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964B1 - 고정분절형 숫자표기에 의한 전화다이얼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정분절형 숫자표기에 의한 전화다이얼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964B1
KR950000964B1 KR1019920000717A KR920000717A KR950000964B1 KR 950000964 B1 KR950000964 B1 KR 950000964B1 KR 1019920000717 A KR1019920000717 A KR 1019920000717A KR 920000717 A KR920000717 A KR 920000717A KR 950000964 B1 KR950000964 B1 KR 950000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dialing
segment
uni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363A (ko
Inventor
배명진
김을제
Original Assignee
배명진
김을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명진, 김을제 filed Critical 배명진
Priority to KR1019920000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964B1/ko
Publication of KR930017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정분절형 숫자표기에 의한 전화다이얼링 시스템
제 1 도의 (a)는 본 발명에 사용된 고정분절형 숫자표시법의 사용 예시도.
(b)는 (a)의 고정형틀에 있는 고정분절형 숫자표시부에 숫자를 인쇄한 상태의 참고도.
(c)는 (a)의 고정분절형 숫자표시부에 숫자를 수기로 표시한 상태의 참고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분절형 독취부가 구비된 전화기의 시스템의 회로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고정형틀 숫자표시부 4,5,6 : 독취표시부
7 : 시(始)검출기 8 : 종(終)검출기
9 : 고정형틀 발광부 10 : 고정형틀 수광부
11 : 투명유리판 14 : 입출력부
15 : 시스템 처리부 20 : 안내 모서리
본 발명은 전화다이얼링 수단과 관련된 것으로서, 이는 특히 디지탈표시기등의 디지탈 세그먼트와 같은 고정분절형 숫자 표시법을 이용하여 전화 다이얼링을 가능케함으로써, 이러한 전화기 시스템에서의 다이얼링 작업의 편리성을 양호히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전화 다이얼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대중화, 정보화되는 지금수(數)가 지니는 의미는 현대인의 일상생활에서 절대로 떨어질 수 없는 중요한 것이 되었다. 간단히 예를 들면, 주민등록번호, 차번호, 학번, 군번, 여권번호, 수험번호 심지어는 키나 몸무게까지도 수에 의해 의미를 갖게 되었다. 그러므로 처리해야 될 숫자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되었고 이를 위하여 편리하면서도 신속한 수의 입력방법이 요구된다. 숫자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일시시험장에서는 OCR,OMR카드를 이용한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전화기나 계산기에는 키보드가, 상품의 가격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바코드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숫자형태 인식은 이미 70,80년대에 실현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필기체는 필기자의 습성이나 필기 당시의 주위환경에 따라 글씨가 달라지므로 신뢰성이 높은 인식이 어렵고, 실현하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
현재 개인간의 통신은 대체로 전화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것은 주로 키보드를 통하여 숫자정보(특수문자 *, # 포함)를 입력받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한 개인이 주로 사용하는 전화번호는 제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반복적으로 같은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단축키를 사용하는 메모리 전화기가 이용되고 있으나, 정보가 저장된 일정한 전화기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전화기 시스템에서 다이얼링의 편리성을 위해 명함등에 바코드나 또는 특정 숫자를 열거하여 놓고 전화기 시스템에서는 이를 판독하여 다이얼링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유형은 일본국 공개실평 제 1-159448 호에서 알려져 있다.
여기서는 바코드가 표기되어져 있는 명함등을 전화기의 송수화기에 설치한 바코드 인식 시스템을 설치하여 놓고, 바코드 스캐너로 상기 명함등에 표기된 바코드 표시 부위를 검출하면 전화기측의 바코드 인식 시스템에서 그 바코드에 대응한 정보를 획득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유형으로 이뤄져 있거나, 또는 숫자나 문자를 표기한 독취 대상으로 부터 광학적 수단으로 이들 숫자가 문자를 해독하여 다이얼링하는 수단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 바코드를 이용한 방법은 숫자를 표기하는데 따른 바코드 배열이 인쇄매체로 고형화된 형태로 유지 되어져 있어 이러한 표기를 하는데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피하기 어려운 것이었고, 한편으로는 이를 해독하기 위한 바코드 인식 시스템이 전화기측에 구비되어져야 함으로써, 전화기 시스템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고, 상대적으로 이러한 수단이 구비된 전화기 시스템 가격을 상승시키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직접 독취대상이 숫자나 문자를 인식하도록 하는 수단에 있어서도 그것이 패턴인식 수단을 요하게 되는 것이어서 이러한 시스템을 적용하는데 구조적 복합성이나 시스템 가격을 불필요하게 비싸게 하여 범용적 이용을 기대 하는데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 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진 것으로서, 이는 특히 일반적으로 상용화된 7세그먼트 숫자 표기법인 고정 분절형 숫자표기법을 이용하여 표기시킨 전화번호를 시스템 전화기에서 간단히 인식하여 다이얼링 처리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시스템의 구성을 불필요하게 복잡하게 하지 않고 그 가격도 저럼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 전화 다이얼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예의 목적을 구현 할 수 있도록 시종(始終)점과 함께 7 또는 9세그먼트의 디지탈 표기법으로 작성한 전화번호 쓰기의 기본형틀을 갖는 독취표시부와, 이 독취표시부로 부터 시종점 및 7 또는 9 세그먼트의 세그먼트 데이타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기본형틀 독취부와, 이 기본형틀 독취부로 부터 제공된 7세그먼트 디지탈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처리부 및, 이 판독처리부에서 제공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다이얼링부등을 일체로 포함하는 전하 다이얼링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독취표시부(4,5,6)는 제 1 도 (a) 내지 (c)와 같이 시점(1) 및 끝점(3)을 양단에 구비하고 있으며, 이 사이에는 7 또는 9 세그먼트에 의한 고정분절형 숫자표시부(2)가 일정한 고정형틀내에 다수개 배열 되어진 형태로 되어져 있다.
