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003B1 - 교체형 분무 노즐 - Google Patents

교체형 분무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003B1
KR950000003B1 KR1019870014174A KR870014174A KR950000003B1 KR 950000003 B1 KR950000003 B1 KR 950000003B1 KR 1019870014174 A KR1019870014174 A KR 1019870014174A KR 870014174 A KR870014174 A KR 870014174A KR 950000003 B1 KR950000003 B1 KR 950000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hamber
flow
orific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134A (ko
Inventor
하루취 제임스
Original Assignee
스프레잉 시스템즈 컴패니
에드워드 제이. 오브리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잉 시스템즈 컴패니, 에드워드 제이. 오브리언 filed Critical 스프레잉 시스템즈 컴패니
Publication of KR88000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7/125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means being flui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 B05B1/26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with fixed deflectors
    • B05B1/267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with fixed deflectors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eflected in determined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05B7/0483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with gas and liquid jets intersecting in the mixing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integral means for shielding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limit area of spray; with integral means for catching drips or collecting surplu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Landscapes

  • Nozz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교체형 분무 노즐
제 1 도는 본 발명의 특징을 나타내는 신규하고 개선된 분무 노즐의 부분단면의 정면도이며, 이는 제 2 도의 선 1-1을 따른 부분 단면의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선 2-2을 따른 부분 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선 3-3을 따른 부분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선 4-4을 따른 부분 단면도.
제 5 도는 노즐 일부의 분해 사시도.
제 6 도는 노즐 부분의 일부분을 변형시킨 분해 사시도.
제 7 도는 제 2 도와 유사하거나 공기 보조식 노즐을 유압식 노즐로 교체한 노즐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분 노즐 11 : 노즐 본체
12,13 : 제 1 및 제 2 단부 16 : 액체 유입구
20 : 노즐 팁 21 : 플랜지
22,23,33 : 캡 26 : 편향 플랜지
25,45 : 오리피스 32 : 격막
35 : 압축 스프링 46 : 거르개
48 : 핀 55 : 바아
56 : 혼합 챔버 60 : 홀
65 : 셧-오프 밸브 71 : 슬리이브
73 : 키이
본 발명은 분무 노즐에 관한 것이며, 특히, 농약같은 액체 살포에 적절한 분무 노즐에 관한 것이다.
농약은 일반적으로 공통 지지 부움(boom)을 따라 이격.지지된 다중 분무 노즐을 통해 살포된다. 특히, 최근에 이르러서, 상기 농약은 "편향 배출 수단을 가진 공기 보조식 노즐"이라는 명칭의 동시 계류중인 미합중국 출원 일련 번호 제815,117호에 개시된 공기 보조식 노즐로 효과적으로 살포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노즐에서, 가압 공기 흐름은 노즐의 본체로 분사되어 노즐의 분무 팁에서 배출되기 전에 액체를 예비 분무시킨다.
그러나, 일부예에서, 가압 액체가 노즐 팁에서 배출될때, 분무 패턴이 형성되는 비-공기 보조식 노즐(즉, 통상의 유압식 노즐)로 농약을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인 농업용 분무 부움에 장착된 비교적 많은 수의 각각의 분무 노즐 때문에, 공기 보조식 유압식 노즐로 또는 그 역으로 교체하는 것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공기 보조식 살포와 통상의 유압식 살포를 모두 선택하고자하는 사람은 두 유형의 노즐 조립체를 구입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하고 쉽게 노즐을 교체함으로써 공기 보조식 노즐이나 유압식 노즐 둘다를 사용할 수 있는 새롭고 개량된 분무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하고 값싼 노즐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가 공기 보조식 노즐이나 유압식 노즐로 사용될 수 있도록 본체내로 상호교체 가능하게 삽입하기에 적절한 내부 부품을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 본체에 사용할때, 액체가 노즐에서 배출되기 전에 양호하게 예비 분무되도록 가압공기 및 액체를 난류 혼합시키는 삽입부재의 신규한 구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첨부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좀더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양호한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아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후술하는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그 사상 및 범위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수정된 구성 및 균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액체를 분무하는데 사용되고, 특히 액체 비료 또는 농지용 경작지에 살충제를 분무하기 위한 분무 노즐(10)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분무 노즐이 농업용으로 사용될 경우, 몇몇 노즐은 고압하에 액체를 노즐로 전달하는 메니포울드로서 역할을 하는 세장형 중공 부움(도시되지 않음)을 따라서 이격, 고정되어 있다. 참고로 미합중국 특허 제4,527,745호(버터필드외 다수)에는 본 노즐이 부움 또는 파이프에 고정될 수 있고, 그로부터 가압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동일종 형태의 노즐에 대한 설명이 개시되어 있다.
