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538Y1 - Mode recognition apparatus for vtr - Google Patents

Mode recognition apparatus for vt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538Y1
KR940007538Y1 KR92016291U KR920016291U KR940007538Y1 KR 940007538 Y1 KR940007538 Y1 KR 940007538Y1 KR 92016291 U KR92016291 U KR 92016291U KR 920016291 U KR920016291 U KR 920016291U KR 940007538 Y1 KR940007538 Y1 KR 940007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witch
subchassis
loadin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629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40006322U (en
Inventor
김명섭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92016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538Y1/en
Publication of KR9400063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32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538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인식 장치Mode recognition device for video tape recorders

제 1 도 및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드 인식 장치를 나타낸 덱크의 개략평면도.1 and 3 are schematic plan views of a deck showing a mode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a, b 도는 각 모드상태별 캠곡선 및 슬라이드 홈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2A and 2B show cam curves and slide groove positions for respective mode state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4 : 메인 샤시 5 : 로딩모터4: main chassis 5: loading motor

11 : 서브샤시 13 : 캠기어11: sub chassis 13: cam gear

13b : 캠곡선 14,15 : 제1 및 제2리이프 스위치13b: Cam curve 14, 15: first and second leaf switch

16 : 마이크로 스위치 17 : 회동레버16 micro switch 17 rotation lever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모드 상태를 인식하여 마이콤에 전달함으로써 마이콤이 각 모드 상태에서의 동작을 콘트롤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tape recor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e recognition apparatus for recognizing and transmitting each mode state to the microcomputer to control the operation in each mode state.

종래에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모든 인식 장치로써 로타리식과 슬라이드식이 채용되고 있다. 로타리식은 로딩모터에 의해 각 모드상태별로 회전하는 로딩캠의 회전 변위를 이용한 것으로, 로딩캠에 소정의 영역을 갖는 패턴들이 형성된 모드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패턴의 선택적으로 접속을 감지하여 모드를 인식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모드 스위치의 제작 및 조립공정이 어렵고 모드 스위치의 제작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었다. 또한 슬라이드식은 로딩캠에 의해 연동되는 레버가 모드 스위치의 슬라이드 레버를 좌,우 이송시켜 해당접점이 온,오프되는 것에 의해 모드를 인식하도록 된 것이나. 이도 역시 제작이 어렵고 단품가격이 고가인 단점과 모드 스위치를 슬라이드식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기구적인 동작에 정밀도를 요하기 때문에 설계상의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rotary type and slide type are adopted as all recognition devices of the video tape recorder. The rotary type uses a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loading cam rotated by each loading mode by the loading motor, and installs a mode switch having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n the loading cam, and selectively recognizes the connection of the pattern to recognize the mode. However, the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process of the mode switch is difficult,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ode switch is disadvantageous. In addition, the slide type is the lever interlocked by the loading cam to move the slide lever of the mode switch left and right to recognize the mode by turning the corresponding contact on and off. This also has a difficult design problem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the single unit price is expensive and the mechanical operation requires precision in order to slide the mode switch.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교적 저가인 리이프(Leaf) 스위치 및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용하여 각 모드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격이 저렴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low-cost video tape recorder by allowing each mode state to be recognized using a relatively inexpensive Leaf switch and a micro switc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de recognition apparatu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헤드드럼과, 로딩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한쌍의 로딩기어가 설치된 메인샤시상에 상기 일측의 로딩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캠기어에 의해 상,하 이송 가능하게 서스샤시가 설치되는 타입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캠기어에 형성된 활 형상의 캠곡선에 핀이 안내되어 소정각도 회동하는 회동레버와, 상기 회동레버의 회동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도록 메인샤시상에 구비된 제1 및 제2리이프 스위치와, 상기 서브샤시가 헤드드럼측으로 이송 완료되는 지점에서 온,오프되도록 서브샤시의 일단에 형성된 누름편이 노브와 맞닿는 위치의 메인샤시상에 구비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여 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인식장치에 있는 것이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ead drum and a cam gear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loading gear of one side on a main chassis provided with a pair of loading gears driven by a loading motor. A video tape recorder of which a chassis is provided to be transported downwardly, wherein a pin is guided to a bow-shaped cam curve formed on the cam gear to rotate a predetermined angle selectively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lever. The first and second leaf switches provided on the main chassis so as to be turned on and off, and a pressing piece formed at one end of the subchassis so as to be turned on and off at a point where the subchassis is transferred to the head drum side, and the main part The mode of the video tape recorder includes a micro switch provided on the chassis.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인식장치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3 도는 본 고안의 모드 인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덱크의 개략평면도로써, 헤드드럼(1) 및 한쌍의 로딩기어(2)(3)가 메인샤시(4)에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로딩기어(2)(3)는 메인샤시(4)의 일측에 설치된 로딩모터(5)의 동력을 워엄 및 워엄휘일(6)(7)과 기어열(8)에 의해 전달받아 폴 베이스(도시않됨)를 로딩시키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메인샤시(4)의 상측에는 서브샤시(11)가 상,하 이송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브샤시(11)는 장착되는 카세트(도시않됨)를 헤드드럼(1)측으로 이송시키도록 된 것으로, 일측의 로딩기어(2)에 이 맞물림된 중간기어(12)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캠기어(13)로써 이송된다.Hereinafter, a mode recognition apparatus for a video tape reco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and 3 are schematic plan views of a deck for explaining a mode recogni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head drum 1 and a pair of loading gears 2 and 3 are installed in the main chassis 4, The pair of loading gears (2) and (3) receives the power of the loading motor (5)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chassis (4) by the worm and the worm wheel (6) (7) and the gear train (8) It is intended to load a base (not shown). The upper side of the main chassis 4 is provided with a sub-chassis 11 so as to be transported up and down, and the sub-chassis 11 is configured to transfer a cassette (not shown) to the head drum 1 side. In this case, power is transmitted by the interlocked intermediate gear 12 to the loading gear 2 on one side and is transferred to the rotating cam gear 13.

