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380Y1 - 마우스 키이보드의 압력 센서 접점 - Google Patents

마우스 키이보드의 압력 센서 접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380Y1
KR950003380Y1 KR2019930002256U KR930002256U KR950003380Y1 KR 950003380 Y1 KR950003380 Y1 KR 950003380Y1 KR 2019930002256 U KR2019930002256 U KR 2019930002256U KR 930002256 U KR930002256 U KR 930002256U KR 950003380 Y1 KR950003380 Y1 KR 950003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use
pressure sensor
conductive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2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156U (ko
Inventor
이근석
Original Assignee
세진전자 주식회사
이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진전자 주식회사, 이상영 filed Critical 세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2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380Y1/ko
Publication of KR940021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1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3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우스 키이보드의 압력 센서 접점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접점 쉬이트 3 : 면접점
4 : 마름모꼴 또는 벌집 형태의 접점
본 고안은 컴퓨터 마우스 키이보드에 있어서, 키이탑 하부에 형성된 압력 센서의 2층 구조중 한쪽 필름에는 도전성 또는 반도전성 잉크를 이용하여 스크린 인쇄방법으로 3가지-6각형의 형태를 갖는 집합 형태로 적층 형성시키고, 상대 필름에도 도전성 또는 반도전성 잉크를 평면 구조의 고저항 접점으로 적층 형성하여 상하의 두 접점이 접촉할때 압력의 변화에 따라 접촉 면적이 변화하며, 이에 따라 저항값이 비례적으로 변화하게 되어 마우스 키이 동작의 확실성과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한 마우스 키이보드의 압력센서 접점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감압센서의 재료로는 주로 고무재질과 합성수지 재질이 사용되고 있으며, 양자간에 서로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고무재질은 두께의 한계가 있고 따라서 사용 밤위도 제한적이다.
반면, 합성수지 재질은 재질의 선택에 어려움이 따른다. 가압 센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합성수지 재질의 탄력성 문제를 검토하게 되는바, 탄력성이 양호한 합성수지 필름을 선택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합성수지 재질이 바이클(vichle)로 이용되고, 기능 유지를 위해서 합성수지 재질에 반도체 계열의 금속성 산화물 또는 황하물등 이용되고 있으며, 도전성 또는 반도전성 재질의 선정에 있어서는 산화의 진행 정도 비중이 큼으로 인한 침전, 용제와 접착제등과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또한, 합성수지 재질과 충전제인 도전성 또는 반도전성 물질의 혼합분산 공정에 어려움이 많다.
또한, 감압 센서로의 기능을 갖기 위하여 혼합공정 및 분산공정에 따라 감압 센서로의 기능이 좌우되므로 실제적인 제조공정에 있어서, 노우하우가 되며, 제조사마다 독특한 방법으로 제조하고 있는 실정이며, 제조공정 뿐 아니라 제작 공정 디자인(Design)의 어려움과 함께 제조공정에도 여러가지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 많다.
또한, 접점의 구조에 있어서도 종래에는 감압 센서의 기능을 위하여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를 이용한 그리드(grid)회로와 반도체 물질을 이용한 압력 센서기능부로 구분 형성되어 있으나, 반도체 물질은 아주 높은 저항을 갖고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회로 구성에 있어서 그라운드(ground) 기능을 갖을 수 없어 실버페이스트를 이용하여 만든 그리드 회로에 회로를 형성하고 있으나, 인쇄중 회로의 단락의 우려가 있고, 불량품이 많이 생기며 생산 능률이 높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마우스 키이보드의 감압센서기구에 있어서, 상하 같은 재질의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하고 상하 필름의 접촉시의 압력에 대하여 변화하는 저항값의 변화폭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쉬이트의 접촉 순간의 구조를 면접촉 또는 선접촉에 의한 기능이므로 접촉면을 최대한으로 하기 위하여 한쪽의 접점은 도전성 또는 반도전성 물질로 평면구조 접점으로 적층 형성하고, 상대의 접점은 3각-6각형의 형태 구조를 갖는 집합 구조로 적층 형성함으로써 접촉 면적의 증가에 의하여 압력 센서의 저항값을 압력과 비례적으로 큰 폭으로 변화되게 하여서 마우스 키이보드의 동작의 확실성과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접점의 필름의 공지된 내구성에 의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구성과 탄력성이 양호한 공지한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으로 상하 접점 쉬이트(1)(2)를 형성하고, 일측 접점 쉬이트(1)의 하면에는 도전성 또는 반도전성 잉크로서 평면성의 접점(3)을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여 적층 형성하고, 상대의 접점쉬이트(2)에는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여 3각-6각형 구조를 이용한 집합 형태로 접점(4)을 적층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 5′는 리이드선, 6은 베이스, 7은 마우스키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통상의 컴퓨터의 마우스 키이보드에 상하 접점 필름(1)(2)을 접촉되게 설치하되, 비압력 상태로 설치하여 마우스 키이(7)에 형성된 전후 4개의 돌출된 베이스(6)에 의하여 각각 압력센서의 저항값을 도출하는 것으로 질기고 탄력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으로 상하의 접점 쉬이트(1)(2)를 형성하여 한쪽이 접점 쉬이트(1)에는 도전성 또는 반도전성 잉크로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여 평면적인 접점(3)으로 형성하고, 상대의 접점 쉬이트(2)에는 같은 재질로서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여 3각-6각형의 구조를 갖는 집합 구조의 접점(4)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마우스키(7)를 어느 방향으로 밀어 어느 한쪽의 베이스(7)가 상하 접점쉬이트(1)(2)가 접촉되게 압력을 가하였을때 면접점(3)과 3각-6각형 구조의 접점(4)과의 접촉이 면접촉으로 접촉면이 크게 되어 그만큼 저항값이 압력과 비례적으로 변화하고 변화된 구분이 확실하여 감압 센서값의 취득이 분명하고, 키이보드의 동작이 확실하며 신뢰성이 그 만큼 향상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부족한 부분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프로그램으로 보충할 수 있고, 또 종래의 그리드회로에 비하여 접점의 인쇄시에 선의 단락의 우려가 없이 보다 능률적으로 용이하게 접점 쉬이트에 감압 센서의 접점을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마우스 키이보드의 감압 센서에 있어서, 질기고 탄력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접점 쉬이트(1)(2)를 형성하여 한쪽 접점 쉬이트(1)에는 도전성 또는 반도전성 잉크로 평면성의 접점(3)을 적층 형성하고, 상대의 접점쉬이트(2)에는 도전성 또는 반도전성 잉크로 3각-6각형을 이용한 벌집 모양의 집단형태의 접점(4)으로 적층 형성하여서 된 마우스 키이보드의 압력 센서 접점.
KR2019930002256U 1993-02-19 1993-02-19 마우스 키이보드의 압력 센서 접점 KR950003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256U KR950003380Y1 (ko) 1993-02-19 1993-02-19 마우스 키이보드의 압력 센서 접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256U KR950003380Y1 (ko) 1993-02-19 1993-02-19 마우스 키이보드의 압력 센서 접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156U KR940021156U (ko) 1994-09-24
KR950003380Y1 true KR950003380Y1 (ko) 1995-04-27

