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079Y1 - 필름 콘덴서 - Google Patents

필름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079Y1
KR940006079Y1 KR2019880020768U KR880020768U KR940006079Y1 KR 940006079 Y1 KR940006079 Y1 KR 940006079Y1 KR 2019880020768 U KR2019880020768 U KR 2019880020768U KR 880020768 U KR880020768 U KR 880020768U KR 940006079 Y1 KR940006079 Y1 KR 940006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apacitor
capacitor
terminal
fuse
conductiv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0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295U (ko
Inventor
신용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0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079Y1/ko
Publication of KR9000132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2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0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3Thin- or thick-film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14Protection against electric or thermal overload
    • H01G2/16Protection against electric or thermal overload with fus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름 콘덴서
제1도는 종래의 필름 콘덴서를 도시한것으로서, a도는 알루미늄 케이스형 필름 콘덴서의 단면도, b도는 수지케이스형 필름 콘덴서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전형 포리머퓨즈가 설치된 필름 콘덴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알루미늄 케이스형 필름 콘덴서의 단면도, b도는 수지케이스형 필름 콘덴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덴서 2 : 소자
3 : 단자판 4 : 단자
5 : 리드선 6 : 전도성 포리머퓨즈
7 : 포위지 8 : 케이스
9 : 함침제 10 : 에폭시 수지
본 고안은 필름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 콘덴서 케이스내의 전국 인출선에 도전성 포리머퓨즈(Conductive Polymer fuse)를 설치한 필름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콘덴서는 소자의 외주를 소자 보호용 포위지로 감싸고 상기 소자를 알루미늄 케이스내에 삽입하여 소자의 전극 인출선을 단자판의 단자와 연결한후 포위지로 감싸인 소자와 알루미늄 케이스사이에 함침제를 충진시킨 알루미늄 케이스형이나 혹은 소자의 외주를 에폭시(Epoxy)수지등으로 몰드 성형한후 외부에 수지 케이스를 피복한 수지 케이스형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필름 콘덴서는 세탁기나 냉장고, 에어콘등에 사용되는 경우 신뢰성 부품으로 내구성은 우수하지만 전기기기의 콘덴서 주위에 설치된 모타등의 발열체나 과전압 발생 요인에 의해 상기 필름 콘덴서가 내압파괴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와 같은 필름 콘덴서의 파괴로 인하여 모터의 정지는 물로 화재의 발생까지도 우려되게 된다.
따라서 체적이 비교적 큰 전자렌지용, 에어콘용의 경우에는 물리적인 퓨즈부착으로 내부 발열시 체적 팽창으로 접착 부위가 떨어지도록 하는 장치는 가능하지만 적은 체적이 요구되는 세탁기나 냉장고등은 곤란하며 필요 이상으로 콘덴서의 부피가 커지게 된다.
또한 한번 파괴된 콘덴서는 재생이 불가능하여 버려지게 되는 등 많은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필름 콘덴서 소자로 부터 단자판의 단자까지 인출되는 인출 리드선 중간에 도전성 포리머 퓨즈를 설치하여 콘덴서의 체적에 큰 변화를 주지 않고 과전류 발생시 전류를 차단하고 과전류 발생 원인을 제거한후에도 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통상의 필름 콘덴서(1)에 있어서, 소자(2)로 부터 인출되며 단자판(3)의 단자(4)에 연결되는 리드선(5)중간에 전도성 포리머 퓨즈(6)를 설치하여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은 소자 보호용 포위지, 8은 알루미늄 케이스, 9는 함침제, 10은 에폭시 수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소자(2)와 단자판(3)의 단자(4) 사이의 리드선(5) 중간에 전도성 포리머 퓨즈(6)를 설치하여, 과전류등의 이상 발생시에 전류를 차단하게 되는데 이때 도전성 포리머 퓨즈(6)는 절연제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과 불소수지에 카본을 혼합하여 납작한 철판 모양을 이루며 철판과 철판 사이의 카본이 과전류 에너지에 의해 체적이 팽창하여 전기를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다. 즉 정상 상태에서는 보통 1Ω 이하의 저항으로 회로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으나 부하 회로나 자체 발열등으로 온도가 높아지거나 과전류가 발생될 경우 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되어 자체 저항이 증가하고, 온도가 80-120℃가 되면 통로가 감소되면서 전류가 차단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전성 포리머 퓨즈(6)를 종래에 안정장치로 사용되던 물리적 퓨즈나 온도퓨즈를 비교하여 보면 아래의 표1과 같다.
[표 1]
따라서 필름 콘덴서(1)과 과전류 발생으로 인하여 100-200℃ 정도의 열이 발생될때 소자(2)와 단자판(3)의 단자(4) 사이에 설치된 전도성 포리머 퓨즈(6)가 전류를 차단하게 되고 과전류 발생 원인이나 발열원인을 제거하여 필름 콘덴서의 열이 식으면, 원상 복귀되어 기능을 회복, 퓨즈로서의 기능을 회복하게 되는 것이다.
때문에 이상 발생 원인을 제거한후에는 콘덴서의 재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덴서 소자로부터 인출되어 단자판의 단자에 연결되는 리드선 중간에 도전성 포리머 퓨즈를 설치하여 콘덴서에 큰 체적의 변화를 주지 않고 콘덴서 자체의 내부 파괴가 아닐 경우에는 재 사용이 가능하므로 콘덴서 파괴에 교체로 부품의 경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지니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필름 콘덴서(1)에 있어서, 소자(2)로부터 인출되어 단자판(3)의 단자(4)에 연결되는 리드선(5) 중간에 전도성 포리머 퓨즈(6)를 설치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콘덴서.
KR2019880020768U 1988-12-15 1988-12-15 필름 콘덴서 KR940006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768U KR940006079Y1 (ko) 1988-12-15 1988-12-15 필름 콘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768U KR940006079Y1 (ko) 1988-12-15 1988-12-15 필름 콘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295U KR900013295U (ko) 1990-07-05
KR940006079Y1 true KR940006079Y1 (ko) 1994-09-08

Family

ID=19282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0768U KR940006079Y1 (ko) 1988-12-15 1988-12-15 필름 콘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0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3201B2 (en) 2008-03-11 2013-02-12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3201B2 (en) 2008-03-11 2013-02-12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295U (ko) 199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9683A (en) Capacitor with overheating protection
US2444880A (en) Electrical seal
KR940006079Y1 (ko) 필름 콘덴서
US2640132A (en) Electrical resis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150419A (en) Electrical capacitor with a fuse
US3087093A (en) Capacitor protection
EP0274786B1 (en) Protected potted metallized film capacitor
EP0677206A1 (en) INTERNAL PROTECTION CAPACITOR.
US3119913A (en) Time delay thermal fuse for protection of electrical devices from overheating
GB2068177A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rectifiers
CN212136940U (zh) 一种控制柜的内部通风防潮装置
CN220171928U (zh) 一种绝缘套装壳体
CN216597167U (zh) 保险丝型封装电阻
JPS5947866B2 (ja) 避雷装置
US4714979A (en) Protected potted metallized film capacitor
KR100389212B1 (ko) 모터 프레임내에 수용된 콘덴서를 사용하여 구동하는 모터
JPH0754994Y2 (ja) ガス入乾式コンデンサ
JPH021854Y2 (ko)
JPH0519946Y2 (ko)
US3875467A (en) Geometrical and symmetrical gas tube lightning protectors
JPH07302729A (ja)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H0356030Y2 (ko)
EP0107762A1 (en) Failsafe overvoltage protector
WO2017125068A1 (zh) 热断路器
JPS612820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