상기 캠기어(13)는 메인샤시(4)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에 돌기(13a)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돌기(13a)는 서브샤시(11)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1a)으로 끼워져 안내된다.The cam gear 13 is installed in the main chassis 4, and the projection 13a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projection 13a is guid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11a formed in the sub chassis 11. .

한편, 모드 인식 장치는 제1 및 제2 리이프 스위치(14)(15)와, 1개의 마이크로 스위치(16)와, 상기 스위치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리이프 스위치(14)(15)는 캠기어(13)로부터 근접된 위치의 메인샤시(4)상에 나란히 배열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리이프 스위치(14)(15)를 작동시키는 수단은 캠기어(13)의 저면에 형성된 활 형상의 캠곡선(13b)과 상기 캠곡석(13b)에 일측의 핀(17a)이 안내되어 고정축(18)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레버(17)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마이크로 스위치(16)는 서브샤시(11)가 헤드드럼(1)측으로 완전히 이동되었을 때 서브샤시(11)의 일단에 구비한 누름편(11b)이 마이크로 스위치(16)의 노브(16a)와 맞닿을 수 있는 위치의 메인샤시(4)상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샤시(11)의 상,하 이송동작에 의해 온,오프 작동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de recognizing apparatus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leaf switches 14 and 15, one micro switch 16, and a means for operating the switches. The switches 14 and 15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main chassis 4 in a position proximate the cam gear 13, and the means for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leaf switches 14 and 15 are As a pivoting lever 17 which is guided by a pin 17a on one side of the cam-shaped curve 13b and the cam valley 13b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am gear 13 and rotated about the fixed shaft 18. Is done. In addition, the micro switch 16 has a pressing piece 11b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b chassis 11 when the sub chassis 11 is completely moved to the head drum 1 side, and the knob 16a of the micro switch 16 is provided. It is installed on the main chassis 4 in a position where i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b chassis 11 so as to be operated on and off by the up and down conveying operation of the sub chassis 11.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다음의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모드별 스위치 상태를 마이콤에 기억시키게 되면, 제1 및 제2리이프 스위치(14)(15)와 마이크로 스위치(16)의 각 모드상태에 따른 온,오프 동작에 의하여 각 모드 상태를 마이콤이 인식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Table 1 below, when the state of the switch for each mode is stored in the microcomputer, the respective modes of the first and second life switches 14 and 15 and the micro switch 16 are used. The on-off operation according to the state allows the microcomputer to recognize each mode state.

