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022Y1 -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022Y1
KR950003022Y1 KR92023064U KR920023064U KR950003022Y1 KR 950003022 Y1 KR950003022 Y1 KR 950003022Y1 KR 92023064 U KR92023064 U KR 92023064U KR 920023064 U KR920023064 U KR 920023064U KR 950003022 Y1 KR950003022 Y1 KR 950003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unit
rectifying
circuit
puls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3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779U (ko
Inventor
이영주
Original Assignee
황선두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두,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선두
Priority to KR92023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022Y1/ko
Publication of KR9400137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7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0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6Means for providing current step on switching, e.g. with saturable rea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위치부 15 : 아웃렛
20 : 모니터 회로부 30 : 정류 평활 회로부
35 : 정류부 40 : 펄스폭 변조 집적회로
50 : 다이리스터 등가회로 T1 : 트랜스포머
R1~R8 : 저항 C1~C7 : 콘덴서
Q2,Q3 : 트랜지스터 Q1 : 스위칭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BD : 브리지 다이오드 D1,D2 : 다이오드
이 고안은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퍼스널 컴퓨터용 전원장치로 모니터의 전원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전원을 온시킨후 오프했을때 정류 평활 회로부의 콘덴서에서의 방전을 차단하는 또 다른 콘덴서를 사용함으로써 다시 순간적으로 온했을때 전원장치가 동작하도록 한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모니터의 전원을 함께 사용하는 퍼스널 컴퓨터의 전원 장치이다.
스위치부(10)가 온되면 전압은 모니터 회로부(20)에 인가되고, 정류부(35)의 다이오드(D1), 저항(R2), 저항(R4), 다이오드(D4)를 거쳐 펄스폭 변조 집적회로(Pulse Width Modulation IC : 이하 RWM IC라 약칭한다)(40)에 공급된다.
전압을 공급 받은 PWM IC(40) 스위칭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Q1)를 동작시키고, 일단 동작되면 펄스폭 변조 집적회로(40)의 기존 전압(Vref)은 다이리스터 등가 회로(50)에 공급된다.
다이리스터 등가회로(50)의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전압이 공급되어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고, 트랜지스터(Q2)도 턴온되어 접지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정류부(35)와 다이리스터 등가회로(50) 사이의 접점(D)에서는 전위가 0이 된다.
PWM IC(40)는 트랜스포머(T1)로부터 전압을 공급 받아 스위칭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를 계속 동작시킨다.
이때 스위치부(10)를 오프하면 정류 평활 회로부(30)의 콘덴서(C2)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노드(A)와, 모니터 회로부(20)의 저항(R1)과, 노드(B)를 통해 정류부(35)의 다이오드(D1)를 도통시키므로 폐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정류부(35)를 통과한 전압은 PWM IC(40)를 구동할 수 없을 정도의 아주 적은 전압이다. 그러므로 접점(D)의 전위는 적은 전압이지만 전압을 가지게 된다.
정류 평활 회로부(30)의 콘덴서(C2)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다 방전되기 전에 스위치를 온하면, 이미 폐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순간적인 시간차에 의해 전원 공급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정류 평활회로의 콘덴서로부터 방전되는 에너지를 차단하는 콘덴서를 사용함으로써 오프한후 다시 순간적으로 온시켜도 전원장치가 동작하도록한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교류 전원 입력단에 연결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에 연결된 아웃렛을 통하여 연결된 모니터 회로부와, 상기 아웃렛의 접점에 연결되고 교류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하는 정류 평활 회로부와, 상기 아웃렛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하는 정류 평활 회로부와, 상기 아웃렛과 정류 평활 회로부 사이에 다이오드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펄스 폭 변조 집적회로와, 상기 펄스폭 변조 집적회로의 기준전압을 받아 구동되는 다이리스터 등가회로와, 상기 펄스폭 변조 집적회로에 연결되는 스위칭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와, 상기 펄스폭 변조 집접회로의 전원 공급단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고 펄스폭 변조 집적회로의 접지에 타측 단자가 연결되는 트랜스포머로 구성된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과 정류 평활 회로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정류 평활 회로부의 콘덴서에서 방출되는 전압을 차단하는 콘덴서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장치에 있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 입력단에 연결된 스위치부(10)는 제1, 2스위치(SW1, SW2)를 구비하고, 스위치부(10)에 연결된 아웃렛(15)은 모니터 회로부(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되어 있고, 아웃렛(15)에 연결된 정류 평활회로부(30)는 브리지 다이오드(BD)와 콘덴서(C1, C2)와 저항(R5, R6)을 구비하며, 아웃렛(15)이 노드(A)와 정류 평활회로부(30) 사이의 접점(C)에는 방전되는 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콘덴서(C7)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콘덴서(C7)에 연결된 정류부(35)는 다이오드(D2, D3)와 콘덴서(C3)와 저항(R2, R4)을 구비하고, 상기 정류부(35)에 연결된 다이오드(D4)를 거쳐 PWM IC(40)가 연결된다. 상기 PWM IC(40)에는 스위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Q3)를 구동하고, 트랜스포머(T1)의 일측단자가 PWM IC(40)의 전원 공급(Vcc)에 연결되며 PWM IC(40)의 기준 전압단(Vref)에는 두개의 트랜지스터(Q1), (Q2)를 구비한 다이리스터 등가회로(50)가 연결된다. 상기 다이리스터 등가회로(50)는 접점(D)과 다이오드(D4)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이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PWM IC(40)를 구동시키고 PWM IC(40)는 스위칭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를 동작시킨다. 일단 동작되면 PWM IC의 기준 전압이 다이리스터 등가 회로(50)의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공급되어 턴온되고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전압이 공급되어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켜 정류부(35)와 다이리스터 등가회로(50)가 연결된 접점(D)사이의 전위가 0이 된다.
