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882Y1 - 핸들러/단말기 간의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핸들러/단말기 간의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882Y1
KR940005882Y1 KR2019910019251U KR910019251U KR940005882Y1 KR 940005882 Y1 KR940005882 Y1 KR 940005882Y1 KR 2019910019251 U KR2019910019251 U KR 2019910019251U KR 910019251 U KR910019251 U KR 910019251U KR 940005882 Y1 KR940005882 Y1 KR 940005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ing
signal
handler
telepho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9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376U (ko
Inventor
김대우
Original Assignee
금성계전 주식회사
성기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계전 주식회사, 성기설 filed Critical 금성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9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882Y1/ko
Publication of KR9300123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3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8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핸들러/단말기 간의 통신장치
제1도는 종래의 핸들러/단말기 간의 통신장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핸들러/단말기 간의 통신장치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통신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매칭부 20 : 제2매칭부
30 : 링 검출부 40 : 단말기 제어 단자대
50 : 핸들러 제어 단자대 60 : 핸들러
70 : 단말기
본 고안은 단말기의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선이 없는 경우에 단말기와 원격겸침용 핸들러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초기 모드상태를 실시하여 마치 전화선이 있는것같이 한 핸들러/단말기 간의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검침은 계량기를 사람이 직접 눈으로 확인하던 기존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두된 것으로 기존의 경우엔 사람이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는데서 비롯된 착오나 검침원을 가장한 강도 또한 검침원과 수용가와의 결탁으로 그릇된 검침을 하는 것을 비롯해 전기를 공급하는 회사에서의 큰 문제점이던 시분한 검침 필요성등이 많았다.
컴퓨터를 이용한 원격검침은 전화선을 이용하는 방법, 전력선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전용선 또는 무선을 사용하는 것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전화선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단말기에 전화선이 아직 접속되지 않았을때 단말기의 간단한 시험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핸들러와 접속시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립(Tip/Ring)단자 및 전류제한 스위치 (PS1,PS2)를 통해 각기 인가되는 신호를 저항(R1,R2), 콘덴서(C1) 및 트랜스포머 (T1)를 통해 DTME(Dual Tone Multi-Frequency)(1)와 송수신을 매칭하는 제1매칭부 (10)와, 상기 팁,링단자 및 전류제한 스위치(PS1>PS2)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저항(R3), 콘덴서(C2) 및 트랜스포머(T2)를 통해 모뎀신호부(2)와의 송수신을 매칭하는 제2매칭부(20)와, 상기 팁,링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포토커플러 (PT1)에 의해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검출부(30)와, 상기 링검출부(30)의 링신호에 따라 전화선 인식부(3)로 전화선 상태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슈미트 트리거(G1)와, 제어신호(CS1)에 따라 상기 제1,2매칭부(10)(20)를 절환하는 절환스위치(S1)(S2)로 구성된 단말기(70)의 팁,링단자에 클립을 이용하여 통신가능토록 한 핸들러(6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통신장치에 있어서, 팁,링단자를 통해 신호가 인가되면 전류제한 스위치(PS1,PS2)에 의해 전류가 제한되고, 이 제한 전류는 저항(R1,R2)을 통해 콘덴서(C1)에 충전됨과 아울러 트랜스포머(T1)의 2차측에 유기됨에 따라 DTMF(1)에 의해 전화본체와의 송수신을 제1매칭부(10)에서 매칭한다.
또한, 제1매칭부(10)와 마찬가지로 제2매칭부(20)에서는 트랜스포머(T2)에 의해 모뎀신호부(2)와의 송수신을 매칭한다.
또한, 제1매칭부(10)과 마찬가지로 제2매칭부(20)에서는 트랜스포머(T2)에 의해 모뎀신호부(2)와의 송수신을 매칭한다.
전화선을 통해 신호가 포토다이오드로 인가되면 포토트랜지스터가 턴온됨에 따라 링신호를 검출하고, 이 링신호에 따라 슈미터트리거(G1)를 통해 로우신호가 전화선 인식부(3)에 인가되면 상기 인식부(3)에서는 전화선이 사용되고 있음을 인식한다.