또, 상기 제 1 도 (a)에서는 고정분절형 숫자표시부(2)가 단순히 비워져 있는 상태로 점선에 의한 윤곽만 있으나, 여기에는 특정형태의 숫자를 (b)와 같이 필요한 전화 번호에 맞게 인쇄하거나 또는 직접 점선 흔적을 검정팬 등으로 표기한 (c)와 같은 구성으로 이뤄져 있다.
이러한 표기를 한 독취표시부(4,5,6)나 명함이나 또는 일정한 형태의 종이, 스티카등에 표기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독취표시부(4,5,6)를 인식하는 시스템 전화기에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구현할 수 있다.
즉, 이는 상기 명함 등의 독취표시부(4,5,6)로 부터 시점(1) 및 종점(3)과 7 또는 9 세그먼트의 세그먼트 데이타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기본형틀 독취부와, 이 기본형틀 독취부에 연결 되어져서 이로 부터 제공된 7 세그먼트 디지탈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처리부 및, 이 판독처리부에 이어져서 여기서 제공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다이얼링부등을 일체로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뤄져 있다.
또, 상기 기본형틀 독취부등은 이를 제 2 도와 같이 실현할 수 있다.
즉, 기본형틀 독취부는 전화기 본체(24)에 명함등의 독취표시부(4,5,6)에 구비된 시점(1) 및 종점(3)을 겨냥한 부위에서 시점 및 종점 신호를 생성하는 시검출기(7)와 종검출기(8)가 일정한 이격거리를 갖고서 명함등을 안내하는 안내모서리부(20)측에 설치 되어져 있고, 이들 시검출기(7)와 종검출기(8)와의 사이에는 7 또는 9 세그먼트를 광학적으로 비춰주도록 배열 시킨 고정분절형 발광부(9)와, 이 고정분절형 발광부(9)와 대응된 부위에 배열 시킨 고정분절형 수광부(10)가 각기 투명유리판(11)과 함께 배열 설치되어져 있다.
또, 상기 기본형틀 독취부의 고정분절형 수광부(10)에 각각 연결 되어져서 이것으로 부터 제공된 7 또는 9 세그먼트 디지탈 정보를 판독하여 시스템의 다이얼링부(16)에 전화번호 데이타를 제공 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판독처리부는 고정분절형 수광부(10)의 출력으로부터 신호증폭기(12), 파형정형기(13)등을 통하여 이어진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입출력부(14)와 시스템 처리부(15)로 이룰수 있고, 다이얼링부(16)는 상기 시스템처리부(15)에서 고정분절형 수광부(10)에서 검출된 세그먼트 정보로 부터 숫자 데이타 신호를 생성한 신호를 입력 받아 다이얼링 신호를 아나로그 멀티플렉서(17)로 보내는 통상의 회로로 이뤄져 있다.
여기서의 미설명부호 18은 전화기 회로, 19는 다이얼 자판, 22는 스피커, 23은 표시 장치, 21은 송수화기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그 작용 및 효과가 다음과 같다.
