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153Y1 - 자전거의 가변 크락션 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가변 크락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153Y1
KR950001153Y1 KR2019930006900U KR930006900U KR950001153Y1 KR 950001153 Y1 KR950001153 Y1 KR 950001153Y1 KR 2019930006900 U KR2019930006900 U KR 2019930006900U KR 930006900 U KR930006900 U KR 930006900U KR 950001153 Y1 KR950001153 Y1 KR 950001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otary
spring
variab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6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4676U (ko
Inventor
나정구
Original Assignee
나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정구 filed Critical 나정구
Priority to KR2019930006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153Y1/ko
Publication of KR9400246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46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1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00Acoustic signal devices; Arrangement of such devices on cycles
    • B62J3/10Electr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26Handlebar grip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7/00Sirens
    • G10K7/06Sirens in which the sound-producing member is driven by a fluid, e.g. by a compressed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전거의 가변 크락션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자전거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자전거 핸들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덮개를 분리한 상태의 조립도.
제5도의 (a)(b)는 본고안의 작동 상태도로써, (a)는 작동 전 상태의 단면도, (b)는 작동되는 상태의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경보음 발생 회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경보음 발생 회로의 블럭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조립 상태 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케이블 연결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 2 : 회전 손잡이
3 : 케이블 4 : 경보음 발생회로
6 : 스프링 14 : 가변저항
15 : 비교부 16 : 증폭부
17 : 스피커 구동부 19 : 전원부
본 고안은 자전거의 가변 크락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핸들을 돌리면 오토바이의 엔진음과 동일한 음향이 출력되게 하면서, 가변저항에 의하여 핸들을 돌리는 범위에 따라 음량의 고저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자전거를 타면서 오토바이를 타는 듯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자전거는 가솔린 기관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근대로 부터 현재에 이르기 까지 물건의 운반과 교통수단으로써 사람의 이동등 운송 수단으로 넓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인 자전거는 경보음이 발생되는 경보 수단을 구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보 수단의 형태도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시키는 일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자전거는 보다 효과적인 경보음이 제공되어야 할 것을 요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자전거는 상술한 요망 조건을 충족시킬 수 없는 것이었다.
이러한 결점의 원인은 종래 자전거의 경보 수단이 기구적으로 작동하는 타종방식과 전기적 부저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단순한 음색만을 출력하고 음량의 고저를 조절할 수 없는 경보음 만을 출력하기 때문에, 획일적인 경보음만으로는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 시키거나 이용자에게 재미를 줄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들(1)에 역회동 수단을 포함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 손잡이(2)와, 상기 회전 손잡이(2)와 케이블(3)로 연결되어 회전 손잡이(2)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전압이 조절될 수 있게 구성된 경보음 발생회로(4)로 구성 된다.
상기 핸들(1)에 형성된 육후부(5)의 외주연에는 스프링(6)과 덮개(7)를 수용하기 위한 요입부(8)가 형성되어 있다.
요입부(8)의 중앙으로는 스프링(6)이 삽입되고 양쪽에는 스프링(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7)가 올려질 수 있도록 단턱(9)(9a)이 형성되어 한쪽 단턱(9)에는 덮개(7)가 나사(10)로 고정되고, 다른 쪽의 단턱(9a)에는 케이블(3)이 삽입되는 통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 손잡이 쪽을 향한 측면으로는 요입부(8)에 삽입된 스프링(6)을 압축 시킬 수 있도록 회전 손잡이(2)가 삽입되는 삽입홈(12)이 형성되어 있다.
핸들(1)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 손잡이(2)의 일측 벽면으로 부터는 핸들(1)에 형성된 삽입홈(12)에 삽입되는 돌출편(13)이 돌설되어 있다.
돌출편(13)은 삽입홈(12)에 삽입되어 요입부(8)로 들어간 상태에서 윗쪽면은 스프링(6)의 하단을 받쳐 주게되고, 아래쪽 면은 경보음 발생회로(4)의 가변저항(14)에 연결된 케이블(3)이 고정되어 있다.
케이블(3)은 회전손잡이(2)의 회전정도에 따라 길고 짧게 당겨 지면서 가변저항(14)의 전압을 조절하게 된다.
경보음 발생회로(4)는 제6도 및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2)에 케이블(3)로 연결되어 변화된 전압을 출력하는 가변저항(14)과, 가변저항(14)에서 출력된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15)와, 상기 비교부(15)에서 비교 검출된 레벨 값으로 증폭하는 증폭부(16)와, 상기 증폭부(16)에서 증폭된 신호를 받는 스피커 구동회로(17)와, 상기 스피커 구동회로(17)로 부터의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8), 그리고 상기 가변저항(14), 비교부(15), 증폭부(16), 스피커 구동회로(17)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9)를 포함하는 공지의 회로로 구성된다.
전원부(19)는 일반 건전지나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보음 발생 회로는 가변저항의 출력값이 최저치가 되었을때 스피커의 출력음이 급작스럽게 멈추지 않고, 점차로 감소시킬수 있는 타이밍 지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 상태는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6)의 탄성에 의하여 회전 손잡이(2)의 돌출편(13)은 삽입홈(12)의 한쪽 끝부분까지 밀려나 있게 되고, 이는 가변저항(14)의 최저치의 전압을 유지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 손잡이(2)를 돌리면 돌출편(13)이 스프링(6)을 압축시키며 이동하게 되고, 돌출편(13)에 고정된 케이블(3)이 당겨지게 되면서 가변저항의 전압을 상승시키게 됨에 따라 회전 손잡이(2)의 회전 범위에 상응하는 경보음이 음량의 고저가 조절 되면서 출력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구체화 시키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의 장치를 상술한 장치에 특정 시키려 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장치는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이 가하여 질 수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2)를 핸들(1)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두개로 분리되어 결합되는 고정구(20)에 회전 손잡이(2)의 회동구(21)를 삽입한다.
