100)를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대(1)에 형성하는 격실(2)의 바닥에는 단자대홈(2a)을 파내고, 격벽(3)의 소정위치에는 힌지핀공(4)을 뚫어 형성한다.
상기 단자대홈(2a)에 삽입되는 단자대(5)에는 평탄면(6a)을 중심으로 양측을 경사지게 절곡하여 끝단을 원호지게 구부려 탄력편(6b)을 일체로 형성한 압접대(6)를 연결 고정한다.
상기 단자대(5)와 압접대(6)의 연결은 압접대(6)의 중앙과 단자대(5)의 중앙에 구멍을 뚫어 이에 통상의 리벳(7)을 이용해 결합시키거나, 또는 용접에 의해 연결시켜도 무방하다.
그리고 베이스대(1)의 격벽(3)에 뚫은 힌지핀공(4)으로 힌지핀(12)을 삽입함과 동시에, 격실(2)에는 레버(8)를 삽입시켜 힌지핀(12)이 레버(8)의 핀공(8c)을 관통하게 한다.
상기 격실(2)에 삽입되는 레버(8)는 선단에 만곡면(8a)을 형성하고 만곡면(8a)에 이어지게 캠홈(8b)을 파고, 후단으로는 손잡이(9)를 연장 성형한다.
그리고, 레버의 선단 만곡면(8a)에는 핀공(8c)을 뚫는데 만곡면 중심에 대해 편차진 위치에 뚫어, 캠홈(8b)이 힌지핀(12)으로 부터 편심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레버(8)가 격실(2)을 지나는 힌지핀(12)에 설치되면, 핀공(8c)을 지나는 힌지핀(12)을 지점으로 하여 레버(8)는 지점회전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레버(8)를 인위적으로 회동시킬 때 캠홈(8b)이 회전되며 압접대(6)의 탄력편(6b)과 접한 상태에서 단자대(5)의 상부 표면에 강제 접촉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전선(10)의 선단에 고정된 단자편(11)을 베이스대(1)의 격실(2)측으로 이동시켜 압접대(6)와 단자대(5)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단자편(11)을 삽입하고 베이스대(1)상부에 노출된 레버(8)의 손잡이(9)를 잡아 하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8)의 캠홈(8b)이 압접대(6)의 탄력편(6b)을 곡선 변위량으로 누르게 되어 탄력편(6b)의 선단이 단자편(11)을 눌러 단자대(5)와 압접대(6)에 접속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수직한 레버(8)의 손잡이(9)가 압접대(6)의 탄력편(6b)을 누르면서 수평한 상태에서 이르게 되면 레버(8)의 캠홈(8b)이 압접대의 탄력편(6b) 상부에 이르게 되는데, 캠홈(8b)과 탄력편(6b)이 상호 일치되는 형상, 즉 탄력편(6b)과 상응하는 곡면으로 반원형의 형상으로 된 캠면이 슬라이딩되며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캠홈(8b)과 탄력편(6b)이 각각 동일한 반경의 반원형으로 면밀착되는 것에 의해 레버(8)가 위치이동될 때 그 접촉면에서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전선(10)의 단자편(11)을 조이는 마지막 위치에서는 호형을 갖는 탄력편(6b)의 끝단을 다소 더욱 조이며, 강력한 압착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단자편(11)을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걸림 상태는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대(5)와 압접대(6) 사이의 공간에서 단자편(11)을 두개로 겹친 두께까지 눌러 고정함이 가능하다. 압접대(6)의 탄력편(6b)이 눌려질 때의 탄력으로 단자대(5)에 고정되면 탄력편(6b)의 선단 모서리가 단자편(11)의 표면을 누르는 작용을 이루는 것이어서, 단자편(11)에 이어진 전선(10)이 외부힘으로 당겨지도록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그러나, 단자편(11)이 압접대(6)와 단자대(5)사이에서의 빠짐을 확실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자편(11)의 표면에 요철(11a)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전선의 단자편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면 탄력편이 압착될 때, 요철면에 탄력편선단이 걸리어 전선의 빠짐 형상은 제거된다. 전선(10)의 단자편(11)을 레버(8)조작으로 단자대(5)에 압착고정한 후, 단자편(11)을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수평하게 놓여있는 레버(8)를 수직방향으로 세우면 캠홈(8b)이 탄력편(6b)에서 벗어나고, 만곡면(8a)과 탄력편(6b)과의 접촉이 점점 벌어져, 단자편(11)을 압착하던 압착력이 제거된다.
힌지핀을 기점으로 회전이동하는 레버(8)가 베이스대(1)의 격실(2)에서 수평한 위치에 놓일 때 탄력편과 단자대 사이에 압착력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레버의 손잡이(9)가 베이스대(1)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외부물체의 접촉시 수직으로 세워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손잡이(9) 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측면으로의 돌출길이를 최대한 짧게 형성하는 것이 좋은 데, 이 경우 베이스대(1)의 외면으로 레버의 일측단이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즉 베이스외면과 동일한 형상의 외면을 갖도록 형성하고, 레버의 손잡이(13)를 대신하여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버(8)의 외면적당한 곳에 핀공(9a)을 파내어, 이 레버(8)의 핀공(9a)에 끼워지는 핀봉(14′)을 선단에 구비한 보조레버(13′)를 별도로 준비할 수 있다.
