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350Y1 - 뜀 뛰기 놀이구 - Google Patents

뜀 뛰기 놀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350Y1
KR950001350Y1 KR92016585U KR920016585U KR950001350Y1 KR 950001350 Y1 KR950001350 Y1 KR 950001350Y1 KR 92016585 U KR92016585 U KR 92016585U KR 920016585 U KR920016585 U KR 920016585U KR 950001350 Y1 KR950001350 Y1 KR 950001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outer periphery
play
groove
coupl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6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134U (ko
Inventor
신백희
Original Assignee
신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백희 filed Critical 신백희
Priority to KR92016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350Y1/ko
Publication of KR9400051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1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3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5/00Stilts or the like
    • A63B25/08Hopping-sticks, e.g. pogo sticks ; Hopping apparatus with a single resilient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뜀 뛰기 놀이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원내부 확대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발판 저면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쿠션체상부 1a : 고정테
2 : 쿠션체하부 2a : 고정테
3 : 협지홈 4 : 결합홈
4a : 결합턱 5a : 중심공
6 : 내측턱 7,8 : 멜로디 발생장치
10 : 연결간 10a : 손잡이
11 : 지주 11a : 삽입부
11b : 결착턱 12 : 결합너트
13 : 신축홈
본 고안은 분해 조립식 뜀 뛰기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특징은 쿠션체 둘레에 발판을 부착하고 발판부착측 내측에 발판 고정홈을 형성시키면 쿠션체 중심에 설치되는 손잡이봉과 지주는 분해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길이를 조정할수 있게 한 것인바 사용중에 발미끄럼 없이 안전하게 놀이를 즐길수 있게 하고 또한 사용자의 키에 따라 손잡이봉의 높낮이를 알맞게 조정하여 사용할수 있게 함으로 놀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한 것이다.
종래의 뜀 뛰기 놀이기구는 공처럼된 쿠션체 상단 중심에 바로 손잡이봉을 고정시킨 구조로 되어 발판이 별도로 없기 때문에 사용할때 발이 쉽게 이탈되어 놀이를 지속할수 없을뿐 아니라 발이 쿠션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발에 힘을 많이 주게 되어 힘의 소모가 많은 결점이 있고 키에 따라 규격이 다양한 물품을 만들어야 할 뿐아니라 보관이나 운반시 부피가 커서 부담이 큰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무재를 소재로하여 공처럼 만들어진 쿠션체(1)(2)의 접합부 외주에 고정테(1a)(2a)을 형성하여 발판(5)을 결합시킨후 발판 결합부 내측에 협지홈(3)을 형성시키고 발판저면에는 멜로디 발생장치(8)(9)를 설치하고 쿠션체(1)의 상단 중심부에 결합턱(4a)이 있는 결합홈(4)을 형성하여 이곳에 결합부(11a)에 결합턱(11b)이 구비된 지주(11)를 끼워 결합시키고 지주상단에는 중심공 외주에 신축홈(13)을 형성하고 외주에 나사부(11')를 형성하되 이 나사부는 상협하광한 테이퍼형 나사관으로 형성하여 이곳에 결합너트(12)를 나착케하여 결합너트 중심공으로 삽통되게 손잡이(10a)가 있는 연결관(10)을 끼우게한 구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쿠션체(1)을 세우고 발판(5)위에 두발을 올려놓고 발끝이 협지홈(3)에 투입되게하면 두발을 쿠션체를 안전하게 확포할수 있어 뜀 뛰기 높이를 지속적으로 실시할수 있고 지주(11)상단부의 결합너트(12)를 풀고 연결간(10)을 지주삽입공에 투입하여 손잡이의 길이를 알맞게 조정한후 결합너트(12)를 조이면 지주의 나사부에서 연결간이 고정되어 뜀 뛰기 놀이구의 손잡이를 키에 맞도록 조정할 수 있어서 키가 큰 사람이나 적은 사람에 구애점이 없이 사용할수 있고 지주하단 결합부(11a)를 분리하면 쿠션체와 별도로 보관할 수 있어서 운반이나 보관시 취급이 간편하게 되는 이점이 있으며 발판밑에 멜로디 발생장치(8),(9)를 작동시키고 뜀 뛰기 놀이를 하면 보다 즐거운 놀이가 되어서 보다 재미있는 놀이를 실시할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고무재를 소재로하여 공처럼 만들어진 쿠션체(1)(2)의 접합부 외주에 고정테(1a)(2a)을 형성하여 발판(5)을 결합시킨후 발판 결합부 내측에 협지홈(3)을 형성시키고 발판저면에는 멜로디 발생장치(8)(9)를 설치하고 쿠션체(1)의 상단 중심부에 결합턱(4a)이 있는 결합홈(4)을 형성하여 이곳에 결합부(11a)에 결합턱(11b)이 구비된 지주(11)를 끼워 결합시키고 지주상단에는 중심공 외주에 신축홈(13)을 형성하고 외주에 나사부(11')를 형성하되 이 나사부는 상협하광한 테이퍼형 나사관으로 형성하여 이곳에 결합너트(12)를 나착케하여 결합너트 중심공으로 삽통되게 손잡이(10a)가 있는 연결관(10)을 끼우게한 뜀 뛰기 놀이구.
KR92016585U 1992-08-31 1992-08-31 뜀 뛰기 놀이구 KR950001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585U KR950001350Y1 (ko) 1992-08-31 1992-08-31 뜀 뛰기 놀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585U KR950001350Y1 (ko) 1992-08-31 1992-08-31 뜀 뛰기 놀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134U KR940005134U (ko) 1994-03-16
KR950001350Y1 true KR950001350Y1 (ko) 1995-03-03

Family

ID=1933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6585U KR950001350Y1 (ko) 1992-08-31 1992-08-31 뜀 뛰기 놀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3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940Y1 (ko) * 2014-03-20 2015-04-16 (주)아이비젼 점프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134U (ko) 199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8149A (en) Net posts for ball games
US5616103A (en) Jogger exerciser
US5634870A (en) Resilient platform exercise device
US5374225A (en) Resilient platform exercise device
DK0838229T3 (da) Sprøjte med en Luer-låsedel
KR890000870B1 (ko) 바벨
US20020017596A1 (en) Free standing cane
KR950001350Y1 (ko) 뜀 뛰기 놀이구
US5447483A (en) Crawling exerciser
KR200155056Y1 (ko) 보행놀이용 장대
KR200246158Y1 (ko) 장난감 정리함
KR200275259Y1 (ko) 점핑 놀이구
KR920003527Y1 (ko) 보행 놀이 기구
KR890001173Y1 (ko) 보행운동구
KR890003005Y1 (ko) 썰 매
CA2279604A1 (en) Jump shoe
KR200233897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스케이트보드전용손잡이
KR200225096Y1 (ko) 골프채로 변형이 가능한 지팡이
KR200249807Y1 (ko) 지팡이 유희구
JP2004033681A (ja) 磁石とストラップを内蔵した杖
KR19980015786U (ko) 팽이
KR900008109Y1 (ko) 뜀뛰기 유동유희구
KR200228451Y1 (ko) 다기능 세발 자전거
JPH0221117Y2 (ko)
KR200242723Y1 (ko) 평형유지 놀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