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500Y1 - 소등예시기능이 내장된 원적외선 센서스위치 - Google Patents

소등예시기능이 내장된 원적외선 센서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500Y1
KR940005500Y1 KR2019910020699U KR910020699U KR940005500Y1 KR 940005500 Y1 KR940005500 Y1 KR 940005500Y1 KR 2019910020699 U KR2019910020699 U KR 2019910020699U KR 910020699 U KR910020699 U KR 910020699U KR 940005500 Y1 KR940005500 Y1 KR 940005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ar
output
capacito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0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609U (ko
Inventor
김흥기
Original Assignee
정풍물산 주식회사
주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풍물산 주식회사, 주성화 filed Critical 정풍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0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500Y1/ko
Publication of KR9300126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6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500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소등예시기능이 내장된 원적외선 센서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전체회로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 : 원적외선센서 1 : 신호증폭부
2 : 감지신호출력부 3 : 주/야간구분출력부
4 : 정류부 5 : 소등예시회로
6 : 전등구동부 LP : 전등
Cds : 광량감지센서 TR1, TR2 : 트랜지스터
TR3 : 로직트라이악 G1, G2, G3, G4 : 낸드게이트
P1~P5 : OP앰프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의 전등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원적외선 센서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동안 점등되었다가 소등시 그 소등시 점을 알 수 있도록 서서히 소등되도록 하는 소등예시기능이 내장된 원적외선 센서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아파트의 현관 또는 계단 및 공공건물의 복도, 화장실등에 설정된 전등과 같이 한시적인 점등동작이 요구되는 전등은 통상적으로 타임스위치나 원적외선 센서스위치, 원격제어점등/소등스위치, 터치스위치등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와같은 스위치들은 소등되는 시점에서 순간적으로 소등되기 때문에 눈이 피로감이 심할 뿐만 아니라 전구의 수명이 단축되고, 소등되는 시간을 미리 알 수 없으며, 소등된 직후 어두운 곳에서 다음 행동을 함에 있어서의 불편함등 여러가지 결점이 있었다.
예컨대, 상기 스위치들이 설치된 장소에서 진행중인 행동이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 미리 설정된 일정한 시간동안만 전등이 점등되었다가 소등되면, 순간적으로 어두워지게 되므로 어린아이들은 공포감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어두운 곳에서 스위치를 찾아야만 하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의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등예시회로를 사용하여 전등이 순간적으로 소등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서 서서히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소등예시기능이 내장된 원적외선 센서스위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적외선을 감지하여 소정 신호를 출력하는 원적외선센서(S1)와, 이 원적외센서(S1)로부터 출력되는 소정 전위의 신호를 2개의 OP앰프(P1, P2)를 이용하여 증폭하여 출력하는 신호증폭부(1), 이 신호증폭부(1)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감지시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면서 무감지시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2개의 OP앰프(P3, P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감지신호출력부(2), 광량감지센서(Cds) 및 비교기(P5)에 의해 주간에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면서 야간에는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주/야간구분출력부(3), 전체회로에 공급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인가하는 정류부(4) 및, 상기 감지신호출력부(2)와 주/야간구분출력부(3)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전등을 점등 및 소등시키는 전등구동부(6)로 이루어져 상기 원적외선 센서(S1)에 의해 원적외선이 감지될 경우 전등을 점등시킬 수 있도록 된 원적외선 센서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등구조부(6)에는 캐패시터(C7)와, 이 캐패시터(C7)와 각각 병렬로 접속된 캐패시터(C8, C9), 상기 캐패시터(C7)와 캐패시터(C8)의 일단간에 접속된 저항(R5), 상기 캐패시터(C8)와 캐패시터(C9)의 일단간에 접속된 저항(R6) 및, 상기 캐패시터(C9)의 타단과 접지단간에 접속된 캐패시터(C10)로 이루어진 소등예시회로(5)가 접속되어 미리 결정된 전등의 소등시점에서 상기 캐패시터(C8, C9)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을 방전시킴으로써 전등이 소프트턴오프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소등예시회로(5)의 캐패시터(C8, C9)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을 전등의 소등시점에서 방전시키고, 이 방전에 따라 전등구동부(6)의 로직트라이악(TR3)이 구동되어 전등을 서서히 점등(소프트 턴오프)시키게 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도해서 본 고안에 따른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블록구성도로서, 도면중 참조부호 S1은 원적외선을 감지해서 0.1~10Hz의 주파수를 갖춘 신호를 출력하는 원적외선센서이고, 참조부호 1은 상기원적외선센서(S1)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신호증폭부, 2는 상기 원적외선센서(S1)에서 원적외선이 감지된 경우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원적외선이 감지 되지 않았을 경우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신호출력부, 3은 원적외선이 감지되었을 경우이라도 주간에는 전등이 점등되지 않고, 야간에만 점등되도록 하기 위해 주/야간의 상태를 감지하여 야간에는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주간에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주/야간구분출력부, 4는 전체회로에 공급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하는 정류부, 5는 점등된 전등을 서서히 소등(소프트턴오프)시킬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소등예시회로, 6은 상기 감지신호출력부(2)와 주/야간구분출력부(3) 및 소등예시회로(5)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전등을 점등 및 소등시키는 전등구동부이다.
