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388Y1 - 섬유원단용 수세기의 패딩망글(Padding Mangle)장치 - Google Patents

섬유원단용 수세기의 패딩망글(Padding Mangle)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388Y1
KR940008388Y1 KR92021013U KR920021013U KR940008388Y1 KR 940008388 Y1 KR940008388 Y1 KR 940008388Y1 KR 92021013 U KR92021013 U KR 92021013U KR 920021013 U KR920021013 U KR 920021013U KR 940008388 Y1 KR940008388 Y1 KR 940008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abric
piston
piston rod
padding m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1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091U (ko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김원묵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묵,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원묵
Priority to KR92021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8388Y1/ko
Publication of KR9400100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0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3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06B3/18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combined with squeezing, e.g. in padd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06B23/021Compressive 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34Driving arrangements of machines or apparatu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섬유원단용 수세기의 패딩망글(Padding Mangle) 장치
제1도는 섬유원단용 수세기의 개략적 구조도.
제2도는 종래의 섬유원단용 수세기에 적용된 패딩망글의 장치의 개략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패딩망글장치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정수 2 : 수조
3 : 가이드롤러 4 : 방향전환롤러
5 : 세정장치 6 : 패딩망글장치
6a : 압압로울러 6b : 구동로울러
7 : 프레임 7b : 축핀
8 : 공압실린더
본 고안은 직기에서 제직된 후의 원단, 나염 또는 염색공정후에 반드시 취하는 수세공정을 위한 수세기에 적용되어서 수세공정시 섬유원단에 함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섬유원단용 수세기의 패딩망글(Padding Mangle)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사를 제직하여 원단화 할때에는 원사자체에 풀(size), 오일(oi1), 왁스(wax)등을 비롯한 각종약품을 이용해서 표면처리하여 제직후에 발생하는 보플등을 제거한 상태로 원단을 제직하게 된다.
이와같이 제직처리된 원단은 상기한 풀, 오일, 왁스등을 비롯한 각종약품을 원단으로부터 빼내야 하는 작업을 반드시 해야하는데 이때 취하는 공정이 물등에 의한 수세공정이다.
또한 이러한 수세공정은 원단의 프린팅(printing)공정 즉, 원단에 나염 또는 염색을 취할당시에 처리된 각종약품역시 물등에 의한 수세공정을 거치면서 원단에서 제거시키게 된다.
이러한 수세공정은 일반적으로 수세기라는 기기를 통하여 제 공정을 취하게 되는데 이를 첨부한 도면 제1도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세정수(1)의 공급과 배출이 자유롭도록 형성된 다수의 수조(2)내에 가이드롤러(3)와 방향전환롤러(4)를 설치한 다수의 세정장치(5)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장치(5)의 사이에는 패딩망글장치(6)이 설치되어진다.
이는 상기한 바와같은 원단(T)이 가이드롤러(3)와 방향전환롤러(4)의 안내에 따라 세정수(1)내에 수장되어 세정수(1)를 함침한 상태로 세정장치(5)를 통과하여 상기한 패딩망글장치(6)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세정수(1)를 함침한 상태의 원단(T)은 패딩망글장치(6)가 구성하고 있는 압압로울러(6a)와 구동로울러(6b)사이를 통과할때 상기한 압압로울러(6a)와 구동로울러(6b)간의 압착에 의해 함침된 세정수(1)가 원단(T)으로부터 제거되면서 각종 이물질과 함께 빠져 나가게 된다.
이러한 반복공정을 취하면서 결국에는 원단(T)에 묻어 있는 이물질은 완전히 제거된다.