노즐(10)은 플래스틱으로 주조되고, 외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대향단부 허브(12)(13)를 구비한 세장형 중공 본체(11)를 포함한다.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허브(14)는 일체로 성형되고, 본체의 한쪽에서 돌출되어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15)로부터의 가압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부움과 통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15)를 수용한다. 허브(14)의 하부 단부에는 원형 유입구(16)를 통해 액체가 노즐 본체(11)로 투입되는 원형 유입구(16)(제 2 도)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노즐 팁(20)은 본체(11)의 허브(12)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팁을 장착하기 위하여, 허브(12)에는 허브상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너트 또는 캡(22)을 조임으로써 허브(12)의 단부로 조여지게 되는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주변 플랜지(21)가 형성된다. 환형 개스킷(23)은 플랜지(21), 캡(22) 및 허브(12) 단부사이에 삽입되어 팁의 둘레를 밀봉한다.
축방향으로 뻗은 배출 오리피스(25)는 노즐 팁(20)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노즐 팁은 배출 오리피스(25)를 통해 흐르는 액체의 이송선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편향 플랜지(26)(제 2 도)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체는 편향 플랜지(26)와 강하게 충돌하여 분산되고, 비교적 작은 크기의 입자로 분무된다. 또한, 편향 플랜지는 노즐 본체(11)의 축과 횡방향인 윤곽이 뚜렷한 편평한 팬 분무 형태로 입자를 송출한다. 노즐팁(20)과 배출 플랜지(26)의 구조, 작동 및 장점은 상기 언급된 미합중국 출원 일련 번호 제815,117호에 좀 더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유입구(16)를 경유해 노즐 본체(11)로 유입되는 액체는 원통형 튜브(30)(제 2 도)에 의해 종방향으로 흐르는 흐름의 형상을 이룬다. 튜브는 본체와 동축을 가지며, 본체의 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어 있고, 이의 하류 단부는 (31)에서 본체에 나사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미합중국 출원 일련 번호 제818,210호(공동 양도된 버터 필드외 다수)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튜브는 탄력적이고 유연한 격막(32)와 상호 작용하여 가압된 액체를 유입 파이프(15)로 공급하는 것을 중단한 후에, 액체가 노즐 팁(20)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앤티드립(antidrip) 밸브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격막은 튜브(30)의 상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이의 주변 가장자리는 허브상에 나사형으로 형성된 캡(33)과 허브(13)의 단부사이에서 조여진다. 밸브 피동체(34)는 캡내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지지되며, 격막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30)의 상류 단부에 대해 격막을 닫힌 위치로 부세하는 코일 압축 스프링(35)이 캡에 끼워져 있다. 가압하의 액체가 유입 파이프(15)를 경유해 노즐 본체(11)로 전달될때, 가압된 액체는 격막(32)이 튜브의 상류 단부에서 떨어지게 하여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가 튜브를 통해 흐를 수 있고, 노즐 팁(20)에서 분무될 수 있게 한다. 압력 원에서 액체를 차단시키면, 스프링(35)은 액체가 노즐 팁 바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격막(32)을 튜브(30)의 상류 단부와 밀봉 상태로 맞물리게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노즐(10)은 상기 문헌 버터 필드외 다수의 출원에 개시된 노즐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압식 또는 비-공기 보조식 노즐로써 사용하기에 본질적으로 적절하다. 순수한 수압 노즐(즉, 비-공기 보조식 노즐)에서, 가압 액체는 비교적 빠른 유속으로 노즐을 통해 전달하고, 노즐 팁(20)에서 분무될 때, 비교적 큰 입자로 분산된다. 