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739B1 - 전원 on/off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on/off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739B1
KR940009739B1 KR1019920014139A KR920014139A KR940009739B1 KR 940009739 B1 KR940009739 B1 KR 940009739B1 KR 1019920014139 A KR1019920014139 A KR 1019920014139A KR 920014139 A KR920014139 A KR 920014139A KR 940009739 B1 KR940009739 B1 KR 940009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command
interrup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413A (ko
Inventor
손호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9739B1/ko
Publication of KR940004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7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 ON/OFF제어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전원 ON/OFF제어회로의 블럭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블럭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ON/OFF제어회로의 블럭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ON/OFF제어회로의 구체적인 회로도.
제 5 도는 제 4 도에서 원격제어가 아닌 경우 시스템 전원 ON시 파형도.
제 6 도는 제 4 도에서 원격제어가 아닌 경우 시스템 전원 OFF시 파형도.
제 7 도는 제 4 도에서 원격제어인 경우 시스템 전원 ON시 파형도.
제 8 도는 제 4 도에서 원격제어인 경우 시스템 전원 OFF시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공급장치 20 : 키스위치
30 : 원격스위치 40 : 중앙처리장치
50 : 전원 ON/OFF제어회로 60 : 모뎀
70 : 원격제어용 터미날 80 : CPU보드 인터페이스부
90 : 명령어 해석부 100 : 직렬 입출력제어기
110 : 인터럽트발생부 120 : 전원 OFF 명령어신호 발생부
130 : 전원ON/OFF제어신호 발생부 140 : 원격제어수신부
150,150' : 논리곱소자 160,160',160'' : 부논리곱소자
170,170',170'' : 플립플롭 180,180',180'' : 인버터
190,190', 190'' : 논리합소자 VB: 밧데리전원
VR : 가변저항
본 발명은 시스템이 있어서 전원 ON/OFF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 인터럽트와 원격제어를 사용하여 전원공급장치의 ON/OFF를 제어하는 전원 ON/OFF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종래의 전원 ON/OFF제어회로의 블럭도이다.
제 1 도에 있어서, 전원공급장치(10)는 교류로 들어오는 전원을 컴퓨터 시스템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한다. 키스위치(20)는 전원공급장치(10)에서 출력하는 어스전원(GND)와 접속한다. 키스위치(20)를 OFF시키면 AC차단신호(AC-INHIBIT)가 어스전원(GND)과 접속되어 로우레벨상태 즉, 액티브(Active)가 된다. 이때 전원공급장치(10)가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시스템의 전원이 차단된다.
또한 키스위치(20)를 ON시켜면 AC차단신호에 공급되며 어스전원(GND)이 분리되므로 AC차단신호가 비액티브된다. 이때 전원공급장치(10)가 동작하게 되므로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원 ON/OFF제어회로는 시스템 운용도중 키스위치를 잘못 OFF하게 되면 시스템 전원공급이 바로 차단되므로 사용자들이 현재 작업중이던 데이타가 모두 지워질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이 안정조치를 취하지 않는 상태에서 갑자기 전원이 차단되면 시스템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모뎀을 통하여 시스템을 원격제어 할 경우 시스템 전원을 ON/OFF하기 위해 직접 시스템의 키스위치를 ON/OFF제어해야 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들에게 시스템의 안전조치를 취하게 한후 전원의 ON/OFF를 제어할 수있는 전원 ON/OFF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지에서 시스템의 전원 명령어를 사용하여 전원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전원 ON/OFF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원공급장치와 키스위치와 원격스위치와 모뎀과 원격제어용 터미날을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ON/OFF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키스위치로부터 전원을 OFF하게 되면 인터럽트신호를 발생시켜 발생된 인터럽트신호에 의해 중앙처리장치로 하여금 사용자들에게 전원 차단에 따른 안전조치를 취하게 하는 인터럽트발생부와 ;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인터럽트에 따라 처리된 전원 OFF명령어와 상기 원격제어용 터미날로부터 입력된 전원 OFF명령어를 받아서 전원 OFF명령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원 OFF명령어신호부발생부와 ; 상기 원격 제어용 터미날을 통해 소정의 캐릭터(Character)를 입력하면 캐릭터를 감지하여 전원 ON명령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원격제어수신부와 ; 상기 전원 OFF명령어신호발생부와 원격제어수신부에서 출력하는 전원 ON/OFF명령어를 받아서 전원 공급 및 차단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원 ON/OFF제어신호발생부를 포함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블럭도이다.
