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759B1 - 전화기의 카드식 호출번호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카드식 호출번호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759B1
KR950002759B1 KR1019900018738A KR900018738A KR950002759B1 KR 950002759 B1 KR950002759 B1 KR 950002759B1 KR 1019900018738 A KR1019900018738 A KR 1019900018738A KR 900018738 A KR900018738 A KR 900018738A KR 950002759 B1 KR950002759 B1 KR 950002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ram
counter
switch
output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8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151A (ko
Inventor
곽재봉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8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759B1/ko
Publication of KR920011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7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의 카드식 호출번호 기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록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톤리시버의 출력테이블.
제4도는 본 발명의 배터리 백업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크스위치 2 : 타이머
3,10 : 인버터 4,6 :카운터
5 : 오어게이트 7 : 앤드게이트
8 : 에스램(SRAM) 9 : 톤리서버
10 : 배터리백업회로 11 : 피.에이.엘(PAL)
12 : 코넥터 13 : 다이얼버튼
14 : 전화기내방부 15 : 카드부
16 : 배터리 SW1-SW3: 스위치
R1-R5: 저항
본 발명은 카드식으로 구성하여 전화기 사용시 호출 번호를 램에 기록하고, 이를 다시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하여 기록된 전화번호를 해독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기의 카드식 호출번호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사나 관공서등과 같이 여러사람이 사용하게 되는 전화기에 있어서 개인이 그 전화요금을 지불하는 것이 아니고, 법인이나 관공서의 유지 경비등으로 전화요금이 지불되기 때문에 전화기의 개인적인 사용 빈도가 많아지게 되거나 무절제하게 오랫동안 전화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하루 하루의 전화사용 내역을 기록하고, 그 기록을 개인용 컴퓨터로 조사할 수 있게 된다면 회사와 같이 여러사람이 같이 사용하고 요금을 법인체나 관공서등에서 내게되는 전화요금지불에서의 필요이상의 통화나 비싼요금의 개인적인 장거리 전화등에 의한 과도한 전화요금의 지불을 축소하는데 도움이 될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화기에 타이머와 인버터, 카운터 그리고 앤드게이트, 오어게이트 및 후크스위치와 연동되는 스위치를 내장하고 착탈되는 카드내부에는 전화번호가 기억되는 램과 배터리백업회로 및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되는 코넥터를 구성하여 전화를 송신하기 위해 다이얼을 누를 경우 톤리시버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카운터에 의해 에스램에 저장되도록하고 카드를 컴퓨터에 연결하여 기억된 전화번호를 재생토록함으로서 전화기의 무절제한 사용을 제한할수 있는 전화기의 카드식 호출번호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와 같이 전화기의 다이얼버튼(13)이 톤리시버(9)로 접속된 통상의 전화기에 있어서 후크스위치(1)와 연동되어 5V가 인가되는 스위치(SW2)에는 타이머(2)를 접속하되 상기 타이머(2) 출력신호는 인버터(3)을 거쳐 카운터(4)(6)의 클럭단과 클리어단에 인가하고 또한 스위치(SW1)에는 카운터(4) 클리어단을 연결하며 톤리시버(9)의 버턴인식신호(DS0)는 오어게이트(5) 일측단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인버터(10)를 통하여 에스램(8)과 코넥터(12)의 라이트네이블()단에 연결하는 한편 각 카운터(4)(6) 출력신호를 코넥터(12) 및 에스램(8)의 어드레스라인(A0-A13)에 접속하고 카운터(6)의 출력단에 접속된 앤드게이트(7) 출력신호를 오어게이트(5) 타측에 인가하되 이의 출력단은 카운터(6)의 클럭단으로 연결하며 톤리시버(9) 출력신호를 에스램(8) 및 코넥터(12)의 데이타버스(D0-D3)로 전송하고 스위치(SW3) 조작에 의해 에스램(8)을 칩셀렉터()하는 한편 배터리백업회로(10)의 출력전압을 에스램(8)에 인가하여서된 전화기의 카드식 호출번호기록장치인 것이다.