유압식 노즐은 물의 함량이 많은 비교적 대량의 액체 화합물 용액을 경작지에 분무하고자 하는 조건하에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다른 농업용 살포시에, 공기 보조식 노즐은 순수 유압식 노즐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공기 보조식 노즐은 액체가 비교적 느린 유속에서 노즐을 통해 흐르고, 가압된 공기의 흐름이 노즐로 주입되어 액체가 노즐 팁에서 분무되기 전에 액체를 먼저 분산 또는 분무시키는 노즐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공기 보조식 노즐은 비교적 소량인 농도가 높은 화합물 용액을 주어진 면적의 경작지에 분무시키고자 하는 상황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노즐(10)에는 노즐을 공기 보조식 형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노즐에 놓이고, 유압식 형태로 사용되도록 노즐을 변환시키기 위해 노즐에서 쉽게 착탈시킬 수 있는 특수한 삽입 부재(40)가 제공된다.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 부재(40)는 각 형태의 노즐의 공급을 유지할 필요 없이 교체시키고자 할때 부움으로부터 한 형태의 노즐을 착탈시키고, 부움에 따른 형태의 노즐을 설치할 필요없이, 노즐(10)을 공기 보조식에서 유압식으로 또는 그 역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삽입 부재(40)는 황동 또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 제조된 튜브형 오리피스 부재(41)(제 2 도 및 제 5 도)를 포함한다. O-링(42)(제 2 도)은 오리피스 부재(41)의 바깥 둘레 주변의 홈(43)내에 끼워맞춰 있으며, 오리피스 부재와 튜브 사이를 밀봉하도록 튜브(30)의 내부벽에 대해 압압되어 있다.
오리피스 부재(41)의 하류 단부 부분에는 튜브(30)에서 노즐 팁(20)으로 흐르는 액체의 유속을 줄이도록 작동하는 유동 제한 오리피스(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특별한 예에서, 오리피스는 직경이 작은 단부가 원통형 하류 부위와 연결된 원추형 상류 부위를 포함한다.
더러운 이물질 입자는 액체가 오리피스(45)를 통해 흐르기 전에 액체로부터 여과 분리된다. 이를 위해서는 튜브 스크린형 거르개(46)는 오리피스 부재(41)의 상류에서 뻗어 있고, 튜브로 들어가는 액체가 오리피스(45)로 흐르기 전에 거르개를 통해 방사상으로 통과하도록 튜브(30)의 벽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이격되어 있다. 거르개(46)의 한쪽 단부는 오리피스 부재(41)의 상류 단부와 접촉하는 반면에, 거르개의 다른 단부는 핀(48)의 헤드(47)(제 5 도)와 접촉하고, 이에 의해 닫혀진다. 핀은 거르개와 오리피스 부재의 상류단부에 미끄러져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1 도 내지 제 5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핀(48)은 십자형의 횡단면을 이루고, 액체가 거르개를 통해서 오리피스 부재로 흐르도록 하는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4개의 일정각으로 이격된 핀(49)이 형성되어 있다(제 5 도). 삽입 부재(40)를 노즐 본체(11)에서 착탈시킬 경우, 핀(48)을 오리피스 부재(41)밖으로 잡아 당길 수 있고, 거르개(46)를 핀에서 잡아당겨 빼내어 청소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거르개(46)를 지지하기 위한 변형 핀(48)이 제 6 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핀은 중공형이고, 원통형이며 액체가 핀으로 흐른 후, 오리피스 부재(41)로 흐르게 하는 일정 각으로 이격되고, 종방향으로 뻗어 있는 4개의 슬롯(49)이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으로 이격된 두개의 링(50)은 핀(48) 주변에 원주 방향으로 뻗어있고, 핀 본체에 방사상 외측으로 이격된 관계로 거르개를 지지하고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삽입 부재(40)는 세장형 충돌 부재(55)(제 5 도)를 포함하는데, 이 충돌 부재는 오리피스(45)를 통해 흐르는 액체의 흐름을 분산시키고, 그 액체를 역시 충돌 부재에 의해 분산되는 가압 공기 흐름과 혼합시킨다. 여기서, 충돌 부재(55)는 세장형이며, 납작한 바아 형태로 오리피스 부재(41)의 하류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바아는 직사각형의 횡단면 형태를 갖는다. 바아(55)는 노즐 본체(11)내에 형성된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축방향으로 세장형인 혼합 챔버(56)로 종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 2 도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바아(55)는 바아의 전체 둘레 주변의 챔버 원형 벽에서 내측으로 이격되어 있다.