제 2 도의 블럭도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40)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태감시보드에는 전원 ON/OFF제어회로(50)가 내장되어 있어 전원공급장치(10)를 제어한다. 또한 키스위치(20)와 원격스위치(30)는 전원 ON/OFF제어회로(50)에 접속하여 외부의 시스템 관리자로부터 전원 ON/OFF를 조작하게 한다. 원격제어용 터미날(70)은 시스템운용 및 제어를 위한 콘솔이다. 모뎀(60)은 상태감시보드와 원격제어용 터미날(70)사이의 통신수단이다. 밧데리는 전원공급장치(10)가 차단된 상태에서 전원 ON/OFF제어회로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ON/OFF제어회로의 블럭도 및 주변장치의 접속도이다.
전원 ON/OFF제어회로(50)는 인터럽트발생부(110)와 전원 OFF명령어신호발생부(120)와 전원 ON/OFF제어신호 발생부(130)와 원격제어수신부(140)로 구성한다.
키스위치(20)는 인터럽트발생부(110)및 전원 ON/OFF제어신호 발생부(130)와 접속한다. 원격스위치(30)는 원격제어수신부(140)와 접속한다. 원격제어용 터미날(70)은 모뎀(60)을 통해 직렬 입출력제어기(100)와 원격제어 수신부(140)에 접속한다. CPU(중앙처리장치)보드인터페이스부(80)는 인터럽트발생부(110)와 시스템버스 및 명령어해석부(90)를 접속한다. 명령어해석부(90)는 직렬 입출력제어기(100)와 전원 OFF명령어신호발생부(120)를 접속한다.
제 3 도의 블럭도와 주변장치와의 접속도의 동작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제어가 아닌 경우에 있어서 시스템 전원을 ON 시키는 동작
키스위치(20)를 ON 위치로 옮기면 전원 ON의 신호가 곧바로 전원 ON/OFF제어신호발생부(130)에 입력된다. 전원 ON/OFF제어신호 발생부(130)에서는 전원차단신호(AC-INHIBIT)를 비액티브(Non-Active)시킨다. 이때 전원공급장치(10)가 동작하여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둘째, 원격제어가 아닌 경우에 있어서 시스템 전원을 OFF시키는 동작.
시스템 동작중에 전원을 OFF시키고자 할때, 먼저 키스위치(20)를 OFF위치로 옮긴다. 키스위치(20)를 OFF위치로 옮기면 인터럽트 발생부(110)에서 전원 OFF에 대한 인터럽트가 발생한다. 인터럽트는 CPU(중앙처리장치)보드 인터페이스부(80)에 입력되고, 시스템버스를 통해 중앙처리장치(40)에 전달된다. 중앙처리장치(40)는 전원 OFF에 대한 인터럽트를 받게되면 현재 사용중인 모든 시스템 사용자들에게 각 터미날을 통해 경고문을 전달하고 시스템 전원차단에 따른 안전조치를 수행한다.
안전조치가 끝나면 중앙처리장치(40)는 시스템 버스를 통해 CPU보드인터페이스부(80)에 전원 OFF명령어(Power Off Command)를 전달한다. 전원 OFF 명령어는 명령어 해석부(90)에서 해석되어 전원 OFF명령어신호 발생부(120)에 입력된다. 전원OFF명령어신호 발생부(120)에서 발생된 전원 OFF명령어신호는 전원 ON/OFF제어신호발생부(130)에 입력된다. 전원 ON/OFF제어신호발생부(130)는 전원차단신호를 액티브(Active)시킨다. 이때, 전원공급장치(10)는 전원이 차단되어 시스템이 정지한다.
