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064Y1 - Suction cup device - Google Patents

Suction cup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064Y1
KR940007064Y1 KR2019910012976U KR910012976U KR940007064Y1 KR 940007064 Y1 KR940007064 Y1 KR 940007064Y1 KR 2019910012976 U KR2019910012976 U KR 2019910012976U KR 910012976 U KR910012976 U KR 910012976U KR 940007064 Y1 KR940007064 Y1 KR 940007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haler
suction body
elastic member
contact surfac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297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05071U (en
Inventor
바오-셴 리우
Original Assignee
바오-셴 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오-셴 리우 filed Critical 바오-셴 리우
Priority to KR2019910012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064Y1/en
Publication of KR930005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07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064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흡입기(Sucker)Sucker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편적인 투시도.1 is a fragmentary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제1도의 흡입기의 평면도.1-1 is a plan view of the inhaler of FIG.

제1-2도는 제1-1도의 U-U라인에 의한 흡입기의 단면도.Fig. 1-2 is a sectional view of the inhaler by the U-U line in Fig. 1-1.

제1-3도는 제1도의 흡입기가 압력을 받아 고른 평면에 압축된 상태의 단면도.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haler of FIG. 1 compressed in an even surface under pressure.

제1-4도는 상기 압력이 해제된 후의 제1-3도 흡입기의 단면도.1-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1-3 degree inhaler after the pressure has been released.

제1-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6도는 제1-5도의 흡입기가 불규칙한 접촉면에 접촉될 때의 단면도.1-6 are cross-sectional views when the inhaler of FIGS. 1-5 is in contact with an irregular contact surface.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부품배열도.2 is a disassembled parts arrangement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1도 내지 제2-4도는 제2도의 흡입기에 관한 제1-1도 내지 제1-4도에 각각 해당하며, 제2-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기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2-1 to 2-4 correspond to FIGS. 1-1 to 1-4, respectively, of the inhaler of FIG. 2, and FIGS. 2-5 show a fourth embodiment of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ross-section.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기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기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3-1 is a plan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2도는 제3도 또는 제3-1도의 흡입기의 단면도.3-2 is a sectional view of the inhaler of FIG. 3 or 3-1.

제4도 내지 제4-7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기의 탄성부재에 적합한 8개의 다른 그루브형태를 갖는 서로 다른 8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각각의 평면도.4 to 4-7 are respective plan views showing eight different embodiments having eight different groove shapes suitable for the elastic member of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1도 내지 제5-4도는 본 고안에 따라 다른 외형을 갖는 흡입기의 투시도 또는 평면도.5-1 to 5-4 are perspective or plan views of inhalers having different appearanc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기의 또 다른 실시에를 나타내는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6-1도는 제6도의 W-W 라인에 의한 흡입기의 단면도.6-1 is a sectional view of the inhaler by the W-W line of FIG.

제7도 내지 제7-8도는 본 고안에 따라 고정연결장치를 구비한 서로 다른 9개의 흡입기의 분해도, 횡단면도 또는 투시도.7 to 7-8 are exploded, cross-sectional or perspective views of nine different inhalers with fixed connection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8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8-1도는 제8도의 T-T라인에 의한 제8도의 흡입기의 평면도.8-1 is a plan view of the inhaler of FIG. 8 by the T-T line of FIG.

제9도는 사용중인 제1-5도의 흡입기의 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haler of FIGS. 1-5 in use.

제10도 및 제10-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두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10 and 10-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yet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일 사용하기 위한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haler, in particular to an inhaler for daily use.

