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624B1 - 이동목표용 도플러신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목표용 도플러신호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624B1
KR940011624B1 KR1019910020026A KR910020026A KR940011624B1 KR 940011624 B1 KR940011624 B1 KR 940011624B1 KR 1019910020026 A KR1019910020026 A KR 1019910020026A KR 910020026 A KR910020026 A KR 910020026A KR 940011624 B1 KR940011624 B1 KR 940011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oppler signal
output
rom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0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521A (ko
Inventor
전찬욱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0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11624B1/ko
Publication of KR930010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3/00Proximity fuzes; Fuzes for remote detonation
    • F42C13/06Proximity fuzes; Fuzes for remote detonation operated by sound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동목표용 도플러신호 발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이동목표 도플러신호 발생장치.
제2도는 이동목표 도플러신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칩컴퓨터(ONE CHIP COMPUTER)
2a-2c : 포트(PORT) 확장기
3a-3f : 2진 카운터 4a-4f : 롬(ROM)
5a-5i : 버퍼 6,8 :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
7 : 멀티플렉서 9 : 앤드게이트(AND GATE)
10 : 플립플롭(FLIP/FLOP) 11,12 : 오아게이트(OR GATE)
13 : 펄스발생기 14 : 비교기
15 : 스위치 조작부 16 : 표시장치
17 : 이동목표 고도곡선 F : 화이어신호(FIRE SIGNAL)
R1-R2: 저항 C1-C2: 콘덴서
본 발명은 포탄근접신관에 있어서 이동목표용 근접신관의 양,불판정을 하기 위한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상의 도플러신호(DOPPLER SIGNAL)를 만들어 신관에 입력하여 신관에서 화이어(FIRE) 신호를 감지하여 폭발고도를 감지하는 이동목표용 도플러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탄근접신관을 포탄발사후 임의의 목표지점에 이르면 도플러신호의 진폭 및 주파수에 의해 신관내부회로를 거쳐 뇌관에 점화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즉, 도플러신호의 진폭 및 주파수에 따라 폭발고도가 결정되어 진다. 따라서 도플러신호를 간단하게 정의하면 포탄이 발사되면 신관 내부의 발진회로에서 출력되는 주파수가 목표지점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주파수와의 차이를 도플러신호라 하며 움직이는 목표물과 고정된 목표의 도플러신호는 많은 차이가 있다.
즉, 이동목표는 폭발고도 곡선 내에 주파수 값이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목표지점에 도달하면 주파수가 소멸되는 가변값을 가지게 되고 고정목표는 폭발고도 곡선 내에 일정한 값을 갖는 주파수(FREQUENCY)가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목표(MOVING TRAGET)용 근접신관의 양, 불판정을 위해 임의의 도플러신호를 만들어 신관에 입력하여 화이어(FIRE)신호가 출력되는지의 여부와 폭발고도를 시험한 후 양질의 신관만을 선발하기 위하여 펄스발생기에서 임의 주파수를 내도록 하고 롬(ROM)에 폭발고도 곡선의 데이타를 저장하는 한편 원칩컴퓨터(ONE CHIP COMPUTER)로서 제어하여 폭발고도곡선과 주파수를 합성한 도플러 신호를 인위적으로 만들어 신관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의 구성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시작신호(EX)와 리셋스위치(Re) 및 검교정스위치(GAL) 및 스위치 레벨로 이루어진 스위치조작부(15)를 원칩컴퓨터(1)에 접속시켜 원칩컴퓨터(1)에서 모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저장한 후 상기 원칩컴퓨터(1)를 포트확장기(2a-2c) 및 표시장치(16)에 연결하되 포트확장기(3a)를 펄스발생기(13) 및 버퍼(5h)(5i)에 연결되도록 하고 포트확장기(2b)를 2진카운터(3e)(3f)를 거쳐 롬(4e)(4f)의 어드레스를 선택시키되, 이때 선택된 어드레스에 세이브된 데이타가 출력되어,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8)을 통해 멀티플렉서(7)에 연결시키는 한편 포트확장기(2c)를 2진카운터(3a-3d)와 롬(4a-4d) 및 버퍼(5a-5f)를 경유하여 멀티플렉서(7)에 연결시키고 상기 멀티플렉서(7)를 저항(R1)(R2) 콘덴서(C1)(C2)를 거쳐 도플러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또한 2진카운터(3a-3d)를 앤드게이트(9)를 통해 플립플롭(10)에 인가하고 버퍼(5h)(5i)를 통해 원칩컴퓨터(1)에 연결되게 하며 화이어신호(F)를 비교기(14)의 일측단자를 통해 플립플롭(10)에 접속시키되 상기 플립플롭(10)을 원칩컴퓨터(1)에 연결하는 한편 오아게이트 먼저 스위치조작부(15)는 도플러신호 생성이 시작되는 스타트키(ST)와 외부신호(Ex)가 입력되는 리모트스위치(re)와 프로그램을 최기화시키는 리셋키(Re) 및 스타트레벨(start Level)을 선택(4mV, 10mV)하고 도플러신호를 검교정할 수 있는 검교정스위치(CAL)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조작부(15)의 스타트키(ST)가 온(ON)이 되면서 도플러신호가 생성되어 [이때 검교정스위치(CAL)와 리모트스위치(re)는 오프상태이다] 원칩컴퓨터(1)에서 포트확장기(2a)를 통해 펄스발생기(13)에 원하는 주파수가 출력되도록 데이타를 입력하여 출력단자(out1)(out2)에 주파수를 발생시켜 2진카운터(3a∼3f)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롬(4a-4f)에 세이트(Save)된 데이타가 출력되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6)(8)를 거쳐 도플러 진폭이 생성되고 사인파(Sine Wave)가 출력된다.
