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593Y1 - Mfd 장치 - Google Patents

Mfd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593Y1
KR940005593Y1 KR92003361U KR920003361U KR940005593Y1 KR 940005593 Y1 KR940005593 Y1 KR 940005593Y1 KR 92003361 U KR92003361 U KR 92003361U KR 920003361 U KR920003361 U KR 920003361U KR 940005593 Y1 KR940005593 Y1 KR 940005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fd
glass substrate
phosphor
cathode pattern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3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248U (ko
Inventor
이강옥
Original Assignee
박경팔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팔,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경팔
Priority to KR92003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593Y1/ko
Publication of KR9300222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2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5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MFD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MFD를 도시한 일부 절개단면도.
제2도는 일반적인 MFD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일반적인 MFD의 셀을 도시한 확대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MFD를 도시한 일부 절개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명도전막 2 : 전면그라스
3 : 후면그라스기판 4 : 스페이서
5 : 캐소우드패턴 6 : 게이트
7 : 절연층 9 : 마이크로팁
10 : 형광체 70 : 절연막
본 고안은 MFD(Microtips Fluorescent Display)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연막을 형성하여 플리커 노이즈(flicker noise)를 제거함으로써, 양호한 발광특성을 얻을 수 있는 MFD에 관한 것이다.
MFD는 평판 디스플레이인 FED(Field-emisson displsy)의 일종으로서, 전자를 방출하는 팁형의 캐소우드와, 형광체가 도포된 애토우드로 이루어지며, 이 형광체에 상기 캐소우드의 임의의 곳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충돌하면, 형광체가 발광하게 되어, 원하는 패턴 또는 문자나 기호는 표시한다. 또한, 최소한의 전력소모로도 고해상도·고휘도의 칼라패턴을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 디스플레이다.
이러한 MFD는 전계집중을 위하여 마이크로팁형상의 캐소우드를 형성하며, 그 위에 전계유도를 위한 게이트 및 형광체가 도포된 애노우드를 구성하고, 다수의 마이크로팁으로부터 전자방출을 유도하여, 발생된 전자를 투명도전막이 형성된 애노우드의 형광체에 충돌시킴으로써, 형광체가 자극을 받아 형광체의 최외각 전자들이 여기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빛을 이용하여 원하는 화상표시를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인 MFD의 구성을 제2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면그라스기판(3)위에는 절연층(SiO2)에 의해 분리되는 컬럼(column) 전극의 캐소우드패턴(5)과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로우(row)전극의 게이트(6)가 크로스(cross)형상으로 셀(cell)(8)을 형성하고, 이 셀(8)에는 상기 홀과 동수의 마이크로팁(9)이 형성되며, 상기 셀(8)의 상측면에는 이들 각각의 셀(8)을 둘러 싸는 스테이서(4)가 전면에 배치되고, 아울러 전면그라스(2)의 하측면에는 ITO 투명도전막(1)과 형광체(10)가 도포됨으로써 MFD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MFD의 셀(8)의 확대·도시한 사시도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셀(8)에는 다수의 마이크로팁(9)이 일체로 형성된 컬럼전극의 캐소우드패턴(5)과, 이 마이크로팁(9)과 동수의 홀(61)을 포함하는 로우전극의 게이트(6)가 절연층(7)에 의하여 분리·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마이크로팁(9)은 고전계방출을 이용하는 냉음극의 캐소우드로서, 그 선단을 팁형과 같이 날카롭게 형성함으로써, 미소면적에 저전압만을 인가하여도 팁형 캐소우드의 선단에서 전자가 방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제4도는 종래의 MFD를 도시한 일부 절개단면도로서, 후면그라스기판(3)상에 형성된 컬럼전극의 캐소우드패턴(5)과 다수의 홀(61)을 포함하는 로우전극의 게이트(6)가 절연층(7)에 의해 분리·형성되고, 상기 홀(61)의 내측에는 마이크로팁(9)이 도전성의 캐소우드패턴(5)과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전면그라스(2)의 하측면에는 ITO 투명도전막(1)과 형광체(10)가 도포되고, 이 형광체(10)와 마이크로팁(9)간의 일정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4)가 셀(8)을 둘러 싸며 전면에 배치됨으로서 MFD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MFD에 의하면, 마이크로팁(9)이 형성된 금속성을 캐소우드패턴(5)이 반도성의 후면그라스기판(3)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캐소우드패턴(5)의 택일적인 전압인가시 후면그라스기판(3)으로의 미세한 누설전류가 발생되며, 금속성의 캐소우드패턴(5)의 택일적인 전압인가시 후면그라스기판(3)으로의 미세한 누설전류가 발생되며, 금속성의 캐소우드패턴(5)과 후면그라스기판(3) 사이의 밀착불량으로 미세한 갭(gap)이 발생하여 접합용량이 저하되므로, 결국 플리커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막을 형성하여 누설전류를 방지하고, 밀착성을 좋게함으로써, 플리커 노이즈를 제거함과 아울러 발광특성을 얻을 수 있는 MFD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후면그라스기판상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이 절연막의 상면에는 금속성의 캐소우드패턴 및 이 캐소우드패턴과 일체를 이루는 마이크로팁, 게이트 및 절연층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구조체와 ITO 투명도전막, 형광체가 도포된 전면그라스 및 스페이서를 일체로 접합·형성시킨 MFD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MFD를 도시한 일부 절개단면도로서, 도면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제4도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을 통하여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후면그라스기판(3)상에 플리커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절연막(70)을 형성하고, 이 절연막(70)의 상면에는 컬럼전극의 캐소우드패턴(5)과 다수의 홀(61)을 포함하는 로우전극의 게이트(6)가 절연층(7)에 의해 분리·형성되며, 상기 홀(61)의 내측에는 마이크로팁(9)이 도전성의 캐소우드패턴(5)과 일체를 이루고, 이렇게 형성된 구조체와 ITO 투명도전막(1), 형광체(10)가 도포된 전면그라스(2) 및 형광체(10)와 마이크로팁(9)간의 일정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셀(8)을 둘러싸며 전면에 형성된 스페이서(4)를 일체로 접합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절연막(70)은 SiO2와 같은 절연물질을 E-빔증착, 스퍼터링, 프린팅 등의 방법으로서 후면그라스기판(3)의 상면에 형성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MFD에 의하면, 절연막(70)이 후면그라스기판(3)과 금속성의 캐소우드패턴(5)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캐소우드패턴(5)의 택일적인 전압인가시 후면그라스기판(3)으로 누설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고, 이 절연막(70)과 캐소우드패턴(5)의 사이에 밀착성이 증가하여 접합용량을 증대시키므로, 플리커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본 고안의 MFD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절연막(70)과 캐소우드패턴(5)의 밀착성이 증대함에 따라, 캐소우드패턴의 안전성 및 균일성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팁(9)의 전자방출특성을 극대화하고, 제품의 발광특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MFD는 종래의 것과 달리, 후면그라스기판과 금속성의 캐소우드패턴 사이에 절연막을 형성하여, 누설전류를 방지하고, 밀착성을 좋게함으로써, 플리커 노이즈를 제거함과 아울러 양호한 발광특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마이크로팁(9)을 포함하는 컬럼전극의 캐소우드패턴(5)과 로우전극의 게이트(6) 및 절연층(7)이 형성된 후면그라스기판(3)과 ITO 투명도전막(1), 형광체(10)가 도포된 전면그라스(2) 및 스페이서(4)가 일체로 접합되어 형성된 MFD에 있어서, 상기 후면그라스기판(3)상에 플리커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절연막(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FD 장치.
KR92003361U 1992-03-03 1992-03-03 Mfd 장치 KR940005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3361U KR940005593Y1 (ko) 1992-03-03 1992-03-03 Mfd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3361U KR940005593Y1 (ko) 1992-03-03 1992-03-03 Mfd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248U KR930022248U (ko) 1993-10-16
KR940005593Y1 true KR940005593Y1 (ko) 1994-08-19