고정구(20)의 내측 원주면에는 회전 손잡이(2)의 회동구(21)가 삽입되어 회동할 수 있는 삽입요홈(22)이 형성되고, 나사(23)로 체결되어 핸들(1)에 고정 된다.
회동구(21)는 회전 손잡이(2)에 견고하게 삽입되어 회전 손잡이(2)와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핸들(1)이 삽입되는 통공(24)이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선단에는 케이클(3)의 한쪽이 고정되는 고정홈(25)이 형성된 고정편(26)이 돌설되어 고정구(26)의 삽입요홈(22)에 삽입된다.
고정편(26)과 회전 손잡이(2)의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홈(25)에 고정된 케이블(3)의 일부가 인출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케이블(3)은 한쪽 끝이 상기 고정홈(25)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제8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보음 발생회로의 가변저항(14)을 구성하는 기판(27)상에서 한쪽이 스프링(28)에 걸려져서 가변저항(14)의 슬라이드홈(30)에 삽입된 노브(29)의 다른 쪽에 고정되어 있다.
노브(29)는 스프링(28)에 의해 항상 당겨져 있는 상태에 있게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노브(29)가 가변저항의 최저치의 전압을 유지하는 상태에 있게 되는 것으로, 회전 손잡이(2)를 회전시키면 케이블(3)이 당겨져서 노브(29)가 슬라이드홈(3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압을 상승시켜, 음량의 고저가 조절되면서 출력되고 회전손잡이(2)를 살짝 놓으면 스프링(28)의 인장력에 의해 노브(29)가 원상태로 돌아가게 되어 음량의 출력이 중단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밍 지연 회로를 경보음 회로에 채택할 경우에는 회전 손잡이(2)가 완전히 원위치 한 다음에도 타이밍 지연 회로의 작용으로 당분간 출력음이 지속되면서 점차 감소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비교부(15)를 오토바이의 크락션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IC회로를 채택하므로서 자전거를 타면서 오토바이를 타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보행자의 상황에 따라 경보음이 고저를 가감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가변저항(14)으로 부터 비교부(15), 증폭부(16), 스피커구동부(17), 전원부(19)로 되는 공지의 경보음 발생 회로(4)를 포함하여서되는 가변 크락션 장치로써 ; 핸들(1)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 손잡이(2)와 ; 상기 회전 손잡이(2)의 회전에 대하여 경보음을 발생 시키기 위하여 한쪽은 회전손잡이에, 다른 한쪽은 가변저항(14)에 연결된 케이블과(3)과 ; 경보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핸들(1)에 고정된 회전 손잡이(2)를 회동시키기 위한 탄발 수단으로 구성되는 자전거의 가변 크락션 장치.
  2. 제1항에 기재된 자전거의 가변 크락션 장치로서, 회전 손잡이를 회동시키기 위한 탄발수단은 핸들(1)에 내설된 스프링(6)의 한쪽을 회전 손잡이(2)로 압축할 수 있게 하여 회전 손잡이를 놓으면 스프링(6)의 탄성으로 회전 손잡이가 복원하게 되는 자전거의 가변 크락션 장치.
  3. 제1항에 기재된 자전거의 가변 크락션 장치로서, 회전 손잡이는 회동시키기 위한 탄발 수단은, 케이블(3)의 한쪽이 회전 손잡이(2)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3)의 다른 한쪽은 스프링(28)으로 슬라이딩 되는 가변저항(14)의 노브(29)에 고정하여서 회전 손잡이(2)를 놓으면 스프링(28)의 인장력으로 회전 손잡이(2)이가 복원하게 되는 자전거의 가변 크락션 장치.
KR2019930006900U 1993-04-28 1993-04-28 자전거의 가변 크락션 장치 KR950001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900U KR950001153Y1 (ko) 1993-04-28 1993-04-28 자전거의 가변 크락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900U KR950001153Y1 (ko) 1993-04-28 1993-04-28 자전거의 가변 크락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676U KR940024676U (ko) 1994-11-17
KR950001153Y1 true KR950001153Y1 (ko) 1995-02-24

Family

ID=1935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6900U KR950001153Y1 (ko) 1993-04-28 1993-04-28 자전거의 가변 크락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1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676U (ko) 199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7431A (en) Indicating light for cycles
US7303199B2 (en) Swinging device for a wheel set
US20080123871A1 (en) Device for Generating Audio Signals
AU2009200268A1 (en) Sound Emitting Device
JP2003252273A (ja) スロットル開度検出装置
KR950001153Y1 (ko) 자전거의 가변 크락션 장치
US6377016B1 (en) Handlebar accelerator for an electrical bicycle
AU693879B2 (en) Improved hood assembly for a reel mounting device
US4099222A (en) Bicycle safety light
US6783139B1 (en) Bicycle having dual-purpose pedal
US3924352A (en) Toy vehicle
US5634383A (en) Bicycle shoe plate holding-down device
EP1000845A3 (en) Motorcycle
US6651528B2 (en) Pedal assembly for children's ride-on vehicles
JP2622212B2 (ja) 小型電動車のバッテリー保持構造
US20040040766A1 (en) Safety handlebar assembly for electric scooters
US20070020042A1 (en) Swing structure for a wheel set
USD354475S (en) Top portion of a housing for a motor vehicle navigational device
JPH0715834Y2 (ja) オートバイのケーブル端カバー
JPH05162673A (ja) 自転車用ブザー
KR890003507Y1 (ko) 확성기
JPS6143092Y2 (ko)
JPS6444290U (ko)
Birch et al. PII: S0048-9697 00 00704-X
ES1055591U (es) Vehiculo infant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