이때 원칩컴퓨터(1)는 화이어(F)가 되는지 안되는지를 계속 체크하여 화이어(F)가 도플러 출력이 끝나기 전에 발생되면 2진카운터(3a-3f)가 증가하므로 롬(4a-4f)의 어드레스(address)를 원칩컴퓨터(1)가 읽어 폭발고도를 계산하여 표시장치(16)에 디스플레이하고, 도플러신호가 출력이 끝난 다음에도 화이어(F)가 나오지 않으면 화이어 되지 않은 신호가 표시장치(16)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원칩컴퓨터(1)의 화이어(F) 신호감지 루트를 살펴보면 비교기(14)에 화이어(F)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비교기(14)에서 세팅 값보다 적으면 구형파를 발생시켜 플립플롭(10)의 클럭(CK)이 작용하여 라인(Q2)가 하이(high)가 되면 앤드게이트(9)는 16개의 어드레스 비트를 입력으로 하여 모두 "1"이면 즉 고도(heigh)가 "0"이면 구형파( )를 발생하여 플립플롭(10)의 입력으로 작용하여 라인(Q1)으로 출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두개의 출력을 감지한 원칩컴퓨터(1)는 P2단자를 통해 라인(Q1)의 출력을 감지하여 화이어되지 않은 것을 감지하고 P3단자로서 라인(Q2)의 출력을 감지하여 화이어 된 것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두 신호를 오아게이트(11)(12) 출력 및 입력으로 하여 포트확장기(2C)의 PC포트와 조합하여 2진카운터(3a-3f) 홀드단자에 연결하여 화이어되지 않았을 때나 화이어 되었을 때 어드레스를 스톱(STOP)시킨다.
이때 원칩컴퓨터(1)는 플립플롭(10)에서 출력되는 Q2와 Q1을 체크하여 출력이 "하이"가 되면 재빨리 홀드된 2진카운터(3a-3f)의 출력을 읽은 후 계산하여 그 데이타를 표시장치(16)에 디스플레이시켜 스위치조작부(15)의 외부신호(EX)가 스타트키(ST)가 온(ON)이 되면 리모트스위치(re)를 통해 원칩컴퓨터(1)의 단자(P5)를 통해 인가되어 단자(P4)를 통해 출력되어 펄스발생기(13)에서 적정의 펄스를 발생시켜 단자(1)(2)을 경유하여 2진카운터(3a)(3e)의 클럭(CK)단에 인가하여 상기 2진카운터(3a-3f)를 거쳐 롬(4a-4f)어드레스에 인가되어 도플러 엔벌로프(euvelope) 및 주파수 가변 사인파(sine wave)를 출력한다.
이때, 롬(4a-4d)에 도플러신호가 인가되어 롬(4a)(4b)에는 4mV의 롬데이타(ROM DATA)를 출력시키도록 하고 롬(4c)(4d)에는 10mV의 롬데이타를 출력시키도록 세이브(SAVE)한다.
