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600B1 - 110/220v 겸용 전류 검출회로 - Google Patents

110/220v 겸용 전류 검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600B1
KR940006600B1 KR1019910025277A KR910025277A KR940006600B1 KR 940006600 B1 KR940006600 B1 KR 940006600B1 KR 1019910025277 A KR1019910025277 A KR 1019910025277A KR 910025277 A KR910025277 A KR 910025277A KR 940006600 B1 KR940006600 B1 KR 940006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output
voltage
leve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5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910025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600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10/220V 겸용 전류 검출회로
제1도는 종래의 전류 검출회로를 전자레인지에 적용시킨 일예를 보인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류 검출회로를 전자레인지에 적용시킨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공급부 8 : 전류검출부
20 : 레벨검출부 21 : 레벨보상부
AC : 교류전원
본 발명은 부하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부하의 출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110/220V 겸용 전류 검출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되는 110V 및 220V의 교류전원에 따라 검출한 전류의 값을 보상하는 110/220V 겸용 전류 검출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등과 같은 기기들은 부하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전류에 따라 부하의 동작을 제어하여 부하가 일정한 출력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즉, 종래의 전자레인지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되는 교류전원(AC)으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와, 상기 전원공급부(1)가 공급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2)와, 상기 스위칭부(2)에 의해 스위칭되는 전원을 고압으로 변환하는 고압변환부(3)와, 상기 고압변환부(3)의 출력고압을 정류하여 부하인 마그네트론(5)을 구동시키는 고압정류부(4)와, 상기 고압변환부(3)의 출력 전압으로 스위칭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부(6)와, 상기 고압변환부(3)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압제어부(7)와, 상기 마그네트론(5)으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8)와, 상기 동기신호부(6), 전압제어부(7), 전류검출부(8) 및 마이콤(9)의 출력신호에 따라 마그네트론(5)의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제어부(l0)와, 상기 출력제어부(1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2)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부공부(11)로 구성하였다.
전원공급부(1)는 교류전원(AC)이 코일(L1)을 통해 콘덴서(C1) 및 브리지 다이오드(BD1)에 인가되게 접속하고, 브리지 다이오드(BD1)의 출력단자는 코일(L2)을 통해 콘덴서(C2)에 접속하여 그 접속점에서 전원이 출력되게 구성하였다. 전력검출부(8)는, 전원공급부(1)의 코일(L1) 및 콘덴서(C3)의 접속점과 브리지 다이오드(BD1)의 입력단자 사이의 선로에 변류기(CT)를 설치하고, 그 변류기(CT)의 양단자를 콘덴서(C3), 저항(R1) 및 브리지 다이오드(BD2)의 입력단자에 접속하며, 브리지 다이오드(BD2)의 출력단자는 접지 콘덴서(C4), 저항(R2), 접지저항(R3)을 통해 저항(R4)의 일측단자에 접속하여 저항(R4)의 타측단자로 전류 검출전압이 출력되게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원 종래의 전자레인지는, 교류전원(AC)이 인가되면, 인가된 교류전원(AC)은 전원공급부(1)의 코일(L1) 및 콘덴서(C1)를 통해 필터링되면서 잡음신호가 제거되고, 브리지 다이오드(BD1)에서 브리지 정류되어 120㎐의 맥류로 변환되며, 코일(L2) 및 콘덴서(C2)에 의해 평활되어 직류전원으로 출력된다.
전원공급부(1)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은 스위칭부(2)에 의해 스위칭되어 약 30KHz의 펄스신호로 변환되고, 스위칭부(2)의 출력전원은 고압변환부(3)에서 고압으로 변환되고, 고압정류부(4)에서 배전압 정류된후 마그네트론(5)에 인가되어 마그네트론(5)이 2450MHz로 발진하게 한다.