[표 1]TABLE 1

즉, 제 1 도는 이젝트 및 초기(Intial) 모드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 2a,b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젝트 모드는 회동레버(17)의 핀(17a)이 활형상 캠곡선(13b)의 a지점에 위치되어 회동레버(17)가 제2리이프 스위치(15)를 작동(가상선상태) 시키는 상태로서 이때는 표1에서와 같이 제2리이프스위치(15)만 회동레버(17)의 일단이 작동시켜 온 상태가 되고, 나머지 제1리이프 스위치(14) 및 마이크로 스위치(16)는 오프상태로 있게 되어 마이콤은 이젝트 상태임을 인식하게 된다.That is, FIG. 1 shows the eject and initial mode states,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In the eject mode, the pin 17a of the pivot lever 17 is located at the point a of the cam cam curve 13b, and the pivot lever 17 operates (virtual line state) the second lever switch 15. In this case, as shown in Table 1, only one of the second leaf switch 15 is turned on to operate the rotary lever 17, and the remaining first leaf switch 14 and the micro switch 16 are turned off. The microcomputer recognizes that it is in an eject state.

또한, 초기모드는 서브샤시(11)상에 카세트를 장착하게 되면, 카세트가 서브샤시(11)상의 릴(도시않됨)에 통상의 방식으로 장착되면서, 로딩모터(5)가 구동하여 로딩기어(2) 및 중간기어(12)를 통해 캠기어(13)가 소정각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고, 이로써, 회동레버(17)의 핀(17a)은 캠곡선(13b)의 b지점으로 이동하여 회동레버(17)가 가상성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일단이 제1리이프 스위치(14)를 작동시켜 온 상태가 되게 한다. 이때 서브샤시(11)의 슬라이드 홈(11a)이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캠기어(13)의 돌기(13a)가 안내되지만 돌기(13a)의 회전반경과 A∼B지점간의 곡률반경이 캠기어(13)의 회전중심으로 부터 동일한 반경으로 있기 때문에 서브샤시(11)는 이송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initial mode, when the cassette is mounted on the subchassis 11, the cassette is mounted on the reel (not shown) on the subchassis 11 in a conventional manner, and the loading motor 5 drives the loading gear ( 2) and the cam gear 13 is rotated clock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through the intermediate gear 12, whereby the pin 17a of the rotation lever 17 moves to the point b of the cam curve 13b Since the pivoting lever 17 is rotated clockwise in the imaginary state, one end of the pivoting lever 17 is operated to be in an on state. At this time, the projection 13a of the cam gear 13 is guided from the point A to the point B from the slide groove 11a of the subchassis 11, but the radius of curvature between the rotation radius of the protrusion 13a and the points A to B is the cam gear. The subchassis 11 is not fed because it is at the same radius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13).

따라서 표1에서와 같이 제1리이프 스위치(14)만 온이되고, 제2리이프 스위치(15) 및 마이크로 스위치(16)는 오프 상태이므로 마이콤은 초기모드 상태임을 인식하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Table 1, only the first life switch 14 is turned on, and the second life switch 15 and the micro switch 16 are turned off, and thus the microcomputer recognizes the initial mode.