Family

ID=19329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3361U KR940005593Y1 (ko) 1992-03-03 1992-03-03 Mfd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5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248U (ko) 199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162B1 (ko) 진공 형광 표시장치
JPH0594787A (ja) 平形蛍光表示装置
KR20070010660A (ko) 전자 방출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JP2000251783A (ja) 電界放出形表示素子
KR940005593Y1 (ko) Mfd 장치
JP5159011B2 (ja) 変調電界を生成する装置とその電界放射フラット画面への適用
KR100756805B1 (ko) 화상표시장치
JP4132502B2 (ja) 平面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52068B1 (ko) 전계방출소자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소자
US6535184B1 (en) Dynamic driving vacuum fluorescent display
KR100548256B1 (ko) 탄소 나노튜브 전계방출소자 및 구동 방법
KR20050113897A (ko) 전자 방출 소자
KR100219576B1 (ko) 전계방출표시소자
KR20060065235A (ko) 전자 방출형 백라이트 유니트, 이를 구비한 평판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전자 방출형 백라이트 유니트의제조방법
JP2795184B2 (ja) 表示装置
KR100277645B1 (ko) 형광표시관
KR100269916B1 (ko) 형광 표시관
KR20030083791A (ko) 전계 방출 표시소자
KR100532999B1 (ko) 전계 차폐판을 구비한 탄소 나노튜브 전계방출소자
JP2513389B2 (ja) カラ―シフト蛍光表示管
JPH05325844A (ja) 蛍光表示管
RU2095880C1 (ru) Автоэлектронный прибор
JPH04160742A (ja) 平面型電子放出装置
KR20000040228A (ko) 전계 방출 표시소자
JPH02273442A (ja) 積層型蛍光表示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