종래의 흡입기는 정상적으로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 하는데, 그 이유는 사용된 물질의 변형, 시효 또는 경화를 포함하는 요소 및 주위 온도, 습기 또는 대기압의 변화의 요인들에 의해 흡입기와 상기 흡입기가 접촉하는 평면 사이의 공간에 공기 분자들이 유입되기 때문이다. 상기의 문제는 현재까지 용이하며 효과적인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 선행기술이 안고 있는 문제를 논하고자 한다.Conventional inhalers fail to perform their functions normally, because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inhaler due to factors including deformation, aging or curing of the materials used and factors of changes in ambient temperature, moisture or atmospheric pressure. This is because air molecules enter the space between the planes. The above problem has not been solved in an easy and effective manner to date. Therefore, the present applicant will discus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능 및/또는 외형적으로의 다양성 및/또는, 효과 및/또는 편리 및/또는 장시간 지속되는 기능을 가는 흡입기를 제공함에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haler with a functional and / or cosmetic variety and / or an effect and / or convenience and / or long lasting function.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흡입기는, 제1중심부분 및 접촉면으로 압력을 받아서 접촉면과 하향으로 오목한 표면 사이의 공간을 진공화시켜, 흡입체가 상기 접촉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향으로 오목한 표면을 구비한 흡입체, 상기 흡입체상에 겹쳐지며 제2중심부분, 외부원주 및 수직탄성을 받기 위한 다수의 그루브(groove)수단을 구비한 항상 하향으로 오목한 탄성부재, 및 상기 흡입체가 접촉면을 향해 압력을 받은 후 탄성부재는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흡입체를 떼어내고 교대로, 상기 흡입체가 보다 효과적으로 접촉면에 접촉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방법으로 상기 중심구들을 연결하는 연결장치 등을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haler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pressure to the first center portion and the contact surface to vacuum the space between the contact surface and the concave surface downward, so that the suction body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downward An inhalation body having a concave surface, an elastic member which is always concave downwardly, having a second center portion, a plurality of groove means for receiving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vertical elasticity, and the intake body having a concave surface, After being pressed against the elastic member,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device or the like for connecting the center spheres in such a way as to remove the suction body from the contact surface and, in turn, cause the suction body to contact the contact surface more effectively.

상기 그루브수단은 외부원주에서 시작되거나 시작되지 않을 수 있다. 위와 같은 흡입기 구조에 따라, 탄성부재의 면적은 흡입체의 것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와 흡입체는 일반적으로 평면도의 형태가 삼각형, 사각형, 타원 및 원형일 수 있다.The groove means may or may not start on the outer circumference.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inhaler as described above, the area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at of the inhaler. The elastic member and the suction body generally have a plan view in the form of a triangle, a square, an ellipse and a circle.

본 고안의 흡입기는, 연결장치 하부에 있는 탄성부재를 저지하기 위하여, 연결장치에 맞물려 있거나 상기 연결장치를 통과하는 스토퍼(stopper)를 더 구비한다. 탄성부재는 훅킹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연결장치는 흡입체 또는 탄성부재에 부착되어, 선택적으로, 중요한 일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ha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opper engaged with or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device in order to block the elastic member under the connecting device. The elastic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hooking member. The connecting device may be attached to the suction body or the elastic member and, optionally, formed as an important part.

바람직하게, 흡입체는 상기 흡입체가 접촉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게 하는 방사형의 신장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신장부분은 상기 신장부분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흡입체(B) 또는 울퉁불퉁한 표면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연결장치는 흡입체와 개별화되어 상기 흡입체로 부분적으로 주입될 수 있으며, 나사로 되어 있거나 90° 회전한 H-형 단면의 형태의 상부부분을 구비한다.Preferably, the suction body comprises a radial elongation that allows the suction body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tact surface. The elongate portion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ction body B or the rugged surface to easily hold the elongated portion. The connecting device can be partially injected into the suction body separately from the suction body and has an upper part in the form of an H-shaped cross section which is screwed or rotated 90 °.