셋째, 원격제어의 경우에 있어서 시스템 전원을 ON시키는 동작.
키스위치(30)가 OFF위치에 있고 원격스위치(20)가 ON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원격제어용 터미라(70)의 키보드로부터 소정의 캐릭터(Character)를 보내면 소정의 캐릭터는 모뎀(60)을 통하여 원격제어 수신부(140)에 입력된다. 원격제어 수신부(140) 에서 캐릭터를 받으면 전원 ON명령어(Power On Command)를 발생시킨다. 전원 ON명령어는 전원 ON/OFF제어신호발생부(130)에 입력되어 전원차단신호를 비액티브시키므로서 전원공급장치(10)가 동작한다.
네째, 원격제어의 경우에 있어서 시스템 전원을 OFF,시키는 동작.
시스템 동작중에 전원을 OFF하고자 할때, 제어용 터미날(70)에서 "POFF"의 전원 OFF명령어를 입력하면 이 명령어가 직렬입출력제어기(100)를 통해 명령어 해석부(90)에 전달된다. 명령어 해석부(90)는 "POFF"명령어를 해석하여 전원 OFF명령어신호 발생부(120)으로 하여금 전원 OFF명령어를 발생시키게 한다. 전원 ON/OFF제어신호발생부(130)에서는 전원 OFF명령어를 입력으로 받아 전원차단신호를 액티브시킨다.
다음, 제 4 도에 도시된 전원 ON/OFF제어회로의 구체적인 회로도의 동작흐름을 제 3 도 및 제 5∼8 도의 파형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도 한다.
제 4 도에서, 인터럽트 발생부(110)는 인터럽트인지신호와 리세트신호를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논리곱소자(150)및 인터럽트신호를 발생시키는 플립플롭(170)으로 구성한다. 전원 ON/OFF제어신호 발생부(130)는 전원 ON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논리곱소자(160) 및 부논리곱소자(160)에서 발생하는 전원 ON신호와 전원 OFF명령어신호 발생부(120)에서 발생하는 전원 OFF신호를 입력으로 받아들여 전원공급/차단신호를 발생시키는 플립플롭(170')으로 구성한다. 원격제어 수신부(140)는 논리곱소자(150')와 원격제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플립플롭(170'')과 원격스위치(30)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180')로 구성한다. 두개의 부논리곱소자(160',160'')과 인버터(180)으로 구성된 부분은 키스위치(20)의 ON/OFF단자신호를 확실하게 전달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제 5∼8 도에서, (A)는 클럭신호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전원스위치의 신호를 도시한 것이고, (C)는 인터럽트신호를 도시한 것이고, (D)는 원격스위치의 신호를 도시한 것이고, (E)는 모뎀의 데이타 수신신호를 도시한 것이고, (F)는 원격제어의 감지신호를 도시한 것이고, (G)는 전원 ON신호를 도시한 것이고 (H)는 전원 OFF명령어 발생부를 출력하는 전원 OFF명령어신호를 도시한 것이고, (I)는 전원차단신호를 것이고, (I)는 전원차단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B),(C),(D),(F),(H),(I)는 로우레벨에서 액티브되고 (E),(G)는 하이레벨에서 액티브된다. 이하, 로우레벨에서 액티브한 경우 각 신호끝에 ∼기호를 붙이기로 한다.
먼저, 제 4 도와 제 5 도를 결부시켜 설명하면 시스템이 OFF된 상태에서 키스위치(20)를 ON으로 하면 하이레벨상태에 있던 제 5b 도의 전원스위치신호(P -SW∼)가 로우레벨이 되면서 부논리곱소자(160)의 출력논리값이 하이레벨이 된다. 즉, 제 5g 도의 전원 ON신호 (P-ON)가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바뀐다.플립플롭 (170')에서는 클럭이 되면서 로우레벨을 갖는 D값이 출력Q 로 전달되어 Q는 로우레벨, Q'는 하이레벨 값이 된다. 이때, 제 5i 도의 플립플롭(170')의 부출력단에 접속된 전원차단신호(AC-INHIBIT∼)는 하이레벨이 되면서 비액티브되기 때문에 전원공급장치 (10)가 동작한다.
