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517B1 -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착신 코드별 트래픽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착신 코드별 트래픽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517B1
KR940006517B1 KR1019910022471A KR910022471A KR940006517B1 KR 940006517 B1 KR940006517 B1 KR 940006517B1 KR 1019910022471 A KR1019910022471 A KR 1019910022471A KR 910022471 A KR910022471 A KR 910022471A KR 940006517 B1 KR940006517 B1 KR 940006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traffic
incoming
request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2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916A (ko
Inventor
남영우
김성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10022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517B1/ko
Publication of KR930015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36Statistical metering, e.g. recording occasions when traffic exceeds capacity of tru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착신 코드별 트래픽 측정방법
제1도는 전전자 교환기의 개략적인 논리적 개념도.
제2도는 전전자 고환기의 착신코드 트래픽 데이타를 측정 및 분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의 구조와 블럭간의 흐름도.
제3도는 착신코드별 트래픽 데이타를 측정 및 분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착신코드별 트래픽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통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대용량의 전전자 교환기가 개발되어 다양한 기능을 갗고 통신 서비스를 일반인들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위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교환기의 제어장치에 가해지는 부하는 트래픽(traffic) 패턴의 변화, 특수 서비스의 확대보급, 사설구내교환기(PBX)의 DID(Direct Inward Dialing)와 DOD(Direct Outward Dialing) 서비스의 이용증가, 시내 중계 전송시설의 대용량화로 인한 탄뎀 중계선의 증가등으로 인해, 트래픽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특정 공휴일, 자연재해 등이 발생하게 되면 트래픽이 과도하게 일시적으로 증가되어 트래픽 폭주 현상이 발생한다.
트래픽 폭주(congestion)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을 찾아내는 방법에는 여러 종류가 있을 수 있으나, 발신통화 요구측에서 발생시키는 착신코드(착신 가입자 번호)를 이용하여 교환기 시스팀에서 발생되는 트래픽의 원인을 찾아낼 수 있다.
이러한 트래픽 집중 현상이 발생하는 요인을 찾아내어 발신 교환기 시스팀의 호시작 부분에서부터 트래픽을 제어하며, 특정지역, 또는 특정 전화국으로 집중되는 트래픽을 사전에 찾아내어 제어함으로써, 교환기의 과부하로 인한 악영향을 사전에 방지하고, 또한 타 교환기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드록 사전에 제어할 수있고, 시스팀의 부하균등확(load balance)를 위한 재배치, 교환기의 상태 파악, 유지보수, 중장기 설계, 교환국간의 수입분배 등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착신코드 트래픽 측정기능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산 구조로 모듈화 되어 있는 시스팀의 트래픽 집중현상이 발생하는 요인을 찾아내어, 발신 교환기 시스팀의 호시작 부분에서부터 트래픽을 제어하여, 특정지역, 또는 특정 전화국으로 집중되는 트래픽을 사전에 찾아내어 제어함으로써, 교환기의 과부하로 인한 악영향을 사전에 방지하고, 또한 타 교환기에 나쁜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사전에 제어하여, 교환기 시스팀의 부하 균등화를 유지하고, 교환기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며, 교환기 운용자에게 교환기의 상태파악 및 유지보수 등의 정보를 실시간적으로 제공하며, 시스팀 설졔 및 분석가에게 중장기 설계, 교환국간의 수입분배 등의 텔레트래픽 엔지니어링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착신코드별 트래픽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전자 교환기의 착신코드별 트래픽 측정방법에 있어서, 착신코드별 트래픽 측정요구가 입력되기를 기다리는 제1단계, 착신코드별 트래픽 요구 대기 이후에서 착신코드 번호 등록 요구 및 수행결과 응답을 전송하는 제2단계, 착신코드별 트래픽 요구 대기 이후에서 착신코드 정보 확인 요구 및 수행결과 응답을 전송하는 제 3 단계, 착신코드별 트래픽 요구 대기 이후에서 착신코드 삭제요구 및 수행결과 응답을 전송하는 제 4 단계, 착신코드별 트래픽 요구 대기 이후에서 착실코드별 통계 측정요구 및 초기 트래픽을 측정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후 착신코드별 통계 대기 및 측정 트래픽을 전송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제6단계후 마지막 측정을 확인하고 종료하는 제7단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전진자 교환기의 논리적으로 개략적인 개념도로써 착신코드 트래픽 측정 기능을 중심으로 본 것이다. 전전자 교환기 시스팀은 번역기능을 제회한 시스팀 차원의 유지보수 기능과 착신코드 트래픽 측정 및 분석기능을 포함한 운용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물리적으로 가입자 회선및 중계회선에 대하여 정합기능 및 신호처리와 호처리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통화 연결에 필요한 번호 번역 기능을 포함한 NTS(Number Translation Subsystem) 및 다수의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와 CCS(Centrol Control Subsystem) 를 고속의 광신호 링크로 연결하는 INS(Interconnection Subsystem)로 구성되어 있으며, 착신코드 트래픽 측정방법을 포함한 통계 기능과 착신코드 통계를 이용하여, 코드를 제어하는 망관리(network management) 기능은 CCS에 포함된 기능이다.