바람직하게, 제2중심부분은, 연결장치의 상부부분을 상기 제2중심부분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이다. 상기 구멍은 예를 들어 기어형일 수 있다. 상기 그루브수단은 막힐 수 있고 일반적으로 부채골 또는 선형 또는 다른형태를 갖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그루브수단은 제2중심부분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고, 곡면이거나, 사각형, 타원형, 부채꼴 또는 다른 형태를 갖을 수 있다. 만일 상기 그루브 수단이 막혀있지 않거나 제2중심부분에서 시작하지 않고 탄성부재의 외부원주에서부터 시작된다면, 상기 그루브수단은 직선 또는 곡면, 또는 희망하는 형태를 갖을 수 있다. 상기 그루브의 수는 2 이상일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center portion is a hole that allows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device to pass through the second center portion. The hole can be geared, for example. The groove means may be blocked and generally have a scalloped or linear or other shape. Optionally, the groove means may start from the second center and may be curved, rectangular, elliptical, scalloped or otherwise shaped. If the groove means is not blocked or starts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lastic member without starting at the second center portion, the groove means can have a straight or curved or desired shape. The number of grooves may be two or more.

본 고안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기의 기술을 통해 잘 이해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 내지 제1-4도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흡입기는 하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표면(B2)을 갖는 흡입체(B), 상기 흡입체의 중심에 부착되어 형성되며, 신장된 상부 부분을 구비하는 연결장치(C), 및 상기 흡입체(B)상에 겹쳐지는 탄성부재(A)를 구비한다.According to FIGS. 1 to 1-4,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n inhalation body B having a concave surface B2 downward,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inhalation body, and an extended upper portion.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device (C) having a, and an elastic member (A) overlapping on the suction body (B).

상기 탄성부재(A)는 하부로 오목한 형태의 표면(A1), 외부원주(A2), 상기 상부 부분(C1)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A)가 고정되도록 상기 상부 부분을 통과하도곡 할 수 있는 중심구(A4) 및 수직탄성을 탄성부재(A)에 인가하기 위한 다수의 그루브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그루브 수단은 상기 중심구(A4)로 향한 그루브(A3)들일 수 있고, 상기 외부원주(A2)로부터 시작된다. 사용시, 본 고안의 흡입기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면(G)으로 압력을 받아, 흡입체(B)와 접촉면(G) 사이의 정해진 공간(E)으로부터 공기를 방출하며, 결과적으로 흡입체(B)를 접촉면(G)에 접촉시킨다. 압력이 제거된 후,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A)는 흡입체(B)를 접촉면(G)에서 떼어내는 경향이 있으며 공간(E)을 강제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위 온도 또는 대기압이 변할 지라도 공간(E)에 있는 공기가 어떤 방법으로도 포화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흡입체(B)는 접촉면(G)에 보다 효과적으로 접촉된다.The elastic member A may be curved through the upper portion such that the elastic member A is fixed by the lower surface concave shape A1, the outer circumference A2, and the upper portion C1.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groove means for applying the center hole (A4) and the vertical elasticity to the elastic member (A), the groove means may be grooves (A3) toward the center hole (A4), the outer circumference ( Starts from A2). In use, the inhal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3, receives pressure from the contact surface G, and releases air from the defined space E between the suction body B and the contact surface G. As a result, the suction body B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G. After the pressure is removed, as shown in FIGS. 1-4, the elastic member A tends to detach the suction body B from the contact surface G and makes the space E into a forced vacuum state, Since the air in the space E does not saturate in any way even if the ambient temperature or atmospheric pressure changes, the suction body B is more effectively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G.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A)의 면적은 외주부분(B4)을 갖고있는 흡입체의 것보다 작아, 주위온도 또는 습기의 변화로 인해 흡입체에 변형이 생긴다면, 원주(A2)는 외주부분(B4)이 접촉면에 접촉되는 것을 도와주어 주변 공기가 공간(E)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As shown in Figs. 1-5, the area of the elastic member A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uction body hav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B4, so that if the suction body is deformed due to changes in ambient temperature or humidity, The circumference A2 helps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B4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urrounding air from entering the space E.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A)가 탄력적이고 그루브(A3)를 구비하여 원주(A2)가 다른 위치에서도 충분히 유연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A)는 흡입체(B)가 불규칙한 접촉면(G1)에 접촉되게 도와준다. 상기 그루브(A3)의 수는 특별한 상태의 필요조건에 부응하도록 바람직하게 변경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6, the elastic member A is elastic and the groove A3 is provided so that the circumference A2 is sufficiently flexible even at different positions, so that the elastic member A is the suction body B. Help to contact the irregular contact surface (G1). The number of grooves A3 can be preferably chang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a particular state.

