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583B1 - 케이블 작업용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케이블 작업용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583B1
KR950000583B1 KR1019910016961A KR910016961A KR950000583B1 KR 950000583 B1 KR950000583 B1 KR 950000583B1 KR 1019910016961 A KR1019910016961 A KR 1019910016961A KR 910016961 A KR910016961 A KR 910016961A KR 950000583 B1 KR950000583 B1 KR 950000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rum
cable
trailer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6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829A (ko
Inventor
윤종질
Original Assignee
윤종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질 filed Critical 윤종질
Priority to KR1019910016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0583B1/ko
Publication of KR930005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4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comprising a vehicle carrying an essential part of the other vehicle's load by having supporting means for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other vehicle
    • B62D53/06Semi-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케이블 작업용 트레일러
제 1 도는 본 발명 트레일러의 평면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 적재장치 및 드럼구동장치부분의 평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 적재장치의 작용설명도로서 제 3a 도는 드럼 안착상태의 측단면도, 제 3b 도는 드럼 적재상태의 측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 주행승강장치의 작용설명도로서, 제 4a 도는 착지상태의 정단면도, 제 4b 도는 견인상태의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동력발생기
3 : 적재장치 3A : 지지부
3B : 적재부 4 : 드럼구동장치
5 : 주행승강장치 6 : 권상장치
32A : 치차 32B : 적재틀
33A : 지지축 33B : 가이드바
34B : 실린더 36A : 지지판
38 : 스토퍼 42 : 구동모터
43 : 크러치부 52 : 고정판
53 : 차축 54 : 실린더
56 : 운전조작부
본 발명은 통신용 케이블 설치작업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용케이블은 회선의 폭발적인 증대로 규격이 대형화하고 있고 지중화되는 현실에 있어서 그 설치작업이 매우 곤란한 실정에 있다. 더욱이 케이블은 드럼에 감긴상태로 공급되고 중량체이므로 케이블을 설치할때나 설치된 케이블을 철거하여 드럼에 감아 이것을 이동하는 일은 매우 큰 중노동에 해당한다.
그래서 인력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환경에서 능률적인 케이블 설치작업이 실현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비교적 적은 인원으로 케이블 드럼의 상, 하차는 물론 케이블을 드럼에서 풀어내거나 감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기계장치를 구성하여 케이블 작업이 편리한 트레일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트레일러(T)는 제 1 도에서와 같이, 프레임(1)과, 프레임(1)의 전방상면에 구비된 동력발생기(2)와, 프레임(1)의 후방요소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케이블드럼(D)을 상하이동시키는 적재장치(3)와, 적재장치(3)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케이블드럼(D)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드럼구동장치(4)와, 상기 동력발생기(2)의 일측에 구비되어 프레임(1)을 이동하거나 상하로 회동시키는 주행승강장치(5)와, 프레임(1)의 전방에 구비되어 작업용 와이어를 감아들이는 권상장치(6)로 구성된다.
프레임(1)은 통상의 금속재로 형성되며, 그 전방에 견인용 차량의 후부와 연결되는 연결구(11)가 구비되며 후방양측에는 구름이동하는 바퀴(12)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동력발생기(2)는 후술하는 적재장치(3)와 드럼구동장치(4), 주행승강장치(5) 및 권상장치(6)에 동력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며, 그 엔진을 통상의 가솔린 또는 디젤엔진 등으로 활용한다.
적재장치(3)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서와 같이 드럼(D)을 끼워 고정하는 지지부(3A)와, 지지부(3A)를 승강시키는 적재부(3B)로 구성된다.
지지부(3A)의 구성은, 양단에 베어링(31A)를 구비하고 그 어느 일측에 치차(32A)를 형성한 지지축(33A)과, 베어링(31A)의 내측요소에 고정설치되고 그 외면에는 드럼(D)의 고정구멍(D1)에 삽입되는 고정핀(34A)이 상하 이동고정될 수 있도록 조절장공(35A)을 형성한 지지판(36A)과, 베어링(31A)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외면에 고정볼트(37A)를 구비한 스토퍼(38A)로 이루어진다.
적재부(3B)의 구성은, 상기 베어링(31A)을 안착고정하는 클램프(31B)를 구비한 한쌍의 적재틀(32B)과, 적재틀(32B)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도록 프레임(1) 상면에 고정설치되며 각각 한쌍으로 구성된 가이드바(33B)와, 적재틀(32B)과 프레임(1) 사이에 고정설치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신축하며 적재틀(32B)을 승강시키는 실린더(34B)로 이루어진다.
드럼구동장치(4)는, 상기 적재부(3B)의 어느 일측에 고정설치된 받침판(41)과, 받침판(41) 상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42)와, 구동모터(42)의 구동축과 상기 지지축(33A)의 치차(32A) 사이를 선택적으로 치합, 분리시키는 크러치부(43)로 이루어지고 주행승강장치(5)는 제 4 도에서와 같이, 양단에 전륜(51)이 설치되고 그 사이에는 고정판(52)을 구비한 차축(53)과, 고정판(52)과 프레임(1) 상면의 설치대(13) 사이에 구비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차축(53)을 승강시키는 좌우한쌍의 실린더(54)와, 차축(53)의 전후요동을 방지하도록 프레임(1)과의 사이에 구비된 지지바(55)와, 차축(53)의 조향과 구동 및 승강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대(1) 상면에 구비된 운전조작부(56)로 이루어져 있다.
권상장치(6)는 소정의 드럼에 와이어를 권상할 수 있는 정도의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드럼을 동시에 권상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57)는 조향기어부이고, (58)은 핸들이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 트레일러(T)는, 작업에 사용되는 드럼(D)에 지지축(33A)을 삽입하여 드럼(D)의 면이 지지판(36A)과 접촉되도록 한 뒤 스토퍼(38A)를 드럼(D)의 타측면에 밀착되도록 고정시킨다.
이때 드럼(D)의 크기에 따라 구비된 고정구멍(D1)에 지지판(36A)의 조절장공(35A)을 일치시켜 고정핀(34A)으로 고정시키므로 드럼(D)은 지지축(33A)의 회전시에 같이 회전되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의 드럼(D)을 프레임(1)의 사이로 삽입하면 제 3a 도에서와 같이, 지지축(33A) 양단의 베어링(31A)이 적재틀(32B)에 안착상태가 되며 클램프(31B)를 조이면 지지축(33A)의 분리우려는 배제된다.
고정완료후 적재틀(32B)과 프레임(1) 사이의 실린더(34B)를 신장시키면, 적재틀(32B)은 가이드바(33B)에 안내되면서 상승하여 제 3b 도에서와 같이 적재완료상태가 된다.
드럼(D)을 적재하고 작업현장으로 이송된 트레일러(T)는 프레임(1) 전방의 연결구(11)가 이송차량(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된 상태로서 제 4b 도의 상태가 된다.
이때에 실린더(54)는 긴축된 상태로서 전륜(51)은 상승된 상태이며 따라서 핸들(58)도 상승된 상태가 된다.
이송차량과의 분리를 위해 운전조작부(56)에서의 조작이 개시되면 실린더(54)는 신장하며, 이에따라 제 4a 도에서와 같이 전륜(51)이 지면에 착지된 상태가 되고, 이후 동력발생기(2)에서 동력을 받은 전륜(51)을 구동시켜 트레일러(T) 전체를 후진시킴으로서 연결구(11)의 분리는 완료된다. 여기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동력발생기(2)와 차축(53)과의 사이에는 유압 또는 공압모터로서 전달하도록 하여 주행승강장치(5)의 승강에 구애됨없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함은 물론이다.
분리된 트레일러(T)는 작업위치의 맨홀로 이동되며, 맨홀의 연결관에는 권상장치(6)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타측 맨홀측으로 관통시키고, 그 와이어의 끝단에 케이블을 고정하여 당겨줌으로써 케이블을 설치하게 되는 것이고 일측 맨홀에서 와이어를 당기면, 타측 맨홀입구에 준비된 드럼(D)에서는 케이블을 풀어주어야 하는바, 이때에는 적재틀(32B) 일측의 드럼구동장치(4)를 이용하여 드럼(D)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지지축(33A) 일단의 치차(32A)는 구동모터(42)의 크러치(43)를 접속시킴에 따라 구동모터(4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작동은 케이블의 철거시에는 역회전으로 구동되게 조작하므로서 케이블을 풀어내어 가설하거나 철거한 케이블을 드럼에 감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본 발명 트레일러(T)는 기계적 작동에 의해 드럼을 적재하거나 하차하고 케이블을 풀고 감는 작업을 수행하므로 최소한의 인원으로 능률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Claims (1)