미 설명부호 11은 피.에이.엘(PAL : PROGRAMMABLE ARRAY LOGIC) 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록도로서 크게 전화기내부에 연결되는 전화기 내장부(14)와 착탈이 가능하고 컴퓨터와 연결될수 있는 카드부(15)로 이루어진다.
즉, 전화기 내장부(14)는 기존의 전화기에 송신 때의 톤신호를 4비트의 값으로 출력시킬수 있는 톤리시버(9)와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었을때의 후쿠스위치(1)를 인식하여 그 후크 스위치(1)의 "ON", "OFF"때마다 펄스를 만들어 주는 타이머(2) 및 카운터(4)를 클리어시키는 스위치(SW1)로 구성되어 있고, 전화기에 접속가능한 착탈식 카드부(15)는 전화기에서 사용된 정보를 기록하는 에스램(8)부분 그리고 에스램(8)의 어드레스를 생성시켜주기 위한 카운터(4)(6) 부분, 카드를 뽑은 상태에서도 램에 전원을 공급해 주기 위한 배터리백업회로(10) 부분으로 크게 나눌수 있다.
제2도의 회로도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카드부(15)를 전화기 본체에 삽입한후 스위치(SW3)를 그라운드로 접속하면 에스램(8)이 칩이네이블되어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되며 스위치(SW1)를 눌렀다가 놓으면 5V전원이 저항(R1)과 스위치(SW1)를 통하여 카운터(4)의 클리어단자에 잠시 "로우"상태가 되었다가 "하이"레벨로 올라감으로서 카운터(4)는 초기화되어 출력은 모두 없게 된다.
이때 전화를 걸기 위해 송수화기를 들면 전화기의 후크스위치(1)가 "ON"상태가 되고 이 후크스위치(1)에 연동되는 스위치(SW2)가 "ON"상태로 되어 저항(R2)에 연결되어 있고 모노스테이블상태로 세팅되어 있는 타이머(2)의 입력라인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들어간다.
따라서 타이머(2)는 주기적으로 일정시간마다 펄스를 출력시키고 이의 신호는 인버터(3)를 통해 카운터(4)의 클럭단자와 카운터(6)의 클리어단자에 인가되어 카운터(4)는 출력이 하나 증가되고 다른 카운터(6)의 출력은 모두 없게 된다.
한편 송수화기를 들은 뒤 다이얼버튼(13)을 한번 누르면 그 번호에 해당되는 두개의 주파수신호가 전화선에 실리게되고 그 신호는 전화선과 연결되어 있는 톤리시버(9)의 입력으로 전달되어 제3도에서와 같은 4비트 톤리시버(9)의 출력에 랫치됨과 동시에 톤리시버(9)의 출력이 랫치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신호(DSO)가 "로우"상태가 되게 되는데, 톤리시버의 출력(Q1-Q4)은 각각 에스램(8)의 데이타라인(D0-D3)에 전송하는 한편 톤리시버(8)의 출력 포트에 데이터가 랫치되어 있는 것을 알리는 신호(DSO)는 오어게이트(5)를 통하여 카운터(6)의 클럭단자와 에스램(8)의 라인트인에이블(WE) 단자에 인가되어서 톤러시버(9)의 출력은 카운터(4)(6)에 의해 설정되어 어드레스의 메모리에 써지게 된다.
이어서 두번째의 다이얼버튼(13)을 누르면 역시 톤리시버(9)는 새로운 번호에 대한 4비트의 값을 출력포트에 랫치시키고 새로운 데이터가 랫치되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신호(DSO)가 "로우"상태로 되어서 이"로우"상태의 신호가 카운터(6)클럭과 에스램(8)의 라이트인에이블단자로 연결되어 카우터(6)의 출력이 하나 증가하고 그 증가된 값을 어드레스로 하는 에스램(8)의 번지에 새로 누른번호의 코드값이 저장되게 된다.
이와같이 번호를 누를때마다 그 번호는 차례로 증가하는 에스램(8)의 번지내에 저장되게 된다.