제2도 내지 제2-5도는 본 고안의 흡입기를 나타내는 제1도 내지 제1-5도의 평면도 및 단면도와 유사하다. 단, 제2도 내지 제2-5도의 흡입기는 외부원주(A2)가 아닌 중심구(A4)에서부터 시작하는 다수의 그루브(A51)를 구비한 탄성부재(A)를 구비한다.2 to 2-5 are similar to the top and cross-sectional views of FIGS. 1 to 1-5 showing the inhaler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inhaler of FIGS. 2 to 2-5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A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A51 starting from the center hole A4 rath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A2.

교대로, 제3도 내지 제3-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A51')들은 막혀질 수 있다. 즉 환언하면, 상기 그루브(A51')들은 외부원주(A2)에서 시작하지도 않고, 중심구(A4)에서도 시작하지 않는다. 이러한 그루브(A51')들은 부채꼴형 또는 긴 선형일 수 있으며, 또는 다른 형태를 갖을 수 있다. 제3-1도 및 제3-2도의 점선은 하향으로 압력을 받았을 때의 탄성부재(A)의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Alternately, as shown in FIGS. 3 through 3-2, the grooves A51 'may be clogged. In other words, the grooves A51 ′ do not start at the outer circumference A2 nor at the center sphere A4. These grooves A51 ′ may be scalloped or elongated, or may have other shapes. The dashed lines in FIGS. 3-1 and 3-2 schematically show the state of the elastic member A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downward.

제4도 내지 제4-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탄성부재(A)는 외부로 곡면이 형성된 그루브들(S) 또는 각각이 타원형 부분과 직선부분을 갖고 있는 그루브들(R)을 갖을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부재(A)는 삼각형, 부채꼴, 타원형, S형 또는 곡면의 내부 그루브(A51)를 구비한다. 또한 그루브(A51)의 수는 특별한 상태의 필요조건에 부웅하도록 바람직하게 변경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4 to 4-7, the elastic member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rooves (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to the outside or grooves (R) each having an elliptical portion and a straight portion (R) ) Or the elastic member (A) has a triangular, fan-shaped, oval, S-shaped or curved inner groove (A51). In addition, the number of grooves A51 can be preferably changed to suit the requirements of a particular state.

제5-1도 내지 제5-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A2)는 외주부분(B4)이 접촉면(G)에 접촉하도록 도와주기때문에, 본 고안의 흡입기는 일반적으로 상기 흡입기를 위쪽 정면에서 보았을 시, 그 모양이 사각형 또는 타원 또는 삼각형일 수 있다. 연결장치(C)는 상부부분(C1)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상부분을 일직선형 스토퍼(M)가 통과하거나, 상기 상기부부분 하부 또는 탄성부재(A) 하부에 저지용 C-형 스토퍼(N 또는 T)가 부착된다.As shown in Figs. 5-1 to 5-4, the circumference A2 helps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B4 to contact the contact surface G, so that the inha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the upper side of the inhaler.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shape may be square or ellipse or triangle. The connection device C may include an upper portion C1, through which the linear stopper M passes, or a C-type stopper for blocking under the portion or the elastic member A. (N or T) is attached.

제6도 및 제6-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A)의 중심구(A4)는 신장부(A5)를 더 포함하여 기어형을 형성하여, 중심구(A4)를 통해 강제로 연결장치(C)의 상부부분(C1)을 통과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탄성부재(A)의 톱니부분(A6)이 가늘어 질 수 있으므로 연결장치(C)와 탄성부재(A) 사이의 맞물림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6 and 6-1, the center hole A4 of the fan A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A5 to form a gear shape, forcing it through the center hole A4.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C1 of the connecting device C is facilitated. Since the toothed portion A6 of the elastic member A can be tapered, the engagement between the connecting device C and the elastic member A becomes easier.