이어,제2도에 도시된 전체회로도를 참조해서 전체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원적외선센서(S1)에 의해 원적외선센서(S1)에 의해 원적외선이 감지되면, 0.1~10Hz의 주파수를 갖춘 소정 전압의 신호를 출력하고, 이 출력된 신호가 신호증폭부(1)에 인가되어 2개의 OP앰프(P1, P2)에 의해 증폭되어 출력된다.
이때, 신호증폭부(1)내에서는 콘덴서(C1, C2)와 저항(R7, R8)으로 구성된 필터링회로에 의해 0.1~10Hz사이의 신호성분만을 증폭되어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원적외선센서(S1)에 의해 원적외선이 감지되어 신호증폭부(1)에 의해 증폭된 신호가 감지신호출력부(2)의 OP앰프(P3, P4)의 반전 단자와 비반전단자에 각각 인가되면, 저항(R1, R2, R3)에 의한 분할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OP앰프(P3, P4)의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의 전압값과 비교되어 상기 각 OP앰프(P3, P4)에서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출력된 각 로우레벨의 신호가 낸드게이트(G1)의 양단에 인가됨에 따라 낸드게이트(G1)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낸드게이트(G3)의 일단에 인가되고, 낸드게이트(G3)의 타단에는 주/야간구분출력부(3)로부터 출력되는 하이레벨의 신호(광량감지센서(Cds)의 작용에 의해 야간의 경우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고, 주간의 경우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됨)가 인가되어 낸드게이트( G3)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 로울레벨의 신호에 의해 정류부(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콘덴서(C5)와 다이오드(D1) 저항(R4) 및 낸드게이트(G3)를 통해 접지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로우레벨의 전위가 낸드게이트(G2)의 일단에 인가되고, 그 타단에는 정류부(4)로부터 인가되는 하이레벨의 전위가 인가되어 낸드게이트(G2) 일단에 인가되고, 그 타단에는 트리거펄스발생용 콘덴서(C6)에 의해 발생되는 트리거신호가 인가되며, 트리거신호가 인가될 때마다 출력되는 출력전위에 의해 트랜지스터(TR2)를 온시켜 로직트라이악(TR3)을 구동시킴으로써 전동(LP)이 점등되게 된다. 여기서 전등(LP)의 점등시간은 가변저항(VR)과 캐패시터(C5)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에 따라 정해지게 된다. 즉, 정류부(4)로부터 인가되는 전위에 따라 트랜지스터(TR1)가 온/오프됨으로서 캐패시터(C5)의 충방전이 수행되고, 이에 따른 캐패시터(C5)와 가변저항(VR)의 시정수에 따라 점등시간이 결정되게 된다.