다음, 제 4 도와 제 6 도를 결부시켜 설명하면 시스템이 동작중에 각 신호의 상태에 있어서 키스위치신호(KEY-SW∼)와 제 6b 도의 전원스위치신호(P-SW∼)는 로우레벨, 제 6g 도의 전원 ON신호(P-ON)와 제 6h 도의 전원 명령어 신호(POWER-CMD∼) 와 제 6i 도의 전원차단신호(AC-INHIBT∼)와 제 6d 도의 원격제어 감지신호(REMOTE-SEN∼)는 하이레벨상태이다. 이때 키스위치(20)를 OFF 하면 제 6b 도의 전원스위치(P-SW∼)는 하이레벨로 바뀌어 인터렙트 발생부(110)의 플립플롭(170)과 전원 ON/OFF제어신호 발생부(130)의 부논리곱소자(160)에 입력된다. 부논리곱소자(160)에서는 부논리곱의 논리에 의해서 제 6g 도의 전원 ON신호(P-ON)가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되어 전원 ON/OFF제어신호 발생부(130)의 플립플롭(170')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인터럽트 발생부(110)의 플립플롭(170)에서는 제 6b 도의전원스위치신호(P- SW∼)에 의해 클럭이 되면서 출력 Q의 값은 로우레벨이 된다. 즉, 플립플롭(170)의 Q단에 접속된 제 6c 도의 인터럽트 신호(INT∼)가 액티브되어 인터럽트가 CPU보드인터페이부(80)와 시스템 버스를 통해 중앙처리장치(40)에 전달된다. 인터럽트를 받은 중앙처리장치(40)는 시스템 셧다운(System Shutdown)에 따른 안전조치를 취한 후 CPU보드인터페이스부(80)를 통해 전원 OFF명령어를 명령어 해석부(90)에 전달한다. 명령어 해석부(90)에서 전원 OFF명령어가 해석되면 전원 OFF명령어신호발생부(120)의 CS-PCR∼신호와 WR∼신호와 UDS∼신호와 LD15∼신호를 모두 로우레벨로 떨어뜨림으로서 결국 POWER-CMD∼ 신호가 로우레벨되어 액티브된다. 이때 전원ON/OFF제어신호발생부(130)의 플립플롭(130)의 플립플롭(170')은 프리세트되어 출력 Q'는 로우레벨이 된다.
여기서, 논리합소자(190)의 출력을 두 인버터(180'',180''')를 접속하고 VB(밧데리 전원)으로 풀업(Full-up)시킨 것은 전원이 OFF 가 되면 POWER-CMD∼신호가 계속 로우레벨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전원 ON/OFF제어신호발생부(130)의 플립플롭 (170')이 계속 프리세트된 상태에서 다음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그래서 전원이 OFF되어 전원(Vcc)가 "0"가 되고 인버터(180'')의 출력이 "0"가되더라도 인버터(180'')의 출력은 VB로 인하여 하이레벨상태로 된다. 따라서 POWER-CMD∼신호가 하이레벨로 바뀜으로서 플립플롭(170')의 프리세트를 풀어주게 되어 다음에 동작하게될 전원 ON 동작수행 가능하게 된다.
전원OFF명령어신호 발생부(120)는 명령어 해석부(90)에서 해석된 전원 OFF명령어신호에 따라 제 6h 도의 전원명령어(POWER-CMD∼)를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떨어뜨린다. 따라서 전원 ON/OFF제어신호 발생부(130)의 플립플롭(170')은 프리세트(preset)되어 출력 Q'에 접속된 제 6i 도의 전원차단신호(AC-INHIBIT∼)는 로우레벨이 된다. 즉, 전원공급장치(10)가 차단되어 시스템이 정지한다.
