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495B1 - 연속주조용 주형의 재료로 사용되는 구리 합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주조용 주형의 재료로 사용되는 구리 합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495B1
KR940006495B1 KR1019870007645A KR870007645A KR940006495B1 KR 940006495 B1 KR940006495 B1 KR 940006495B1 KR 1019870007645 A KR1019870007645 A KR 1019870007645A KR 870007645 A KR870007645 A KR 870007645A KR 940006495 B1 KR940006495 B1 KR 940006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copper
copper alloy
present
phospho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432A (ko
Inventor
그라페만 호르스트
Original Assignee
카벨 운트 메탈베르케 구테호프눙스휘테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벨 운트 메탈베르케 구테호프눙스휘테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카벨 운트 메탈베르케 구테호프눙스휘테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to KR1019870007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495B1/ko
Publication of KR890002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4Alloys based on copper with zinc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Mold Materials And Core Materials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속주조용 주형의 재료로 사용되는 구리 합금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고온 용융 금속, 예컨대 강의 연속주조용 주형과 같은 연속주조용 주형의 재료로서 사용되는 구리합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주형은 SF-Cu 형태의 구리로 제작되었으며, 이 재료는 특히 높은 열전도도로 인해 주조될 용융금속으로부더 다량의 열을 급속히 추출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주형의 벽두깨는 예상되는 기계적 하중 및 마모를 수용할 수 있기 충분한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주형의 고온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85% 이상의 구리와 석출경화를 일으키는 합금원소를 포함한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합금원소로서 3%까지의 크롬, 규소, 은 및 베리륨의 사용될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합금으로 제조된 주형은 완전히 만복할 만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특정성분인 규소 및 베릴륨은 최종 생성된 제품의 열전도도를 다소 급격히 감소시키기 때문이다(AT-PS 234 930참조).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열전도도를 가지고, 특히 300℃를 넘는 온도에서 높은 기계적 강도와 높은 열가소성을 가지는 구리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재료는 주로 연속주조용 주형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거나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합금원소가 0.05 내지 0.4%의 아연과, 0.02 내지 0.3%의 마그네슘과, 0.02 내지 0.2%의 인으로 되고(모두 중량%), 나머지는 구리 및 제조조건상 불가피한 불순물로 되는 구리합금에 의해 달성된다.
통상, 아연 또는 마그네슘을 첨가하면 구리의 전도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감소는 인이 구리에 첨가되었을때 열전도도를 급격히 감소시키는 것에 비해 그렇게 큰 정도는 아니다. 한편, 강도는 아연-마그네슘 또는 인의 첨가에 의해 증가된다. 그러나, 전혀 신규한 것은 전술한 범위내에서 3개의 모든 원소를 첨가하게 되면 구리의 열전도도가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SF-구리와 비교하여 전혀 감소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화물 형성을 통한 보충적인 경화에 의해 증대되는 혼정 결정 경화에 기인하여 강도는 SF-구리에 비해 현저히 높게 된다. 인화물은 석출되기 쉬운 경향을 가진다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 특히 고온강도는 SF-구리의 고온 강도보다 현저히 우수하다. 0.1 내지 0.25%의 아연과, 0.05 내지 0.15%의 마그네슘과 0.05 내지 0.1%의 인을 포함하고(모두 중량%), 나머지는 구리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합금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0.2중량%까지의 적합하게는 약 0.1중량%의 규소를 첨가하게 되면 경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생기게 되어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또한, 0.15%까지의 지르코늄을 첨가하면 열가소성이 증가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특정하게 조절된 열처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원소들을 첨가하게 되면 재료의 연화 특성이 보다 개선된다.