상기 전화선 인식부(3)에서 전화선 사용중이라고 인식되면 제어신호(CS1)를 출력하면 절환스위치(S1)(S2)를 절환시켜 모뎀신호부(2)에 전화통화중임을 알린다.
그리고, 단말기(70)는 핸들러(60)와 통신시 교환기 정합장치와 통신할때와 마찬가지로 동작하게 되어있고, 상기 단말기(70)와 핸들러(60)간의 통신시에는 전화선을 제거하고 클립을 연결하여 단말기(70)와 핸들러(60)의 전용선을 구축하여 통신을 한다.
통신이 끝난 뒤에는 단말기의 전화단자에 전화선을 연결하여 교환기 정합장치의 검침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핸들러와의 통신시에는 단말기의 전화선을 분리시켜야 하므로 전화 가입자가 전화통화를 시도할때 통화가 되지 않는 등의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단말기와 핸들러를 연결할 때마다 커버를 열어야 하므로 보안에 영향을 미치고 작업에 번거로움이 많았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핸들러 사용시 전화선이 없는 경우에 단말기로 하여금 마치 전화선이 있는 것처럼 강제로 통신 초기모드 상태를 실시하도록 한 핸들러/단말기간의 통신장치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핸들러/단말기 간의 통신장치 구성도로서 팁,링단자 및 전류제한 스위치(PS1,PS2)를 통해 각기 인가되는 신호를 저항(R1,R2), 콘덴서(C1) 및 트랜스포머(T1)를 거쳐 DTMF와 송수신을 매칭하는 제2매칭부(10)와, 상기 팁,링단자 및 전류제한 스위치(PS1,PS2)를 통해 모뎀신호부(2)와의 송수신을 매칭하는 제1매칭부(20)와, 상기 팁,링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포토커플러(PT1)에 의해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검출부(30)와 상기 링검출부(30)의 링신호에 따라 전화선 인식부(3)로 전화선 상태를 검출 출력하는 슈미트 트리거(G1)와 제어신호(CS1)에 따라 상기 제1,2매칭부(10)(20)를 선택절환하는 절환스위치(S1)(S2)와, 상기 전화선 및 포토커플러(PT1)의 출력신호에 따라 단말기(70)와 핸들러(60)와 송수신하도록 하는 단말기 제어단자대(40)와, 상기 전화선 및 스위칭 스위치(S3)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기 제어 단자대(40)와 송수신하는 핸들러 제어 단자대(50)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70)는 팁,링단자, 접지선(GND) 및 포토트랜지스터의 선과 직렬로 단말기 제어 단자대(40)와 연결하여 부착하고, 핸들러(60)는 팁,링단자 스위치(S3)양단과 직렬로 핸들러 제어 단자대(50)와 연결하여 부착하여 사용하는데, 4단자중 두단자는 정상 통신에 사용하고 두개는 핸들러로 하여금 단말기의 통신초기 모드에 들어가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핸들러(60)는 전화선의 상태를 체크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있어서, 전화선의 여러상태, 즉 정상상태, 훅오프상태, 링상태 및 전화선이 없는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핸들러(60)는 정상상태에서는 물론 초기화 할 필요없이 바로 통신에 임할수 있고 훅오프상태나 링상태는 해당 메세지를 남겨서 통신이 불가함을 알려준다.
그러나 전하선이 없는 상태에서는 핸들러(60)의 스위칭 스위치(S3)로 닫아주어(short) 전화선 인식부(3)를 하이로 강제로 만들어 마치 정상상태인것처럼 단말기(70)로 하여금 인식하게끔 만들어 정상통신에 임할 수 있게한다.
제4도는 전화선 상태 검출회로도로서 팁단자 및 링단자를 통해 인가된 전류가 트랜스포머(T3)의 2차측에 유기된후 인버터(I1)를 통해 전화선의 상태를 출력하도록 한다.
