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439B1 - 지황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 및 그의 육종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지황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 및 그의 육종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439B1
KR940010439B1 KR1019840006133A KR840006133A KR940010439B1 KR 940010439 B1 KR940010439 B1 KR 940010439B1 KR 1019840006133 A KR1019840006133 A KR 1019840006133A KR 840006133 A KR840006133 A KR 840006133A KR 940010439 B1 KR940010439 B1 KR 940010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s
fukuchiyama
root
varieties
br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107A (ko
Inventor
후미아끼 가와니지
기꾸야 게도
Original Assignee
다께다야꾸힝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구라바야시 이꾸시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께다야꾸힝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구라바야시 이꾸시로 filed Critical 다께다야꾸힝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3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10Vegetative propagation by means of cutt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5Root crops, e.g. potatoes, yams, beet or wasabi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1Methods of breeding using interspecific crosses, i.e. interspecies cro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06Ro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황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 및 그의 육종 재배 방법
제 1, 2, 3 도는 각각 R.P., R.H. 및 후꾸찌야마 지황 전체의 사생도.
제 4a, b, c 도는 각각 R.P., R.H. 및 후꾸찌야미 지황의 잎의 사생도.
제 5, 6, 7 도는 각각 R.P., R.H. 및 후꾸찌야마 지황의 꽃줄기 전체의 사생도.
제 8a, b, c 도는 각각 R.P., R.H. 및 후꾸찌야마 지황의 화관과 꽃받침의 사생도.
제 9a, b, c 도는 각각 R.P., R.H. 및 후꾸찌야마 자심과 지황의 꽃받침의 사생도.
본 발명은 지황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 및 그의 육종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황은 중국 원산의 다년생 초목으로서, 중국, 한국, 일본등에서 재배되고 있다. 한방에서는 지황의 생근을 "생지황", 건조한 것을 "건지황", 쪄서 건조한 것을 "숙지황"이라 칭하여, 보혈, 강장, 진정 등을 목적으로 하여 팔미환, 사물탕, 십전 대보탕 등에 배합되는 중요 생약이다.
일본에 있어서의 지황의 대표적인 재배종으로서는, 예들 들면 푸르프레아 변종 지황(Rehmannia glutinosa var. purpurea)와 후에이친겐시스 변종 지황(Rehmannia g1uti-nosa var. hueichingensis)의 2종(제10개정 일본 양국방 해설서 D-390∼D-391페이지, 1981년에 기재)이 있는데, 고래로부터 푸르프레아 변종 지황이 양품으로 여겨졌으며, 일본에서 널리 재배하여 왔다 후에이친겐시스 변종 지황은, 1945년경 중국으로부터 일본에 도입되었는데, 그 후 지황의 재배가 쇠퇴 하였으므로 널리 보급하기에 이르지 못하였다.
발명자들은 오랫동안에 걸쳐서 상기 양종의 재배를 시도하고 또 형태와 생태적 특성에 대하여 여러가지 조사 검토한 결과 양종의 지하부의 형상은 현저하게 다르지만(푸르프레아 변종 지황은 전근 유상인데 대하여, 후에이친겐시스 변종 지황은 선단부가 방추상으로 비대), 모두 땅속 깊이 널리 분포하고 있으므로 수확에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며, 배수 불량의 토양에서는 뿌리 썩음이 발반하게 쉬우며, 또 온도나 일조 등에 극히 민감하며, 수확량은 천후 조건에 영향 받기 쉬운 점 등, 몇가지의 결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들은 재배의 안정화, 합리화를 기하기 위하여 푸르프레아 변종 지황과 후에이친겐시스 변종 지황을 교배함으로써 다수성, 기계화 적응성, 장해 저항성, 내병성 등의 조건을 구비하고 그리고 품질이 뛰어난 지황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의 제공을 기도하였다.
