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171Y1 - 절첩식 톱자루 - Google Patents

절첩식 톱자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171Y1
KR950002171Y1 KR2019910015698U KR910015698U KR950002171Y1 KR 950002171 Y1 KR950002171 Y1 KR 950002171Y1 KR 2019910015698 U KR2019910015698 U KR 2019910015698U KR 910015698 U KR910015698 U KR 910015698U KR 950002171 Y1 KR950002171 Y1 KR 950002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aw
saw blade
soft
h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5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130U (ko
Inventor
쇼고 야부우치
Original Assignee
아루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다키가와 시게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루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다키가와 시게츠구 filed Critical 아루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91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1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1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3/00Sawing tools for saw mills,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 B27B33/02Structural design of saw blades or saw tee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2Handle construction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1/00Hand saws without power drive; Equipment for hand sawing, e.g. saw hor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첩식 톱자루
제1도는 정면도.
제2도는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화살표시 Ⅲ-Ⅲ방향에서 본 종단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루 2 : 톱날 수용홈
3 : 톱날 5 : 지지축
6 : 경질부 7 : 연질부
8 : 연결홈 9 : 오목부
10 : 연통구멍
본 고안은 양측판 사이에 톱날을 지지축에 의해 절첩 가능하고 회동자유롭게 축지지시키도록 한 절첩식톱에 있어서 톱에 쥐기 쉽도록 부착되는 봉상의 부분, 즉 톱자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톱자루로써 목재와 합성수지등의 재질이 단단한 것을 사용하는 것은 손가락이 자루에 익숙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강력한 힘으로 파지하지 않으면 자루가 손에서 빠지기 쉬워서 손가락의 피로도가 매우 심하여 장시간의 절단작업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당연하다.
한편 자루 전체를 고무등의 비교적 부드러운 탄성체로 피복하는 것으로는 어느정도 손가락이 자루에 익숙해지도록 재질에 충분한 배려를 실시해도 톱을 켤때에 있어서의 자루의 방향성이 일정하지 않아서 절단작업에 지장을 초래한다.
이상과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일본 실공평 1-41577호 공보에서 나타내어진 것과같이 자루의 손잡이부 좌, 우 양측면에 미끄러짐 방지용의 탄성체를 설치하고 톱자루에 연질부와 경질부를 형성한 것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톱자루는 통상 쥐기 쉬움과 절단작업의 편의상 그 단면이 좌, 우 양방향보다도 상하 방향쪽이 두껍게 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톱자루를 파지한 경우 손가락이 강하게 밀착하는 상하면이 단단한 재질로 되어 있으면 양측면에 탄성체를 설치해도 유효하게 손가락이 익숙해질 수 없어서 사용시 손가락의 피로를 줄일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또 만일 톱자루의 상, 하면에 탄성체를 설치하려고 해도 절첩톱자루에는 톱날의 수용홈이 설치되어 있기때문에, 특히 톱자루의 하면과 톱날수용홈을 탄성체로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한 절첩톱 자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관련되는 절첩식 톱자루는 양측면 사이에 톱날(3)을 지지축(5)에 의해 절첩가능하고 회동자유롭게 축지지시키는 동시에 쥐는 손에 대하여 경질부(6)와 연질부(7)을 설치한 톱자루에 있어서 자루(1)의 상, 하면에 미끄러짐 방지용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연질부(7)를 형성하는 동시에 자루(1)의 좌, 우 양측면에 전면적으로, 또는 약간의 연질부(7)를 남기고 경질부(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체란 고무, 스펀지,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등과 같이 힘을 가했을 때의 형태와 크기의 비뚤어짐이 힘을 늦추면 원래대로 돌아오는 성질을 갖는 소재를 말한다.
그러나 지금 각종 피절단물을 절단할 때에는 제1도∼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톱날(3)을 톱날수용홈(2)에서 꺼내어 자루(1)를 파지하면서 피절단물을 켜서 자르는 것인데 이 경우 톱자루의 단면에 있서 상, 하면에서 연질부(7)가 손가락에 익숙해져서 강하게 밀착하는 동시에 좌, 우 양측면에는 손가락이 가볍게 닿을 정도로 접촉한다.
그리고 톱켜기 작업중에는 좌우양측면의 경질부(6)에 의하여 자루(1)의 방향성이 일정하게 되도록 확보되고 환언하면 톱날(3)과 자루(1)의 진퇴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원활한 절단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관련되는 절첩식 톱자루는 상기와 같이 구성, 작용을 갖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룬다.
톱자루를 파지한 경우 연질부를 형성한데다가 하면에 손가락이 강하게 밀착하여 손가락이 익숙해지기 때문에 사용시에 있어서의 손가락의 피로를 유효하게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손가락등의 미끄러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톱자루의 좌, 우 양측면에는 경질부가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종래의 자루전체를 연질부로 피복한 경우에 있어서의 톱켤때의 자루의 방향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양호한 동시에 원활한 절단작업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절첩식톱의 톱날수용홈을 연질의 탄성체로 형성할 수 있기때문에 톱날 수용홈내에 톱날이 들어갔을 때의 분리방지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인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은 절첩식 톱자루이고, 이 자루(1)는 동시에 톱날수용홈(2)이 형성되도록 2분할인 양측판으로 이루어지며 지지축(5)체 의하여 톱날(3)을 자루(1)에 회동자유롭게 원추접합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톱날수용홈(2)에 톱날(3)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자루(1)(양측판기재)의 상부에서 자루(1)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자루(1)의 손잡이부 중앙부에 연결홈(8)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연결홈(8)에 고무, 스펀지, 또는 합성수지등의 미끄럼 방지용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연질부(7)가 메워진다.
물론 연결홈(8)을 설치하지 않고 자루(1)의 윗면에 탄성체를 접착제로 고정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양측판기재 그곳은 그 자체 경질부(6)로 되어 있으며 제3도에 나탄는 바와같이 각각 좌, 우 양측면에 있어서 자루(1)의 긴쪽방향을 따라서 그 중간부에서 아랫쪽이 일정 깊이의 오목부(9)가 형성되도록 낮게되어 있다.
환언하면 톱날수용홈(2)을 좁히는 좌, 우 양측판 중간부에서 자루(1)의 아랫면을 돌아서 톱날수용홈(2)의 내면에 이르기까지 오목부(9)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오목부(9)에는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등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러짐 방지용의 탄성체가 경질부(6)의 표면에서 돌출하지 않을 정도로 자루(1)의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에 적당간격을 남기고 뚫어설치된 연통구멍(10)에 의하여 흘려서 집어넣어진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통구멍(10)의 이용에 의해 자루(1)의 하부에 있어서의 연질부(7)의 형성을 실시하기 때문에 톱날수용홈(2)의 내면과 입구등이 좁은 부분과 뾰족한 부분에 있어서의 탄성체의 피복을 어려움 없이 실시할 수 있고, 특히 자루의 중간부보다 하부의 제한된 부분에 있어서의 연질부(7)의 형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그 자루의 연질부(7)는 양측판 기재로부터 박리하기 어렵다는 잇점을 갖는다.