동기신호부(6)는 고압변환부(3)의 출력전압으로 스위칭부(2)의 구동시작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칭부(2)의 스위칭소자를 보호하고, 전압제어부(7)는 마그네트론(5)에 과전압이 공급되지 않도록 고압변환부(3)의 고압을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마이콤(9)은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전류검출부(8)는, 마그네트론(5)의 구동시 흐르는 전류를 변류기(CT)로 검출하고, 변류기(CT)의 검출신호에 잡음신호는 콘덴서(C3) 및 저항(R1)에 의해 제거된후 브리지 다이오드(BD2)에서 브리지 정류 및 콘덴서(C4)에 의해 평활되어 전류 검출전압으로 변환되고, 그 전류 검출전압은 저항(R2, R3)에 의해 분할 및 저항(R4)을 통해 출력제어부(10)로 입력된다. 그러면 출력제어부(10)는 동기신호부(6), 전압제어부(7), 전류검출부(8) 및 마이콤(9)의 출력신호에 따라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 출력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구동부(11)가 스위칭부(2)의 동작을 스위칭시켜 마그네트론(5)이 정격 출력을 출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종래의 전류검출회로(8)는 입력되는 110V 및 220V의 교류전원(AC)에 관계없이 마그네트론(5)으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출력제어부(10)에 입력시키므로 출력제어부(10)는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의 레벨에 따라 마그네트론(5)이 이상동작을 하도록 하였다. 즉, 예를들면 출력제어부(10)가 100V의 교류전원(AC)을 기준으로 하여 동작되도록 한 상태에서 220V의 교류전원(AC)이 인가될 경우에는 마그네트론(5)이 정력 출력으로 동작되어도 전류검출부(8)가 출력하는 전류 검출전압이 정격 전압보다 낮으므로 출력제어부(10)는 전류검출부(8)가 출력하는 전류 검출전압이 정격 전압으로 되도록 스위칭부(2)의 동작을 스위칭시키게 되고, 마그네트론(5)에는 과전류가 흐르게 되어 과동작을 하였으며, 또한 출력제어부(10)가 220V의 교류전원(AC)을 기준으로 하여 동작되도록한 상태에서 110V의 교류전원(AC)이 인가될 경우에는 전류검출부(8)가 출력하는 전류 검출전압이 정격 전압으로 되도록 출력제어부(10)가 스위칭부(2)을 스위칭시켜도 마그네트론(5)은 정격이하로 동작하여 정력 출력을 내지 못하였으며, 이러한 마그네트론(5)의 이상 동작으로 인하여 전자레인지를 110V 및 220V 겸용으로 개발하는데 많은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입력되는 교류전원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한 교류전원의 레벨에 따라 전류검출부가 출력하는 전류 검출 전압을 보상함으로써 교류전원의 레벨에 따라 마그네트론이 정격출력을 내도록 하는 전류검출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제2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으며, 여기서 종래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였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전류 검출회로를 전자레인지에 적용시킨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교류전원(AC)을 코일(L1) 및 콘덴서(C1)로 필터링하고 브리지 다이오드(BD1)로 브리지 정류하며 코일(L2) 및 콘덴서(C2)로 평활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와 상기 전원공급부(1)가 공급하는 전원을 스위칭하여 고압변환부로 출력하는 스위칭부(2)와, 부하인 마그네트론으로 흐르는 전류를 변류기(CT)로 검출하고, 콘덴서(C3) 및 저항(R1)으로 잡음신호를 제거하며, 브리지 다이오드(BD2)로 브리지 정류, 콘덴서(C2)로 평활 및 저항(R2-R4)으로 분할하여 출력제어부로 전류 검출전압을 출력하는 전류검출부(8)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1)의 출력전원으로 교류전원(AC)이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부(20)와, 상기 레벨검출부(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류검출부(8)가 출력하는 전류 검출전압의 레벨을 조절하는 레벨보상부(21)로 구성하였다.
레벨검출부(20)는, 전원공급부(1)의 출력단자에 저항(R11, R12)을 직렬로 접속하고, 저항(R11, R12)의 접속점을 정전압 다이오드(ZD), 접지콘덴서(C11), 접지저항(R13) 및 저항(R14)을 통해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구성하였다.
레벨보상부(21)는, 전원공급부(1)의 출력단자에 저항(R15-R17)을 직렬로 접속하어 저항(R15, R16)의 접속점에는 레벨검출부(20)의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를 접속하고, 저항(R16, R17)의 접속점은 저항(R18)을 통해 저항(R19) 및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Q12)의 콜렉터는 저항(R20)을 통해 상기 전류검출부(8)의 저항(R2-R4)의 접속점에 접속하여 구성하였다.
상기에서 정전압 다이오드(ZD)는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이 220V일 경우에 도통상태로 되도록 그의 제너전압을 설정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류 검출회로는 교류전원(AC)이 인가되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인가된 교류전원(AC)은 전원공급부(1)의 코일(L1) 및 콘덴서(C1)를 통해 필터링되어 잡음신호가 제거되고, 브리지 다이오드(BD1)에서 브리지 정류되며, 코일(L2) 및 콘덴서(C2)에 의해 평할되어 출력되며, 전원공급부(1)의 출력전원은 출력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부(2)에서 스위칭되고, 고압변환부에서 고압으로 변환 및 고압전류부에서 정류된후 마그네트론(5)에 인가되어 마그네트론이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마그네트론의 동작에 따라 흐르는 전류를 전류검출부(8)의 전류기(CT)가 검출하고, 콘덴서(C3)및 저항(R1)에 의해 잡음신호가 제거되며, 브리지 다이오드(BD2)에 의해 브리지 정류, 콘덴서(C4)에 의해 평활 및 저항(R2, R3)에 의해 분할된후 저항(R4)을 통해 출력제어부에 전류검출전압으로 출력된다.
이와같이 동작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류 검출회로는, 전원공급부(1)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레벨검출부(20)의 저항(R11, R12)에 의해 분할되어 정전압 다이오드(ZD)의 캐소드에 인가된다. 여기서,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의 레벨에 220V라고 가정하면, 교류전원(AC)의 레벨이 110V 이상으로 되는 동안만 정전압 다이오드(ZD)가 도통 즉, 정전압 다이오드(AC)가 일정주기로 도통되고, 콘덴서(C11)에 고전위가 충전되어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고전위가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1)가 온된다.