푸르프레아 변종 지황의 뿌리는 유상을 나타내며 비대하지는 않으나 1주(株)당의 뿌리수가 많은데 대하여, 후에이친겐시스 변종 지황은 뿌리수가 적으나 뿌리의 선단부가 방추상으로 비대하게 되는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한편, 1년생에 있어서의 개화는, 양종 모두 회귀할 뿐 아니라, 개화기가 푸르프레아 변종 지황은 만추(10∼11월), 후에이친겐시스 변종 지황은 여름(7∼8월)으로서, 개화기가 다르므로 양종의 교배는 곤란하였다. 그러므로 양종의 식물학적 생태를 관찰 연구한 결과, 개화기가 일치하는 2년생의 5월에 푸르프레아 변종 지황은 모친, 후에친겐시스 변종 지황은 부친으로 하여 교배하여 결실한 종자의 실생 식물을 영양 중식시켜서 선택하면 밑뿌리 가까이에서 비대해진 단근을 다수 갖는 지황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이하 "후꾸찌야마 지황(Fukuchiyama Jio)"이라 한다)이 얻어졌으며, 얻어진 후꾸찌야마 지황은 영양증식이 가능하며, 그리고
(i) 뿌리가 밑뿌리 가까이에서 비대하고 단근이므로 수확이 용이하며 그리고 기계화에 의하여 채굴이 가능하며, 또, 토양의 과습에 의한 뿌리 썩음의 발생이 적다.
(ii) 비대뿌리수가 많으며 다수 확성이다.
(iii) 맹아, 생육은 극히 양호하다.
(iv) 영양 번식에 의하여 용이하게 증식이 가능하다.
(v) 형상은 균등하며 그리고 지속성이 있다.
(vi) 단근이므로 종근이 되는 유상부가 적으나, 1주에서 7∼17본 정도는 확보할 수 있으므로, 종근 부족의 걱정은 없다.
(vii) 품질에 대하여는, 추출 수율(추출 용매 ; 물 또는 묽은 에탄올)면에서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을 나타내는 후에이친겐시스 변종 지황 비대부와 동등 또는 약간 높으며, 또 생약 유효 성분의 하나인 카탈폴(Caralpol)의 함량에 대하여도 추출 수율과 같은 경향이 나타났다.
등의 뛰어난 특징을 갖는 개체를 발견하여, 그 개체의 식물학적 특성이 영양 번식법에 의하여 증식, 즉 무성적으로 증식시켜서 이를 재배하여도 변화하지 않음을 발견하였으므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1) 밑뿌리 가까이에서 비대해진 단근을 다수 갖는 지황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단, 줄기와 뿌리를 제외한다) .
(2) 푸르프레아 변종 지황을 모친, 후에이친겐시스 변종 지황을 부친으로 하여 교배하여 결실한 종자의 실생 식물을 영양 증식시켜서 밑뿌리 가까이에서 비대해진 단근을 다수 갖는 것을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황 식품종에 속하는 식물의 육종 방법과,
(3) 밑뿌리 가까이에서 비대해진 단근을 다수 갖는 지황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의 뿌리 또는 줄기를 사용하여 무성적으로 증식시켜서 이를 재배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황 뿌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목적물의 지황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 즉 후꾸찌야마 지황의 육종 과정, 특성, 재배법 등을 다음에 기재한다.
육종 과정 :
이 품종의 육종은 1978년부터 일본 다께다야꾸힝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지황 실험 농장(일본 교오또후 후꾸찌야마시 아자-오오사다 4428-2번지)에 있어 실시하였다.
(1) 푸르프레아 변종 지황(이하 "R.P." 라 칭한다)은 1969년, 후에이친겐시스 변종 지황(이하 "R.H."라한다)은 1975년에 일본 나라껭 사꾸라이시(신조 후루다씨)로부터 입수하여, 후꾸찌야마 실험 농장에서 계대보존한 주로부터 채취한 종근을 사용하였다.
(2) 양종 모두 일정한 크기(굵기 0.4∼0.6cm, 길이 6cm)로 절단하여 1978년의 4∼5월에 밭에 심었다. 1년째는 개화수가 적고 개화기도 달라서 교배가 안되므로 개화기가 일치하는 2년째의 5월에 양종의 교배를 행하였다.
(3) 결실은 R.P와 R.P., R.H.와 R.H.의 동화 교배에서는 극히 드물었지만, 인화 교배하면 약간 양호하게 되었다. 또 R.P. (♀)와 R.H. (♂)에서는 결실이 양호하였지만, R.H. (♀)와 R.P.(♂)에서는 현저하게 불량하였다 교배하기 전에 제웅(castration)이 자체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실시되었다.