CCS는 운용자와 교환기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하는 MMS(Man Machine Subsystem), 트래픽 측정 및 분석하는 통계기능을 담당하는 MSS(Measurements and Statistics Subsystem), 망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코드를 제어하는 NMS(Network Management Subsystem)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전전자 교환기의 착신 트래픽 데이타를 측정 및 분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의 구조와 불럭간의 흐름을 나타내었다.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내에 존재하는 블럭 MDGC(Measurements and Data Cathering on Call block)는 모든 ASP 내에 실장되고, 착신코드 트래픽 측정 요구원 코드 번호에 대해서 호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트래픽(등록된 착신코드의 호 연결요구, 호 성공 수, 초과 통화 시도율(Overflow), 응답점유비(Answer Seizures Ratio), 응답 통화 신청비(Answer Bid Ratio), 호당 평균 보류시간(holding time),통화량 등)을 측정 및 분석하여 OMP(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er)내에 실장되어 있는 MSS(Measurements and Statistics Subsystem) 기능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OMP내에 존재하는 MSS는 통계 측정에 필요한 코드를 등록하였을 경우 NDH(Number Data Handing Block)에 등록된 코드의 검증을 요구하며, 착신코드 통제 측정을 할 경우에는 mdgc에서 측정 분석된 착신 코드 트래픽 데이타를 수집하여 운용자가 판독하기 쉽도록 정형화하여 MMP(Man Machine Processor)내애 존재하는 MMS(Man Machine Subsystem) 기능으로 전송하면, MMS에서는 운용자 터미날 또는 프린터로 출력하고, 통계 모드(Mode)로 지정되어 있는 MT(Magnetic Tape)에 저장하여, 추후에 off-line으로 다른 컴퓨터에서 분석 처리하여 텔레트래픽 엔지니어링 정보로 이용하도록 하며, 또한, 측정 분석된 착신코드 트래픽을 NMS(Network Management Subsystem)에 전송하면 실시간(real time)적으로 착신코드를 제어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면에서 NTP 번호번역 프로세서(Number Translation Procesor)를 나타낸다.
제3도는 착신코드별 트래픽 데이타를 측정 및 분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맨처음 착신코드별 트래픽 데이타를 측정 및 분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착신코드별 트래픽 데이타 측정은 운용자가 착신코드 트래픽 데이타 측정이 필요할때 먼저, 운용자 터미날을 통해서 MMC(Man Machine Command)로 트래픽을 측정하고자 하는 착신코드 번호를 등록하면(3), 등록된 착신코드 번호가 정상적인 번호인지, 또는 비정상적인 번호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교환기 시스팀의 모든 번호 정보를 가지고 있는 번호 번역기능으로 착신코드 검증을 요구하고(4), 결과 내용을 무한적으로기다릴 수 없으므로 십수초 동안만 기다리기 위해 타이머(timer) 신호(signal)를 등록한 다음(5), 착신코드검증 요구 대기상태로 천이한다(6).