통화가 다 끝나고 나서 다시 전화를 걸기 위해 송수화기를 들면 후크스위치(1)가 "온"되어서 그 스위치에 연동되는 스위치(SW2)의 출력은 "로우"상태가 되고 그신호는 타이머(2)와 인버터(3)를 통해서 다시 카운터(4)의 클럭과 카운터(6)의 클리어단자에 연결되어 카운터(4)의 출력을 하나 증가시키고 다른 카운터(6)의 출력은 클리어시킨다.
따라서 눌러지는 번호는 그 이전의 시작번호가 저장되었던 램의 위치보다 16바이트가 더해진 자리에서부터 16자리까지 눌러지는 순서대로 에스램(8)내부에 차례로 저장된다.
그리고 16번 이상 전화번호를 누르는 경우(음성자동응답시스템같은 경우에 번호선택에 의해 메뉴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고 그런 경우에는 호출번호 이외에도 여러번 반복해서 번호 버튼을 누를수 있다.)에는 더 이상 에스램(8)에 기록되지 않도록 카운터(6)의 4출력을 앤드게이트(7)의 입력으로하여 카운터(6)의 4출력이 모두 "하이"인 경우(즉, 다이얼버튼(13)이 16번 눌러진 경우)에는 앤드게이트(7)의 출력이 "하이"가 되어 오어게이트(5) 출력을 "로우"로 반전시켜 카운터(6)에 클럭을 인가하지 않게하여 다이얼버튼(13)을 계속 누르더라드 에스램(18)에 입력되지 않도록한다.
본 발명에서는 호출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에스램(8)에는 8K 바이트의 에스램(8)을 사용하여 512(=8K/16바이트) 통화까지 통화번호를 지장할수 있도록 했는데 500통화면 한 통화당 1분씩만 한다해도 500분 즉, 8시간 20분동안에 호출된 번호를 모두 기록할수 있어서 하루 단위로 호출번호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용량으로 생각되고, 만일 일주일 단위로 호출번호를 조사하려 한다면 32K바이트 정도의 에스램을 사용한다면 충분하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에스램(8)의 어드레스라인과 데이터라인, 콘트롤라인을 IBM의 개인용 컴퓨터의 슬롯의 핀스펙에 맞춘 형태로 구성하고 착탈가능한 카드를 전화기로부터 뽑아내었을때는 제4도에서와 같이 다이오드(D)와 배터리(16)를 상호 연결하고 트랜지스터(TR1, TR2)를 이용하여 배터리백업회로(10)를 구성하여서 카드를 컴퓨터내부에 꽂았다가 뽑을때나, 전화기에 꽂았다가 뽑을 때에도 에스램(8)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트랜지스터(TR1,TR2)의 역할은 에스램(8)에 공급되는 전원은 트랜지스터의 동작 상태가 "ON"인가"OFF"인가에 따라 전화기로부터의 전원이나 컴퓨터로부터의 전원을 사용할 것인가, 아니면 배터리(16)를 에스램(8)의 전원으로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입력단에 5V의 전압 레벨을 유지할 경우에는 저항(R3, R4)의 비율로 따라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의 전압이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 베이스를 통해 전류가 흐를수 있도록 유지되고 트랜지스터(TR2)의 컬렉터에미터가 순방향 바이어스가 걸려 트랜지스터(TR2)로부더 에미터로 전류가 흐르게되는데 이 트랜지스터(TR2)의 컬렉터전류는 바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전류이므로 트랜지스터(TR1)도 "ON"상태가 되어 정류전원이 IC에 공급되는 전원으로 전달이 된다. 그러고 입력전원의 전압 레벨이 "OV"가 되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전압이 에미터, 베이스사이의 바이어스를 순방향으로 하기에 부족하여 트랜지스터(TR2)는 "OFF"상태가 되고 트랜지스터(TR2)의 컬렉터전류 즉,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전류가 흐르지못해 트랜지스터(TR1)도 "OFF"상태가 된다. 이때에는 배터리(16)가 에스램(8)의 전원으로 사용된다.