(4) 상기 조합에 의하여 교배하여 결실한 종자는 1979년 6월에 채취(표-1,표-2)하여, 8월에 하천 모래 또는 버미큘라이트를 넣은 화분에 파종하여 실내에 두었다. 약 1주간후로부터 발아(표-3)를 개시하여, 제1회 이식을 10월, 제2회 이식을 12월에 행하였다. 겨울동안(12월∼3월)은 온실(온도 10∼25℃)내에 두고, 다음해(1980년) 4월에 옥외의 콘크리트 베드(폭 120cm,깊이 60cm)에 정식하고, 9월에 캐내어서 밑뿌리 가까이에서 비대해진 단근을 다수 갖는 개체를 선택하였다.
[표-1] 제웅 및 교배월일과 결실과율 및 종자수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표-2] 얻어진 종자의 크기
Figure kpo00003
[표-3] R.P.(♀)와 R.H.(♂)의 교배에 의하여 얻어진 종자의 수정율과 발아율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5) 상기 (4)에서 선택된 개체를 하기 재배법에 따라서 영양 증식하여 밑뿌리 가까이에서 비대해진 단근을 다수 갖는 개채를 선택함으로써 목적하는 후꾸찌야마 지황을 얻는다.
[특성]
[뿌리]
표-4는 R.P., R.H. 및 후찌야마 지황(각각 제1도, 제2도, 제3도) 각각의 뿌리의 형태를 비교한 것이다. 이 표와 제1∼3도로부터 R.P.와 R.H.의 뿌리는 전체로서 길고 그리고 가는 유상부가 길며, 후꾸찌야마 지황의 뿌리는 전체로서 짧고 그리고 유상부가 짧은, 즉 밑뿌리 가까이에서 비대해진 단근을 다수 갖는것임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후꾸찌야마 지황의 뿌리는 양친 식물의 R.P. 및 R, H.의 뿌리의 형태의 양쪽 어디에도 없는 새로운 헝태를 갖고 있다.
[표-4]
Figure kpo00006
[잎]
표-5는 R.P., R.H. 및 후꾸찌야마 지황 각각의 잎(각각 제4도의 A, B, C)의 형태를 비교한 것으로서, 이 표와 제 4 도로부터 R.P.의 잎은 잎 끝이 둔하며 잎줄기가 짧은데 대하여, 후꾸찌야마 지황의 잎은 잎끝이 뾰죽하며 잎 줄기가 길므로 양자는 구별이 되며, 또 R.H.의 잎은 잎몸이 도파침형, 잎맥은 망상으로서 적고 잎 가장자리가 파상의 부정형한 톱니 모양이고 잎기부는 꺽쇠형인데 대하여, 후꾸찌야마 지황의 잎은 잎 몬이 장타원형 잎맥은 망상으로서 많고, 잎 가장자리가 파상의 부정형한 톱니 모양이고 잎 기부가 뭉툭한 형이므로, 양자는 구별됨을 알 수가 있다.
[표-5]
Figure kpo00007
[꽃]
표-6은 R.P., R.H. 및 후꾸찌야마 지황 각각의 꽃줄기(각각 제 5 도, 제 6 도, 제 7 도), 화관과 꽃받침 (각각 제 8 도의 A, B, C), 자심과 꽃 받침(각각 제 9 도의 A, B, C)등, 꽃에 관한 형태를 비교한 것으로서, 이표와 제5∼9도에 의하여 줄기 끝에 꽃이 달리는 R.P.와 단계적으로 착화할 후꾸찌야마 지황과는 구별되며, 화관의 색이 자홍색 (일본 공업 규격(JIS) Z8721 ; 자홍색 7.5RP 4/12)의 R.H.지황과 담자색 (일본 공업 규격 (JIS) Z8721 : 담자색 7.5RP 5/12)의 후꾸찌야마 지황과는 구별됨을 알 수가 있다.
[표-6]
Figure kpo00008
표-7은 뿌리, 잎, 꽃 이외의 R.P., R.H. 및 후꾸찌야마 지황의 형태, 추출물 함량, 카탈폴(catalpol) 함유량등을 비교한 것으로서, 이 표로부터 본 밭명의 후꾸찌야마 지황은 종자의 수정율, 종자의 발아율, 종근의 맹아율, 생존주율, 생수율(10아르당), 추출물 함량, 카탈폴의 함유량이 양친 식물의 R.P., R.H.보다도 높음을 알 수가 있다.