다음은 제 4 도와 제 7 도를 결부시켜 원격제어에 있어서 시스템 전원을 ON시키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시스템 전원을 원격제어할 때는 키스위치(20)가 OFF 위치에 즉, 제 7b 도의 전원스위치신호(P-SW∼)를 하이레벨이고, 원격스위치(30)는 ON위치에 즉, 제 7d 도의 원격스위치신호(REMOTE-SW∼)가 로우레벨이다. 제 7d 도의 원격스위치신호(REMOTE-SW∼)는 인버터(180')에 의해 반전되어 논리곱소자(150')에 입력된다. 시스템이 정지된 상태에서 원격제어용 터미날(70)에서 소정의 캐릭터를 입력하면 데이타 수신신호(RXDB)와 데이타 수신감지신호(RXDB-SEN)에 1바이트(byte)가 전달된다.
따라서 논리곱소자(150')는 데이타 수신감지신호(RXDB-SEN)의 변화에 따라 원격제어 수신부(140)의 플립플롭(170'')의 클럭단에 입력되어 출력 Q가 로우레벨이 된다. 즉, 플립플롭(170'')에 접속된 제 7f 도의 원격제어 감지신호(REMOTE-SEN∼)가 로우레벨로 떨어진다. 이때, 전원 ON/OFF제어신호 발생부(130)의 부논리곱소자(160)에서 제 7g 도의 전원 ON신호(P-ON)는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이 되면서 전원 ON/OFF제어신호 발생부(130)의 플립플롭(170')이 출력 Q'는 하이레벨이 된다. 즉, 제7i 도의 전원차단신호(AC-INHIBIT∼)가 하이레벨이므로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된다.
다음은 제 4 도와 제 8 도를 결부시켜 원격제어에 있어서 시스템 전원을 OFF시키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 8b∼f 도의신호는 유지된 상태에서 원격제어용 터미날(70)로부터 "POFF" 명령어를 입력하면 직렬입출력제어기(100)를 통해 명령어 해석부(90)에 입력된다. 전원 OFF명령어신호 발생부(120)에서는 명령어 해석부(90)의 전원 OFF명령어신호에 따라 제 8h 도의 전원 명령어 신호(POWER-CMD∼)를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떨어뜨린다. 이때 전원ON/OFF제어신호발생부(130)이 플립플롭(170')은 프리세트되어 출력 Q'는 로우레벨이 된다. 즉, 제8(I)도의 전원차단신호(AC-INHIBIT∼)가 로우레벨이 되면서 시스템 전원이 OFF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전원 ON/OFF 제어회로는 시스템 키스위치의 오동작이 있을때 시스템 전원이 OFF되기전에 중앙처리장치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므로서 사용자들의 데이타와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원격지에서 손쉽게 시스템 전원을 ON/OFF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전원공급장치(10)와 키스위치(20)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키스위치(20)로부터 전원을 OFF하게 되면 사용자들에게 전원 차단에 따른 안전조치를 취하도록 인터럽트신호를 발생시켜 발생된 인터럽트신호를 중앙처리장치(40)에 공급하는 인터럽트발생부(110)와 : 상기 중앙처리장치(40)에서 인터럽트에 따라 처리된 전원 OFF명령어를 받아서 전원 OFF명령어를 받아서 전원 OFF명령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원 OFF명령어신호발생부(120)와 ; 상기 키스위치(20)와 상기 전원 OFF명령어신호 발생부(120)에서 출력하는 전원 ON/OFF 명령어를 받아서 전원 공급 및 차단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원 ON/OFF제어신호발생부(1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ON/OFF제어회로.
  2. 전원공급장치(10)와 키스위치(20)와 원격스위치(30)와 모뎀(60)과 원격제어용 터미날(70)을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키스위치(20)로부터 전원을 OFF하게 되면 사용자들에게 전원차단에 따른 안전조치를 취하도록 인터럽트신호를 발생시켜 발생된 인터럽트신호를 중앙처리장치(40)에 공급하는 상기중앙처리장치(40)에서 인터럽트에 따라 처리된 전원 OFF명령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원 OFF명령어신호발생부(120)와 : 상기 원격제어용 터미날(70)을 통해 소정의 캐릭터(Character)를 입력하면 캐릭터를 감지하여 전원 ON명령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원격제어수신부(40)와 ; 상기 키스위치(20)와 상기 전원 OFF명령어신호발생부(120)와 상기원격제어수신부(140)에서 출력하는 전원 ON/OFF명령어를 받아서 전원공급 및 차단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원ON/OFF제어신호발생부(1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ON/OFF제어회로.