전술한 농도로 규소 및 지르코늄의 두 원소를 첨가한다 해도 주목할만한 정도로 열전도도가 감소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형태의 상기 합금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합금을 제조하는 적합한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조성으로 합금을 주조한 직후 이 주물을 열간 가공하고, 이어서 300℃ 내지 550℃의 온도로 1 내지 5시간 동안 소둔한 후 최종적으로 10% 이상의 변형도로 냉간가공하는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열간가공단계와 그 이후 300℃ 내지 550℃로 석출소둔을 수행하는 단계 사이의 중간에 부가적으로 10%이상의 냉간변형을 수행하게 되면 균질화 및 원하는 합금특성들의 조합에 부가적으로 유리한 효과를 얻게된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최종 소둔에 뒤이어 10% 이상의 냉간가공을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합금성분의 최대 용해도를 온도를 넘는 온도에서 열간가공을 수행한 후 약 750℃의 온도에서 담금질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조처에 의해 부가적인 경화효과를 얻게 된다. 이때, 용체화 소둔(균질화 소둔)을 열간 가공과는 별도로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균질화 소둔 및/또는 750℃를 넘는 온도에서 열간가공을 수행하고서 부터 시작되는 담금질은 후속되는 소둔의 온도인 300℃ 내지 550℃에 이를때가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최종 소둔이 특정이유로 지연되거나 부가적인 냉간변형 단계를 개재하여 수행할 경우에는 상온까지 담금질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0.19%의 아연, 0.09%의 마그네슘, 0.07%의 인 및 잔여 구리와 불가피한 불순물(모두 중량%)로 되는 조성을 가진 합금을 제작하기로 하고, 이 재료를 주조한 후 압출을 통해 열간 가공하고, 압울된 생성물을 냉각한 후 20%의 변형도로 냉간인발하였다. 그후, 이 합금을 500℃에서 5시간 동안 소둔하였다. 이어서, 소둔된 합금을 각각 10%, 20% 및 40%로 냉간가공하여 A1 시편을 제작하였다. 표 A,B 및 C는 이들 시편의 특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이들 특성과 SF-구리 및 구리-크롬-지르코늄 합금의 특성을 비교하고 있다.
연속주조용 주형에 통상 사용되는 SF-구리와 비교할때 본 발명의 신규한 재료는 상응하는 변형도에서 금속합금의 강도값이 약 10-50% 더 높게 됨을 명확히 알 수 있으며, 열전도도 역시 마찬가지로 현저히 더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매우 중요한 점은 고온에서 연화되는 특성도 또한 본 발명의 신규합금이 보다 더 잘 부합하고 있다는 사실이다.예컨대, 본 발명의 합금은 상응하는 전도도에서 비교합금들과는 달리 500℃를 넘는 온도에서만 연화된다. 또한, 고온에서의 크리이프 변형도 현저히 낮으며, 이것은 크기와 형태를 보다 잘 유지할 수 있음을 보장해 주는 것이다. 특히, 비틀림 왜곡이 방지된다.
전체적인 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구리합금이 연속주조용 주형을 제작하는데 매우 양호한 재료가될 것임을 예기할 수 있다. 이러한 신규 합금을 구리-크롬 합금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합금이 보다 양호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합금은 보다 쉽고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바와 같은 합금화 원소도 보다 저렴하다. 따라서, 전체적인 관점에서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본 발명의 신규한 재료로 제작되어 연속주조용으로 사용되는 주형은 현저하게 더 경제적이다. 열간가공을 용체화 소둔온도에서 수행한 후 담금질하다고, 이어서 전술한 여러 단계를 수행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의 기술적 특성이 다소 더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에서는 구리 매트릭스로 부터 중간상이 석출됨으로써 보다 양호한 열전도도의 값과 강도의 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표 D는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의 성분 조성범위를 한정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의 합금인 A2 및 A3 시편의 특성을 제시하고 있다. A2 시편은 성분 조성범위의 하한값에 가까운 0.12%의 아연과, 0.05%의 마그네슘과 0.06%의 인을 포함하고 있으며, A3 시편은 성분 조성범위의 상한값에 가까운 0.35%의 아연과, 0.2%의 마그네슘과,0.11%의 인 및 소량의 작업조건상의 첨가물(Si 0.03%)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시편은 A1 시편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작되었으며, 각각 20% 및 40%의 변형도로 냉간가공되었다. 표 A 및 D를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성분 조성범위의 하한값에 가까울수록 전도도에서 큰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강도값이 저하됨과 동시에 특히 연화거동이 열악해지며, 반대로 상한값에 가까울수록 강도값이 다소 높아지기는 하지만 연화거동이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열악해지고 특히 전도도가 감소세로 전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합금의 성분 조성범위의 수치한정은 이러한 성분 조성범위에 따른 연속조주용 주형의 재료로서 특히 중요한 전도도, 연화거동 및 강도값의 변화 경향을 고려하여 정해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모든 변형 및 수정을 포함한다.