이와같은 수세기에 적용되는 종래의 패딩망글장치(6)는 첨부한 도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것으로서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로울러(6b)의 상부에 압압로울러(6a)를 설치하되 상기한 압압로울러(6a)가 회동가능하게 축착하고 있는 프레임(7)의 일끝단에는 상기한 프레임(7)이 회동할 수 있도록 축(7a)에 의해 수세기의 기체(미도시)상에 축착하고, 프레임(7)의 타단은 피스톤(8b)과 피스톤로드(8a)로 이루어진 공압실린더(8)의 상기 피스톤로드(8a)와 축핀(7b)에 의해 축착되어져 이루어진 것이였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상기한 바와같이 구동로울러(6b)상에 압압로울러(6a)가 압압되어 있어야만이 세정수(1)에 함침된 원단(T)이 상기한 구동로울러(6b)와 압압로울러(6a)를 통과 하면서 그 압압력에 의해 세정수(1)가 제거되게 하여야 하므로 반드시 구동로울러(6b)상에서 압압로울러(6a)가 압압하는 상태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이때에는 상기한 수세기가 작동을 위하거나, 각종 공장내의 가동등을 위해 필히 이용되는 공압을 상기한 공압실린더(8)내로 공급하여 주게되면, 피스톤(8b)이 하강하게 되므로 이에 고정된 피스톤로드(8a)역시 하강하게 되므로 이에 축핀(7b)에 의해 축착된 프레임(7)이 축(7a)을 축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프레임(7)의 회동은 결국이에 축착된 압압로울러(6a)의 위치의 변경을 유도하게 되므로 결국 압압로울러(6a)는 구동로울러(6b)에 압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원단(T)을 상기한 압압로울러(6a)와 구동로울러(6b)사이를 통과시키게 되면 구동로울러(6b)의 회전구동력에 따라 압압로울러(6a)역시 회전하면서 원단(T)를 압압하여 세정수(1)를 원단(T)에서 제거시키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상태에서 작업의 중지 또는 휴무시를 위하여 공압을 실린더(8) 내에서 제거시키게되면 압압로울러(6a)가 구동로울러(6b)에 압압되는 상태는 어느정도 제거된 되나 압압로울러(6a)와 구동로울러(6b)그대로 압접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를 그대로 두게 되면 압압로울러(6a)와 구동로울러(6b)의 겉표면이 고무재인 까닭에 완전한 원형상태를 유지하지 아니하고 찌그러드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여 수세공정시에 원단(T)을 골고루 압압하여 세정수(1)를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작업의 중지시에 프레임(7)을 일일이 작업자가 축(7a)를 축지점으로 상향회동시켜서 상기 압압로울러(6a)와 구동로울러(6b)의 사이에 별도의 받침대(9)를 받쳐주어서 압압로울러(6a)와 구동로울러(6b)의 겉표면을 보호해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비능률적인 것임을 어떠한 증거를 요하지 아니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근본적으로 치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압실린더와 피스톤로드사이에 스프링을 장착하여 줌으로서, 작업시 발생되는 공압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하강하여 압압로울러를 구동로울러에 압압할때 스프링이 수축되었다가, 공압을 제거하면 수축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상향하여 구동로울러 상에서 압압로울러가 이격되도록 함으로서 구동로울러와 압압로울러의 겉표면을 보호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 제3도 내지 제4도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로울러(6b)의 상부에 압압로울러(6a)를 설치하되 상기 압압로울러(6a)가 회동가능하게 축착하고 있는 프레임(7)의 일끝단에 상기한 프레임(7)이 회동할 수 있도록 축(7a)으로 수세기의 기체상에 축착하고, 프레임(7)의 타단은 공압실린더(8)의 피스톤(8b)의 고정되는 피스톤로드(8a)에 축핀(7b)에 의해 축착되어 이루어진 패딩망글장치(6)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8b)의 상단에 돌출턱(20)을 형성하여서 상기 돌출턱(20)의 하부면과 공압실린더(8)의 상부면 사이에서 탄지하도록 스프링(21)을 피스톤로드(8b)에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진다.
이와같은 본 고안 장치에 대한 작용 및 제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첨부한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작업시에 공압을 공압실린더(8)내에 공급하여 주게되면 피스톤(8b)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로드(8a)가 하강하면서 프레임(7)을 축(7a)을 정점으로 하여 그 타단을 하강 시키게 되므로 압압로울러(6a)가 구동로울러(6b)에 압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피스톤로드(8a)가 하강될때 이의 상단에 형성된 돌출턱(20)의 하부면과 공압실린더(8)의 상부면 사이에서 스프링(21)이 수축이되는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그 목적하는 바에 따라 원단(T)을 압압로울러(6a)와 구동로울러(6b) 사이를 통과시켜서 원단(T)에 함침된 세정수(1)를 제거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행한다음 가동의 중지를 취하게되면 실린더(8)내의 공압의 공급이 중단되게 된다.