Family

ID=1935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2256U KR950003380Y1 (ko) 1993-02-19 1993-02-19 마우스 키이보드의 압력 센서 접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3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156U (ko) 199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9930B1 (en) Dispersion-type electroluminescence element
US6626046B2 (en) Pressure-sensitive resistor sensor having electrodes with reduced contact resistance deviation
US8184106B2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KR100469037B1 (ko) El 시트 및 이를 사용한 스위치
US4440990A (en) Membrane keyboard assembly
US6392178B1 (en) Membrane switch having layers containing rigid resin in contact parts
US4994634A (en) Sheet switch
KR950003380Y1 (ko) 마우스 키이보드의 압력 센서 접점
KR0119540Y1 (ko) 감압저항 가변형 압력센서
JP2000348564A (ja) 感圧装置
US5660269A (en) Switch
CA2227259C (en) Force sensors with segmental electrodes
US20080101839A1 (en) Keyboard and Method for Producing a Keyboard
JPS60160432A (ja) 透明タツチ入力パネル
JP2023098376A (ja) 感圧センサ
JP2021143849A (ja) 触覚センサ
JPS60737B2 (ja) スイツチ接点ゴムシ−トの製造方法
JP2578981Y2 (ja) シート状スイッチ
DE102021127680A1 (de) Sensormaterial
JPS635076Y2 (ko)
JP3002146U (ja) シート状スイッチ
JP2022076057A (ja) 応力センサ
JP2024061379A (ja) 感圧センサ
JPS6330099Y2 (ko)
JP2023098377A (ja) 感圧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