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523B1 - 다이얼러(Dialer) 집적회로 - Google Patents

다이얼러(Dialer) 집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523B1
KR940005523B1 KR1019910020503A KR910020503A KR940005523B1 KR 940005523 B1 KR940005523 B1 KR 940005523B1 KR 1019910020503 A KR1019910020503 A KR 1019910020503A KR 910020503 A KR910020503 A KR 910020503A KR 940005523 B1 KR940005523 B1 KR 940005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preset data
make
gates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0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518A (ko
Inventor
최광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0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523B1/ko
Publication of KR93001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이얼러(Dialer) 집적회로
제1도는 종래 다이얼러 집적회로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 다이얼러 집적회로의 블록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브레이크비 선택회로(31) 및 플래쉬타임선택회로(32)의 상세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지시간선택수단(23)과 펄스갯수제어수단(24) 및 프리셋데이터선택로직수단(25)의 상세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펄스카운터(4)의 상세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화기의 다이얼링(Dialing)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적회로 외부에 있는 키보드의 저항을 이용하여 전화번호의 다이얼링을 위한 펄스신호의 펄스수를 조절하고, 플래쉬타임(Flash Time), 메이크/브레이크비(Make/Break Ratio), 휴지시간(Pause Time)등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된 다이얼러(Dialer) 집적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의 다이얼링회로는 키보드의 숫자키를 누름에 따라 발생하는 누른 숫자에 대응하는 펄스수를 갖는 펄스신호에 의해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게 되는바, 이러한 숫자키의 숫자에 대응하는 펄스수는 각 나라별로 상이하다. 예컨데 뉴질랜드는 10-n개의 펄스수를 갖는데, 이 경우 n은 키보드의 숫자로서 키보드의 숫자를 3을 누르면 10-3=7개의 펄스를 갖는 펄스신호에 의해 숫자 3을 다이얼링하게 된다. 이와같이 키보드의 숫자에 대응하는 펄스수는 스웨덴과 덴마크가 n+1개, 기타 국가들은 대개 n개이다.
종래 다이얼러(Dialer) 집적회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키입력 및 스캐닝로직부(1)와, 기능 및 숫자키 디코더부(2), 제어 및 출력로직부(3), 펄스카운터(4), 메모리래치 및 프리셋데이터디코더부(5), 메이크/브레이크 및 타이밍카운터부(6), 독출/기록어드레스카운터(7), 버퍼 RAM(8), 발진 및 분주회로부(9), 시스템클럭발생기 (10), 프로그래머블카운터(11) 및 싸인파 카운터(1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다이얼러 집적회로는 도시하지 않은 키보드에 있는 0∼9의 숫자키를 누름에 따라 누른 키에 대응하는 펄스수를 갖는 펄스신호가 키입력 및 스캐닝로직부(1)로 인가되어 회로각부의 동작상태가 결정되고, 결정된 회로각부의 동작에 따라 누른 숫자가 다이얼링되게 된다.
이러한 다이얼러 집적회로는 플래쉬타임이나 메이크/브레이크비 및 휴지시간등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상기 키보드와는 별도로 VDD, VSS, 오픈(Open)등의 상태로 지정하여야할 별도의 외부핀이 다수 필요로하게되므로 외부핀수의 증가에 따라 제품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뿐만아니라 키보드의 숫자에 대응하는 펄스수가 각 나라별로 상이하므로 각국별로 서로 상이한 별도의 집적회로를 필요로하는등 호환성이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다이얼러 집적회로가 갖는 제반 결점들을 제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집적회로 외부에 있는 키보드에 저항을 연결하여 키보드상의 버튼조작만으로 별도의 외부핀을 사용하지 않고 숫자키에 대응하는 펄스수를 변경할 수 있어 각 국가사이에 호환성을 가지면서 키조작으로 플래쉬타임이나 메이크/브레이크비, 휴지시간등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다이얼러 집적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다이얼러 집적회로는 키입력 및 스캐닝로직부(1)와 기능 및 숫자키 디코더부(2), 제어 및 출력로직부(3), 펄스카운터(4), 메모리래치 및 프리셋데이터디코더부(5), 메이크/브레이크 및 타이밍카운터부(6), 독출/기록어드레스카운터(7), 버퍼 RAM(8), 발진 및 분주회로부(9), 시스템클럭발생기(10), 프로그래머블카운터(11) 및 싸인파카운터(12)를 구비한 다이얼러 집적회로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및 스캐닝로직부(1)를 키입력 및 스캐닝로직수단(21)과 플래쉬타임 및 메이크/브레이크비선택로직수단(22), 휴지시간선택수단(23) 및 키보드의 키조작에 따른 펄스신호를 입력하여 조작키에 대응하는 펄스수를 제어하는 펄스 갯수제어수단(24)으로 구성하고, 상기 메모리래치 및 프리셋데이터디코더부(5)를 프리셋데이터선택로직수단 (25)와 메모리래치 및 프리셋데이터디코더수단(26)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래쉬타임 및 메이크/브레이크선택로직수단(22)은 MOS 트랜지스터(P1,N1)와 인버터(IV1∼IN4), 낸드게이트(ND1,ND2) 및 제1래치부(LH1)로 이루어진 메이크/브레이크비선택로직회로(31)와, MOS 트랜지스터(P2,P3,N2,N3)와 인버터 (IV6,IV20), 낸드게이트(ND3∼ND6) 및 제2∼제4래치부(LH2∼LH4)로 이루어진 플래쉬타임선택로직회로(32)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제4래치부(LH1∼LH4)는 노아게이트 (NR1,NR2)와 인버터(IV5). 노아게이트(NR3,NR4)와 인버터(IN21), 노아게이트(NR5, NR6)와 인버터(IV22), 노아게이트(NR7,NR8)와 인버터(IV23)로 각각 구성된다.