[표 a]
Figure kpo00001
[표 b]
Figure kpo00002
[표 c]
Figure kpo00003
[표 d]
Figure kpo00004

Claims (8)

  1. 0.05 내지 0.4%의 아연과, 0.02 내지 0.3%의 마그네슘과, 0.02 내지 0.2%의 인과, 0.2%까지의 규소와, 잔부 구리 및 제조조건상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용 주형의 재료로 사용되는 구리합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합금은 0.1 내지 0.25%의 아연과, 0.05 내지 0.15%의 마그네슘과, 0.05내지 0.1%의 인과, 잔부 구리 및 제조조건상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주형의 재료로 사용되는 구리합금.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소는 0.01 내지 0.1%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주형의 재료로 사용되는 구리합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합금은 0.15%까지의 지르코늄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용 주형의 재료로 사용되는 구리합금.
  5. 합금을 주조하고 주조된 합금을 열간압출하는 단계, 열간압출된 합금을 약 300℃ 내지 550℃의 온도로 1 내지 6시간 동안 소둔하는 단계 및 소둔된 합금을 최종적으로 10% 내지 40% 냉간인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리합금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압출단계와 소둔단계 사이의 중간에 합금을 10% 이상 냉간인발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압출은 최대 용해도의 온도를 넘는 온도에서 수행되며, 합금을 750℃의 이상의 온도로 부터 담금질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합금은 0.15%까지의 지르코늄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용 주형의 재료로 사용되는 구리합금.
KR1019870007645A 1987-07-15 1987-07-15 연속주조용 주형의 재료로 사용되는 구리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940006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645A KR940006495B1 (ko) 1987-07-15 1987-07-15 연속주조용 주형의 재료로 사용되는 구리 합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645A KR940006495B1 (ko) 1987-07-15 1987-07-15 연속주조용 주형의 재료로 사용되는 구리 합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432A KR890002432A (ko) 1989-04-10
KR940006495B1 true KR940006495B1 (ko) 1994-07-21

Family

ID=1926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645A KR940006495B1 (ko) 1987-07-15 1987-07-15 연속주조용 주형의 재료로 사용되는 구리 합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4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432A (ko) 198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3667A (en) Processing for improved stress relaxation resistance in copper alloys exhibiting spinodal decomposition
US4142918A (en) Method for making fine-grained Cu-Ni-Sn alloys
US4388270A (en) Rhenium-bearing copper-nickel-tin alloys
CA1099132A (en) Copper base alloys containing chromium, niobium and zirconium
US4047980A (en) Processing chromium-containing precipitation hardenable copper base alloys
US6083328A (en) Casting rolls made of hardenable copper alloy
CN111020303A (zh) 4xxx系铝合金及其制备方法
US4238249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copper-zinc material
KR100371128B1 (ko) 고강도 선재 및 판재용 구리(Cu)-니켈(Ni)-주석(Sn)-알루미늄(Al), 실리콘(Si), 스트론튬(Sr), 티타늄(Ti), 보론(B) 합금
US3357824A (en) Copper alloy
RU1831510C (ru) Дисперсионно-твердеющий сплав на основе меди
US2126827A (en) Copper-cobalt-zinc alloy
US4007039A (en) Copper base alloys with high strength and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KR102107658B1 (ko) 연신율이 우수한 유기 주조재 제조 방법
JPH04247839A (ja) 銅ベースの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KR940006495B1 (ko) 연속주조용 주형의 재료로 사용되는 구리 합금 및 그 제조방법
US5074921A (en) Copper alloy and method
DE1284632B (de) Verwendung einer Al-Si-Ni-Gusslegierung
GB1569466A (en) Method of obtaining precipitation hardened copper base alloys
JPH0457738B2 (ko)
US6565681B1 (en) Age-hardenable copper alloy casting molds
KR960001714B1 (ko) 구리 합금으로 된 연속 주조용 몰드 및 그 제조 방법
CA1308940C (en) Copper alloy and method
JPH04221032A (ja) 高強度高熱伝導性プラスチック成形金型用銅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20007884B1 (ko) 연속 주조주형의 재료용 동합금 및 이 동합금으로 연속 주조용 주형을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