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012Y1 - 전구가 부착된 콤팩트 - Google Patents

전구가 부착된 콤팩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012Y1
KR950002012Y1 KR92019045U KR920019045U KR950002012Y1 KR 950002012 Y1 KR950002012 Y1 KR 950002012Y1 KR 92019045 U KR92019045 U KR 92019045U KR 920019045 U KR920019045 U KR 920019045U KR 950002012 Y1 KR950002012 Y1 KR 9500020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ct
support
groove
cover
electric bul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9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203U (ko
Inventor
김학규
Original Assignee
김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규 filed Critical 김학규
Priority to KR92019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012Y1/ko
Publication of KR9400092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2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0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0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3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구가 부착된 콤팩트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의 사시도.
제2도는 본원 콤팩트의 사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콤팩트 2 : 케이스
3 : 덮개 4 : 홈
5 : 경첩 6 : 지지대
7 : 전구 8 : 갓
9 : 전지 10 : 스위치
11 : 거울
본 고안은 콤팩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단에 전구가 부착되어 야간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전구가 부착된 콤팩트에 관한 것이다. 콤팩트는 주로 여성들이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하게 되는 화장용구로서 장소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는 불빛이 필요하게 되어 아무곳에서나 사용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야간이나 어두운 것에서도 불편없이 콤팩트를 사용할 수 있는 콤팩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덮개 일측에 홈이 형성되어 이 홈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가 회동가능하게 경첩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 전구가 설치되어 케이스에 내장되는 전지 및 스위치에 회로연결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콤팩트의 사용시 어두운 곳에서는 상기 지지대를 회동시켜서 세운다음 길이조절을 하고 스위치를 켜서 밝게한 다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상기 콤팩트의 사용상태를 사시도로써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케이스(2)와 덮개(3)로 이루어진 콤팩트(1)에서, 상기 덮개(3)의 외면 일측에 홈(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4)의 한쪽 끝에는 경첩(5)이 형성되어 이 경첩(5)에 지지대(6)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지지대(6)는 다단 인출식으로 되어 길게 인출될 수 있고 짧게 끼워 넣을수 있으며 상기 홈(4)에 수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6)의 단부에는 전구(7)가 조립되고 이 전구(7)는 갓(8)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전구(7)는 지지대(6)의 내부를 통해 배선이 이루어지고 콤팩트 케이스(2) 내부에 내장되는 전지(7)과 덮개(3)의 일단에 설치되는 스위치(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상기 지지대(6)를 회동시켜서 길게 인출하고 덮개(3)를 열고 스위치(10)로써 전구(7)를 켜게 되면 불빛이 거울(1)에 비추어져서 밝게 보인다.
상기 지지대(6)를 적절히 회동시킴으로써 불빛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어두운 곳에서도 간편하게 콤팩트를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덮개(3) 일측에 홈(4)이 형성되어 이 홈(4)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6)가 회동가능하게 경첩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6)의 선단에 전구(7)가 설치되어 케이스(3) 및 덮개에 설치되는 전지와 스위치(10)에 회로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가 부착된 콤팩트.
KR92019045U 1992-10-06 1992-10-06 전구가 부착된 콤팩트 KR9500020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9045U KR950002012Y1 (ko) 1992-10-06 1992-10-06 전구가 부착된 콤팩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9045U KR950002012Y1 (ko) 1992-10-06 1992-10-06 전구가 부착된 콤팩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203U KR940009203U (ko) 1994-05-17
KR950002012Y1 true KR950002012Y1 (ko) 1995-03-24

Family

ID=1934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9045U KR950002012Y1 (ko) 1992-10-06 1992-10-06 전구가 부착된 콤팩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01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287B1 (ko) * 2017-11-16 2019-03-08 (주)엔바이어스 조명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203U (ko) 199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523397A (en) Combination of a vehicle sun visor assembly and a vanity mirror assembly
US6341871B1 (en) Light mechanism for a cell phone
JPS596119A (ja) サンバイザ
US4178626A (en) Drawer light
US2431491A (en) Toilet kit
KR950002012Y1 (ko) 전구가 부착된 콤팩트
US3619596A (en) Illuminating compact and light source
ES2096378T3 (es) Cuerpo hueco para instalacion en construcciones de hormigon.
US5023522A (en) Dimmer for table lamps
CA2144375A1 (en) Lighting assembly for use in cigaret lighter shell without reliance on conductivity thereof
US2021015A (en) Illuminating compact
US2453621A (en) Illuminated compact
JPH02106429A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
GB9712412D0 (en) ZIF socket with hold open mechanism
KR200209940Y1 (ko) 신체의 조명과 관찰기능을 갖는 다기능 화장용 유니트
KR0131707Y1 (ko) 가구 내부용 조명등의 자동 개폐 장치
KR920004466Y1 (ko) 화장용 조명거울
US3011399A (en) Combined reading glass, light and compass
JP2000048628A (ja) 電気器具
CA2052672A1 (en) Fluorescent strip light with hinged cover
KR19990039768U (ko) 조명장치가 부착된 휴대용 거울
KR0108877Y1 (ko) 램프와 확대경이 설치된 화장세트
SE9601376L (sv) Kabelsamlare
US2821620A (en) Portable illuminated mirror
KR200174053Y1 (ko) 조명 장치가 부착된 탁상용 회전 거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