횡방향으로 뻗은 원형 홀(60)은 바아(55)를 관통하여 오리피스(45)의하류에 직접 형성된다. 홀(60)은 오리피스(45)와 연결되어 있으며, 가압액체가 오리피스에서 방출될때, 홀의 하류 벽과 충돌된다. 따라서, 하류벽에는 액체를 횡방향으로 편향시켜 분산시키고, 챔버(56)를 통해 바아(55)의 양측면을 따라 흐르도록 하는 충돌 표면이 형성되어 있다.
액체가 챔버(56)를 통해 흐름에 따라, 이 액체는 노즐 본체(11)에 형성되어 있고 챔버에 횡방향으로 뻗어있는 원형 공기 유입구(62)(제 3 도)를 통해 챔버(56)로 투입되는 가압 공기 흐름과 챔버를 통해 흐르는 액체의 흐름에 비해 예비적으로 분산된다. 유입구(62)는 노즐 본체(11)에 연결되어 있고, 셧-오프 밸브(65)에 의해 가압 공기의 공급과 연결되는 가요성 튜브(64)에 연결되는 부착물(63)(제 1 도 및 제 3 도)의 내부 단부에 위치한다. 밸브가 개방될 경우, 가압 공기의 흐름은 챔버(56)에 횡방향으로 분사된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62)의 축은 바아(55)에 홀(60)의 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거나, 포트의 직경은 홀(60)의 직경보다는 작고, 이의 축은 홀의 축으로부터 하류 방향으로 오프세되어 있다. 그 결과, 공기 유입구(62)의 면적의 약 절반만이 홀(60)의 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으나, 포트의 직경은 홀(60)의 직경보다는 작고, 이의 축은 홀의 축으로부터 하류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그 결과, 공기 유입구(62)의 면적의 약 절반만이 홀(60)과 정합되어 있어, 공기 유입구의 하류의 절반은 바아(55)의 측면(66)(제 4 도)과 대향관계를 이룬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표면(66)에는 공기 흐름을 편향시키고 분산시키는 충돌 표면이 형성되어 있다. 액체 흐름을 예비 분무시키기 위한 난류는 충돌 표면(66)에 의해 분산되는 공기 흐름, 홀(60)의 벽에 의해 분산되는 액체 흐름 및 종방향으로 흐르는 액체 흐름에 횡방향으로 투입되는 공기 흐름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액체는 미분 입자 형태로 노즐 팁(20)으로 흐르게 된다.
삽입 부재(40)는 바아(55)와 일체로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하류 단부가 원통형 슬리이브(71)에 연결된, 방사상으로 이격된 2개의 웨브(70)(제 5 도)에 의해 완성된다. 슬리이브의 하류 단부에는 노즐 본체(11)의 하류 단부 부위에서 밀봉 개스킷(23)과 내부 숄더사이의 캡(22)에 의해 조여지도록 되어 있는 방사상 외측으로 뻗어 있는 플랜지(72)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72)의 상류 면에 있는 축방향으로 뻗은 키이(73)(제 5 도)는 노즐 본체에 일정한 각을 형성하며 삽입 부재(40)를 향하도록 노즐 본체(71)의 키이 홈에 끼워 맞춰져서 홀(60)의 축이 공기 유입구(62)의 축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삽입 부재(40)가 노즐 본체(11)의 위치에 있을시에, 액체 흐름의 유속은 오리피스(45)에 의해 감소되며, 흐름은 홀(60)의 벽과의 상호 작용, 바아(55)의 충돌 표면(66), 액체 흐름과 공기 흐름 사이의 상호 횡방향 유동 관계에 의해 예비 분무된다. 삽입 부재(40)는 단순히 캡(22)의 나사를 풀고, 캡, 노즐 팁(20) 및 밀봉개스킷(23)을 유니트로서 본체(11)에서 분리해낼 수 있다. 그후에, 부착된 핀(48)과 거르개(46)를 가진 삽입 부재는 본체(11)의 하류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된다.
삽입 부재(40)가 본체(11)에서 분리되었을때, 노즐(10)은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56)에 튜브형 거르개(80)를 놓음으로써 유압식 형태로 사용하도록 변환될 수 있다. 거르개(80)는 핀(48) 또는 (48')와 유사하며, 하류 단부에 방사상으로 뻗은 플랜지(83)가 형성되어 있는 핀(81)에 끼워맞춰져 있다. 플랜지(83)는 캡(22)과 노즐 팁(20)이 본체상에서 역방향으로 나사를 조일때, 개스킷(23)에 의해 본체(11)의 내부 숄더에 대해 조여지게 된다. 캡(22)을 좀더 빨리 조립 및 해체하기 위하여, 캡은 미합중국 특허 제4,527,745호(버터필드외 다수)에 개시된 바와 같은 급속 분리 삽입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거르개(80)는 상기 특허에 개시된 거르개와 유사하게 될 수 있다.