본 고안의 흡입기를 접촉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흡입체(B)에, 흡입체(B)와 접촉면상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게 하도록 상향으로 잡아당겨 질 수 있는 신장부(B5)가 구비된다.In order to easily separate the inha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contact surface, there is an extension B5, which can be pulled upward to allow air to enter the space between the suction body B and the contact surface. It is provided.

제7도 내지 제7-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체(B)의 제조 중에 주입되는 것을 제외하고, 구멍(C101)을 통과하는 횡간 물질을 갖고 있는 연결장치(C)는 흡입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to 7-8, except for being injected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inhalation body B, the connecting device C having the transverse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hole C101 is removed from the inhalation body. Can be separated.

따라서, 이전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주요부분으로 연결장치(C)를 형성하는 흡입체(B)가 상대적으로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져, 그 결과로 강도의 탄력성을 갖는 탄성부재(A)가 사용될때 유연한 연결장치(C)는 변형 또는 손상되어 그 기능을 바람직하게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에, 강도의 탄력성을 갖는 탄성부재(A)를 본 고안의 흡입기에 사용하기 위해, 연결장치(C)는 더 단단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장부분(B5)은, 상기 신장부분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흡입체(B) 또는 예를 들면 제7-4도의 참조번호 B51에서 융기된 표면같은 울퉁불퉁한 표면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별개의 연결장치(C)는 90회전한 H-형의 단면(C104), 내부나사(C102) 또는 외부나사(C103)를 갖는 상부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Thus, as shown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suction body B, which forms the connecting device C as a main part, is made of a relatively flexible material, and as a result, an elastic member A having elasticity of strength is used. When the flexible connecting device C is deformed or damaged and thus does not desirably exhibit its function, in order to use the elastic member A having elasticity of elasticity in the inhal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device C is more rigid.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The elongate portion B5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neven surface, such as the surface of the suction body B or a raised surface, for example, B51 in FIGS. 7-4, so as to easily hold the elongated portion. A separate connection device (C) may have an upper portion having a cross-section (C104), the internal thread (C102) or the external thread (C103) of 90 rotated H- type.

따라서, 상기 연결장치(C)가 흡입기에 의해 접촉면에 접촉될 수 있는 또는 접촉되도록 하는 품목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Thus, the connecting device C can be easily connected to an item that can be brought into or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by the inhaler.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접촉된 물건 그 자체가 그 하부의 탄성부재(A)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성공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연결장치(C)의 상부부분은 신장될 필요가 없다. 부가적으로, 제7-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탄성부재(A)의 원주(A2)는 평면일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탄성부재(A)는 그 하부의 흡입체(B)의 외주부분(B4)을 보다 효과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 연결할 수 있고, 본 고안의 흡입기는 보다 안전하게 접촉면(G)에 접촉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device C does not need to be elongated, since the contacted object itself can successfully play the role of connecting the elastic member A of the lower part thereof. Additionally, as shown in FIGS. 7-8, the circumference A2 of the elastic member A may be flat, whereby the elastic member A is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uction body B below it. (B4) can be connected more effectively or preferably, and the inhal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acted to the contact surface G more safely.

제8도 및 제8-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C')는 선택적으로 흡입체(B)내로 주입된 탄성부재(A)에 부가되어 주요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결장치(C')는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다른 구조를 갖는 상부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8-1, the connecting device C 'may be formed as a main part by being added to the elastic member A selectively injected into the suction body B. As shown in FIG. The connecting device C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also have an upper portion having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의 물건 또는 종이(P)는 탄성부재(A)와 접촉면에 접촉된 흡입체(B) 사이에 안전하게 조여질 수 있으므로, 접촉면이 항상 청결 및 매끄러움을 유지하기 위해 접착물 또는 택(tack) 또는 이의 동등물이 필요 없게된다.As shown in FIG. 9, the thin film article or paper P can be securely tightened between the elastic member A and the suction body B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so that the contact surface is always kept clean and smooth. There is no need for adhesives or tacks or their equivalents.