또 상기 휴지시간선택수단(23)은 MOS 트랜지스터(P4,N4)와 인버터(IV24∼ IV27), 낸드게이트(ND7,ND8) 및 제5래치부(LH5)로 구성되고, 상기 펄스갯수제어수단 (24)은 MOS 트랜지스터(P5,P6,N5,N6)와 인버터(IV29∼IV38), 낸드게이트(ND9∼ ND11) 및 제6, 제7래치부(LH6,LH7)로 구성되며, 제5∼제7채치부(LH5,LH7)는 노아게이트(NR9,NR10)와 인버터(IV28), 노아게이트(NR11,NR12)와 인버터(IV39), 노아게이트 (NR13,NR14)와 인버터(IV40)로 각각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리셋데이터선택로직수단(25)은 인버터(IV41,IV42)와 앤드게이트 (AD1∼AD3) 및 노아게이트(NR15,NR16)로 구성되고, 상기 펄스카운터(4)는 인버터 (IV43∼IV46)와 낸드게이트(ND12,ND13), 노아게이트(NR17∼NR22) 및 토글플립플롭 (TF1∼TF4)로 구성되고, 키보드는 제1행∼제4행 및 제1열∼제4열로 이루어진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T,F,P,RD) 및 다수의 저항(RL)으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 다이얼러 집적회로의 블록구성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각각 제2도에 도시한 본 발명 다이얼러 집적회로의 요부상세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집적회로 외부에 별도의 핀을 사용하지 않고 회로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펄스갯수를 제어하고자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행∼제4행 및 제1열∼제4열 각 키에 저항(RL)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고, 키보드의 키조작에 따른 신호는 플래쉬타임 및 메이크/브레이크비선택로직수단(22)으로 인가됨과 더불어 휴지시간선택수단(23)으로 인가되는바, 먼저 메이크/브레이크 선택기능을 보면, 제3도에 제1행에 저항(RL)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훅신호(A)의 로우레벨상태(전화기의 송수화기가 전화기본체에 놓여있는 온훅(ON HOOK) 상태이므로)에 의해 메이크/브레이크비선택로직회로(31)에 있는 MOS 트랜지스터(P1)가 턴온되고 MOS 트랜지스터(N1)가 턴오프된다. 그에따라 인버터(IV1)로 인가되는 신호가 하이레벨상태로 되므로 낸드게이트 (ND1)의 입력신호가 로우레벨 상태로 되어 훅스위치신호의 레벨에 관계없이 낸드게이트(ND1)의 출력이 하이레벨상태로 되고, 제1래치부(LH1)의 출력은 로우레벨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메이크/브레이크비선택신호(MBS)가 로우레벨로 되므로 메이크/브레이크비선택신호(MBS)의 로우레벨에 의해 메이크/브레이크비는 2/3가 선정된다.
반면에 제1행에 저항(RL)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MOS 트랜지스터(P1)의 턴온저항(RP)과 저항(RL)의 전압분배에 의해 인버터(IV1)로 인가되는 신호가 로우레벨상태로 되므로 낸드게이트(ND1)의 일입력신호가 하이레벨상태로 되는데 이때에는 온훅(ON HOOK)상태로 낸드게이트(ND1)의 타입력신호인 훅스위치신호가 하이레벨상태이므로 낸드게이트(ND1)의 출력이 로우레벨상태로 된다.