유압식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 노즐(10)을 제 7 도에 도시된 형태로 장치할 경우, 공기 유입구 형성 수단(63)은 액체가 이 공기 유입구 형성 수단을 통과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닫혀진다. 이는 밸브(65)를 차단하거나, 튜브(64)를 클램프로 닫혀지도록 조이거나, 또는 상기 수단(63)에서 튜브를 분리하고, 플러그를 수단내로 삽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발명은 비교적 유속이 느린 형태의 공기 보조식과 비교적 유속이 빠른 형태의 비-공기 보조식 사이에서 빠르고 쉽게 교체될 수 있는 새롭고 개량된 노즐(10)에 관한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공기 보조식 형태로 사용될때, 노즐은 공기 및 액체 흐름과 삽입 부재(40)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서 예비 액체의 분무에 우수한 영향을 끼친다.

Claims (11)

  1. 제 1 단부(12) 및 제 2 단부(13)를 구비한 세장형 중공 노즐 본체(11) ; 상기 본체(11)내에 형성된 챔버(56) ; 가압된 공기 흐름이 통과하여 상기 챔버(56)에 분사될 수 있는 공기 유입구(62)를 형성하는 상기 본체내의 수단(63) ; 액체를 상기 본체(11)에 주입하기 위한 액체 유입구(16)를 형성하는 상기 본체내의 수단(14) ; 상기 액체를 상기 챔버(56)를 통해 유동시켜 상기 유체를 공기 유입구(62)를 통해 상기 챔버에 분사된 가압공기 흐름과 혼합시킴으로써 상기 챔버(56)에서 상기 액체를 예비분무시키는 상기 본체내의 수단 ; 상기 액체 유입구(16)에서 이격 배치되며 상기 본체(11)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삽입된 오리피스 부재(41) ; 상기 본체(11)의 제 1 단부(12)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챔버(56)과 연통하여, 상기 챔버(56)에서 예비 분무된 액체를 수용하고, 상기 액체가 상기 노즐로부터 분무되도록 하는 배출 오리피스(25)를 형성하는 수단 ; 및 상기 액체 흐름이 상기 배출 오리피스(25)에 도달하기 전에 액체 흐름의 유속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상기 액체 흐름이 상기 챔버(56)를 통해 흐르도록 하기 위해 상기 오리피스 부재(41)를 본체(11)에서 떼어낼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는 상기 본체(11)상의 수단(22)을 포함하며, 상기 오리피스 부재(41)는 상기 액체 흐름이 상기 액체 유입구(16)로 유입된 후 상기 액체 흐름이 상기 공기 흐름에 의해 상기 챔버(56)내에서 예비 분무되기 전에, 상기 액체 흐름의 유속을 제한하기 위한 오리피스(4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보조식 노즐을 비-공기 보조식 노즐로 교체할 수 있는 분무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56)는 세장형이며, 상기 공기 흐름은 상기 챔버(56)에 횡방향으로 분사되고, 상기 액체 흐름은 상기 챔버에 종방향으로 흐르며, 상기 챔버내에는 상기 공기 및 액체 흐름의 혼합을 촉진시키고 상기 액체의 예비 분무를 촉진시키도록 상기 공기 및 액체 흐름을 편향시키기 위한 수단(55)을 포함하며, 상기 편향 수단(55)은 상기 오리피스 부재(4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리피스 부재(41)와의 유니트로서 상기 본체(11)에서 떼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노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수단은, 상기 챔버(56)의 종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이의 벽에서 횡방향 내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오리피스 부재(41)와 일체를 이루는 바아(55) ; 및 상기 바아(55)를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오리피스 부재(41)내의 오리피스(45)의 하류에 직접 위치하여 오리피스(45)와 연통하는 홀(60)을 포함하므로써 상기 오리피스(45)를 통해 배출된 액체를 상기 홀(60)의 하류 벽과 충동시키고, 상기 바아(55)의 측면을 따라 흐르도록 횡방향으로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노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60)의 축은 상기 공기 유입구(62)의 축 상류와 평행하게 뻗어 그 상류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62)는 상기 홀(60)과 일부만이 정합하므로써, 상기 공기 유입구(62)를 통해 분사된 공기 흐름의 일부가 상기 바아(55)와 충돌하는 반면, 상기 공기 흐름의 나머지는 상기 홀(60)을 통해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노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부재(41)는 튜브형이고, 상기 오리피스 부재(41)의 상류 단부에는 핀(48)이 끼워 맞춰져 있으며, 상기 핀(48)에는 튜브형 거르개(46)가 끼워져 맞춰져 있고, 상기 핀(48)은 액체가 상기 거르개(46)를 통해 상기 오리피스 부재(41)로 흐르게 하는 수단(4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노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56)와 연통하여 상기 편향 수단(55)의 하류 단부상에 위치하는 슬리이브(71) ; 상기 슬리이브(71)의 하류 단부상에서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플랜지(72)를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는 수단은 상기 본체(11)의 제 1 단부(12)에 대해 상기 플랜지(72)를 조이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의 제 1 단부(12)상에 위치하는 캡(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노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오리피스(25)가 상기 캡(2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노즐.