일상적으로 현대인으로 아라비아 수 표현 방식으로 숫자를 사용한다. 아라비아 숫자 형태로 기계에 정보를 직접 입력한다면 사용자에게 편리한 숫자입력법이 된다. 제 1 도 및 제 2 도예의 고정분절형 숫자표시법은 몇개의 고정된 분절선으로 아라비아 숫자 형태를 표현하는 표기법이다. 고정분절형 숫자표시법에는 7-분절표시법과 9-분절표시법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7-분절표시법을 적용한 일예를 보이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제 1 도의 (a)와 같이 고절분절형 숫자표시부(2)를 점선과 같이 숨겨져 있는 상태로 표시하여 이용하거나 또는 (b)와 같이 고정형틀에 의한 독취표시부(5)를 미리 인쇄 수단으로 인쇄처리한 숫자를 표기 하거나 또는 (a)와 같이 비어져 있는 독취표시부(4)상태에서 직접 수기로 쓰여진 독취표시부(6)를 명함이나, 종이등에 표시하여 놓는다.
이렇게 고정분절형 독취표시부(5,6)가 형성된 명함등을 제 2 도와 같이 기본형틀 독취부의 안내모서리부(20)에 맞추고, 이 안내모서리부(20)에 의하여 안내하면서 화살표 방향(26)으로 이송 시키면 독취표시부(5,6)측의 시점(1)이 시점검출기(7)에 의하여 검출 되면서 이동하는 순서에 따라 고정분절형 숫자표시부(2)에 그어져 있는 세그먼트 정보를 고정분절형 수광부(10)에서 검출하여 후단으로 검출된 신호를 송출한다.
이때의 시종검출기(7,8)는 숫자인식 전후의 시간을 감지하여 발광원을 조절하고, 명함등의 카드가 투명한 유리판(11) 위를 지나갈 때 고정분절형 발광부(9)에서 나온 빛은 특수펜으로 작성된 숫자를 비추고 숫자정보는 고정분절형 수광부(10)에 전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후 이 신호는 신호증폭기(12)에서 증폭되고 다시 파형정형기(13)에서 적당한 신호로 조절되며, 다시 판독처리부의 입출력부(14)를 통하여 시스템 처리부(15)로 전달되고 이곳에서 신호를 분석하여 숫자 정보를 얻게 되는 것이며, 이 숫자 정보는 다이얼링부(16)로 전달되어져서 외부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한 전화기본체(24)는 다이얼링을 크게 세가지 방법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우선 통화하기 위해 송, 수화기를 들면 시스템처리부(15)는 고정형틀 독취부의 시검출기(7)와 키보드자판(19)의 입력을 기다린다. 첫번째는 단지 키보드 입력만을 이용한 방법이다.
키보드(19)에 의한 숫자입력이 먼저 들어왔다면 시검출기(7)에 문제가 감지되더라도 고정분절형 발광부(6)와 고정분절형 수광부(7)는 동작을 하지 않고 키보드입력으로써 전화를 다이얼링한다. 두번째는 본 발명에 의한 이용한 방법으로서, 고정형틀 독취부의 시검출기(7)의 입력이 먼저 들어왔다면 고정분절형 발광부(9)의 고정분절형 수광부(10)가 동작하고 투명유리판(11)에 직선이동으로 흘러가는 명함이나 카드등의 독취표시부(5,6)에 표기된 세그먼트의 숫자정보가 입력된다. 받아들여진 신호는 신호증폭기(12), 파형정형기(13), 판독처리부의 입출력부(14)를 통하여 시스템 처리부(15)로 전달되고 이곳에서 판독되어 다이얼링이 행하여 지고 표시장치(23)에도 그 전화번호가 표시 될 수 있고, 이때 정해진 키보드(예를 들면 * 표시)를 눌러 다이얼링하게 할 수 있다.
마지막 방법은 키보드와 본 발명을 함께 이용하는 방법이다.
우선 사용자는 카드에 표시되지 않은 숫자(예를 들면, 지역번호, 국제전화번호 등)를 키보드(19)를 통하여 입력한 후에 정해진 키보드(예를 들면, # 표시)를 눌러 시검출기(7)를 동작시키고 카드에 기재된 숫자정보를 고정형틀 독취부를 통해 입력한다. 표시장치(23)를 통하여 입력된 모든 정보를 확인한 후에 정해진 키보드(예를 들면, * 표시)를 눌러 원하는 곳에 다이얼링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범용화된 디지탈 표시법인 고정분절형 숫자표시법을 이용하여 전화다이얼링을 자동적으로 하게 되면 기존의 OMR, OCR 카드를 이용한 방법에 비하여 단위 면적당 정보의 표시량이 월등히 많다.
OMR, OCR 카드는 나타내려는 하나의 숫자에 대하여 단지 하나이 위치를 변화시켜 나타내므로 허비하는 면적이 넓은 반면에 고정분절형 숫자표시법은 여러 개의 위치가 조합되어 하나의 숫자를 나타내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에 많은 정보를 압축할 수 있다.