[표-7]
Figure kpo00009
상기와 같은 후꾸찌야마 지황을 다음해(1982년)동 후꾸찌야마 실험 농장의 밭에 양친 식물의 R.P., R.H.과 함께 각각 200주씩 정식하고, 양친 식물의 재배법에 따라서 육성하여 그 결과를 조사하였다. 냉하에 의하여 R.P., R.H. 모두 예년에 비하여 생육, 비대가 현저하게 떨어 졌음에도 불구하고 후꾸찌야마 지황은 양호한 비대를 나타냈으며, 그리고 단근이므로 뿌리 썩음의 발생도 극단으로 적었다. 또 토양의 영향에 대하여, 화분(30cm)을 사용하여 사토, 사양토, 양토, 식양토로 비교 검토하였는데, 사토와 사양토에서 약간 비대가 떨어지긴 하였으나, 토양의 종류에 따라서 후꾸찌야마 지황의 뿌리의 형상에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모두 밑뿌리 가까이에서 비대해진 단금을 다수 갖고 있었다.
또 후꾸찌야마 실험 농장과 병행하여 간또 평야의 화산희 토양으로 시작한 결과, 후꾸찌야마 실험 농장과 같이 R.P., R.H.의 생육, 비대는 나빠서 예년의 1/10정도의 수량이었으나 후꾸찌야마 지황은 양호한 육성을 나타내어 R.H.의 표준 적수량(생수량 1000kg/10a)을 얻었다.
상기 2개소에 있어서의 성육 시험에 의하여 후꾸찌야마 지황은 장해 순응성이 높아서 뿌리 썩음이 잘 일지 않음을 알 수가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하면, 지황 뿌리의 제조는 다음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의 방법에서 얻어지는 지황 신풍종의 뿌리 또는 줄기 (바람직하기는 뿌리)를 무성적으로 증식 (영양증식)시킴으로써 이 지황 신품종을 재배하여 얻어지는 신품종 지황식물의 뿌리부를 채취함으로써 행해진다.
재배법 :
재배법 (무성 증식법, 영양 증식법)은 자체 공지이며, 예를 들면,「새로운 약용 식물 재배법 제163∼165페이지, 1970년 4월 25일 발행, 일본 공정서 협회편, 서점 발행」「약용 식물 재배 채수법 제38∼42페이지, 1949년 4월 20일 발행, 가리메 다쓰오, 와까바야시 에이시로, 난죠 서점 발행」등에 기재의 방법에 의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또한 상세하게는 다음의 방법에 의하여 실시된다.
밭의 선정 : 배수, 일조와 통기가 양호한 양토, 식양토가 바람직하다.
번식 : 저장한 종근을 정식한다. 종근은 그대로 또는 적당한 크기, 예를 들면 길이 4∼6cm(굵기 0.4∼1.0cm)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정식 : 정식 시기는 통상 4월 상순∼5월 상순이 적당하다. 식부 하기 전에 기비로서 퇴비를 시비하여 정지한 후, 폭 80cm의 늦은 골을 만들고, 주간 20cm로 식부하여, 2cm정도 복토한 후 5∼6cm로 잘른 볏짚을 산포한다. 맹아 후는 주의 주위에 살충제(예를 들면, 올트란 입제(다께다야꾸힝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제)등)을 살포하고, 장마 후 살균제(예를 들면 다코닐 수화제(다께다야꾸힝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제)등)를 적당히 살포한다. 추가 비료는 7월 10월에 N3kg, P2kg, K3kg(10아르 당 각 성분량)을 시비한다. 제초는 적의 행한다.
수확 : 높은 가을부터 초겨울에 걸쳐서, 지상부가 시들기 시작한 때에 뿌리를 캐내어서, 뿌리의 비대부를 분리 한다.
조제 건조 : 비대부를 수세 후, 뿌리 속이 흑변할 때까지 빛 또는 음건한다(6개월 이상) . 초기와 건조 중도에서 화열 건조를 행하면, 기간이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다. 반 건조 상태 후에는 때때로 손으로 문질러서 유연하게 끝마무리 짓는다.