Claims (1)

  1. 양측판 사이에 톱날(3)을 지지축(5)에 의해 절첩 가능하고 회동자유롭게 축지지시키는 동시에 쥐는 손에 대하여 경질부(6)와 연질부(7)를 설치한 톱자루에 있어서, 자루(1)의 상, 하면에 미끄러짐 방지용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연질부(7)를 형성하는 동시에 자루(1)의 좌, 우 양측면에 전면적으로, 또는 약간의 연질부(7)를 남기고 경질부(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톱자루.
KR2019910015698U 1990-11-14 1991-09-24 절첩식 톱자루 KR95000217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118923U JPH0711925Y2 (ja) 1990-11-14 1990-11-14 折り畳み式鋸の柄
JP90-118923 1990-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130U KR920009130U (ko) 1992-06-16
KR950002171Y1 true KR950002171Y1 (ko) 1995-03-29

Family

ID=1474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5698U KR950002171Y1 (ko) 1990-11-14 1991-09-24 절첩식 톱자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11925Y2 (ko)
KR (1) KR950002171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4500U (ko) * 1978-04-20 1979-10-26
JPS6045679U (ja) * 1983-09-05 1985-03-30 宮脇 卯一 鋸の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76404U (ko) 1992-07-03
KR920009130U (ko) 1992-06-16
JPH0711925Y2 (ja) 1995-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0162A (en) Ergonomic hand-held implement
USD299413S (en) Folding pocket saw handle
US3728736A (en) Thumb or finger guard
US4178684A (en) Comfort grip cutlery
US4040140A (en) Ice scraper
US5263222A (en) Automotive windshield ice scraper
US5704502A (en) Closure with forearm engaging tabs for medication containers
IE801926L (en) Cutlery
EP2177328A8 (en) Razor assembly
US5819416A (en) Scissors
CA2288884A1 (en) Ergonomic handle and driver incorporating same
US5822825A (en) Window ice scraper
KR910002550A (ko) 절단용 공구
US6089298A (en) Combination laminating tool
KR950002171Y1 (ko) 절첩식 톱자루
US4495670A (en) Hand-held scraper
USD284220S (en) Hand holder for baby bottle
ES2007777A6 (es) Maquina de vapor productora de energia.
KR870009690A (ko) 소스 팬등에 사용하는 핸들
RU2234409C2 (ru) Ручка для инструмента
GB124237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urgical retractors
USD382455S (en) Folding scissors for a multi-purpose tool
GB2308053A (en) Cutlery for children
RU2001118856A (ru) Ручка для инструмента
GB2291614A (en) Ergonomic handle for utensils and cutl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