착신코드 검증 결과가 번호 번역 기능으로부터 수신되면(7), 착신코드 번호의 정상여부를 판단하여(8) 정상적이면, 착신코드 번호를 DB에 등록한 후에(9) 착신코드 번호 등록 완료 정보를 운용자에게 전송한다(10). 비정상적이면 착신코드 번호 등록실패 정보를 운용자에게 전송한다(11). 십수초가 지나도록 착신코드 검증결과 메시지를 수신하지 믓하고 검증 요구 대기 초과 지연 메시지를 수신하면(12), 착신코드 번호검증 실패 전송 메시지를 운용자에게 통보한다(13). 이어서 수행 루틴은 종료한다(28).
운용자 터미날을 통해서 MMC(Man Machine Comnnnd)로 트래픽을 측정하고자 하는 착신코드 정보확인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14), 등록된 착신코드 번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15), 코드가 DB에 등록되어 있으면 코드를 읽어서(16), 등록된 코드 번호를 운용자에게 전송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17), 등록된 번호가 없으면, 운용자에게 등록된 코드 번호 없음을 통보한다(18). 이어서 수행 루틴은 종료한다(28).
운용자 터미날을 통해서 MMC(Man Machine Commadn)로 트래픽을 측정하고자 하는 착신코드 삭제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19), 등록된 착신코드 번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20), 코드가 DB에 등록되어 있으면 코드를 DB에서 삭제하고(21), 등록된 코드 번호가 삭제 완료되었음을 운용자에게 전송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22), 등록된 번호가 없으면 운용자에게 등록된 코드 번호 없음을 통보한다(23). 이어서 수행 루틴루은 종료한다(28) .
운용자 터미날을 통해서 MMC(Man Machine Command)로 등록된 착신코드에 대해서 착실 통계 측정요구를 접속하면(24), 운용자로부터 요청된 측정시간, 주사주기(scan interval), 측정횟수에 대해서 착신코드 트래픽 측정을 측정시간 단위로 측정횟수 만콤 반복 수행한다.
착신코드 통계 측정이 처음 수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25), 처음 수행 시작이면, 등록된 착신코드를 DB에서 읽어서, 등록된 번호가 정상적인지를 판단하여(26), 비정상이거나, 또는 등록된 착신코드가 없으면, 등록된 코드가 없음을 운용자에게 전송하여 알리고(17) 수행을 종료한다(28). 이 루틴이 처음 수행되는것이 아니고, 현재 수행중인 프로세스가 있으면, 등록된 착신코드 번호를 가지고 있으므로 또다시 DB를 액세스 할 필요가 없다.
측정 요구시간을 정확하게 하기 의하여 타이머(timer) 메시지 및 측정요구 시간 초과 제한용 메시지(측정요구시간+30초)(29) 및 점유시간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주사주기 시간확인에 필요한 타이머 메시지를(30) CROS에 등록하여 정확한 트래픽 측정시간을 통보받을 수 있도록 한다.
착신코드 트래픽 측정에는 등록된 착신코드 번호에 대해서, 등록된 착신코드의 호연결 요구, 호 성공 수, 초과 통화 시도율(OFL), 응답점유비(Answer Seizures Ratio), 응답 통화 신청비(Answer Bid Ratio), 호당 평균 보류시간(holding time), 통화량 등을 측정하기 위한 초기 착신코드 트래픽 측정을 한후(31), 착신코드 통계 대기상태로 천이한다(32).
주사주기 시간 간격으로 계속하여 주사시간 통보용 메시지를 수신하여(33), 평균 보류시간 및 통화량을 측정하기 의해 점유시간 측정을 한후(34), 이어서 다음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착신코드 통제 측정 대기상태로 천이한다(35),
측정 요구된 시간이 다 되었을 경우 측정시간 통보 메시지를 수신하면(36), 마지막 착신코드 트래픽을 측정한 다음(37), 트래픽 분석을 통해서 운용자가 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정형화하여 출력준비를 하고(38), 측정 트래픽 전송요구를 기다리기 위해 착신코드 통계 대기상태로 천이한다(35).