그리고, 레버(8)의 손잡이(9)가 짧아 손으로 취부하기 곤란한 경우를 대비하여 손잡이(9)에 끼울 수 있는 손잡이홈(14)이 파여지는 보조레버(13)를 별도로 구비토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레버(13)를 항시 베이스대(1)에 구비하기 위해서 연결부재(15)로 베이스대(1)에 연결토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보조레버(8)의 손잡이(9)에 보조레버(13)(13′)를 근접시키고, 보조레버(13)선단의 레버홀(14)이나 핀봉(14a)을 짧은손잡이(9) 또는 레버(8)의 핀공(9a)에 결합시켜주면 보조레버(8)의 길이가 연장되어서, 적은 힘으로도 레버(8)의 취급이 가능해져 전선의 단자편(11) 착탈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베이스대(1) 측면으로 손잡이의 돌출길이가 짧거나 돌출되지 않아 외부물체와의 접촉이 되어도 레버(8)가 수직하게 세워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접속편의 결합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대(1)를 소정의 장소에 설치함에 있어, 통상적으로 베이스대 양측격벽하단에 돌출시킨 고정편(1a)으로 체결요소를 끼워 고정하지만, 하나이상의 터미널본체(100)를 고정할 때에는 고정하고자하는 베이스대의 양측격벽면을 면접촉시키는 상태에서 격벽면에서 돌출된 고정편(1a)이 격벽면하단의 고정홈(1b)에 삽입하여 연결하고, 결합되지 않은 양측격벽의 고정편(1a)에 체결요소를 끼워 고정하면 횡렬방식으로 베이스대(1)가 연결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터미널대의 단자대에 압접대를 설치하고 압접대의 탄력편을 만곡면의 핀공에 의해 캠곡선으로 접촉압축되게 하고 만곡면에 이어서 압접대의 압접유지용 캠홈을 구성하여 레버를 베이스대에서 수직, 또는 수평위치에 놓이도록 함에 따라서 전선의 단자편을 고정 및 고정 해제를 신속하고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전선단자편의 고정후에는 레버의 인위적인 조작에 의하지 않고서는 고정의 해제가 안되는 안정적인 고정을 이루는 이점이 있어, 전선의 단자편에 대한 교체 및 수리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작업후에는 안전도가 높은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조임상태에서 그 단부를 더욱 조여지게 하여 보다 안전하게 전선을 접속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급이 적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보다 완전한 전기 접속이 이루어져 제품에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부도전체로 격벽(3)에 의해 그 양측으로 격실(3)들이 복수로 배열되는 베이스대(1)와 ; 상기 양측의 각 격실(2) 사이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단자대(5)와 ; 이 단자대(5)에 고정되어, 각 격실(2)의 위치로 양측에 탄력편(6b)이 자유상태에서 들어지도록 설치되는 압접대(6)와 ; 상기 베이스대(1)의 각 격실(2)에 힌지핀(12)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힌지핀(12)을 축으로 회동될 때 도선의 단자대(5) 위치로 캠홈(8b)이 탄력편(6b)을 밀착하여 강제 압착시키는 레버(8)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에 있어서 ; 상기 레버(8)의 캠홈(8b)은 탄력편(6b)의 형상과 상응하는 반원형의 형상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대(1)의 격실(2)에 단자대(5)가 위치되는 바닥에는 단자대(5)와 상응하는 형상의 단자대홈(2a)을 파내어 단자대(5)가 안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대(1)에는 길이 방향의 양단에 체결요소가 끼워지는 고정편(1a)과, 횡렬배치되는 또 하나의 베이스대(1)의 고정편(1a)이 끼워지는 고정홈(1b)을 상호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8)에는 핀공(9a)을 파내여, 이 레버(8)의 핀공(9a)에 끼워지는 핀봉(14′)이 돌출된 보조레버(13′)로 회동 조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접속기.
KR92015496U 1992-08-18 1992-08-18 전선 접속기 KR950003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496U KR950003429Y1 (ko) 1992-08-18 1992-08-18 전선 접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5496U KR950003429Y1 (ko) 1992-08-18 1992-08-18 전선 접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510U KR940006510U (ko) 1994-03-25
KR950003429Y1 true KR950003429Y1 (ko) 1995-04-28

Family

ID=1933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5496U KR950003429Y1 (ko) 1992-08-18 1992-08-18 전선 접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42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7935A1 (en) * 2002-09-23 2004-04-01 Young-Sun Won Coupling terminal of electric wire or telephone line
KR100976533B1 (ko) * 2008-03-05 2010-08-17 (주) 동원엔지니어링 전기 케이블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115B1 (ko) * 2000-06-30 2003-01-29 홍희기 열전대 결선용 단자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7935A1 (en) * 2002-09-23 2004-04-01 Young-Sun Won Coupling terminal of electric wire or telephone line
KR100976533B1 (ko) * 2008-03-05 2010-08-17 (주) 동원엔지니어링 전기 케이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510U (ko) 199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5876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overlapped conductors
AU2023200390B2 (en) Battery clamp device
CA2176446C (en) Electrical cord clamp
US5213516A (en) Attachment plug
US20030013341A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US6143980A (en) Cable clamp
US3191139A (en) Tap connector and setscrew therefor
US6322388B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50061581A (ko) 편평 가요성 케이블용 커넥터
US4815991A (en) Electrical connector
KR950003429Y1 (ko) 전선 접속기
US5588870A (en) Electrical cord clamp
US4307504A (en) Metal clamp applicator
US6168479B1 (en) Connection device with an elastic cage
US6099338A (en) Securing means for blades of electrical plug
CA2655187C (en) Conductor connection
US5338222A (en) Clamping assembly for electrical cables
CA2054876C (en) Attachment plug
US4429944A (en) Battery post clamp
WO2000065694A1 (en) Electrical connector
US4486065A (en) Strain-relief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5718601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228851B2 (ja) 端子装置
AU2006241314C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wer socket
CN219040998U (zh) 免工具接线端子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