  8. 챔버(56)를 형성하는 중공 노즐 본체(11) ; 가압 공기 흐름이 통과하여 상기 챔버(56)로 흐를 수 있는 공기 유입구(62)를 형성하는 상기 본체(11)내의 수단(63) ; 상기 공기 유입구(62)를 통해 가압 공기를 보내기 위해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수단 ; 상기 본체(11)에 액체 흐름을 주입하기 위한 액체 유입구(16)를 형성하는 상기 본체내의 수단(14) ; 상기 액체 유입구(16)를 통해 가압 액체를 보내기 위한 수단 ; 상기 본체(11)에 착탈식으로 장착시킬 수 있는 삽입 부재(40) ; 및 상기 챔버(56)에서 예비 분무된 액체를 수용하고,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액체를 소정 패턴의 액체 방울로 분무시키기 위해 상기 챔버(56)와 연통하는 배출 오리피스(25)를 형성하는 분무 팁(20)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부재(40)는 상기 본체(11)에 주입된 액체가 통과하게 되는 내부 액체 흐름 통로, 및 가압 공기 유입 수단의 작동시에 상기 액체를 충돌시켜서 상기 액체를 편향시키고, 상기 공기 유입구(62)에서 상기 본체 챔버(56)로 주입된 가압 공기 흐름과 상기 액체를 혼합함으로써 상기 챔버(56)내에서 상기 액체를 예비 분무시키기 위한, 상기 액체 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액체 통과 방향과 일직선을 이루는 충돌 표면(5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무 노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의 액체 흐름 통로가 상기 충돌 표면(55)에 충돌하기 전에 상기 액체 흐름의 유속을 제한하기 위한 오리피스(45)를 형성하는 액체 분무 노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62)는 상기 삽입 부재 통로를 통과한 액체의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가압 공기 흐름을 상기 챔버로 유입시키고, 상기 공기유입구(62)는 가압 공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충돌 표면(55)을 가로질러 통과하게 되도록 가압 공기를 상기 챔버(56)로 유입시키며, 상기 삽입 부재의 충돌 표면(55)는 상기 삽입 부재 충돌 표면(55)을 통과하는 액체 흐름의 방향과 거의 수직 관계를 이루도록 배향되는 액체 분무 노즐.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공기 주입 수단의 비작동시에, 상기 액체 유입구(16)에서 상기 본체(11)로 주입된 액체 흐름이 충돌 표면(55)과 충돌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예비 분무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챔버(11)를 통해 흐르도록 하고, 상기 분무 팁(20)에 의해 소정의 분무 패턴의 액체 방울로 직접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삽입 부재(40)를 상기 본체(11)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착탈시킬 수 있는 상기 본체상의 수단을 포함하는 액체 분무 노즐.