  1. 프레임(1)의 전방 상면에 구비된 동력발생기(2)와, 프레임(1)의 후방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드럼(D)을 안착 고정하여 상하이동시키는 적재장치(3)와, 적재장치(3)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드럼(D)을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시키는 드럼구동장치(4)와, 상기 프레임(1)의 전방에 구비되어 프레임(1)을 이동 및 소정범위에서 상하회동시키는 주행승강장치(5)와, 프레임(1)의 전방에 구비되어 작업용 와이어를 감아들이는 권상장치(6)를 갖추어서 구성되는 케이블 작업용 트레일러.
KR1019910016961A 1991-09-26 1991-09-26 케이블 작업용 트레일러 KR950000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961A KR950000583B1 (ko) 1991-09-26 1991-09-26 케이블 작업용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6961A KR950000583B1 (ko) 1991-09-26 1991-09-26 케이블 작업용 트레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829A KR930005829A (ko) 1993-04-20
KR950000583B1 true KR950000583B1 (ko) 1995-01-26

Family

ID=19320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6961A KR950000583B1 (ko) 1991-09-26 1991-09-26 케이블 작업용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05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829A (ko) 199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3218B1 (en) Cable pulling machine
US7819262B1 (en) Apparatus for covering semitrailer payloads
US4650163A (en) Hydraulic winch
AT521032A4 (de) Universallaufwagen mit Zwangsausspulung des Zugseils beziehungsweise des Hubseiles im 2- und 3-Seilbetrieb
US3971484A (en) Truck mounted carpet handling equipment
US4972538A (en) Launching apparatus for transportable bridges
CN218620225U (zh) 一种辅助杆上作业的电动旋转升降绝缘平台
US5263809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with multi-directional anchoring
KR950000583B1 (ko) 케이블 작업용 트레일러
US2954136A (en) Pipe-handling vehicle
US3963130A (en) Coil unloader
US20050019142A1 (en) Boulder moving device and method
US3291256A (en) Apparatus for placing aerial flexible elongate members
US5054744A (en) Pulling device for removing ground embedded structures
US4568035A (en) Oilfield cable service trailer
CN201132716Y (zh) 车载多用机
IT201800005000A1 (it) Elevatore e sistema elevatore comprendente lo stesso
US3429374A (en) Oil well electrical cable tensioning
PT83167B (pt) Aperfeicoamento num guindaste transportavel montado numa plataforma articulada
CN209740573U (zh) 一种带排绳挖泥绞车
US4382325A (en) Heavy pipe joining system
CN216583846U (zh) 一种液压轮胎式船艇搬运机
CA2536924A1 (en) Transporter for ride-on power trowel
CN218536815U (zh) 光伏组件转运设备
US3336002A (en) Apparatus for lashing and placing aerial cable and str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