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466Y1 - 전원플러그용 아답타 - Google Patents

전원플러그용 아답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466Y1
KR950001466Y1 KR92022111U KR920022111U KR950001466Y1 KR 950001466 Y1 KR950001466 Y1 KR 950001466Y1 KR 92022111 U KR92022111 U KR 92022111U KR 920022111 U KR920022111 U KR 920022111U KR 950001466 Y1 KR950001466 Y1 KR 9500014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ower plug
adapter
plu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2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713U (ko
Inventor
김익
정선규
Original Assignee
김익
정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익, 정선규 filed Critical 김익
Priority to KR92022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466Y1/ko
Publication of KR9400137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7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4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플러그용 아답타
제1도는 종래 220V용 110V용 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전원플러그용 아답타의 외관 사시도.
제2도의 (a)(b)는 본 고안에 의하여 110V/220V를 겸하는 전원 플러그용 아답타의 외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원플러그용 아답타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원플러그용 아답타의 조작노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요부의 단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몸체 12,12' : 핀수납부
13,13' : 핀접속홀더 14,14' : 가동플러그
15 : 조작노브
본 고안은 전원플러그를 다른 형식의 콘센트와 접속할 때 사용하는 전원플러그용 아답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10V용 전원플러그를 220V용 전원플러그에, 그리고 220V용 전원플러그를 110V용 콘센트에 꽂을 수 있도록 개선된 110/220V를 겸하는 전원플로그용 아답타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일반 가정용 전기의 배선방식은 단상 3선식으로서, 110V와 220V의 두가지 전압을 동시에 배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의 가전제품도 대부분 110V/220V 겸용으로 되거나 또는 프리볼트(free voltage)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잘 아는 바와 같이, 전원플러그와 전원콘센트는 그 전압에 따라 110V용은 나이프형으로, 220V용은 봉모양으로 각각 다르게 형성되고 있으므로, 그 상호간의 호환성을 위하여 적절한 아답타가 필요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20V용 전원플러그(1)를 110V용 전원콘센트(도시생략)에 접속하기 위한 전원플러그용 아답타(3)가 공지되어 있었다. 그 아답타(3)는 몸체(4)의 전면에 나이프형의 플러그핀(5)(5')이 고정돌출되어 있고, 그 추면에 전원플러그(1)의 플러그핀(2)(2')이 삽입되는 핀수납부(6)(6')가 구비된 것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아답타(2)는 220V용 전원플러그(1)에만 사용가능하고 도시않된 110V용 전원플러그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110V용 전원플러그를 220V용 전원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하여는 또다른 전용의 아답타를 사용해야 하므로 그 사용상에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전원플러그의 볼트형식에 관계없이 110V/220V용으로 선택사용할 수 있는 전원플러그용 아답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 좌우측에 나란히 두개의 핀수납부가 형성되고, 그 핀수납부의 양단의 외부로 트인 100V용 전원플러그의 핀삽입구와 220V용 전원플러그의 핀삽입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핀수납부에 수납고정되고 그 양측의 핀삽입구에 각각 위치하는 핀접속부를 갖는 핀접속홀더와, 각각 100V용 핀플러그부와 220V용 플러그부로 이루어지고 어느 일측이 몸체밖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핀수납부에 이동가능하게 수납되며 한 부위가 상기 핀접속홀더와 항시 접촉하는 두개의 가동플러브와, 상기 두개의 가동플러그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가능하고 일부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슬라이딩 조작가능한 조작노브를 구비하여, 110V용과 220V용으로 선택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110/220V겸용 아답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110/220V겸용 아답타(10)의 외관사시도로서, (a)는 100V용 전원플러그(20)사용시의 상태를 (b)는 220V용 전원플러그(30) 사용시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제3도는 그러한 본 고안 아답타(10)의 내부구조를 나타낸다.
즉, 몸체(11)는 절연체로서, 내부의 좌우측에 나란한 두개의 핀수납부(12)(12')를 가진다. 그 핀수납부(12)(12')는 몸체의 전후면과 통하는데, 그 전면에는 나이프형 핀삽입구(12a)(12a')로 되고 그 후면에는 봉형 핀삽입구(12b)(12b')로 되어 있다.
두개의 핀접속홀더(13)(13')는 도전체로서, 그 핀삽입구(12)(12')에 각각 수납고정된다. 그 핀접속홀더(13)(13')의 일단부(13a)(13a')는 핀받이 모양을, 그 타단부(13b)(13b')는 봉받이 모양을 한다.
두개의 가동플러그(14)(14')는 그 핀수납부(12)(12')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 동시에 그에 수납고정된 핀접속홀더(13)(13')와 상기 전기적으로 접촉해 있다. 그것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나이프형 핀플러그부(14a)(14a')는 몸체(11) 전면에 트여있는 나이프형 핀삽입구(12a)(12a')를 통하여, 그리고 나머지 절반에 해당하는 봉형 핀플러그부(14b)(14b')는 몸체(11) 후면에 트여있는 봉형 핀삽입구(12b)(12b')를 통하여 각각 몸체(11)밖으로 돌출할 수 있으며, 그중의 적어도 한쪽이 돌출해 있거나 또는 중립에 위치하여서 양쪽 모두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게 된다.
반대로 몸체(11)의 핀수납부(12)(12')는 그 가동플러그(14)(14')의 나이프형 핀플러그부(14a)(14a')가 돌출했을때 봉형 핀삽입구(12b)(12b')가 비어있게 되어 제2도의 (b)와 같이 220V용 전원플러그(30)의 봉형 핀플러그(31)(31')를 그 봉형 핀삽입구(12b)(12b')에 끼워서 도시하지 않은 110V용 전원콘센트에 접속할 수 있게 되며, 또한 그 가동플러그(14)(14')의 봉형 핀플러그부(14b)(14b')가 돌출했을때 나이프형 핀삽입구(12b)(12b')가 비어있게 되어 제2도의 (a)와 같이 110V용 전원플러그(20)의 나이프형 핀플러그(31)(31')를 그 나이프형 핀삽입구(12b)(12b')에 끼워서 도시하지 않은 220V용 전원콘센트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조작노브(15)는 몸체(11) 내에서 두개의 가동플러그(14)(14')를 횡단하여 연결하는 연결부(15a)와 그 연결부(15a)부터 몸체(11)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개구(16)를 통하여 돌출된 파지부(15b)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그 조작노브(15)의 파지부(15b)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어서 100V용과 220V용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제4도는 위와같은 조작노브(15)에 대한 바람직한 구조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이다. 그 조작노브(15)는 연결부(15a)와 파지부(15b)가 분리되어 그 파지부(15b)를 위에서 누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누른후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17)(17')이 사용되었다. 또한 그 파지부(15b)에는 걸이부(15c)가 형성되고, 그와 대응하는 몸체(11)에는 걸림턱(18)이 형성되어 있다. 즉, 조작노브(15)는 그 걸이부(15c)가 걸림턱(18)을 넘어서 록킹되어 임의로 후퇴하거나 사용시 밀리는 일이 없게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한편, 도면에 되시하지 않았으나, 본 고안의 아답타를 사용할 때, 예를들면 110V로 세팅되어 있는 제품을 220V에 연결할 소지가 있는 등의 위험이 따르므로 이의 안전을 위하여, 핀접속홀더(13)(13')의 어느 하나를 두조각으로 분리시키고 그 사이에 휴즈를 끼우거나 간단한 보호회로를 삽입하는 구조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조작노브(15)의 이동위치에 그 선택되는 전압을 표기함으로써 사용자가 주위를 기울일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개의 전원플러그용 아답타로 전원플러그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그 조작노브를 이동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100/220V겸용의 아답타를 제공하는 고안으로서, 그 한개의 아답타로 두가지 형시의 전원플러그에 공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리를 제공하고, 종래에 각각의 전원아답타를 사용하던 것과 달리 한개의 아답타만을 구입하면 되므로 사용자의 부담도 덜어주는 지극히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내부 좌우측에 나란한 두개의 핀수납부(12)(12')가 형성되고, 그 핀수납부의 양단의 외부로 트인 100V용 전원플러그의 핀삽입구(12a)(12a')와 220V용 전원플러그의 핀삽입구(12b)(1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몸체(11); 상기 핀수납부에 수납고정되고 그 양측의 핀삽입구에 각각 위치하는 핀접속부(13a)(13a')를 갖는 핀접속홀더(13)(13')와, 각각 100V용 핀플러그부(14a)(14a')와 220V용 핀플러그부(14b)(14b')로 이루어지고 어느 일측이 몸체밖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핀수납부에 이동가능하게 수납되며 한 부위가 상기 핀접속홀더와 항시 접촉하는 두개의 가동플러그(14)(14')와, 상기 두개의 가동플러그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가능하고 일부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노출되어 슬라이딩 조작가능한 조작노브(15)를 구비하여, 110V용과 220V용으로 선택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용 아답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15)가 그 이동한 전환위치에서 상기 몸체에 형성하는 걸림턱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용 아답타.
KR92022111U 1992-11-11 1992-11-11 전원플러그용 아답타 KR9500014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2111U KR950001466Y1 (ko) 1992-11-11 1992-11-11 전원플러그용 아답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2111U KR950001466Y1 (ko) 1992-11-11 1992-11-11 전원플러그용 아답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713U KR940013713U (ko) 1994-06-25
KR950001466Y1 true KR950001466Y1 (ko) 1995-03-06