제10도 및 제10-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흡입기의 탄성부재(A)는 훅킹부재(H) 또는 이의 동등물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기는 그 상부의 물건을 고정 또는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ures 10 and 10-1, the elastic member (A) of the inha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hooking member (H) or its equivalent so that the inhaler can fix or connect the object thereon. It becomes possible,

요약하면, 본 고안에 의한 이점은 하기와 같다.In summary,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1)용이한 방법으로, 본 고안의 흡입기는 효과적으로 접촉면에 접촉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1) In an easy way, the inhaler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ffectively contacts the contact surface but can also be separated from the contact surface.

2)대기압이 변할지라도, 본 고안의 흡입기는 효과적으로 장시간 동작될 수 있다.2) Even if the atmospheric pressure changes, the inhal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operated for a long time.

3)흡입체(B)에 사용된 물질이 불가피하게 시화 또는 경화되더라도, 상기 흡입기는 장시간 정상적으로 그 기능을 수행한다.3) Even if the material used for the inhaler B is inevitably ignited or cured, the inhaler performs its function normally for a long time.

4)본 고안의 흡입기는 다양한 구조를 갖을 수 있다.4) The inhal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structures.

5)본 고안의 흡입기는 다양한 외형을 갖을 수 있다.5) The inhal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appearances.

6)본 고안의 흡입기는 다양한 기능을 갖을 수 있다.6) The inhal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functions.

Claims (14)

흡입기에 있어서, 제1중심부분을 갖는 하향으로 오목한 흡입체(B)로서, 접촉면(G)에 대해 하향으로 압력이 가해져 상기 흡입체(B)와 상기 접촉면(G)간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E)을 진공화 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흡입체(B)가 상기 접촉면(G)에 부착되도록 하는 상기 하향으로 오목한 흡입체(B)와, 제2중심부분, 원주(A2) 및 상기 원주(A2)로부터 내부로 신장하는 다수의 그루브들을 구비하는, 상기 흡입체(B) 위에 겹쳐 놓여지는 하향으로 오목한 탄성부재(A)와, 상기 흡입체(B)가 상기 접촉면(G)에 대해 눌려진 후 상기 탄성부재(A)가 상기 흡입체(B)를 상기 접촉면(G)으로부터 벗어나게끔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흡입체(B)가 상기 접촉면(G)에 보다 효과적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중심부분과 제2중심부분을 연결하는 연결장치(C)로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In the inhaler, a downwardly concave suction body (B) having a first center portion, and a predetermined space (E) formed between the suction body (B) and the contact surface (G) by applying downward pressure to the contact surface (G). ), The downwardly concave suction body (B) for attaching the suction body (B) to the contact surface (G), the second center portion, the circumference (A2) and the circumference (A2) A downwardly concave elastic member A superimposed on the suction body B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extending inwardly from the suction body B and the elastic body after the suction body B is pressed against the contact surface G; The member A causes the suction body B to deviate from the contact surface G, and consequently, the suction body B is attached to the contact surface G more eff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as a connecting device (C) for connecting the second center portion Inha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A)의 면적이 상기 흡입체(B)의 면적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The inha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rea of the elastic member (A)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an area of the suction body (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A) 및 흡입체(B)를 평면도로 본 모양이 일반적으로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The inha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pe of the elastic member (A) and the suction body (B) in plan view may be generally triangular, square, elliptical or circul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C)가 상기 탄성부재(A) 위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부재(A)를 저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장치(C)를 연결시키거나 통과시키는 스토퍼(M,N,T)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The stopper (M, N)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device (C) is positioned on the elastic member (A), and connects or passes the connection device (C) to block the elastic member (A). , T)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A)가 훅킹부재(H)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The inhaler of claim 1, wherein said elastic member (A) is connected to a hooking member (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체(B)가, 상기 흡입체(B) 또는 불규칙한 표면에 대해 경사진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흡입체(B)가 상기 접촉면(G)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방사선형 신장부분(B5)을 포함하여, 상기 신장부분(B5)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2. The suction body (B)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body (B) has an incline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suction body (B) or an irregular surface, and the suction body (B)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tact surface (G). Including an elongated portion (B5), characterized in that to facilitate the holding of the elongated portion (B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C)가 주요부분으로 상기 흡입체(B) 또는 탄성부재(A)에 부착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The inha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device (C) is formed as a main part attached to the suction body (B) or the elastic member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C)가 부분적으로 상기 흡입체(B)에 주입되며, 나사형 또는 90°회전한 H-형의 횡단면의 상부부분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2. The inha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device (C) is partially injected into the inhalation body (B) and has an upper part of a threaded or H-shaped cross section rotated by 9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심부분이, 상기 연결장치(C)의 상부부분을 강제로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The inha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enter portion is a hole for forcibly pa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device (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A)의 그루브들이 상기 외부원주(A2)에서부터 시작하며 일반적으로 직선 또는 곡면으로 된 그루브(A3,S,R)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The inhaler of claim 1, wherein the grooves of the elastic member (A) are grooves (A3, S, R) start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A2) and are generally straight or curv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심부분이 기어형의 구멍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10. The inhaler of claim 9, wherein said second center portion is a gear-shaped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A)의 그루브들이 일반적으로 부채꼴 또는 길며 가는 형태의 닫힌 그루브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The inhaler of claim 1, wherein the grooves of the elastic member (A) are generally closed grooves of a fan shape or a long thin shap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A)의 그루브들이 상기 구멍에서부터 시작하며, 곡면 또는 사각형, 타원형 또는 부채꼴형의 그루(A51)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10. The inhale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grooves of the elastic member (A) are curved or rectangular, elliptical or scalloped grooves (A51) starting from the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들이 2개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The inhaler of claim 1, wherein the grooves are two or more.
KR2019910012976U 1991-08-16 1991-08-16 Suction cup device KR94000706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976U KR940007064Y1 (en) 1991-08-16 1991-08-16 Suction cup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2976U KR940007064Y1 (en) 1991-08-16 1991-08-16 Suction cup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071U KR930005071U (en) 1993-03-22
KR940007064Y1 true KR940007064Y1 (en) 1994-10-13