또, 기계는 바코드나 마그네틱 테이프를 이용한 표기를 신뢰성있게 인지할 수 있으나, 인간은 바코드나 마그네틱 테이프를 직접 인지, 표기하지 못한다. 또한 인간이 이해하기 쉬운 아라비아 숫자형태는 기계인식이 힘들고 필기체 인식시 신뢰성이 떨어진다.
그러나, 숫자표기형식을 고정분절형 숫자표시법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인간이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신뢰성높은 기계 인식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기체의 인식을 위해선 고속의 처리장치와 대용량 메모리가 필요하므로 전화기와 같이 낮은 가격의 상품에 응용되지 못한다. 고정분절형 숫자표시법에 의한 숫자의 인식은 수기(手記)에 의한 글씨를 인쇄체 인식방법으로 간단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낮은 가격으로 상품을 제조할 수 있다.
자신이 알고 있는 모든 사람의 전화번호를 외우고 있는 경우는 극히 드물 것이다.
그러므로, 명함이나 전화번호 수첩이 사용된다. 이때 명함에 전화번호가 고정분절형숫자표시법으로 적혀있다면 사용자는 키보드 자판을 누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그러나 원하는 명함을 모두 갖고 있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수기(手記)로도 작성될수 있으므로 원하는 전화번호를 7-세그먼트표시의 고정형틀이 있는 독취표시부를 수첩 혹은 카드에 특수펜으로 전화번호를 직접 표기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화 다이얼링을 명함등에 표기된 바코드와 그 바코드인식 시스템이나 또는, 숫자 및 문자인식에 의한 광학적 판독 수단으로 이룰수 있도록한 전화기의 다이얼링 수단에 있어서, 상기 명함등에는 정보의 시작과 끝을 알기위한 시점(1) 및 끝점(3)과 함께 이들 사이에 디지탈 표시기와 같은 7 또는 9 세그먼트에 의한 고정분절형 숫자표시부(2)가 일정한 고정형틀내에 다수개의 배열 되어진 형태로 되어져 있는 독취표시부(5,6)를 갖고 있고, 전화기 시스템에는 상기 독취표시부(5,6)로부터 시점(1) 및 종점(3)과 7 또는 9 세그먼트의 세그먼트 데이타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기본형틀 독취부와, 이 기본형틀 독취부에 연결되어져서 이로 부터 제공된 세그먼트 디지탈 정보를 판독 처리하는 판독 처리부 및, 이 판독처리부에 이어져서 여기에 제공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다이얼링부등이 구비되어져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분절형 숫자표기에 의한 전화 다이얼링 시스템.
KR1019920000717A 1992-01-17 1992-01-17 고정분절형 숫자표기에 의한 전화다이얼링 시스템 KR950000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717A KR950000964B1 (ko) 1992-01-17 1992-01-17 고정분절형 숫자표기에 의한 전화다이얼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717A KR950000964B1 (ko) 1992-01-17 1992-01-17 고정분절형 숫자표기에 의한 전화다이얼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363A KR930017363A (ko) 1993-08-30
KR950000964B1 true KR950000964B1 (ko) 1995-02-06

Family

ID=19328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717A KR950000964B1 (ko) 1992-01-17 1992-01-17 고정분절형 숫자표기에 의한 전화다이얼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9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363A (ko) 199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3694A (en) Portable ocr system
GB1393455A (en) Character recognition systems
US20020126105A1 (en) Combined writing instrument and digital documento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A2120011A1 (en) Integrated Portable Device for Point of Sale Transactions
EP035470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0743614A3 (en) Information processor having two-dimensional bar code processing function
US4132976A (en) Operator readable and machine readable character recognition systems
KR950000964B1 (ko) 고정분절형 숫자표기에 의한 전화다이얼링 시스템
US5984189A (en) Sheet for data codes and method of recognizing these codes
JPS5841542B2 (ja) 光学式文字読取装置
JPS6476176A (en) Identification code reader
US20040105599A1 (en) Automatic identification of destination information in a facsimile transmission device
JP2003108580A (ja) 音声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この音声情報提供システムを用いた音声情報提供事業
KR100374110B1 (ko) 교통위반 딱지 발부 시스템
WO1998002792A2 (en) Data processor input device
JPS5572281A (en) Collating method for print of seal
JPS5668869A (en) Optical character reader
JP2757007B2 (ja) 携帯式時間記録装置
KR100253629B1 (ko) 컴퓨터에의 자료입력이 용이한 명함과 명함 판독기
KR930701884A (ko) 식별 마크 프린터
KR930006232B1 (ko) 명함에 기록된 칼라바코드를 이용한 전화 다이얼링 방법
JP2913937B2 (ja) バーコード印刷方法およびバーコードプリンター
JPH08123761A (ja) 情報変換出力方法およびポータブル式情報変換装置
JPS6412387A (en) Image ocr input device
Wright Peripherals and the 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