그리고 펄스폭 변조 집적회로(40)은 트랜스포머(T1)에 의해 전압이 공급되어 스위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를 계속 동작시킨다.
다음 스위치부(10)를 오프하면 정류 평활 회로부(30)의 콘덴서(C2)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노드(A), 모니터 회로부(20)의 저항(R1), 노드(B)를 통해 흐르다가 직류 성분을 블럭킹하는 특성을 가진 다음단의 콘덴서(C7)에 의해 차단된다.
다시 스위치부(10)를 순간적으로 온시켜도 전원 공급 장치가 초기상태와 같이 리셋 상태이므로 전원 장치가 동작한다.
상기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하면, 스위치를 온, 오프, 온할때 처음 온시킨 후에 오프하면 정류 평활 회로부의 콘덴서에서의 전압 방전으로 모니터 회로부의 저항을 통해 폐회로가 형성되는데 이때 또다시 콘덴서를 사용함으로써 콘덴서의 방전을 차단하게 되어 다이리스터 등가회로가 리셋 상태이므로 다시 온시켰을때 전원 장치가 정상 동작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온-오프-온했을 경우에도 정상으로 전원 공급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교류 전원 입력단에 연결되는 스위치부(10)와, 상기 스위치(10)에 연결된 아웃렛(15)을 통하여 연결된 모니터 회로부(20)와, 상기 아웃렛(15)의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부(10)를 통하여 입력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하는 정류 평활 회로부(30)와, 상기 아웃렛(15)과 정류 평활 회로부(30) 사이에 연결되는 정류부(35)와, 상기 정류부(35)에 다이오드(D4)와, 상기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부(10)를 통하여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펄스폭 변조 집적회로(40)와, 상기 펄스폭 변조 집적회로(40)의 기준 전압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다이리스터 등가회로(50)와, 상기 펄스폭 변조 집적회로(40)에 연결되는 스위칭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펄스폭 변조 집적회로(40)의 전원 공급단(Vcc)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고 펄스폭 변조 집적회로(40)의 접지에 타측 단자가 연결되는 트랜스포머(T1)로 구성된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15)과 정류 평활 회로부(30) 및 정류부(35)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정류 평활 회로부(30)의 콘덴서(C2)에서 방출되는 전압을 차단하는 콘덴서(C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원 공급 장치.
KR92023064U 1992-11-23 1992-11-23 전원 공급 장치 KR950003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3064U KR950003022Y1 (ko) 1992-11-23 1992-11-23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3064U KR950003022Y1 (ko) 1992-11-23 1992-11-23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779U KR940013779U (ko) 1994-06-29
KR950003022Y1 true KR950003022Y1 (ko) 1995-04-19

Family

ID=1934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3064U KR950003022Y1 (ko) 1992-11-23 1992-11-23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0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779U (ko) 1994-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5368B2 (en) Efficient in-rush current limiting circuit with dual gated bidirectional hemts
USRE41766E1 (en) Self-driven synchronous rectified boost converter with inrush current protection using bidirectional normally on device
EP0715780B1 (en) Bridge rectifier circuit having active switches and an active control circuit
US7619450B2 (en) Start-up circuit for providing a start-up voltage to an application circuit
JPH08140260A (ja) 電源装置
KR20010014888A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US54306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upply with gated charge filter
KR950003022Y1 (ko) 전원 공급 장치
JPH0464209B2 (ko)
KR100465107B1 (ko) 과전압보호회로
KR200176401Y1 (ko) 캐패시터 돌입 전류방지 회로
US6678129B2 (en) Protection circuit for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KR980006755A (ko) 저전압 보호 회로
KR930001681Y1 (ko) 정전압용 트랜지스터 보호회로
JPH0226235Y2 (ko)
KR950003488Y1 (ko) 돌입 전류(Inrush current)제한회로
JP3240773B2 (ja) Dc/dcコンバータ
KR960001247Y1 (ko) 전원장치의 보조전원회로
KR940027265A (ko) 입력전압 자동 선택회로
KR910004080Y1 (ko) 초기 구동용 전원공급회로
KR890005918Y1 (ko) 정전압 범위 확대 회로
KR940005123Y1 (ko) 부하단 쇼트시 스위칭치 소자 보호회로
JPH0677801A (ja) 半導体スイッチング回路
KR920000346Y1 (ko) 110v/220v 자동전환용 정전압 회로
KR900002159Y1 (ko) 초기 전원인가시 전자레인지의 오동작 방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