그에따라, 제1래치부(LH1)의 출력이 하이레벨상태가 되어 메이크/브레이크비선택신호(MBS)가 하이레벨로서 메이크/브레이크비는 1/2이 선정된다.
여기서, 낸드게이트(ND1)의 일입력신호로서 훅스위치신호를 이용하는 것은 낸드게이트(ND1)가 온훅상태에서만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어 플래쉬타임선택로직회로(32)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3행과 제4행에 모두 저항(RL)을 연결하지 않으면, 600ms의 플래쉬타임이 선택되는바, 이 경우 온훅 상태로 훅신호(A)가 로우레벨상태이므로 플래쉬타임선택로직회로(32)에 있는 MOS 트랜지스터(P2,P3)가 턴온되고, MOS 트랜지스터(N2,N3)가 턴오프되어 모든 입력신호가 하이레벨상태로 되는 낸드게이트(ND3)만으로 되므로 인버터(IV17∼IV20)중 인버터(IV17)의 출력만이 하이레벨상태로 된다. 그에따라 제2∼제4래치부(LH2∼LH4)중 제2래치부(LH2)의 출력만이 하이레벨상태로 되어 600ms의 플래쉬타임선택신호가 액티브되므로 플래쉬타임이 600ms로서 선택된다.
또한 제3행에 저항(RL)을 연결하고, 제4행에 저항(RL)을 연결하지 않은 경우는 MOS 트랜지스터(P2)의 턴온저항(RP)과 저항(RL)의 전압분배에 의해 인버터(IV6, IV11,IV15)로 인가되는 신호는 로우레벨로서 인식되게 된다. 따라서 낸드게이트(ND3∼ ND6)중 낸드게이트(ND5)만이 모든 입력신호가 하이레벨상태로 되어 제2∼제4래치부 (LH2∼LH4)중 제3래치부(LH3)의 출력만이 하이레벨상태로 되므로 100ms의 플래쉬타임선택신호가 액티브되고 플래쉬타임이 100ms로서 선택된다.
또 제3행에 저항(RL)을 연결하지 않고 제4행에 저항(RL)을 연결한 경우는 MOS 트랜지스터(P3)의 턴온저항(RP)과 저항(RL)의 전압분배에 의해 인버터(IV8, IV12,IV14)로 인가되는 신호가 로우레벨로서 인식되므로 낸드게이트(ND3∼ND6)중 낸드게이트(N6)만이 모든 입력신호가 하이레벨상태로 된다. 그에따라 제2∼제4래치부 (LH2∼LH4)중 제4래치부(LH4)의 출력만이 하이레벨상태로 되므로 300ms의 플래쉬타임선택신호가 액티브되어 플래쉬타임이 300ms로서 선택된다.
여기서 플래쉬타임선택신호중 하나의 플래쉬타임선택신호만이 외부조건인 제3행과 제4행에 저항(RL)의 연결여부에 따라 액티브되며, 액티브된 신호는 오프훅후 온훅상태로 되어야만 클리어될 수 있다. 즉, 집적회로내부의 동작신호는 온훅상태에서만 셋팅가능하며, 오프훅상태에서는 이전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4도에 도시된 휴지시간선택수단(23)의 동작은 상기한 제3도에 도시한 메이크/브레이크비선택회로(31)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동작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1행 대신에 제2행에 저항(RL)을 연결하거나 연결하지 않는 점이 상이하고 제2행에 연결되는 저항(RL)의 연결유무에 따라 휴지시간선택수단(23)의 출력신호 (PTS)가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상태로 되어 휴지시간을 선택하게 된다. 예컨대 휴지시간선택수단(23)의 출력신호(PTS)가 하이레벨(저항(RL)연결시)이면 3.6sec의 휴지시간이 선택되고, 로우레벨(저항(RL)을 연결하지 않은 경우)이면 2.0sec의 휴지시간이 선택되게 된다.
다음으로 펄스갯수제어수단(24)의 동작을 보면, 기존의 다이얼러 집적회로 즉, 키보드에 있는 숫자키의 숫자에 대응하는 펄스수가 n인 경우 제5도에 도시한 펄스카운터(4)의 프리셋데이터(PS0,PS3)는 표 1과 같다.