따라서 롬(4a-4d)에서 216의 각각 다른 데이타를 출력시키며 버퍼(5a-5d)는 4mV, 10mV 선택을 하여,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6)에서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바꾸어 버퍼(5f)를 거쳐 전압값을 출력시키고(여기서는 계측기와 연계시 사용한다) 버퍼(5e)를 통해 멀티플렉서(7)에 인가하여 롬(4e)(4f)에서 어드레스 스캔(ADDRESS SCAN)된 주파수 데이타를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8) 및 버퍼(5g)를 거쳐 입력된 데이타값을 다중화하여 하나의 정보신호를 만들어 저항(R1)(R2)과 콘덴서(C1)(C2)를 거쳐 도플러 신호(DOPPLER SIGNAL)를 출력(DOUT)시켜서 화이어신호를 감지하여 폭발고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임의의 도플러신호를 만들어 신관에 입력하여 신관의 양,불판정을 함과 아울러 포탄의 오발 및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원칩컴퓨터(1)에 스위치조작부(15)와 포트확장기(2a-2c) 및 표시장치(16)를 데이타 라인을 통해 연결하고 포트확장기(2a-2c)를 펄스발생기(13) 및 2진카운터(3a-3f)를 겨쳐 롬(4a-4d)과 또 다른 롬(4e)(4f)에 접속하게되고 일측은 앤드게이트(9)를 거쳐 플립플롭(10)에 연결함과 동시에 버퍼(5h)(5i)를 거쳐 원칩 컴퓨터(1)에 접속시키되, 롬(4a)(4b)과 롬(4c)(4d)이 버퍼(5a-5d) 및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6)를 통해 멀티플렉서(7)에 인가하여 롬(4e)(4f)이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8) 및 버퍼(5g)를 거쳐 멀티플렉서(7)에 접속됨에 따라 멀티플렉서(7)에서 이를 다중화하여 저항(R1)(R2)과 콘덴서(C1)(C2)를 통해 도플러신호를 출력시키고 화이어(F)신호를 비교기(14)를 거쳐 플립플롭(10)에 접속시켜 출력되게 하고 출력된 신호를 앤드게이트(10)(9)를 통해 2진카운터(3a-3f)에 연결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목표용 도플러신호 발생장치.
KR1019910020026A 1991-11-12 1991-11-12 이동목표용 도플러신호 발생장치 KR940011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026A KR940011624B1 (ko) 1991-11-12 1991-11-12 이동목표용 도플러신호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026A KR940011624B1 (ko) 1991-11-12 1991-11-12 이동목표용 도플러신호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521A KR930010521A (ko) 1993-06-22
KR940011624B1 true KR940011624B1 (ko) 1994-12-22

Family

ID=19322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0026A KR940011624B1 (ko) 1991-11-12 1991-11-12 이동목표용 도플러신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116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8758B2 (ja) * 2001-03-15 2006-10-04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信号処理回路および超音波ドップ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521A (ko) 199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9082B2 (ja) 内蔵テスト手段を備えた慣性速度センサー及び方法
US4733364A (en) Period detecting circuit
KR960003992B1 (ko) 가변지연회로
KR940011624B1 (ko) 이동목표용 도플러신호 발생장치
WO2021244274A1 (zh) 差分信号偏移校准电路及半导体存储器
US4198579A (en) Input circu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870009359A (ko) 회전 헤드의 각도 위치표시 신호 발생장치
CN115509295A (zh) 具有自动温度补偿功能的实时时钟芯片系统
KR940011625B1 (ko) 이동, 고정목표물 겸용 도플러신호 발생장치
JPH0321493Y2 (ko)
US5086280A (en) Continuously variable pulsewidth waveform formation device employing two memories
KR940011633B1 (ko) 포탄 근접 신관의 폭발 고도 측정장치
JP3400562B2 (ja) 測距装置
JP3633881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acスペック検査方法
MY107722A (en) Extended addressing using sub-addressed segment registers
SU1619394A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пределов измерени многопредельных приборов
KR960001768A (ko) 콘넥터 케이블 시험장치 및 그 방법
KR100313765B1 (ko) 타이밍신호에지및지연레인지제어장치
KR940008527Y1 (ko) 디지탈 스위치를 이용한 전자식 포탄의 시한회로
JP3080480B2 (ja) 信号遅延時間測定装置
JP2846383B2 (ja) 集積回路試験装置
KR880002875Y1 (ko)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의 출력회로
SU118527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измерени параметров радиоприемников
JPS5814989B2 (ja) ロジック素子あるいはロジック回路の動作速度試験回路
US49995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gat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