  3. 제 1 항 및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ON/OFF제어회로는 상기 중앙처리장치(40)와 상기 원격제어용 터미날(70)로부터 오는 전원 OFF명령어를 해석하는 명령어 해석부(9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ON/OFF 제어회로.
  4. 제 1 항 및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발생부(110)는 인터럽트인지신호와 리세트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상기 인터럽트를 세트시키는 게이트수단(150)및 상기 키스위치(20)의 OFF신호에 의해 인터럽트신호를 출력시키는 신호출력수단(1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ON/OFF제어회로.
  5. 제 1 항 및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ON/OFF제어신호 발생부(130)는 전원ON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원ON 신호발생수단(160) 및 상기 전원 ON신호발생수단(160)에서 발생하는 전원 ON신호와 상기 전원 OFF명령어신호 발생부(120)에서 발생하는 전원 OFF신호를 입력으로 받아들여 전원공급/차단신호를 출력시키는 신호출력수단(1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ON/OFF제어회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수신부(140)는 상기 원격스위치(30)신호와 캐릭터 수신신호를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입력수단(150')과 원격제어 감지신호를 출력시키는 신호출력수단(170'')과 원격스위치(30)의 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수단(18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ON/OFF제어회로.
KR1019920014139A 1992-08-06 1992-08-06 전원 on/off제어회로 KR940009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139A KR940009739B1 (ko) 1992-08-06 1992-08-06 전원 on/off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139A KR940009739B1 (ko) 1992-08-06 1992-08-06 전원 on/off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413A KR940004413A (ko) 1994-03-15
KR940009739B1 true KR940009739B1 (ko) 1994-10-17

Family

ID=1933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139A KR940009739B1 (ko) 1992-08-06 1992-08-06 전원 on/off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9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160B1 (ko) * 2007-06-28 2009-02-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측 시스템의 전원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460B1 (ko) * 1995-06-19 2003-04-10 주식회사 넷앤텍 홈오토메이션기기의자연음발생장치및그제어방법
KR101374877B1 (ko) 2012-06-13 2014-03-18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160B1 (ko) * 2007-06-28 2009-02-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측 시스템의 전원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413A (ko) 199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3099A (en) Intelligent backup power controller
EP1199697B1 (en) Low power-consumption monitor standby system
EP2115605B1 (en) Detecting connection to a usb host or hub without using an extra status input
KR0162599B1 (ko) 단순한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US6256682B1 (en) Signaling of power modes over an interface bus
US4827149A (en) Operation halting circuit
CN102163071B (zh) 一种控制电路及其复位时的电源控制方法
KR20000009370A (ko) 유니버설시리얼버스의전원공급을제어하는휴대용컴퓨터시스템및그제어방법
KR20070008861A (ko) Usb허브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CN106325463B (zh) 一种usb外设的省电控制系统及其方法
EP0473249A2 (en) Power conservation for battery powered data processing systems
US58677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king up a computer system via a parallel port
KR940009739B1 (ko) 전원 on/off제어회로
US6369466B1 (en) Cancelable power switch
EP0964255B1 (en) Method and circu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connector in a socket
US10311001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01272550B (zh) 脉冲计数来实现移动通信设备关机的系统及方法
CN214795825U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电脑扩展卡
US6252312B1 (en) Direct-voltage power pack
JP200412718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CN218162422U (zh) 一种时序可控的安全开关机电路
CN109814931A (zh) 一种基于通用usb接口的多台电脑一键开机系统及方法
KR100202700B1 (ko) 피엘씨의 멀티 입력용 장치 및 방법
KR200359921Y1 (ko) 슬레이브 장치
JPH05324153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