착신코드 트래픽 측정중에 운용자로부터 측정수행 중단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39), 트래픽 측정 수행을 중단하고 측정 중단요구 응답 메시자를 운용자에게 전송한 후(41), 모든 사용변수를 초기화 한다음(46), 종료한다(47). 측정요구 시간 경과후 일정시간(현재는 30초)이 지나도록 통계 측정 수행 중단요구, 또는OMP의 MSS 기능으로부터 통계 측정 트래픽 전송요구가 없으면, 측정시간 초과 메시지를 수신하여(41)통계 측정 수행중인 프로세스를 중단하거나, 측정된 트래픽 전송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42) 제3도 38번에서 정형화된 트래픽 분석 데이타를 운용자가 읽을 수 있는 운용자 터미날, 프린터 및 통계 모드로 지정된 MT에 기록하여 다른 컴퓨터에서 오프라인으로 재분석하여 텔레트래픽 엔지니어링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43) .
착신코드 트래픽 측정이 요구된 반복횟수의 마지막 측정이면(44), 착신코드 트래픽 수집을 중단하고(45), 사용 변수를 초기화 한후(46) 종료한다(47). 요구된 측정 회수가 마지막 측정이 아니면, 제3도의 37번 착신코드 트래픽 측정을 제3도 31번 초기 착신코드 트래픽 측정으로 트래픽 데이타를 이동하고(48), 착신코드 통제 측정 대기상태로 되돌아간다(31).
상기의 착신코드 트래픽 측정은 종래의 교환기에서는 구현하지 못하였고 본 발명이 적용된 전전자 교환기에서는 기능이 구현되어 있어서 시스팀 운용자 및 시스팀 설계자에 텔레트래픽 엔지니어링에 필요한 트래픽정보를 자동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실시간(real time)적으로 망관리 기능과 센타로 정확한 착신코드트래픽을 제공함으로서 교환기 시스팀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착신코드별 트래픽 측정을 통해 교환기 시스팀에 시간적으로, 또는 지역적으로 트래픽 집중 현상이 발생하는 요인을 사전에 찾아내어 발신 교환기 시스팀의 호시작 부분에서부터 트래픽에 제어를 행하므로써, 특정지역, 또는 특정 전화국으로 집중되는 트래픽으로 인한 교환기에의 악영향을 사진에 방지하고, 또한 타 교환기에 나쁜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사전에 제어할 수 있고, 시스팀의 부하균등화(load balance)를 위한 각 프로세서별 가입자 및 신호장비 들의 재배치, 시스팀 운용자에게 교환기의 상태파악, 유지보수 등의 정보를 언제든지 제공할 수 있고, 중앙의 망관리 센타에 실시간적으로 착신코드트래픽 데이타를 제공하여 교환기의 이용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시스팀 분석 및 설계자에게 중장기설계, 교환국간의 수입분배 등의 정보를 언제든지 필요할때 자동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전전자 교환기의 종합정보통신망(ISDN) 개발에 동일한 방법으로 착신코드별 트래픽 데이타를 측정 및 분석함으로써 ISDN 트래픽 데이타 측정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전전자 교환기의 착신코드별 트래픽 측정방법에 있어셔, 착실코드별 트래픽 측정요구가 입력되기를 기다리는 제1단계(1,2) 착신코드별 트래픽 요구 대기 이후에서 착신코드 번호 등록요구 및 수행결과 응답을 전송하는 제2단계(3 내지 13), 착신코드별 트래픽 요구 대기 이후에서 착신코드 정보확인 요구 및 수행결과 응답을 전송하는 제3단계(14 내지 18), 착신코드별 트래픽 요구 대기 이후에서 착신코드 삭제요구 및 수행결과 응답을 전송하는 제4단계(19 내지 23), 착신코드별 트래픽 요구 대기 이후에서 착신코드실 통제측정요구 및 초기 트래픽을 측정하는 제5단계(24 내지 31), 상기 제5단계후 착신코드별 통계 대기 및 측정 트래픽을 전송하는 제6단계(32 내지 43) 및 상기 제6단계후 마지막 측정을 확인하고 종료하는 제7단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코드별 트래픽 측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운용자 터미널을 통해서 트래픽을 측정하고자 하는 착신코드 번호를 등록하면(3), 착신코드 검증을 요구하고(4), 타이머신호를 등록한 다음(5) 착신코드 검증요구 대기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코드별 트래픽 측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운용자 터미널을 통해서 전전자 교환기로 트래픽을 측정하고자 하는 착신코드 정보 확인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14), 등록된 착신코드 번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15), 코드가 DB에 등록되어 있으면 코드를 읽어(16), 등록된 코드 번호를 웅용자에게 전송하여 확인할 수있도록 하고(17), 등록된 번호가 없으면, 운용자에게 등록된 코드번호 없음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코드별 트래픽 측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측정 요구시간을 정착하게 하기 위하여 타이머 메시지 및 측정요구시간 초과 제한용 에시지(29) 및 점유시간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주사주기 시간확인에 필요한 타이머 메시지를(30) 등록하여 정확한 트래픽 측정시간을 통보받읕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코드별 트래픽 측정방법.