Family

ID=1934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2111U KR950001466Y1 (ko) 1992-11-11 1992-11-11 전원플러그용 아답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4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713U (ko) 199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1921A (en) Easily operable universal adapter
US5320545A (en) Household safety receptacle
EP0156076B1 (en) Adaptor comprising sliding pin carriers
US4211460A (en) Adapter for connecting a load to a bus bar
US4345122A (en) Detachable cord
CN108023193B (zh) 可接地的简洁型旅行转换插头
KR950001466Y1 (ko) 전원플러그용 아답타
US3800259A (en) Fusing and switching means and circuit means controlled thereby
US2910625A (en) Attachment plug
US4685028A (en) A.C. power entry module
NO172316B (no) Koblingsanordning
US4489300A (en) Fuse holder for use with different line voltages
US2536522A (en) Electric switch
GB2396489A (en) Switched electric socket
KR20080000774U (ko) 멀티탭
HUP0103791A2 (en) Electric appliance switch comprising a fuse seat
US3766512A (en) Electric safety plugs and sockets
US2840765A (en) Remote electrical control
KR200192636Y1 (ko) 콘센트
BE1010599A6 (nl) Contactdoos.
US2438640A (en) Switch assembly
KR100198820B1 (ko) 220/110 볼트 겸용 플러그
KR910007977Y1 (ko) 110v/220v 겸용 자동전압 절환플럭
CZ257897A3 (cs) Zásuvka pro elektrický přístroj
KR19980020312U (ko) 110v/220v 겸용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