전화선이 없는 경우엔 인버터(I1)의 출력을 핸들러내의 CPU가 감지하여 하이인 경우엔 전화선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제3도는 핸들러와 단말기간의 통신제어 흐름도로서 핸들러(70)와 단말기(60)간의 통신 초기화 시작을 위해 전화선 상태를 체크하여 전화선이 없으면 핸들러의 스위칭 스위치(S3)를 쇼트시켜 전화선인식부(3)에 하이신호가 출력하면 단말기의 통신 초기화가 준비되었으면 서로 통신을 행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화선이 없는 경우에 핸들러의 스위칭 스위치를 쇼트하여 전화선이 있는것같이 하여 단말기와 핸들러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팁/링단자 및 전류제한 스위치(PS1,PS2)를 통해 각기 인가되는 신호를 트랜스포머(T1)(T2)를 통해 DTMF(1)와 모뎀신호부(2)와의 송수신을 매칭하는 제1,2매칭부(10)(20)와, 상기 팁/링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포터커플러(PT1)에 의해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검출부(30)와, 링신호에 따라 전화선 인식부(3)로 전화선상태를 체크 출력하는 슈미트트리거(G1)와 제어신호(CS1)에 따라 상기 제1,2매칭부 (10)(20)를 절환스위치(S1)(S2)로 구성된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탭/링단자 및 포토커플러(PT1)의 출력신호에 따라 단말기 및 핸들러를 송수신하는 단말기 제어단자대(40)와, 사이 탭/링단자 및 스위칭스위치(S3)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기 제어 단자대(40)와 송수신하는 핸들러 제어 단자대(5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러/단말기 간의 통신장치.
KR2019910019251U 1991-11-12 1991-11-12 핸들러/단말기 간의 통신장치 KR940005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251U KR940005882Y1 (ko) 1991-11-12 1991-11-12 핸들러/단말기 간의 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251U KR940005882Y1 (ko) 1991-11-12 1991-11-12 핸들러/단말기 간의 통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376U KR930012376U (ko) 1993-06-25
KR940005882Y1 true KR940005882Y1 (ko) 1994-08-26

Family

ID=1932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9251U KR940005882Y1 (ko) 1991-11-12 1991-11-12 핸들러/단말기 간의 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8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376U (ko) 199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9602A (en) Telephone apparatus for caller ID
KR940005882Y1 (ko) 핸들러/단말기 간의 통신장치
KR100233097B1 (ko) 전화라인 인터페이스 회로의 링신호 및 훅크스위치의 상태 검출회로
KR950002602Y1 (ko) 팩시밀리에 연결된 전화응답장치의 훅 오프 검출회로
KR950004461Y1 (ko) 유선단말 시스템의 호출 선택회로
KR970003418B1 (ko) 수신모드 원격조정을 위한 팩시밀리 인터페이스 장치
KR890003493Y1 (ko) 공중선(교환회선)용 모뎀의 스위치 후크 검출회로
US5991386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he connection of multiple terminals to one subscriber line of the telephone network, and a terminal
KR200212096Y1 (ko) 전화기 회로
JP2958230B2 (ja) 端末網制御装置
JP2731247B2 (ja) 網制御装置
US5872838A (en) Trim phone circuit device having a calling line identification
JP3748542B2 (ja) 通信装置
KR950001527B1 (ko) 교환기에 있어서 직류 폐회로 간선의 링검출회로 및 선로상태 점검회로
KR100191216B1 (ko) 두 개의 전화라인을 보유한 전화기
JPS62142454A (ja) 網制御回路
KR100264033B1 (en) Interface device of network connection unit using a telephone line
JP3538536B2 (ja) データ通信用端末側システム
KR890016819A (ko)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폰 인터페이스 회로
JPH089959Y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079792A (ja) 電話回線の極性判定回路
JPH0318385B2 (ko)
JPS6363248A (ja) ボタン電話機
JPH0443463B2 (ko)
KR940020746A (ko) 링 다운 가입자의 전화기 상태 검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