[표 1]
숫자키에 대응하는 프리셋데이타(펄스갯수 n인 경우)
표 1과 같은 프리셋데이터(PS0∼PS3)의 레벨상태가 결정되면, 펄스카운터(4)로 인가되는 프리셋데이터()의 레벨상태가 결정되므로 펄스카운터(4)는 입력되는 클럭펄스신호(CP)의 펄스수를카운터하여 그 결과인 출력신호(PO)를 제어 및 출력로직부(3)로 출력하여 다이얼러 집적회로를 펄스갯수 규격 n개로서 동작시키게 된다.
여기서 펄스카운터(4)로 인가되는 신호()는 데이터셋인에이블시니호로서 통상적으로 하이레벨상태에서 키보드의 키를 누르고 독출클럭신호에 의해 RAM의 데이터가 출력되면 로우레벨의 펄스신호로 되고, 이신호()에 의해 펄스카운터(4)의 프리셋데이터가 프리셋되어 입력되는 클럭펄스신호(CP)를 카운팅하면 토글플립플롭 (TF1∼TF4)의 모든 출력이 하이레벨상태로 될 때 펄스카운터(4)는 카운팅동작을 멈추게 된다.
상기한 프리셋데이터(PS0∼PS3)의 레벨상태는 키보드의 제3열과 제4열에 저항(RL)의 연결유무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되는바, 키보드의 제3열과 제4열에 저항 (RL)의 연결유무에 따라 결정되는 프리셋데이터(PS0∼PS3)의 레벨상태는 표 2와 같다.
[표 2]
숫자키에 대응하는 프리셋데이타의 레벨상태
상기 표 2의 프리셋데이터(PS0∼PS3)를 만족시키는 논리식은 (1) 펄스갯수가 10-n개인 경우
(2) 펄스갯신호가 n+인 경우는
이와같이 키보드의 제3열과 제4열에 저항(RL)의 연결유무에 따라 펄스갯수제어수단(24)의 출력레벨이 상이하게 되고, 펄스갯수제어수단(24)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프리셋데이터선택로직수단(25)에 선택결정되는 프리셋데이터의 레벨상태가 펄스갯수(n개,10-n개,n+1개)에 따라 상이하므로 키보드의 제3열과 제4열에 해당(RL)의 연결유무로서 펄스갯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프리셋데이터선택로직수단(25)으로 인가되는 신호(PSi,PSi1,PSi2)는 각각 펄스갯수 n개, n+1개, 10-n개 일때의 프리셋데이터를 나타내며, 오프훅(OFF HOOK)상태에서의 키보드 키를 누르면 즉, 행과 열을 쇼트(short)시키면 저항(R1)의 연결유무에 관계없이 다이얼러 집적회로가 동작하도록 저항값을 RN<<RP<RL[RN: MOS 트랜지스터(N1∼N6)의 턴은 저항값 RP: MOS 트랜지스터(P1∼P6)의 턴온저항값]이 되도록 설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 다이얼러 집적회로는 집적회로 외부에 별도의 핀을 사용하지 않고 키보드에 저항을 연결하여 전화번호의 다이얼링을 위한 펄스수의 가변이나 기능선택을 할수 있으므로 핀수의 감소뿐만 아니라 키보드에 저항의 연결만을 국가별로 상이한 숫자키에 대응하는 펄스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마스크 옵션을 사용하지 않고도 모든 나라의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어 제조원가를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키입력 및 스캐닝로직부(1)와 기능 및 숫자키디코더부(2), 제어 및 출력로직부 (3), 펄스카운터(4), 메모리래치 및 프리셋데이터디코더부(5), 메이크/브레이크 및 타이밍카운터부(6), 독출/기록어드레스카운터(7), 버퍼 RAM(8), 발진 및 분주회로부 (9), 시스템클럭발생기(10), 프로그래머블카운터(11) 및 싸인파카운터 (12)를 구비한 다이얼러 집적회로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및 스캐닝로직부(1)를 키입력 및 스캐닝로직수단(12)과 플래쉬타임 및 메이크/브레이크비선택로직수단(22), 휴지시간선택수단 (23) 및 키보드의 키조작에 따른 펄스신호를 입력하여 조작키에 대응하는 펄스수를 제어하는 펄스갯수제어수단(24)으로 구성하고, 상기 메모리래치 및 프리셋데이터디코더부(5)를 프리셋데이터선택로직수단(25)과 메모리래치 및 프리셋데이터디코더수단 (26)으로 구성하여 외부의 제어핀 없이 키보드에 저항을 사용하여 내부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러(Dialer) 집적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플래쉬타임 및 메이크/브레이크선택로직수단(22)은 MOS 트랜지스터(P1,N1)와 인버터(IV1∼IV4), 낸드게이트(ND1,ND|2) 및 제1래치부(LH1)로 이루어진 메이크/브레이크비선택로직회로(31)와, MOS 트랜지스터(P2,P3,N2,N|3)와 인버터(IV6,IV20), 낸드게이트(ND3∼ND6) 및 제2∼제4래치부(LH|2∼LH4)로 이루어진 플래쉬타임선택로직회로(32)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제4래치부(LH1∼LH4)는 노아게이트(NR1,NR2)와 인버터(IV5), 노아게이트(NR3,NR4)와 인버터(IN21), 노아게이트 (NR5,NR6)와 인버터(IV22), 노아게이트(NR7,NR8)와 인버터(IV23)로 각각 구성되어 키보드에 저항을 사용하여 플래쉬타임(Flash Time), 메이크/브레이크비(Make/Break Ratio), 휴지시간(Pause Time)등의 기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러 집적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휴지시간선택수단(23)은 