제 3 도는 스톱 및 빨리감기/되감기 모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 2a, b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로딩모터(5)의 회전으로 캠기어(13)가 계속 회전하게 되면, 회동레버(17)의 핀(17a)은 캠곡선(13b)의 b지점에서 c지점까지 안내되고, 이 구간은 캠기어(13)의 회전중심에서 동일 반경이므로 회동 레버(17)는 가상선 상태로써 회동하지 않는다. 이때 캠기어(13)의 돌기(13a)는 서브샤시(11)의 슬라이드 홈(11a) B지점에서 C지점을 거쳐 다시 D지점으로 안내되면서 서브샤시(11)를 이송시키게 되고, 서브샤시(11)가 완전히 이송될 때 서브샤시(11)의 일단에 구비된 누름편(11b)이 마이크로 스위치(16)의 노브(16a)에 접촉되어 마이크로 스위치(16)를 온 상태로 전환시킨다.3 shows the stop and fast forward / rewind mode states,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That is, when the cam gear 13 continues to rotate by the rotation of the loading motor 5, the pin 17a of the rotation lever 17 is guided from the point b to the point c of the cam curve 13b, and this section is Since the rotation radius of the cam gear 13 is the same radius, the rotation lever 17 does not rotate in an imaginary line state. At this time, the projection 13a of the cam gear 13 is guided to the point D from the slide groove 11a of the subchassis 11 from the point B to the point D again, and transfers the subchassis 11 to the subchassis 11. ) Is completely transferred, the pressing piece 11b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bchassi 11 contacts the knob 16a of the micro switch 16 to turn the micro switch 16 on.

따라서, 표1에서와 같이 제2리이프 스위치(15)만 오프이고, 제1리이프 스위치(1) 및 마이크로 스위치(16)는 온 상태이므로 마이콤에서는 스톱 및 빨리감기/되감기 모드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Table 1, only the second life switch 15 is off, and the first life switch 1 and the micro switch 16 are on, so the microcomputer recognizes the stop and fast forward / rewind mode. It becomes possible.

또한, 재생 및 역재생 모드는 캠기어(13)가 계속 소정각도 회전되면, 회동 레버(17)의 핀(17a)이 c지점에서 d지점으로 안내되어 회동레버(17)가 가상선 상태에서 실선상태로 회동되므로 회동레버(17)의 일단은 제1리이프 스위치(14)에서 제2리이프 스위치(15)로 이동하여 제2리이프 스위치(15)를 온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때 캠기어(13)의 돌기(13a)는 슬라이드홈(11a)의 D지점에서 E지점으로 안내되지만 이 지점은 캠기어(13)의 중심으로부터 동일 반경으로 된 구간이므로 서브샤시(11)는 이동되지 않게 되어 마이크로 스위치(16)는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regeneration and reverse regeneration modes, when the cam gear 13 is continuously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pin 17a of the rotation lever 17 is guided from the point c to the point d so that the rotation lever 17 is in a solid line state. Since the rotary lever 17 is rotated in a state, one end of the rotation lever 17 moves from the first life switch 14 to the second life switch 15 to turn the second life switch 15 on. At this time, the projection 13a of the cam gear 13 is guided to the point E from the point D of the slide groove 11a, but since this point is a section having the same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cam gear 13, the subchassis 11 moves. The micro switch 16 can be kept on.

따라서 표 1에서와 같이 제1리이프 스위치(14)만 오프이고, 제2리이프 스위치(15) 및 마이크로 스위치(16)는 온상태가 되어 마이콤은 재생 및 역재생 모드임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Table 1, only the first life switch 14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life switch 15 and the micro switch 16 are turned on to recognize that the microcomputer is in the play and reverse play modes.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인식 장치에 의하면, 제1 및 제2리이프 스위치와 마이크로 스위치로써 표 1과 같은 스위치 상태를 실현할 수 있게 되어 각 모드 상태를 마이콤이 인식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스위치들은 비교적 값싼 부품으로써 종래의 로타리 및 슬라이드 식에 비해 제조가 쉽고 상기 스위치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수단은 정밀도를 요하지 않기 때문에 모드 인식 장치의 설계가 용이한 고안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de recognition apparatus of the video tape reco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life switches and the micro switch can realize the switch states shown in Table 1, and thus the microcom can recognize each mode state. Since the switches are relatively inexpensive parts, they are easier to manufacture than the conventional rotary and slide type, and the means for operating the switches do not require precision, so the design of the mode recognition device is easy.