그러면, 전원공급부(1)의 출력전원이 레벨보상부(21)의 저항(R15)을 통해 트랜지스터(Q11)로 흐르게 되고,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는 저전위가 인가되어 그가 오프되므로 저항(R20)이 등기적으로 접지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전류검출부(8)의 브리지 다이오드(BD2)에서 브리지 정류 및 콘덴서(C4)에 의해 평활된 전압은 저항(R2, R3)에 의해 분할된후 저항(R4)을 통해 출력제어부로 출력된다. 그리고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이 110V일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정전압 다이오드(ZD)가 계속 차단상태로 되므로 트랜지스더(Q11)가 오프된다.
그러면 전원공급부(1)의 출력전원이 저항(R15, R16, R18)을 통해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2)가 온되고, 저항(R20)이 트랜지스터 (Q12)를 통해 등가적으로 접지되어 저항(R3, R20)이 병렬 접속된다. 그러므로 전류검출부(8)의 브리지 다이오드(BD2)에서 브리지 정류 및 콘덴서(C4)에 의해 평활된 전압은 저항(R2, R3, R20)에 의해 분할된 후 저항(R4)을 통해 출력제어부로 출력된다. 즉, 본 발명의 전류 검출회로는,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의 레벨이 220V일 경우에는 전류 검출전압을 그대로 출력제어부에 입력시키고, 110V일 경우에는 전류 검출전압을 강압하여 출력 제어부에 입력시키게 되므로 출력제어부는 교류전원(AC)의 레벨에 관계없이 마그네트론이 정격 출력을 내도록 스위칭부(2)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전자레인지를 예로들어 부하인 마그네트론으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부하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부하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기기 즉, 예를들면 전자유도 가열 조리기등과 같은 기기에 간단히 적용하여 실시할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전류 검출회로는, 부하로 흐르는 전류를 입력되는 110V 및 220V의 교류전원에 따라 보상함으로써 교류전원의 레벨에 관계없이 부하가 정격출력을 내도록 제어할수 있고, 이로 인하여 기기를 110V 및 220V의 겸용으로 간단히 제작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교류전원(AC)을 정류 및 평활하여 부하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와, 상기 전원공급부(1)가 부하로 공급하는 전류를 검출하여 부하의 동작을 제어하는 출력제어부에 전류검출전압으로 출력하는 전류검출부(8)와, 상기 전원공급부(1)의 출력전원으로 교류전원(AC)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부(20)와, 상기 레벨검출부(20)의 제어에 따라 교류전원(AC)이 220V일 경우에 상기 전류검출부(8)의 전류 검출전압이 그대로 출력되게 하고 110V일 경우에 전류 검출전압을 강압하여 출력하는 레벨보상부(2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110/220V 겸용 전류 검출회로.
KR1019910025277A 1991-12-30 1991-12-30 110/220v 겸용 전류 검출회로 KR940006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5277A KR940006600B1 (ko) 1991-12-30 1991-12-30 110/220v 겸용 전류 검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5277A KR940006600B1 (ko) 1991-12-30 1991-12-30 110/220v 겸용 전류 검출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600B1 true KR940006600B1 (ko) 1994-07-23

Family

ID=19326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5277A KR940006600B1 (ko) 1991-12-30 1991-12-30 110/220v 겸용 전류 검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60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59053A2 (en) Switched mode power supply
KR19990082458A (ko) 고전압 교류 대 저전압 직류 컨버터
KR940001763B1 (ko) 전자렌지용 스위칭 전원
US4962292A (en) High-frequency heating apparatus having digital controlled inverter
KR920007540B1 (ko) 전자 조리 장치에서의 서어지 발생 방지 회로
JPH05184152A (ja) 回路装置
KR20040041201A (ko) 모터전원공급장치 및 모터전원공급방법
KR940006600B1 (ko) 110/220v 겸용 전류 검출회로
US5696670A (en) Power supply for arc-discharge load
EP0802615B1 (en) Switching power source apparatus
JPH1130885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010010415A (ko) 인버터의 역률보정장치 및 방법
JP3982008B2 (ja) 放電灯点灯装置
EP0060519A2 (en) Power source device
JP2666408B2 (ja) 誘導加熱装置
KR920007544B1 (ko) 인버터 구동 전자레인지의 보호 회로
WO1998010623A1 (en) Circuit arrangement
KR100186481B1 (ko) 유도 가열 조리기의 출력 제어장치
KR940002610Y1 (ko) 110/220v 겸용 저전압 정전원 공급회로
KR950002893Y1 (ko) 인버터 전자레인지
KR960005694B1 (ko) 인버터회로를 이용한 고주파 가열장치
KR200178692Y1 (ko)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KR20000015607A (ko) 모니터의 과전압 보호 회로
KR0175205B1 (ko) 고주파 유도가열 조리장치
JP3672440B2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