한편 에스램(8)을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를 컴퓨터의 모니터나 프린터상에 재현할때에는 카드부(15)를 전화기로부터 제거하고 컴퓨터의 연결포트에 삽입하게 되면 컴퓨터 조작에 따라 에스램(8)의 리드신호(RD)를 인가한후 어드레스라인(A0-A13)에 카운터(4)(6)와 동일한 퍼스를 공급하게 되어 데이타라인(D0-D3)으로 부터 저장된 전화번호가 모니터 또는 프런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에스램(8)에 저장된 데이타를 날마다 또는 일주일 마다 전화기로부터 뽑아내어 IBM의 개인용 컴퓨터의 슬롯에 연결하여 램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조사해서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번호에 대해 메모리 기능을 이용하여 한 키만으로 호출가능케 하거나 팩시밀리등을 이용하여 국외로 전송을 하는 경우의 통제나, 개인적인 용도의 통화에 대한 제한 등에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전화기의 다이얼버튼(13)이 톤리시버(9)로 접속된 통상의 전화기에 있어서 후크스위치(1)와 연동되어 5V가 인가되는 스위치(SW2)에는 타이머(2)를 접속하되 상기 타이머(2) 출력신호는 인버터(3)를 거쳐 카운터(4)(6)의 클럭단과 클리어단에 인가하고 또한 스위치(SW1)에는 카운터(4) 클리어단을 연결하며 톤리시버(9)의 버턴인식신호(DSO)는 오어게이트(5) 일측단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인버터(10)를 통하여 에스램(8)과 코넥터(12)의 라이트이네이블() 단에 연결하는 한편 각 카운터(4)(6) 출력신호를 코넥터(12) 및 에스램(8)의 어드레스라인(A0-A13)에 접속하고 카운터(6)의 출력단에 접속된 앤드게이트(7) 출력 신호를 오어게이트(5)타측에 인가하되 이의 출력은 카운터(6)의 클럭단으로 연결하며 톤리시버(9) 출력신호를 에스램(8) 및 코넥터(12)의 데이타버스(D0-D3)로 전송하고 스위치(SW3) 조작에 의해 에스램(8)을 칩셀렉터()하는 한편 배터리백업회로(10)의 출력전압을 에스램(8)에 인가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카드식 호출번호기록장치.
KR1019900018738A 1990-11-19 1990-11-19 전화기의 카드식 호출번호 기록장치 KR950002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8738A KR950002759B1 (ko) 1990-11-19 1990-11-19 전화기의 카드식 호출번호 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8738A KR950002759B1 (ko) 1990-11-19 1990-11-19 전화기의 카드식 호출번호 기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151A KR920011151A (ko) 1992-06-27
KR950002759B1 true KR950002759B1 (ko) 1995-03-24

Family

ID=1930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8738A KR950002759B1 (ko) 1990-11-19 1990-11-19 전화기의 카드식 호출번호 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7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151A (ko) 199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9744A (en) Card-operated telephone
US4813065A (en) Computerized telephone accounting system
US6301344B1 (en) Intelligent public telephone system and method
KR950002759B1 (ko) 전화기의 카드식 호출번호 기록장치
JPS626381B2 (ko)
SK51394A3 (en) Device for accounting particularly charge units of telephone calls and for verifying of fees drawing up
JPH01251942A (ja) テレフォンカードとそれを使用する公衆電話機
JPS5858864B2 (ja) 公衆電話機の課金装置
JP2572584B2 (ja) カ−ド通信端末装置
JPS6462947A (en) Dial system using card
CN2634737Y (zh) 自动数据通道开关装置
KR0134872Y1 (ko) 자동응답 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KR100292338B1 (ko) 전화기의카드식메모리다이얼링방법
CN2162752Y (zh) 程控电话交换机计费管理装置
SU720786A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набора номера
JPH0815283B2 (ja) カード電話機
JPS6192068A (ja) 2線式電話装置
JPS63174465A (ja) 電話使用履歴管理装置
JPS63138843A (ja) テレホンカ−ドシステム
JPS6330052A (ja) 電話機システム
JPS6220454A (ja) 短縮査作可能のカ−ド
JPS6227196A (ja) テレホンカ−ド
JPH02234550A (ja) 電話装置
JPS63120549A (ja) 電話番号の自動ダイアル方式
JPH0270154A (ja) 公衆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