Claims (1)

헤드드럼(1)과, 로딩모터(5)에 의해 구동되는 한쌍의 로딩기어(2)(3)가 설치된 메인샤시(4)상에 상기 일측의 로딩기어(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캠기어(13)에 의해 상,하 이송 가능하게 서스샤시(11)가 설치되는 타입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캠기어(13)에 형성된 활 형상의 캠곡선(13b)에 핀(17a)이 안내되어 소정각도 회동하는 회동레버(17)와, 상기 회동레버(17)의 회동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도록 메인샤시(4)상에 구비된 제1 및 제2리이프 스위치(14)(15)와, 상기 서브샤시(11)가 헤드드럼(1)측으로 이송 완료되는 지점에서 온,오프되도록 서브샤시(1)의 일단에 형성된 누름편(11b)이 노브(16a)와 맞닿는 위치의 메인샤시(4)상에 구비되는 마이크로 스위치(16)를 포함하여 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인식장치.The head drum 1 and a pair of loading gears 2 and 3 driven by the loading motor 5 are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loading gear 2 on one side on the main chassis 4. In the video tape recorder of the type in which the suspension chassis 11 is provided to be moved up and down by the cam gear 13, the pin 17a is formed on the bow-shaped cam curve 13b formed on the cam gear 13. The guide lever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first and second leaf switches 14 provided on the main chassis 4 so as to be selectively turned on and off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ivot lever 17. 15) and a position where the pressing piece 11b formed at one end of the subchassis 1 abuts on the knob 16a such that the subchassis 11 is turned on and off at the point where the subchassis 11 is transferred to the head drum 1 side. And a micro switch (16) provided on the main chassis (4) of the video tape recorder.
KR92016291U 1992-08-28 1992-08-28 Mode recognition apparatus for vtr KR94000753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291U KR940007538Y1 (en) 1992-08-28 1992-08-28 Mode recognition apparatus for vt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291U KR940007538Y1 (en) 1992-08-28 1992-08-28 Mode recognition apparatus for vt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322U KR940006322U (en) 1994-03-22
KR940007538Y1 true KR940007538Y1 (en) 1994-10-22

Family

ID=19339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6291U KR940007538Y1 (en) 1992-08-28 1992-08-28 Mode recognition apparatus for vt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538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322U (en) 199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3236A (en) Mechanism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cassette, cassette holder and head plate in tape cassette player
US4999723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having a cassette loading mechanism driven by a pinch roller
KR100572844B1 (en) Disk player
KR970011132B1 (en) Mode change mechanism for reverse type recorder
KR940007538Y1 (en) Mode recognition apparatus for vtr
CA1228419A (en) Switching device for actuating the recording switch of a magnetic-tape apparatus
US4178809A (en) Mode change-over device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0136511Y1 (en) Pinchi arm driving apparatus of a tape recorder
US4703138A (en) Protected switch unit for cassette tape recorder
KR910000953Y1 (en) Pinch-roller driving apparatus
KR0117898Y1 (en) Idler control device for tape recorder
KR930004024Y1 (en) Normal driving device for logic type cassette deck
KR940004843Y1 (en) Pinch roller driving apparatus of camcorder
KR940006550B1 (en) Double mode switch device of magnetic/recording/reproducing
KR950010653Y1 (en) Record choice apparatus for auto-reverse deck
US5227932A (en) Tape conveying device for video cassette recorder
KR100320923B1 (en) Device for mode divert in car logic deck
KR100207699B1 (en) Ejecting apparatus of portable audio logic deck
KR870002524Y1 (en) Rotating type mode switch
KR890004830B1 (en) Reel braking device of the video tape recorder
JP3138433B2 (en) Loading device for recording media
KR100246521B1 (en) Mode conversion apparatus for tape recorder
KR940000482Y1 (en) Review brake device of vcr
KR880004228Y1 (en) Loading gear playing device of vtr
KR930007872Y1 (en) Car deck sensor of autorever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