종근의 저장 : 비대부를 분리한 후의 가는 뿌리(유상부)중에서 건전(무병, 무상)한 것을 골라서 주 그대로 톱밥속에 저장하든지, 아니면 6cm로 절단한 후, 팔라핀 도막하여 5℃로 냉장한다. 그리고 후꾸찌야마 지황의 그 자체로써 영양 증식 가능한 부분으로서는, 상기의 유상부의 뿌리 뿐 아니라, 뿌리의 다른 부분(괴상부도 포함된다), 줄기 등도 포함된다.
이와 같은 후꾸찌야마 지황은 밑뿌리 가까이 비대해진 단근을 다수 갖고 있으므로 뿌리 썩음이 적으며, 재배가 용이하고 수확도 기계로 행할 수 있는 등의 뛰어난 성질을 갖는 지황 식품종에 속하는 식물이다.

Claims (1)

  1. 푸르푸레아 변종 지황을 모친, 후에이친겐시스 변종 지황을 부친으로 하여 교배하여 결실한 종자의 실생 식물을 근삽(根揷)에 의해 무성번식시켜 수득되는 밑뿌리 가까이에서 비대해진 단근을 다수 갖는 지황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단, 줄기 및 뿌리는 제외한다).
KR1019840006133A 1983-10-04 1984-10-04 지황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 및 그의 육종 재배 방법 KR940010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6384/83 1983-10-04
JP58186384A JPH0789803B2 (ja) 1983-10-04 1983-10-04 ジオウ新品種に属する植物の育種方法
JP186384/1983 1983-10-04
JP201322/1984 1984-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107A KR850003107A (ko) 1985-06-13
KR940010439B1 true KR940010439B1 (ko) 1994-10-22

Family

ID=1618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133A KR940010439B1 (ko) 1983-10-04 1984-10-04 지황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 및 그의 육종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89803B2 (ko)
KR (1) KR9400104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107A (ko) 1985-06-13
JPS6078524A (ja) 1985-05-04
JPH0789803B2 (ja) 1995-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State of art of saffron (Crocus sativus L.) agronomy: A comprehensive review
Gupta Agrotechnology of medicinal plants
Singh et al. Domestication of wild marigold (Tagetes minuta L.) as a potential economic crop in western Himalaya and north Indian plains
CN104938280A (zh) 一种沙田柚连年高产栽培方法
Laughlin et al. Cultivation of Artemisia annua L
Gentry et al. Red squill (Urginea maritima, Liliaceae)
Meghwal et al. Diversity, distribution and horticultural potential of Cordia myxa L.: a promising underutilized fruit species of arid and semi arid regions of India
Sruthi Prakash Impact of seasons and pinching on growth and flowering in African marigold (Tagetes erecta L)
Saint-Pierre Evolution of agroforestry in the Xishuangbanna region of tropical China
KR940010439B1 (ko) 지황 신품종에 속하는 식물 및 그의 육종 재배 방법
John et al. Indigo-agricultural aspects
Lokesh Sweet flag (Acorus calamus)—Cultivation and Economics aspects
Lionakis Pres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the cultivation in Greece of the plants: fig, loquat, Japanese persimmon, pomegranate and Barbary fig
Sarsenbaev et al. Influence high temperature, drought and long vegetation period on phenology and seed productivity European hemp cultivars in Moinkum Desert
Vinatoru et al. Phenotypic and biochemical expression of'Domnesc'cultivar (Sideritis scardica Griseb.)
Almeyda The pejibaye
Meghwal et al. Kair (Capparis decidua (forsk.) Edgew.)—A multipurpose woody species for arid regions
Okeke et al. Effects of the crude water extract of the leaves of Moringa oleifera on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Amaranthus spinosus and Amaranthus hybridus
Reddy et al. Indigenous ornamental flora for arid landscapes
Ágoston Investigation of the ornamental value of bulbous Oxalis species and cultivars.
Gbile Indigenous and adapted African vegetables
McFadden Jr New Hybrids of American Hibiscus
Colţun et al. Aspects of the biology and the cultivation of Monarda fistulosa L. as aromatic species in the Republic Of Moldova
Mushtaq et al. Standardization of cultivation techniques of Artemesia absinthium-an important medicinal plant of Kashmir Himalayas
Shukla et al. Henna-A Potential Crop for Hot Arid and Semi-Arid Reg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