MOS 트랜지스터(P4,N4)와 인버터 (IV24∼IV27), 낸드게이트(ND7,ND8) 및 제5래치부(LH5)로 구성되고, 상기 펄스갯수제어수단(24)은 MOS 트랜지스터(P5,P6,N5,N6)와 인버터(IV29∼IV38), 낸드게이트(ND9∼ND11) 및 제6, 제7래치부(LH6,LH7)로 구성되며, 제5∼제7래치부(LH|5∼LH7)는 노아게이트(NR9,NR10)와 인버터(IV28), 노아게이트(NR11,NR12)와 인버터(IV39), 노아게이트(NR13,NR14)와 인버터(IV40)로 각각 구성되어 키보드에 저항을 사용하여 숫자키의 숫자에 대응하는 펄스의 수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러 집적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프리셋데이터로선택직수단(25)은 인버터(IV41,IV42)와 앤드게이트 (AD1∼AD3) 및 노아게이트(NR15,NR16)로 구성되고, 상기 펄스카운터(4)는 인버터 (IV43∼IV46)와 낸드게인트(ND12,ND13), 노아게이트(NR17∼NR22) 및 토글플립플롭 (TF1∼TF4)로 구성되며, 키보드는 제1행∼제4행 및 제1열∼제4열로 이루어진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T,F,P,RD) 및 다수의 저항(RL)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리셋데이터선택로직수단(25)에선 선택되는 프리셋데이터의 레벨상태에 따라 숫자키에 대응하는 펄스위 수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러 집적회로.
KR1019910020503A 1991-11-18 1991-11-18 다이얼러(Dialer) 집적회로 KR940005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503A KR940005523B1 (ko) 1991-11-18 1991-11-18 다이얼러(Dialer) 집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503A KR940005523B1 (ko) 1991-11-18 1991-11-18 다이얼러(Dialer) 집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518A KR930011518A (ko) 1993-06-24
KR940005523B1 true KR940005523B1 (ko) 1994-06-20

Family

ID=1932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0503A KR940005523B1 (ko) 1991-11-18 1991-11-18 다이얼러(Dialer) 집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5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518A (ko) 199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7639A (en) Pushbutton electronic pulsing dial
US4318087A (en) Switch closure sensing circuit
GB1564011A (en) Integrated circuits
KR940005523B1 (ko) 다이얼러(Dialer) 집적회로
DE3423682C2 (ko)
US5463386A (en) Electrical matrix keyboard scanning circuit
US4251805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n input keyboard
US5783874A (en) Keypad handling circuits
US5285495A (en) Push-button telephone dialing device with telephone hold function circuit
US5543786A (en) Keyboard scanning circuit
JP2828787B2 (ja) キー入力回路及びキー入力回路を有する電話機用集積回路
CN1143201C (zh) 键盘和配有该键盘的装置
US4348616A (en) Preset lighting device
US3806651A (en) Electronic signalling circuit for a coin telephone
KR910000374B1 (ko) 프로그래머블 콘트롤 전화기용 집적회로
EP0367512A2 (en) Dialer with internal option select circuit programmed with externally hardwired address
US3973083A (en) Rotary dial device for a telephone set
KR930009851B1 (ko) 단축 다이알 기능을 갖는 전화기
JPH04239856A (ja) 電話機用集積回路
US3675240A (en) Keyboard encoding arrangement
KR850002016Y1 (ko) 비데오 전화기의 잡음신호 제거회로
KR0132931B1 (ko) 갈 집적소자를 사용한 키폰 시스템의 입/출력 제어장치
CN1060302C (zh) 具有双向接口的拨号装置
KR930007929Y1 (ko) 전화기의 재다이얼링회로
KR920002964B1 (ko) 전화기의 다이얼링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