Family

ID=1931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2976U KR940007064Y1 (en) 1991-08-16 1991-08-16 Suction cup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064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164B1 (en) * 2007-03-13 2008-08-13 송순영 Device for adhesion by holding low pressure
KR100977594B1 (en) * 2007-12-27 2010-08-2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Absorber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164B1 (en) * 2007-03-13 2008-08-13 송순영 Device for adhesion by holding low pressure
KR100977594B1 (en) * 2007-12-27 2010-08-2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Absorbe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071U (en)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3524A (en) Suction cup device
JPH0521562B2 (en)
FR2672651A1 (en) Fastening device using a sucker
US9491991B1 (en) Watch fastener and watch band using the watch fastener
US5737811A (en) Article for fastening of eyelet shoes
US5573420A (en) Electrical cord and electrical plug securer
KR940007064Y1 (en) Suction cup device
US6565524B1 (en) Compression device for living being
US5117537A (en) Removably attachable grommet device
US6076783A (en) Bag holding device
US2417117A (en) Earring
US5147705A (en) Elastic band
JP3190100U (en) Balloon with mouthpiece
JPH047766Y2 (en)
CN215839371U (en) Internal fistula needle fixing device
JP5291259B1 (en) Chair leg cover
JP2538738Y2 (en) Sphygmomanometer cuff
JP2696199B2 (en) Hook and hook
JPS5940878Y2 (en) Sheet skin attachment device
JPH0226323Y2 (en)
JPS5817442Y2 (en) shoe buckle
KR920001288Y1 (en) Devices for linking hoses of cleaner
JP3012924U (en) Corner cover
JPH026319Y2 (en)
JPS604621Y2 (en) Holding device for attached nozzle in spr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