KR1019870014174A 1986-12-11 1987-12-11 교체형 분무 노즐 KR950000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029086A 1986-12-11 1986-12-11
US940290 1986-12-11
US940,290 1986-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134A KR880007134A (ko) 1988-08-26
KR950000003B1 true KR950000003B1 (ko) 1995-01-07

Family

ID=2547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174A KR950000003B1 (ko) 1986-12-11 1987-12-11 교체형 분무 노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271316B1 (ko)
JP (1) JP2802496B2 (ko)
KR (1) KR950000003B1 (ko)
AU (1) AU610098B2 (ko)
BR (1) BR8706761A (ko)
CA (1) CA1291781C (ko)
DE (1) DE3781529T2 (ko)
DK (1) DK169611B1 (ko)
MX (1) MX1642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7591B (en) * 1984-04-19 1987-11-25 Spraying Systems Co Air-assisted spray nozzle
DE4102632A1 (de) * 1991-01-30 1992-08-06 Pfeiffer Erich Gmbh & Co Kg Austragduese fuer medien
WO1997030619A1 (fr) * 1996-02-26 1997-08-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eil de douche-bain et diffuseur
DE19901704A1 (de) * 1999-01-18 2000-08-03 Hansgrohe Ag Sanitärgegenstand, insbesondere Handbrause, mit einer Umschalteinrichtung zur Beeinflussung einer Flüssigkeitsströmung
US7584908B2 (en) 2005-10-27 2009-09-08 Sta-Rite Industries, Llc Spray nozzle apparatus and method
CN100355502C (zh) * 2006-01-26 2007-12-19 朱根荣 喷雾装置
JP6102170B2 (ja) * 2011-12-22 2017-03-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スプレーノズル用ノズルフィルタ及びスプレーノズル
GB201212199D0 (en) * 2012-07-09 2012-08-22 Rigdeluge Global Ltd Nozzle apparatus
WO2015073133A1 (en) 2013-11-12 2015-05-21 Spraying Systems Co. Catalytic cracking spray nozzle with internal liquid particle dispersion ring
CN104525397B (zh) * 2014-12-25 2023-05-30 重庆新派工业设计有限公司 可清洗型喷嘴
CN107088484B (zh) * 2017-06-28 2023-07-18 迈德乐喷雾系统广州有限公司 一种小型空气雾化喷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3434A (en) * 1980-04-28 1982-08-10 Spraying Systems Company Air efficient atomizing spray nozzle
GB2157591B (en) * 1984-04-19 1987-11-25 Spraying Systems Co Air-assisted spray nozz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81529T2 (de) 1993-02-04
DK169611B1 (da) 1994-12-27
JP2802496B2 (ja) 1998-09-24
DK648987D0 (da) 1987-12-10
CA1291781C (en) 1991-11-05
JPS63185469A (ja) 1988-08-01
AU610098B2 (en) 1991-05-16
DK648987A (da) 1988-06-12
BR8706761A (pt) 1988-07-19
MX164218B (es) 1992-07-27
KR880007134A (ko) 1988-08-26
EP0271316B1 (en) 1992-09-02
EP0271316A3 (en) 1990-01-10
EP0271316A2 (en) 1988-06-15
AU8207187A (en) 1988-06-16
DE3781529D1 (de) 199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9937A (en) Convertible spray nozzle
US4828182A (en) Spray nozzle assembly with recessed deflector
KR950000003B1 (ko) 교체형 분무 노즐
US5893641A (en) Differential injector
US4815665A (en) Air assisted nozzle with deflector discharge means
US4645127A (en) Air atomizing spray nozzle
US7472843B2 (en) Air induction liquid spray nozzle assembly
EP0904842A2 (en) Improved air assisted spray system
US5595346A (en) Air assisted atomizing spray nozzle
EP1870003B1 (de) Milchaufschäumvorrichtung
SE452415B (sv) Sprutmunstycke
US5385304A (en) Air assisted atomizing spray nozzle
US5183335A (en) Hydraulic jet flash mixer with flow deflector
US6338444B1 (en) Spray nozzle
USRE37732E1 (en) Fluid dispersing checkvalve
US4116382A (en) Spray nozzle for atomizing a liquid by directing it against an obstruction and having it mix with air
US7584908B2 (en) Spray nozzle apparatus and method
US4523718A (en) Showerhead
KR930009912A (ko) 혼합 밸브 및 분배 시스템
AU619713B2 (en) Spray nozzle assembly with recessed deflector
US6772967B1 (en) Misting nozzle
US20060133192A1 (en) Device for spraying liquid mixtures
MXPA00011634A (en) Differential in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