이때, 캐패시터(C7,C8, C9, C10)와 저항(R5, R6)으로 이루어진 소등예시회로(5)가 교류전원(예컨대 22V)으로부터 소정 전압을 공급받고, 이소정 전압이 캐패시터(C7)에 의해 미분되며, 저항(R5, R6)과 캐패시터(C8, C9)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진 후, 이를 전등구동부(6)의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로 피드백시키게 된다. 따라서 캐패시터(C5)와 가변저항(VR)에 의해 결정된 전등의 소등시점에서 캐패시터(C8, C9)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함으로써 그 방전에 따라 로직트라이악(TR3)이 동작하게 되어 전등(LP)의 소프트턴오프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원적외선센서(S1)에 의해 원적외선이 감지되이 않았을 경우, 신호증폭부(1)로부터 신호가 증폭되지 않는 상태로 감지신호출력부(2)에 인가되고, 이에 따라 감지신호출력부(2)에서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은 하이레벨의 신호가 낸드게이트(G1)의 양단에 인가되어 낸드게이트(G1)로부터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낸드게이트(G3)에 인가되고, 낸드게이트(G3)의 타단에는 야간의 경우 하이레벨의 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낸드게이트(G3)로부터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낸드게이트(G2)의 일단에는 정류부(4)로부터 인가되는 하이레벨의 신호와, 콘덴서(C5)로부터의 하이레벨의 신호가 인가되어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고, 이 로우레벨의 신호가 낸드게이트(G4)의 일단에 인가된다. 따라서, 낸드게이트(G4)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트랜지스터(TR2)에 인가됨으로써 트랜지스터(TR2)가 오프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로직트라이악(TR3)이 구동되지 않게 되어 전등의 점등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고안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점등된 전등이 소등되는 시점에서 서서히 어두워지다가 소등됨으로써 눈의 피로감으로 인한 시력저하를 방지하고, 전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전등이 소등되는 시점의 예시가 가능함으로써 소정의 행동을 전등이 완전히 소등되기 전에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안전하고 확실하게 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원적외선을 감지하여 소정 신호를 출력하는 원적외선센서(S1)와, 이 원적외선센서(S1)로부터 출력되는 소정 전위의 신호를 2개의 OP앰프(P1, P2)를 이용하여 증폭하여 출력하는 신호증폭부(1), 이 신호증폭부(1)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감지시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면서 무감지시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2개의 OP앰프(P3, P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감지신호출력부(2), 광량감지센서(Cds) 및 비교기(P5)에 의해 주간에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면서 야간에는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주/야간구분출력부(3), 전체회로에 공급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인가하는 정류부(4) 및, 상기 감지신호출력부(2)와 주/야간구분출력부(3)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전등을 점등 및 소등시키는 전등구동부(6)로 이루어져 상기 원적외선 센서(S1)에 의해 원적외선이 감지될 경우 전등을 점등시킬 수 있도록 된 원적외선 센서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등구동부(6)에는 캐패시터(C7)와, 이 캐패시터(C7)와 각각 병렬로 접속된 캐패시터(C8, C9), 상기 캐패시터(C7)와 캐패시터(C8)의 일단간에 접속된 저항(R5), 상기 캐패시터(C10)로 이루어진 소등예시회로(5)가 접속되어 미리 결정전등의 소등시점에서 상기 캐패시터(C8, C9)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을 방전시킴으로써 전등이 소프트 턴오프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등예시기능이 내장된 원적외선 센서스위치.
KR2019910020699U 1991-11-29 1991-11-29 소등예시기능이 내장된 원적외선 센서스위치 KR940005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699U KR940005500Y1 (ko) 1991-11-29 1991-11-29 소등예시기능이 내장된 원적외선 센서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699U KR940005500Y1 (ko) 1991-11-29 1991-11-29 소등예시기능이 내장된 원적외선 센서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609U KR930012609U (ko) 1993-06-25
KR940005500Y1 true KR940005500Y1 (ko) 1994-08-13

Family

ID=1932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0699U KR940005500Y1 (ko) 1991-11-29 1991-11-29 소등예시기능이 내장된 원적외선 센서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5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609U (ko) 199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0998B2 (en) Energy saving type of light emitting diode lamp
GB2156515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lights of a vehicle
US3790848A (en) Automatic light control system
KR940005500Y1 (ko) 소등예시기능이 내장된 원적외선 센서스위치
CA2053354A1 (en) Circuit arrangement
US4876487A (en) Low voltage illuminating lamp set with programmable output for garden use
US4595860A (en) Automatic indoor lamp unit
SE8103825L (sv) Egenseker flamovervakningsanordning
KR860001933Y1 (ko) 자동 조명등
JPH0548397Y2 (ko)
KR960003537Y1 (ko) 자동점멸장치
KR200206209Y1 (ko) 조명등용 전자식 벽 스위치기
KR200228700Y1 (ko) 인체 감지 자동 전등 점멸 스위치
JPS5842970B2 (ja) 近接スイッチ
KR930006817Y1 (ko) 전등일체형 원적외선센서스위치
KR100274947B1 (ko) 전력공급의 페이드아웃 스위칭방법 및 회로
JPS6431393A (en)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KR910007427Y1 (ko) Tv의 타이머를 이용한 외부 전원의 자동제어회로
GB2114751A (en) A touch switch with delay means
KR200268116Y1 (ko) 인체감응 센서등
KR200164093Y1 (ko) 적외선감지에의한전등자동제어장치
KR200285004Y1 (ko) 센서등
JPH0330279B2 (ko)
KR200211107Y1 (ko) 디지탈 센서등
KR20030038309A (ko) 센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