KR1019910022471A 1991-12-07 1991-12-07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착신 코드별 트래픽 측정방법 KR940006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2471A KR940006517B1 (ko) 1991-12-07 1991-12-07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착신 코드별 트래픽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2471A KR940006517B1 (ko) 1991-12-07 1991-12-07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착신 코드별 트래픽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916A KR930015916A (ko) 1993-07-24
KR940006517B1 true KR940006517B1 (ko) 1994-07-21

Family

ID=1932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2471A KR940006517B1 (ko) 1991-12-07 1991-12-07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착신 코드별 트래픽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5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916A (ko) 199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07047C (en) Switched circuit connection management over public data networks for wide area networks
CA1237804A (en) Trunk call processing services for host computers interconnections
KR94000651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착신 코드별 트래픽 측정방법
KR94001149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루트 그룹 트랙픽 측정 방법
KR950008111B1 (ko) 서비스교환기에서의 지능망 서비스호 트래픽 측정방법
KR100325173B1 (ko) 전전자교환기의 호처리 성능 테스트 방법
KR95001315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선별적 통화량 폭주 제어 방법
KR19980019960A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 호 불완료 원인 메시지를 이용한 저확률 연결호 등록방법
WO2000008865A2 (en) Billing method in electronic switch in a cellular network
KR93001095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회선 트래픽 측정방법
KR100194597B1 (ko)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의 본가입자위치등록기/인증센터 과부하 제어방법
KR950005587B1 (ko) 서비스교환기에서의지능망프로토콜트래픽측정방법
KR0123254B1 (ko) 서비스 교환기(ssp)에서 지능망 서비스 호를 시험하기 위한 응용 프로세스 시뮬레이션 방법
KR970004824B1 (ko) 서비스 교환기(tdx-10 ssp)의 안내 방송 장치 다중화 방법
KR960016657B1 (ko) 호의 설정시 넘버 7(No.7) 신호 방식의 연속성 시험 제어 방법
KR970006947B1 (ko) 서비스교환기의정보료수납대행서비스호를시험하기위한응용프로세스시뮬레이션방법
KR0179509B1 (ko) 협대역 종합통신망 교환기에서 개인통신가입자호 타국 핸드오버 제어 방법
KR940003510B1 (ko) 전전자교환시스팀의 프레픽스 번역방법
KR96001627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음성정보 서비스 호처리 방법
KR100367093B1 (ko) 액세스망의 브이5.2 시스템의 폭주제어방법
KR100339655B1 (ko) 지능망 교환기에서 타 지능망 교환기로의 호 루팅 방법
KR940007913B1 (ko) 애널로그 가입자와 디지틀 가입자간의 자국호 연동 방법
KR940003849B1 (ko) 특정 출중계 루트의 제어 방법
KR95000943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서비스 번호를 이용한 지능망 서비스 인지 방법
KR930006357B1 (ko) 발신 트래픽 데이타 수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