이와같은 공압의 공급중단이 되면 첨부한 도면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공압의 공급에 의해 수축된 스프링(21)의 탄발력에 의해 피스톤로드(8a)가 상승하면서 피스톤(8) 내의 공압을 배출하게 됨과 동시에 프레임(7)의 타단을 축(7a)을 정점으로 하여 상승시키게 된다.
이러한 프레임(7)의 상승은 결국 이에 축착된 압압로울러(6a)의 위치변경을 의미하는 것이 되므로 압압로울러(6a)가 구동로울러(6b)상에서 이격이되고, 이러한 이격상태를 스프링(21)에 의해 계속하여 유지하게 되므로, 압압로울러(6a)와 구동로울러(6b)의 겉표면은 서로 이격되어져서 그 변형을 쉽게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공압실린더와 피스톤로드 사이에 스프링을 장착하여 줌으로서 작업시 발생하는 공압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하강하여 압압로울러를 구동로울러에 압압할때 스프링이 수축되었다가 공압을 제거하면 수축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상향하여 구동로울러 상에서 압압로울러가 이격되도록 하여 줌으로서 구동로울러와 압압로울러의 겉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1)

  1. 구동로울러(6b)의 상부에 압압로울러(6a)를 설치하되 상기 압압로울러(6a)가 회동가능하게 축착하고 있는 프레임(7)의 일끝단에 상기한 프레임(7) 이 회동할 수 있도록 축(7a)으로 수세기의 기체상에 축착하고, 프레임(7)의 타단은 공압실린더(8)의 피스톤(8b)과 고정되는 피스톤로드(8a)에 축핀(7b)에 의해 축착되어 이루어진 패딩망글장치(6)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8b)의 상단에 돌출턱(20)을 형성하여서 상기 돌출턱(20)의 하부면과 공압실린더(8)의 상부면 사이에서 탄지하도록 스프링(21)을 피스톤로드(8b)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용 수세기의 패딩망글장치.
KR92021013U 1992-10-29 1992-10-29 섬유원단용 수세기의 패딩망글(Padding Mangle)장치 KR940008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1013U KR940008388Y1 (ko) 1992-10-29 1992-10-29 섬유원단용 수세기의 패딩망글(Padding Mangle)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1013U KR940008388Y1 (ko) 1992-10-29 1992-10-29 섬유원단용 수세기의 패딩망글(Padding Mangle)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091U KR940010091U (ko) 1994-05-21
KR940008388Y1 true KR940008388Y1 (ko) 1994-12-16

Family

ID=1934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1013U KR940008388Y1 (ko) 1992-10-29 1992-10-29 섬유원단용 수세기의 패딩망글(Padding Mangle)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83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091U (ko) 199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5242A (en) Device for cleaning blanket mounted around cylindrical drum of a printing machine
US2878778A (en) Apparatus for squeezing webs utilizing alternate hard and soft rolls on different axes
EP0741035B1 (en) Soak on site and soak on press cleaning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US46220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covery and reuse of solvents in dry cleaning systems
US2721370A (en) Machine and process for shrinking and finishing woven textile fabrics
US3973359A (en) Web abrading assembly
CN106995997A (zh) 一种印染织物轧洗系统
KR940008388Y1 (ko) 섬유원단용 수세기의 패딩망글(Padding Mangle)장치
KR0153461B1 (ko) 개선된 누름날을 이용한 압축장치
US2879581A (en) Continuous bias constructed glass textile fabric
EP0083302A1 (de) Trommel für Waschmaschinen und/oder Schleuderzentrifugen und Verwendung derselben in Waschmaschinen oder in Trockenzentrifugen
EP1072713B1 (en) Grinding device for textile material and relative method
KR20110055312A (ko) 폴리에스터 담요용 인쇄 장치
US4011623A (en) Apparatus for mechanically removing moisture from web-formed material
EP0217088B1 (e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ly conditioning textile materials
KR100186840B1 (ko) 직물 처리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셈블리
US3073713A (en) Wickproofing of synthetic fabric
US3530693A (en) Apparatus for dyeing textile strands
US2342235A (en) Feed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textile materials
DE4342008C2 (de) Verfahren zum Reinigen von Kleidungsstücken und 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3808844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elastic stretch in stretch woolens
KR960004905B1 (ko) 섬유원단의 충격에 의한 수세장치
CN211972683U (zh) 一种锦纶织物高效前处理精炼设备
GB2081322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achines for wet treatment of fabrics
US3822451A (en) Size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